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878A -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878A
KR20230090878A KR1020210180027A KR20210180027A KR20230090878A KR 20230090878 A KR20230090878 A KR 20230090878A KR 1020210180027 A KR1020210180027 A KR 1020210180027A KR 20210180027 A KR20210180027 A KR 20210180027A KR 20230090878 A KR20230090878 A KR 20230090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air dryer
nozzle body
win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채
Original Assignee
(주)라파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파바이오 filed Critical (주)라파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18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878A/ko
Publication of KR2023009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인체 또는 모발에 유익한 향기를 포함한 물질을 배출하는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노즐은 입구와 출구를 갖는 노즐 본체와, 노즐 본체의 입구 쪽에 설치된 외부 발산기와 다공성 필터를 포함한다. 외부 발산기는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노즐 본체의 입구 쪽 외곽 둘레에 설치되며, 외부로 유익 물질을 발산한다. 그리고 다공성 필터는 외부 발산기에 연결되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바람에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Functional nozzle and hair dry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인체 또는 모발에 유익한 향기를 포함한 물질을 배출하는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기는 모발을 손질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헤어드라이기는 젖은 모발을 말리기 위해 사용되는 가전기기로서, 내부에 장착된 히터에서 나오는 열을 팬으로 송출해 줌으로써, 젖은 모발을 뜨거운 바람을 통해 말리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헤어드라이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팬을 통하여 배출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히터 및 팬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주는 향기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어드라이기는 모발 쪽에 직접 바람을 배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쾌감을 주는 향기를 바로 흡입하게 된다.
더욱이 헤어드라이기로 열풍을 발생시킬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주거나 해로운 물질이 더 많이 발생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11487호 (2020.05.11.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인체 또는 모발에 유익한 향기를 포함한 물질을 발산하는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바람에 포함된 해로운 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바람이 출력되는 출력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능성 노즐로서,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가 형성된 노즐 본체;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 쪽 외곽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외부로 상기 유익 물질을 발산하는 외부 발산기; 및 상기 외부 발산기에 연결되며,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바람에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하는 다공성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발산기는, 제1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제1 유익 물질과 함께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1 발산구를 갖는 제1 외부 발산부; 및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제1 외부 발산부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제2 유익 물질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2 발산구를 갖는 제2 외부 발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발산부는, 상기 제1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출력구를 향하도록 제1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발산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발산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조절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 발산부는, 상기 제2 유익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제1 탱크와 이웃하되 상기 제1 탱크와 연통되게 상기 제1 유입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2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발산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발산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 조절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발산기는, 상기 제1 탱크의 제1 유입구 쪽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내부 통로를 가지며, 한쪽에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출력구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은 상기 제1 유입구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2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이중관; 및 상기 이중관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관은, 안쪽에 상기 다공성 필터가 설치되는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내부관과 사이에 상기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 외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캡은, 상기 이중관의 다른 쪽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조절 구멍이 형성된 조절판; 및 상기 조절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 구멍과 상기 제2 연통 구멍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상기 이중관의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은, 상기 노즐 본체의 내측 둘레에 제3 유익 물질을 설치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출구로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발산시키는 내부 발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발산기는, 상기 노즐 본체의 내측 둘레에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설치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출구로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발산시키는 제1 내부 발산기; 및 상기 제1 내부 발산기의 안쪽에 설치되되 상기 노즐 본체의 통로 상에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설치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출구로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발산시키는 제2 내부 발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은, 제4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와 외부로 연결하도록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제4 유익 물질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외부로 발산시키는 내외부 발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발산기는 상기 내외부 발산기보다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출구가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출력구를 갖는 헤어드라이기 본체; 및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출력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발생된 바람과 함께 유익 물질을 발산하는 상기 기능성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는 노즐에 구비된 유익 물질 발산기를 통하여 바람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향기는 제거하면서 인체 또는 모발에 유익한 물질(이하 '유익 물질'이라 함)을 발산함으로써,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는 바람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함께 배출되는 유익 물질을 이용하여 바람에 포함된 해로운 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유익 물질 발산기는 노즐의 외측에 배치되어 노즐의 외측면으로 유익 물질을 발산하는 외부 발산기와, 노즐의 내측에 설치되어 노즐을 통과하는 바람과 함께 노즐의 출구로 유익 물질을 발산하는 내부 발산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익 물질은 노즐의 내부와 외부를 통하여 인체 또는 모발에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외부 발산기는 노즐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회전 가능한 조절링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유익 물질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절링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외부 발산기를 통해서 발산할 유익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외부 발산기는 유익 물질로 고체형 방향제가 설치되는 제1 외부 발산부와, 유익 물질로 액체형 방향제가 설치되는 제2 외부 발산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유익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외부 발산부로는 노즐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노즐의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제2 외부 발산부에 투입된 유익 물질은 헤어드라이기가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열에 의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발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은 연성 결합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바람이 배출되는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출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 헤어드라이기의 본체로부터 노즐을 분리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능성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능성 노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능성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능성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능성 노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노즐 본체에 설치된 내외부 발산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내외부 발산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기능성 노즐에서 망상 캡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500)는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와,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기능성 노즐(200)을 포함한다. 헤어드라이기 본체(100)는 바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출력구(113)를 갖는다. 그리고 기능성 노즐(200)은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서 발생된 바람과 함께 유익 물질을 발산함으로써, 헤어드라이기 본체(100)로부터 바람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향기는 제거하면서 인체 또는 모발에 유익한 유익 물질을 발산한다.
여기서 헤어드라이기 본체(100)는 바람을 발생시켜 출력구(113)로 배출한다. 여기서 헤어드라이기 본체(100)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발생되는 바람은 송풍, 냉풍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헤어드라이기 본체(100)는 바람을 출력하는 기능성 노즐(20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유익 물질로는 고체형 방향제,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 액상의 방향제, 천연소재 향원료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고체형 방향제는 탄화코르크, 숯, 제오라이트를 포함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의 방향제는 에션셀오일을 포함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연소재 향원료는 장미 꽃잎, 로즈마리 꽃잎, 라벤더 꽃잎, 천궁, 정향, 샤프란을 포함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오라이트는 헤어드라이기(500)에 설치되어 습윤제, 건조제, 이온교환제, 증량제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오라이트는 열이 인가되어 탈수가 되어도 구조가 파괴되지 않고 스폰지와 같이 수분이나 가스를 흡착하여 원상으로 복귀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다. 제오라이트가 50% 정도의 물을 함습하고 있는 경우, 인가되는 열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함습하고 있는 수분을 1~2 시간 정도 배출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대기 중 80% 정도를 차지하는 질소를 흡착하기 때문에, 바람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질소가 줄어든 공기, 일반 공기보다 산소가 더 많이 포함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익 물질로서 제오라이트가 설치되는 기능성 노즐(200)은 출력되는 바람에 습기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헤어드라이기(500)로 열풍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열풍으로 인해 호흡이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습기와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헤어드라이기(5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호흡을 보다 원활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중금속 등 독성 물질을 흡착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바람이 출력되는 과정에서 유입되거나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제거, 탈취 및 향균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기능성 노즐(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능성 노즐(200)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기능성 노즐(200)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서 출력되는 바람에 유익 물질을 포함시켜 배출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출력되는 바람에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노즐 본체(10), 외부 발산기(20) 및 다공성 필터(60)를 포함한다. 노즐 본체(10)는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11)와, 입구(11)와 연결되어 입구(11)로 유입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발산기(20)는 유익 물질(25,35)을 담고 있으며, 노즐 본체(10)의 입구(11) 쪽 외곽 둘레에 설치되며, 노즐 본체(10)의 입구(11)로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외부로 유익 물질(25,35)을 발산한다. 그리고 다공성 필터(60)는 외부 발산기(20)에 연결되며,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서 출력되는 바람에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한다.
그 외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내부 발산기(70)와 연성 결합링(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10)는 입구(11)와 출구(13)가 연통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노즐 본체(10)는 입구(11)로 유입되는 바람이 출구(13)를 통하여 보다 빠른 유속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입구(11)가 넓게 형성되고 출구(13)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 본체(10)의 내측에 내부 발산기(70)가 설치된다. 노즐 본체(10)의 입구(11) 쪽에 외부 발산기(20)와 다공성 필터(60)가 설치된다.
내부 발산기(70)는 노즐 본체(10)의 내측에 제3 유익 물질(73)을 설치하며, 노즐 본체(10)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노즐 본체(10)의 출구(13)로 제3 유익 물질(73)을 발산시킨다.
이러한 내부 발산기(70)는 복수의 삽입홈(77)이 형성된 링 케이스(75)와, 링 케이스(75)에 결합되어 복수의 삽입홈(77)을 덮는 덮개(79)를 포함한다.
링 케이스(75)는 일정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노즐 본체(10)의 내부면에 결합된다. 링 케이스(75)에는 복수의 제3 유익 물질(73)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홈(77)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삽입홈(77)이 링 케이스(75)의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79)는 제3 유익 물질(73)이 수납된 복수의 삽입홈(77)을 덮어, 제3 유익 물질(73)을 삽입홈(77) 내에 구속시킨다.
제3 유익 물질(73)로는 나노 은(Ag) 또는 제오라이트를 함유하는 볼 형태의 고체형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유익 물질(73)에 나노 은이 포함되는 경우, 살균, 탈취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노즐 본체(10)의 내부를 지나가는 바람에 의해 제3 유익 물질(73)이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링 케이스(75)와 덮개(79)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구멍은 바람이 배출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링 케이스(75)와 덮개(79)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링 케이스(75)의 하부면과 덮개(79)를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연성 결합링(180)은 노즐 본체(10)의 입구(11)에 설치된다. 연성 결합링(180)은 바람이 배출되는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노즐 본체(10)와 헤어드라이기 본체(100)를 연결한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기존의 헤어드라이기에 구비된 노즐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는 제조사마다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연성 결합링(180)을 구비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에 범용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성 결합링(180)은,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계단식 턱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 결합링(180)의 소재로는 실리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외부 발산기(20)는 노즐 본체(10)의 입구(11) 쪽에 링 형태로 설치된다. 외부 발산기(20)는 바람이 출력되는 출구(13) 쪽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유익 물질(25,35)을 발산한다. 여기서 유익 물질(25,35)은 기능성 노즐(200)의 외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발산기(20)는 제1 외부 발산부(21)와 제2 외부 발산부(31)를 포함한다. 제1 외부 발산부(21)는 제1 유익 물질(25)을 담고 있으며, 노즐 본체(10)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되어 제1 유익 물질(25)과 함께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1 발산구(28)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외부 발산부(31)는 노즐 본체(10)와 제1 외부 발산부(21)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유익 물질(35)을 담고 있으며, 제2 유익 물질(35)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2 발산구(38)를 구비한다. 그 외 외부 발산기(20)는 조절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익 물질(25)로는 고체형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유익 물질(35)로는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외부 발산부(21)는 링 형상의 제1 탱크(23)와 제1 조절링(29)을 포함한다. 제1 탱크(23)는 제1 유익 물질(25)을 담고 있으며, 노즐 본체(10)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를 향하도록 제1 유입구(27)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하도록 제1 발산구(2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조절링(29)은 제1 탱크(23)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제1 발산구(28)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2 외부 발산부(31)는 제1 외부 발산부(21)와 유사하게 링 형상의 제2 탱크(33)와 제2 조절링(39)을 포함한다. 제2 탱크(33)는 제2 유익 물질(35)을 담고 있으며, 제1 탱크(23)와 이웃하되 제1 탱크(23)와 연통되게 제1 유입구(27)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2 유입구(37)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하도록 제2 발산구(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조절링(39)은 제2 탱크(33)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제2 발산구(38)의 크기를 조절한다.
제1 및 제2 탱크(23,33)에 형성된 제1 및 제2 유입구(27,37)는 노즐 본체(10)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될 수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를 향하여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발산구(28,38)는 외부로 제1 및 제2 유익 물질(25,35)을 발산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게 형성된다.
노즐 본체(10)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될 때, 제1 탱크(23)를 지나 제2 탱크(33)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1 탱크(23)의 공간이 제2 탱크(33)의 공간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는 제1 탱크(23)에 수납되는 제1 유익 물질(25)로는 고체형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탱크(33)에 수납되는 제2 유익 물질(35)로는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는 액상의 방향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입구(27,37)는 출력구(113)를 향하는 제1 및 제2 탱크(23,33)의 일측의 원주면을 따라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발산구(28,38)는 외부를 향하는 제1 및 제2 탱크(23,33)의 일측의 둘레면을 따라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절링(29,39)에는 제1 및 제2 발산구(28,38)에 대응되게 제1 및 제2 발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탱크(23,33)에 대해서 제1 및 제2 조절링(29,39)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 발산구(28,38)와 제1 및 제2 발산구멍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제1 및 제2 유익 물질(25,35)의 양을 조절한다.
제1 조절링(29)은 메인링(29a), 제1 연결링(29b), 및 제2 연결링(29c)을 포함한다. 메인링(29a)은 제1 발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링(29b)은 메인링(29a)의 한 쪽에서 연장되어 노즐 본체(10)의 입구(11) 쪽으로 뻗어 있으며, 노즐 본체(10)의 입구(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연결링(29c)은 메인링(29a)의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 쪽으로 뻗어 있으며, 단부에 유연 결합링(180)의 한 쪽이 결합된다.
제1 연결링(29b)에는 제2 탱크(33)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2 발산구(38)에 대응되게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링(29b) 위에 제2 조절링(39)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연결링(29b)에 대해서 제2 조절링(39)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발산구(38)와 연결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연결구멍과 제2 발산구멍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제2 발산구멍으로 발산되는 제2 유익 물질(35)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탱크(23,33)가 제2 유입구(37)를 매개로 연통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2 탱크(23)는 제1 탱크(33)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탱크(23,33) 사이에 제2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탱크(23)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유입구(27)로 바람이 들어오면, 제1 발산구(28)로 제1 유익 물질(25)을 바람과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탱크(33)는 제2 유입구는 없지만 제2 발산구(38)를 구비하기 때문에, 바람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열로 제2 유익 물질(35)을 제2 발산구(3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40)는 제1 탱크(23)의 제1 유입구(27) 쪽에 설치되며, 제1 유입구(27)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부(40)는 이중관(41)과 조절캡(53)을 포함한다. 이중관(41)은 내부 통로(47)를 가지며, 한쪽에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49)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은 제1 유입구(27)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2 연통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캡(53)은 이중관(41)의 한쪽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49)의 크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이중관(41)은 내부관(43)과 외부관(45)을 포함한다. 내부관(43)은 안쪽에 다공성 필터(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관(45)은 내부관(43)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내부관(43)과 사이에 내부 통로(47)를 형성한다.
이때 다공성 필터(60)는 내부관(43)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디스크 형태를 가지며, 바람이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는 다수 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공성 필터(60)의 소재로는 코르크가 사용될 수 있다. 코르크는 향균, 오염물질 제거, 흡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공성 필터(60)는 내부관(43)의 안쪽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다공성 필터(6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경우, 다공성 필터(60) 사이를 바람이 통과하면서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음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다공성 필터(60)가 설치되는 경우, 다공성 필터(60)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공성 필터(60) 사이에 링 형상의 스페이서(61)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다공성 필터(60)가 설치되고, 두 개의 다공성 필터(60) 사이에 하나의 스페이서(61)가 개재된 예를 개시하였다.
조절캡(53)은 조절판(55)과 조절탭(57)을 포함한다. 조절판(55)은 이중관(41)의 다른 쪽을 덮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49)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조절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탭(57)은 조절판(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조절 구멍과 제1 연통 구멍(49)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이중관(41)의 내부 통로(47)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한다.
조절부(40)는 조절탭(57)을 제외하면 제2 연결링(29c)의 내부에 위치한다. 조절탭(57)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 연결링(29c)에는 슬롯(29d)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탭(57)은 슬롯(29d)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연성 결합링(180)은 한 쪽이 제2 연결링(29c)에 결합되고, 다른 쪽이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를 덮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이 유익 물질(25,35,73)을 발산하고,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을 준비한다. 외부 발산기(20)에는 제1 및 제2 유익 물질(25,35)이 수납되어 있다. 내부 발산기(70)에는 제3 유익 물질(73)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다공성 필터(60)가 외부 발산기(2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 기능성 노즐(200)을 결합한다. 기능성 노즐(200)은 연성 결합링(180)을 이용하여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제1 또는 제2 조절링(29,39)을 회전시켜 개방되는 제1 및 제2 발산구(28,3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 기능성 노즐(200)을 결합하기 전에, 제1 또는 제2 조절링(29,39)을 회전시켜 개방되는 제1 및 제2 발산구(28,38)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탭(57)을 회전시켜, 제1 및 제2 유입구(27,37)로 유입될 바람의 양을 조절한다.
이어서 헤어드라이기 본체(100)를 구동시켜 바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서 발생된 바람은 출력구(113)를 통해서 기능성 노즐(200)로 배출됨으로써, 다공성 필터(60)에 의해 공기가 정화되고 소음이 흡수되며, 제1 내지 제3 유익 물질(25,35,73)이 기능성 노즐(200)을 통해서 외부로 발산된다.
즉 출력구(113)에서 발생된 바람이 기능성 노즐(200)에 입력되면, 대부분의 바람은 기능성 노즐(200)의 앞단에 설치된 다공성 필터(60)에 의해 정화되고, 소음이 흡수된다.
노즐 본체(10)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이중관(41)의 내부 통로(47)를 통하여 제1 및 제2 탱크(23,33)로 순차적으로 유입된 후, 제1 및 제2 발산구(28,38)를 통하여 제1 및 제2 유익 물질(25,35)과 함께 기능성 노즐(200)의 외부로 발산된다.
그리고 노즐 본체(10)의 입구(11)로 유입된 바람은 노즐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발산기(70)를 거치면서, 내부 발산기(70)에 설치된 제3 유익 물질(73)이 바람과 함께 노즐 본체(10)의 출구(13)로 발산된다.
[제2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노즐 본체(10)에 내부 발산기(7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본체(210)에 내외부 발산기(1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300)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6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능성 노즐(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기능성 노즐(3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600)는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와,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기능성 노즐(30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300)은 노즐 본체(210), 외부 발산기(20), 다공성 필터(60), 내부 발산기(70), 연성 결합링(180) 및 내외부 발산기(110)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3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과 비교하면, 내외부 발산기(110)를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내외부 발산기(110)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내외부 발산기(110)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8은 도 7의 노즐 본체(210)에 설치된 내외부 발산기(11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내외부 발산기(110)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내외부 발산기(110)는 제4 유익 물질(170)을 담고 있으며, 노즐 본체(210)의 내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노즐 본체(210)로 배출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구(137)가 형성되어 있다. 내외부 발산기(110)는 노즐 본체(210)의 외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유입구(137)로 유입된 바람과 함께 제4 유익 물질(170)이 발산하는 발산구(14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외부 발산기(110)는 제4 유익 물질(170)을 담아서 발산하는 용기로서, 하우징(130)과 조절캡(150)을 포함하고, 자석(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제4 유익 물질(170)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132)을 갖는다. 하우징(130)은 하부가 노즐 본체(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는 노즐 본체(210)의 외부에 위치한다. 하우징(130)은 하부면에 유입구(137)가 형성되어 있고, 노즐 본체(210)의 외부로 노출된 외측면에 발산구(143)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개방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캡(150)은 하우징(130)의 개방부(131)를 덮으며, 제4 유익 물질(170)이 배출되는 발산구(143)의 크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제4 유익 물질(170)은 고체형 방향제,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 액상의 방향제 및 천연소재 향원료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유익 물질(170)은 하우징(130)의 수납공간(132)에 담기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4 유익 물질(170)로 스펀지 형태의 방향제를 개시하였다.
하우징(130)은 노즐 본체(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노즐 본체(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하우징(130)은 결합된 조절캡(15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노즐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30)이 노즐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이러한 하우징(130)은 바닥판(133)과 사이드벽(141)을 포함한다.
바닥판(133)은 중심에 자석(180)이 삽입되는 자석 삽입홈(135)이 형성되고, 자석 삽입홈(135)의 외측에 유입구(137)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벽(141)은 바닥판(133)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부로 관 형태로 연장되어 제4 유익 물질(170)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사이드벽(141)은 노즐 본체(210)의 출구(13) 방향으로 발산구(143)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삽입홈(135)은 자석(180)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석 삽입홈(135)의 가장자리 둘레에 제4 유익 물질(170)이 아래로 배출되는 배출구(139)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39)로 배출되는 제4 유익 물질(170)은 액체형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조절캡(150)은 조절판(151), 가이드벽(153), 및 고정바(157)를 포함한다.
조절판(151)은 하우징(130)의 개방부(131)를 덮는다.
가이드벽(153)은 조절판(15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아래로 관 형태로 연장되어 사이드벽(141)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산구(143)의 크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고정바(157)는 조절판(151)의 중심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있으며, 자석(180)에 부착되어 조절판(151) 및 가이드벽(153)을 하우징(1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절판(151)의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판(151)에 연결된 가이드벽(153)이 회전하면서 사이드벽(141)에 형성된 발산구(143)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로 인해 발산구(143)를 통해 발산되는 제4 유익 물질(170)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이드벽(141)에는 외주면을 따라서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발산구(14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벽(153)이 사이드벽(141)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복수의 발산구(143) 중 하나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다른 발산구(143)를 막음으로써, 발산구(143)를 통해 발산되는 제4 유익 물질(170)의 양을 조절한다. 이때 가이드벽(153)에는 발산구(143)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벽(153)에 연결구가 형성되고, 사이드벽(141)에 복수의 발산구(143)가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가이드벽(153)에 크기가 다른 복수의 연결구가 형성되고, 사이드벽(141)에 하나의 발산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하우징(130)에 결합된 조절캡(150)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발산구(143)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사이드벽(141)과 가이드벽(153)이 마주보는 면에 안내홈(145)과 돌기(155)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45)은 조절캡(15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사이드벽(141)의 내측면에 길게 형성된다. 안내홈(145)은 발산구(143)가 형성된 부분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돌기(155)는 가이드벽(153)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안내홈(145)에 삽입되어 안내홈(145)을 따라서 이동한다.
안내홈(145)에는 복수의 발산구(143)의 위치에 대응되게 돌기(15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146)은 안내홈(145) 보다는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155)는 안내홈(145)을 따라서 회전하다가 고정홈(146)에 오게 되면, 고정홈(146)으로 더 깊게 삽입됨으로써, 발산구(143)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캡(150)의 회전을 통해서 돌기(155)가 안내홈(145)을 따라서 고정홈(146)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각이나 소리로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안내홈(145)에서 고정홈(146)으로 돌기(155)가 이동할 경우, 안내홈(145)과 고정홈(146)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돌기(155)가 고정홈(146)에 충돌하면서 소리가 발생하고, 아울러 고정홈(146)에 돌기(155)가 걸리는 것을 촉각으로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외부 발산기(110)는 다음과 같이 제4 유익 물질(170)을 발산할 수 있다.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의 출력구(113)를 통해서 출력되는 바람은 노즐 본체(210)의 입구(11)를 통하여 출구(13)로 배출된다. 이때 노즐 본체(210)를 통과하는 바람 중 일부는 하우징(130)의 유입구(137)를 통하여 하우징(130)의 수납공간(132)으로 유입된다. 수납공간(132)으로 유입된 바람은 하우징(130)의 발산구(143)를 통해서 하우징(130) 밖으로 배출된다. 하우징(130)의 수납공간(132)에 담긴 제4 유익 물질(170)이 수납공간(132)으로 유입된 바람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내외부 발산기(110)는 발산구(143)가 노즐 본체(210)의 출구(13)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 본체(110)의 출구(13) 쪽으로 제4 유익 물질(170)을 발산한다.
내외부 발산기(110)는 노즐 본체(210)의 안쪽에 배출구(13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본체(210)의 입구(11)에서 출구(13)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배출구(139)를 통하여 제4 유익 물질(170)이 배출된다. 이때 제4 유익 물질(170)은 액체형 소재, 예컨대 액상의 방향제,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외부 발산기(110)는 노즐 본체(210)의 외부와 내부를 통하여 제4 유익 물질(170)을 발산할 수 있다.
그 외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3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과 동일하게, 외부 발산기(20), 내부 발산기(70) 및 다공성 필터(60)를 통하여 제1 내지 제3 유익 물질(25,35,73)을 발산하고,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한다.
[제3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은 노즐 본체(10)의 내측에 내부 발산기(7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본체(310)의 내측과 안쪽에 내부 발산기(7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310)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노즐(4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은 도 11의 기능성 노즐(400)에서 다공성 캡(117)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700)는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와, 헤어드라이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기능성 노즐(400)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400)은 노즐 본체(310), 외부 발산기(20), 다공성 필터(60), 내부 발산기(70) 및 연성 결합링(18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4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200)과 비교하면, 노즐 본체(310) 및 내부 발산기(70)를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노즐 본체(310) 및 내부 발산기(70)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노즐 본체(310)는 입구(11)와 출구(13)가 형성된 본체관(115)과, 본체관(115)의 출구(13)에 결합되는 다공성 캡(117)을 포함한다.
내부 발산기(70)는 본체관(115)의 내부에 설치된다. 내부 발산기(70)는 제1 내부 발산기(71)와 제2 내부 발산기(81)를 포함한다. 제1 내부 발산기(71)는 본체관(115)의 내측 둘레에 제3 유익 물질(73)을 설치하며, 본체관(115)으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본체관(115)의 출구(13)로 제3 유익 물질(73)을 발산시킨다. 그리고 제2 내부 발산기(81)는 제1 내부 발산기(71)의 안쪽에 설치되되, 본체관(115)의 통로 상에 제3 유익 물질(73)을 설치하며, 본체관(115)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본체관(115)의 출구(13)로 제3 유익 물질(73)을 발산시킨다.
여기서 제1 내부 발산기(71)는 본체관(115)의 내측에 가상의 제1 원주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제1 홀더(76)를 포함한다. 제1 홀더(76)는 긴 삽입홈 형태로 형성되며, 볼 형태의 제3 유익 물질(73)이 복수개 삽입될 수 있다.
제1 홀더(76)에 삽입된 제3 유익 물질(73)은 본체관(115)의 출구(13)에 결합되는 다공성 캡(117)에 의해 제1 홀더(76) 내에 구속된다. 다공성 캡(117)은 출구(13)를 통해서 바람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중심 부분이 망상 구조를 갖는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 발산기(81)는 본체부(115)의 내측에 가상의 제2 원주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제2 홀더(83)를 포함한다. 제2 홀더(83)는 양쪽이 개방된 끼움홈 형태로 형성되며, 볼 형태의 제3 유익 물질(73)이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원주의 중심은 동일하며, 제1 원주가 제2 원주 보다는 크다. 즉 복수의 제1 홀더(76) 안쪽에 복수의 제2 홀더(83)가 위치한다. 복수의 제2 홀더(83)는 고정링(87)으로 서로 연결되고, 브릿지(85)를 매개로 본체관(115)의 내벽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400)은 노즐 본체(10)의 내부에 제1 실시예 보다 많은 제3 유익 물질(73)을 배치함으로써, 제2 유익 물질(73)을 보다 많이 발산시킬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노즐(400)은 복수의 제1 홀더(76) 및 복수의 제2 홀더(83)가 본체관(115)에 함께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복수의 제1 홀더(76) 및 복수의 제2 홀더(83)는 본체관(115)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제1 홀더(76) 및 복수의 제2 홀더(8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본체관(115)의 내측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헤어드라이기 본체 113 : 출력구
200, 300, 400 : 기능성 노즐 10, 210, 310 : 노즐 본체
11 : 입구 13 : 출구
115 : 본체관 117 : 다공성 캡
20 : 외부 발산기 21 : 제1 외부 발산부
23 : 제1 탱크 25 : 제1 유익 물질
27 : 제1 유입구 28 : 제1 발산구
29 : 제1 조절링 29a : 메인링
29b : 제1 연결링 29c : 제2 연결링
29d : 슬롯 31 : 제2 외부 발산부
33 : 제2 탱크 35 : 제2 유익 물질
37 : 제2 유입구 38 : 제2 발산구
39 : 제2 조절링 40 : 조절부
41 : 이중관 43 : 내부관
45 : 외부관 47 : 내부 통로
49 : 제1 연통 구멍 51 : 제2 연통 구멍
53 : 조절캡 55 : 조절판
57 : 조절탭 60 : 다공성 필터
61 : 스페이서 70 : 내부 발산기
71 : 제1 내부 발산기 73 : 제3 유익 물질
75 : 링 케이스 76 : 제1 홀더
77 : 삽입홈 79 : 덮개
81 : 제2 내부 발산기 83 : 제2 홀더
85 : 브릿지 87 : 고정링
110 : 내외부 발산기 130 : 하우징
131 : 개방부 132 : 수납공간
133 : 바닥판 135 : 자석 삽입홈
137 : 유입구 139 : 배출구
141 : 사이드벽 143 : 발산구
145 : 안내홈 146 : 고정홈
143 : 발산구 150 : 조절캡
151 : 조절판 153 : 가이드벽
155 : 돌기 157 : 고정바
160 : 자석 170 : 제4 유익 물질
180 : 연성 결합링 500, 600, 700 : 헤어드라이기

Claims (12)

  1.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바람이 출력되는 출력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능성 노즐로서,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가 형성된 노즐 본체;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 쪽 외곽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외부로 상기 유익 물질을 발산하는 외부 발산기; 및
    상기 외부 발산기에 연결되며,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바람에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하는 다공성 필터;
    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발산기는,
    제1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제1 유익 물질과 함께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1 발산구를 갖는 제1 외부 발산부; 및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제1 외부 발산부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제2 유익 물질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제2 발산구를 갖는 제2 외부 발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발산부는,
    상기 제1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로 공급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출력구를 향하도록 제1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발산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발산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조절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 발산부는,
    상기 제2 유익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제1 탱크와 이웃하되 상기 제1 탱크와 연통되게 상기 제1 유입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2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발산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발산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 조절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발산기는,
    상기 제1 탱크의 제1 유입구 쪽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내부 통로를 가지며, 한쪽에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출력구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은 상기 제1 유입구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2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이중관; 및
    상기 이중관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캡;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은,
    안쪽에 상기 다공성 필터가 설치되는 내부관; 및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내부관과 사이에 상기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 외부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캡은,
    상기 이중관의 다른 쪽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연통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조절 구멍이 형성된 조절판; 및
    상기 조절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조절 구멍과 상기 제2 연통 구멍 사이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상기 이중관의 내부 통로로 유입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내측 둘레에 제3 유익 물질을 설치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출구로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발산시키는 내부 발산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발산기는,
    상기 노즐 본체의 내측 둘레에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설치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출구로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발산시키는 제1 내부 발산기; 및
    상기 제1 내부 발산기의 안쪽에 설치되되 상기 노즐 본체의 통로 상에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설치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출구로 상기 제3 유익 물질을 발산시키는 제2 내부 발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10. 제8항에 있어서,
    제4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와 외부로 연결하도록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 본체로 배출되는 바람 중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제4 유익 물질과 함께 상기 노즐 본체의 외부로 발산시키는 내외부 발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발산기는 상기 내외부 발산기보다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에 가깝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출구가 망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기능성 노즐.
  12. 바람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출력구를 갖는 헤어드라이기 본체; 및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의 출력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발생된 바람과 함께 유익 물질을 발산하는 기능성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노즐은,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가 형성된 노즐 본체;
    유익 물질을 담고 있으며,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 쪽 외곽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입구로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외부로 상기 유익 물질을 발산하는 외부 발산기; 및
    상기 외부 발산기에 연결되며, 상기 헤어드라이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바람에 포함된 공기를 정화하고 소음을 흡수하는 다공성 필터;
    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KR1020210180027A 2021-12-15 2021-12-15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KR20230090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027A KR20230090878A (ko) 2021-12-15 2021-12-15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027A KR20230090878A (ko) 2021-12-15 2021-12-15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878A true KR20230090878A (ko) 2023-06-22

Family

ID=8698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027A KR20230090878A (ko) 2021-12-15 2021-12-15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8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487B1 (ko) 2019-01-22 2020-05-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질 무기물이 포함된 헤어 드라이기용 노즐 결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어 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487B1 (ko) 2019-01-22 2020-05-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질 무기물이 포함된 헤어 드라이기용 노즐 결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어 드라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0404A1 (zh) 一种芳香型空气净化器
KR101691786B1 (ko) 방향제 분산 장치
US10596293B2 (en) Scent air purifier capable of replacing case thereof
CN111050810B (zh) 包括安全帽的帽子的杀菌/干燥/除臭装置
KR20070039578A (ko) 집진 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CN108139110A (zh) 用于空气处理设备的加湿模块
KR20200067422A (ko) 음이온방출, 살균 및 방향휘산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0867110B1 (ko) 방향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WO2016052885A1 (en) Sterilizing humidifier using ultraviolet rays
KR20140010650A (ko) 가습기
JP2007000187A (ja) 揮散性物質放散用容器
CN201558351U (zh) 一种茶香机
KR20230090878A (ko)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JP2008132156A (ja) 電気掃除機
JP2007032942A (ja) 加湿器
JP4710273B2 (ja) 送風ファンの吹出し部に設置する芳香装置
KR20100107986A (ko) 공기 청정기
JP6487298B2 (ja) 便器の脱臭装置
KR20230090877A (ko) 기능성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기
JP2005021188A (ja) 便座装置
KR20040107341A (ko) 광촉매 적용 살균 가습기
KR102128648B1 (ko) 다채널향기 발생부를 가진 공기정화장치
KR102220721B1 (ko)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090032435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N217524973U (zh) 一种具有空气处理功能的表面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