KR20230091691A -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691A
KR20230091691A KR1020210181059A KR20210181059A KR20230091691A KR 20230091691 A KR20230091691 A KR 20230091691A KR 1020210181059 A KR1020210181059 A KR 1020210181059A KR 20210181059 A KR20210181059 A KR 20210181059A KR 20230091691 A KR20230091691 A KR 2023009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lamp device
vertical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식
Original Assignee
손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명식 filed Critical 손명식
Priority to KR102021018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691A/ko
Publication of KR2023009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85Apparatus for treatments of printed circuits with liqui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conveyors and hol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하여 이송 및 수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1 파지부;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2 파지부; 및 상기 제1 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Clamp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s}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은 회로부품을 접속하는 전기배선을 회로설계에 기초하여 배선도형으로 표현하고, 이것을 패턴(pattern)인쇄 및 식각(etching)하기 위한 장치를 통하여 박판의 기판 위에 배선도형으로서 완성되어 진다.
완성된 인쇄회로기판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직사각 형상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인쇄회로기판은 클램프 장치를 통해 파지된 상태로 공급 위치에서 수납 위치까지 이동하여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이 바스켓에 수납될 때에는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수납될 수 있는 바, 바스켓 내부에 보다 많은 인쇄회로기판을 수납시키기 위하여 클램프 장치가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할 때 공간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클램프 장치들은 대부분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파지할 때의 이동 반경이 커 수납부에 인쇄회로기판을 많이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169921(2012.08.06 공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할 때 구동 공간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도록 형성하여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에 보다 많은 인쇄회로기판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하여 이송 및 수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1 파지부;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2 파지부; 및 상기 제1 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진공라인;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라인의 하부와 연결되는 진공흡착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면과 접촉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타면과 접촉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압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는 면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부는 상기 진공흡착부 상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진공라인과 연결되거나, 상기 진공라인이 지나가는 곳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라인의 부압이 작용하는 복수 개의 진공홀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라인이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내에는 상기 진공라인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표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간격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하여 이송 및 수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좌우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 실린더 및 구동부에 의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진공라인;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라인의 하부와 연결되는 진공흡착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면과 접촉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타면과 접촉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할 때 구동 공간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클램프 장치와 비교할 때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에 보다 많은 인쇄회로기판을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가 가이드부 및 이송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의 A-A' 부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파지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직 프레임과 제2 파지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가 가이드부 및 이송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의 A-A' 부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 파지부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수직 프레임과 제2 파지부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P)을 파지하여 이송 및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20)과, 제1 파지부(130), 및 제2 파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0)은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수평 프레임(110)은 상하 방향으로 레일(151)이 형성된 가이드부(150), 및 가이드부(150) 상에서 레일(15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프레임(110)은 레일(15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0)의 양 측부는 볼 부시(ball bush, 11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프레임(110)의 이동 시 수평 프레임(110)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부(150)는 작업대 상에 배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5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100)를 완성된 인쇄회로기판(P)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인쇄회로기판(P)을 수납하려는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의 위치까지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좌우 방향은 도면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전후 방향은 Y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은 Z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20)은 수평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120)은 인쇄회로기판(P)의 크기에 따라 좌우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프레임(120)은 수평 프레임(110) 상에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좌우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는 롤러, 구동 모터, 실린더 등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으로 좌우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다.
제1 파지부(130)는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 양단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프레임(1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파지부(130)는 구동부(17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70)는 모터(171)와, 이동 플레이트(172)와, 볼스크류(173)와, 연결부재(174), 및 이동부재(17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71)는 수평 프레임(1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71)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프레임(110)의 상부에 연결된 지지부재(171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172)는 수평 프레임(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프레임(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100)에는 이동 플레이트(172)의 상하 방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센서를 통해 인쇄회로기판(P)의 상하 방향 크기에 따라 제1 파지부(130)의 이동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센서는 수평 프레임(110) 상에 배치되어 이동 플레이트(172)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감지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100)의 구성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볼스크류(173)는 모터(17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이동 플레이트(17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볼스크류(173)는 내주면이 모터(171)의 회전 축에 나사 결합되고, 외주면이 이동 플레이트(17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71)가 회전하는 경우 볼스크류(173) 및 이동 플레이트(172)는 모터(171)의 회전 축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174)는 이동 플레이트(17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74)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플레이트(172)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재(175)는 연결부재(174) 및 제1 파지부(130) 사이에 연결되고, 연결부재(174)와 연동하여 제1 파지부(13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170)에 의해 제1 파지부(1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P)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파지부(130)는 제1 지지부(131)와, 제1 가압부(132), 및 제1 실린더(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31)는 수직 프레임(120)들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3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면이 이동부재(175)에 연결되어 구동부(17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131)는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부(132)는 제1 지지부(131)와 이격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 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31)가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 후면과 접촉되는 경우 제1 가압부(132)는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 전면과 접촉되어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가압부(132)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131)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린더(133)는 제1 가압부(132)의 일면에 연결되어 제1 가압부(13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린더(133)는 양단이 각각 전방 및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제1 가압부(132)를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린더(133)는 제1 가압부(1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지지물(134)을 통해 제1 가압부(13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실린더(133)에 의해 제1 가압부(13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지지부(131)와 제1 가압부(13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를 갖는 여러 종류의 인쇄회로기판(P)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파지부(130)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지지부(131) 및 제1 가압부(132)의 일부에는 인쇄회로기판(P)과 접촉되는 면으로 돌출된 서로 마주하는 돌출부재(131a, 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31)의 전방에 제1 가압부(132)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지지부(131)의 전방 하측 및 제1 가압부(132)의 후방 하측에 각각 돌출부재(131a, 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지부(140)는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 양단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프레임(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진공 흡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 일부를 진공을 이용하여 흡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파지부(140)는 진공라인(141)과, 진공펌프(142)와, 진공흡착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라인(141)은 수직 프레임(120)의 개구(120b) 상에 수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라인(141)은 수직 프레임(12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120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진공펌프(142)에 의해 진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진공라인(141)의 직경은 수직 프레임(120)의 두께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라인(141)은 수직 프레임(120)의 내측에 제공되어 진공라인(141)이 수직 프레임(120) 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바(도 3 참조),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인쇄회로기판(P)을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프레임(120)의 두께는 10mm 내지 50mm로 제공될 수 있고, 진공라인(141)의 직경은 8mm 내지 48mm로 제공될 수 있다.
진공펌프(142)는 진공라인(141)의 일측에 연결되어 진공라인(141)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펌프(142)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진공압을 생성하여 그 진공압을 진공라인(141)에 제공할 수 있다.
진공흡착부(143)는 수직 프레임(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진공라인(141)의 하부와도 연결되고, 진공압이 작용하는 복수 개의 진공홀(143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진공홀(143a)은 진공흡착부(143) 상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진공홀(143a)은 진공라인(141)과 연결되거나, 진공라인(141)이 지나가는 곳에 진공홀(143a)이 형성되어 진공라인(141)의 부압이 진공홀(143a)에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라인(141)은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진공라인(141)은 진공흡착부(143)의 전체 면적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진공라인(141)의 끝단부가 꺾여서 진공흡착부(143) 전체에 골고루 지나갈 수 있고, 진공라인(141)이 지나가는 경로 상에 진공홀(143a)이 형성되어 진공홀(143a)에 진공압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라인(141)에 진공압이 작용하면 진공흡착부(143)는 복수 개의 진공홀(143a)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 타면을 진공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P)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프레임(120)이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 후면과 접촉되는 경우 진공흡착부(143)는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 후면과 접촉하게 되고 진공흡착부(143)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진공홀(143)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의 하부 후면을 진공 흡착을 통해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진공흡착부(143)의 표면은 인쇄회로기판(P)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진공흡착부(143)의 표면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진공흡착부(143)와 인쇄회로기판(P)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인쇄회로기판(P)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수직 프레임(120)에는 제1 지지부(1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131)는 가이드 홈(121)에 배치되어 구동부(170)의 구동 시 가이드 홈(121)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12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개구(120b)가 형성되고, 개구(120b) 내에는 진공라인(14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직 프레임(120)의 중앙에 개구(120b)가 형성됨에 따라, 수직 프레임(120)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수직 프레임(120)에 개구(120b)가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 홀(120a)의 길이가 짧아져 가이드 홀(120a)을 뚫기 위한 작업 시간이 단축되므로, 개구(120b)가 없는 수직 프레임에 비하여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가 완료된 인쇄회로기판(P)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에 수납되는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쇄회로기판(P)의 제조가 완료되면 작업대 상에 배치된 가이드부(150)는 인쇄회로기판(P)을 파지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P)이 제조되어 공급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인쇄회로기판(P) 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가이드부(150)에 연결된 이송부(160)가 가이드부(150)의 레일(151)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100)의 전방에는 인쇄회로기판(P)이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인쇄회로기판(P)의 상하 방향 크기에 맞추어 제1 파지부(130)가 구동부(17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쇄회로기판(P)은 제1 파지부(130)와 제2 파지부(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인쇄회로기판(P)이 제1 파지부(130)와 제2 파지부(140) 사이에 위치하면, 진공펌프(142)가 작동되어 제2 파지부(140)의 진공라인(141)에 진공압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진공흡착부(143)는 복수 개의 진공홀(143a)을 통해 인쇄회로기판(P)의 하부 후면을 진공 흡착하게 되므로,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은 수직 프레임(120)에 파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파지부(130)의 제1 실린더(133)를 통해 제1 가압부(132)를 인쇄회로기판(P) 측으로 이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은 제1 가압부(132)와 제1 지지부(13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면과 제1 파지부(130) 사이에 유격이 존재할 경우, 구동부(170)를 이용하여 제1 파지부(130)를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면과 접촉될 때까지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P)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 양단이 제2 파지부(140)에 의해 파지되고, 인쇄회로기판(P)의 상측 양단이 제1 파지부(130)에 의해 파지되면, 가이드부(150)는 작업대 상에서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까지 이동하여 인쇄회로기판(P)을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50)가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 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제2 파지부(140)의 진공펌프(142)의 작동을 정지시켜 진공라인(141)에 작용하던 진공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면 진공흡착부(143)에서 인쇄회로기판(P) 측으로 작용하는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어 인쇄회로기판(P)의 하측면은 구속을 받지 않는 자유단이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170)를 이용하여 제1 파지부(13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P)은 바스켓(또는, 매거진, 렉)에 안착될 수 있다. 이후 제1 실린더(133)를 이용하여 제1 가압부(13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파지부(130)의 가압력 또한 해제되고, 인쇄회로기판(P)은 손상 없이 안전하게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P: 인쇄회로기판
110: 수평 프레임 120: 수직 프레임
130: 제1 파지부 131: 제1 지지부
132: 제1 가압부 133: 제1 실린더
140: 제2 파지부 141: 진공라인
142: 진공펌프 143: 진공흡착부
144: 연결 실린더 150: 가이드부
151: 레일 160: 이송부
170: 구동부 171: 모터
172: 이동 플레이트 173: 볼스크류
174: 연결부재 175: 이동부재

Claims (11)

  1.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하여 이송 및 수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1 파지부;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2 파지부; 및
    상기 제1 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진공라인;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라인의 하부와 연결되는 진공흡착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면과 접촉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타면과 접촉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압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의 일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는 면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부는
    상기 진공흡착부 상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진공라인과 연결되거나, 상기 진공라인이 지나가는 곳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라인의 부압이 작용하는 복수 개의 진공홀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라인이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홀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내에는 상기 진공라인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표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간격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10.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하여 이송 및 수납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좌우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 실린더 및 구동부에 의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 일부를 가압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 수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진공라인;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진공라인의 하부와 연결되는 진공흡착부를 포함하는,
    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일면과 접촉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 타면과 접촉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KR1020210181059A 2021-12-16 2021-12-16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KR20230091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059A KR20230091691A (ko) 2021-12-16 2021-12-16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059A KR20230091691A (ko) 2021-12-16 2021-12-16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691A true KR20230091691A (ko) 2023-06-23

Family

ID=8699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059A KR20230091691A (ko) 2021-12-16 2021-12-16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6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921B1 (ko) 2011-10-12 2012-08-06 주식회사 티케이씨 비접촉식 수직 현상기에서의 인쇄회로기판 파지용 카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921B1 (ko) 2011-10-12 2012-08-06 주식회사 티케이씨 비접촉식 수직 현상기에서의 인쇄회로기판 파지용 카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630B1 (ko)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JP4600856B2 (ja) 基板保持装置
KR100927837B1 (ko)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인쇄장치
JPWO2005081611A1 (ja) 支持ピン把持装置および基板支持装置
WO2014171064A1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ーク搬送方法
JP5129681B2 (ja) 基板固定機構およびこれによる基板固定方法
KR20230091691A (ko) 인쇄회로기판용 클램프 장치
CN112557395B (zh) 显示屏检测治具
KR20140087123A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용 기판 이송 장치
JP2006297521A (ja) 板材の溝加工装置
CN217143007U (zh) 锁螺丝机构、组装加工设备以及生产线
KR100569068B1 (ko) 패널 이송장치
JP3891655B2 (ja) 部品吸着装置
JP4230809B2 (ja) プリント基板検査装置
KR102518414B1 (ko) 반도체용 엘피엠에 구비되는 풉의 탑재안내모듈
KR101240505B1 (ko) 인쇄회로기판 수납용 클램프 장치
KR20100006896U (ko) 웨이퍼 마운터의 척체결 구조
KR20060126204A (ko) 부품실장기용 기판지지장치
KR100399026B1 (ko) 트레이 안착용 플레이트
KR100452936B1 (ko) 인쇄회로기판 가공용 예비정렬장치
JP2000183592A (ja) 大型基板デバイス搬送用のハンドリングユニット
JP4144000B2 (ja) ウエーハセンタリング装置
JP2021015863A (ja) 部品実装システム、部品実装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940701583A (ko) 리이드 프레임을 위한 공정 또는 처리라인용 이송 로보트
CN217914862U (zh) 定位装置及加工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