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721B1 -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0721B1 KR102220721B1 KR1020200167289A KR20200167289A KR102220721B1 KR 102220721 B1 KR102220721 B1 KR 102220721B1 KR 1020200167289 A KR1020200167289 A KR 1020200167289A KR 20200167289 A KR20200167289 A KR 20200167289A KR 102220721 B1 KR102220721 B1 KR 102220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ent
- fragrance
- hole
- holes
- functio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속을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에 결합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다양한 향기를 발산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는 제1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1 발향부와, 제1 발향부의 중심에 삽입되면 제2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2 발향부, 및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제3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3 발향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향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향기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속을 발생시키는 전자 장치에 결합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대체의학 분야를 중심으로 스트레스 등에 대한 자연요법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가 대체의학으로 각광받고 있다. 아로마테라피는 향기 나는 식물들인 허브 그 자체와 허브에서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로 제작된 약재, 식품, 미용재료 및 향수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여 치유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향기 치료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방향제를 사용한다. 방향제는 방향성 화학물질로서 실내 공기 중에 발산하여 주변의 악취를 제거하거나 사람이 흡입함으로써 향기 요법효과로 신체를 자극하여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제는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각종 용기에 담아 사용하거나 통기공이 있는 다공성의 부직포나 헝겊에 담지하여 사용하거나 발산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발향기는 향기 매개체를 이용하여 확산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발산되는 향의 세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존의 발향기는 하나의 방향제만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향기를 발향하는 복수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발향기는 액체 및 고체 중에 하나의 형태의 방향제만 사용하기 때문에, 액체 및 고체 형태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산되는 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향기를 발향하는 복수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 및 고체 형태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제1 방향제가 투입되며, 축 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제1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발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1 향기를 발산하는 제1 발향부; 상기 제1 발향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제2 방향제가 투입되며, 상기 축 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제2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발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2 향기를 발산하는 제2 발향부; 및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3 방향제가 투입되고, 상기 제2 발향부가 결합된 쪽에 반대되는 쪽을 통하여 상기 제3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3 향기를 발산하는 제3 발향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향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3 발향부는,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3 방향제가 투입되는 연결 본체; 및 상기 연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3 향기를 발산하는 발산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제는 탄화코르크 입자 및 제올라이트 입자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향부는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본체는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는 일측에서 상기 발산캡이 결합되는 타측으로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본체는,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올라이트 입자가 투입되는 제1 연결 본체; 및 상기 제1 연결 본체와 상기 발산캡 사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탄화코르크 입자가 투입되는 제2 연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향부는, 상부에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개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제가 투입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중심에 제1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을 따라서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외부 본체; 상기 외부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개방부를 덮으며, 중심에 상기 제1 연결 구멍에 대응되게 제2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1-1 발산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이 형성된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제2 연결 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1-2 발산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 발산 구멍과 상기 제1-3 발산 구멍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상기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입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상부 조절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본체는, 중심 부분에 상기 제1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을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을 따라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제1 연결 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바닥판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 보다는 낮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 본체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캡을 지지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본체는, 상기 외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1 향기를 상기 제3 발향부의 외곽으로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4 발산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향부는, 상기 외부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제2 연결 구멍에 대응되게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1-1 발산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5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1 발산 구멍과 상기 제1-5 발산 구멍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상기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유입되는 유체 중 상기 제1-1 발산 구멍과 상기 제1-5 발산 구멍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배출되는 양과 상기 제1-4 발산 구멍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하부 조절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능성 발향기가 유체가 흘러 외부로 발산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헤어드라이기, 가습기, 제습기, 진공청소기, 에어컨, 차량의 송풍구, 송풍기 또는 공기청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발향기는 제1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1 발향부와, 제1 발향부의 중심에 삽입되면 제2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2 발향부, 및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제3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3 발향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향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1 발향부에 설치되는 제1 방향제로는 고체형 방향제,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 액상의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발향부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섬유나 부직포에 에션설오일과 같은 액상의 방향제를 주입할 수 있다.
제2 발향부에 설치되는 제2 방향제로는 장미꽃잎, 로즈마리 꽃잎, 라벤더 꽃잎, 천궁, 정향, 샤프란 등과 같은 천연소재 향원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제2 방향제로는 탄화코르크 또는 숯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3 발향부에 설치되는 제3 방향제로는 탄화코르크 또는 제오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는 액체 및 고체 형태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는 일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타측으로 제1 내지 제3 방향제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유체가 유입되는 기능성 발향기의 일측에 기능성 발향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캡을 구비함으로써, 기능성 발향기에서 발산되는 향기의 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발향부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복수의 발산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발산 구멍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캡을 구비하기 때문에, 조절캡을 이용한 발산 구멍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발향부에서 발산되는 향의 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출되는 주 배출 방향에 대해서 외곽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구멍(제1-4 발산 구멍)이 외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향기가 발생되는 주 배출 방향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이때 외곽으로 발산되는 향기에 수분,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을 함께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헤어드라기에 적용 시, 부드럽고 촉족한 윤기 있는 모발을 유지하면서 두피의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모발에 사용 시, 기능성 발향기의 외곽으로 발산되는 향기에 포함된 수분,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으로 손상된 모발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가 제3 발향부를 구비하고, 제3 방향제로 탄화코르크 또는 제오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냄새 제거, 습도 조절, 포름알데히드 제거, 항균 기능, 곰팡이 제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공기 정화 기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탄화코르크 또는 제어라이트가 내설된 제3 발향부는 기능성 발향기로로부터 분리한 물에 담구어 수분을 공급하거나 분무기로 수분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쉽게 공급할 수 있다. 수분이 공급된 제3 발향부를 구비하는 기능성 발향기를 헤어드라이기에 적용할 경우, 기능성 발향기는 헤어드라이기에서 방출되는 열풍 또는 송풍을 이용하여 모발과 두피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제1 발향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5는 도 1의 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고정캡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고,
도 8은 도 1의 제1 발향부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2 발향부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상부 조절캡을 회전시켜 발산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가습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가습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제1 발향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5는 도 1의 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고정캡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고,
도 8은 도 1의 제1 발향부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2 발향부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상부 조절캡을 회전시켜 발산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가습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가습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내설된 제1 방향제로 제1 향기를 발산하는 제1 발향부(10)와, 내설된 제2 방향제로 제2 향기를 발산하는 제2 발향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발향부(10)는 중심에 관통 구멍(53)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제1 방향제가 투입되며, 축 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제1 발산 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발산 구멍(13)을 통하여 제1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1 향기를 발산한다. 그리고 제2 발향부(60)는 제1 발향부(10)의 관통 구멍(53)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제2 방향제가 투입되며, 축 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제2 발산 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2 발산 구멍(61)을 통하여 제2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2 향기를 발산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복수의 제1 발산 구멍(13)의 크기 조절을 통해서 제1 발산 구멍(13)으로 발산되는 제1 향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방향제로는 고체형 방향제,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 액상의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방향제로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소재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방향제로는 장미꽃잎, 로즈마리 꽃잎, 라벤더 꽃잎, 천궁, 정향, 당귀, 팔각, 침향, 샤프란 등과 같은 천연소재 향원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컨대 제2 방향제로는 탄화코르크 또는 숯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일정 높이를 갖는 디스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제1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1 발향부(10)와, 제1 발향부(10)의 중심에 삽입되며 제2 방향제가 내설되는 제2 발향부(60)를 구비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향기를 발산하는 복수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액체 및 고체 형태의 방향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일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타측으로 제1 및 제2 방향제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유체가 유입되는 기능성 발향기(100a)의 일측에 기능성 발향기(100a)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복수의 제1 발산 구멍(13)의 크기 조절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발산 구멍(13)으로 발산되는 제1 향기의 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발향부(1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제1 발향부(10)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5는 도 1의 본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고정캡(40)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고, 도 8은 도 1의 제1 발향부(10)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제1 발향부(10)는 외부 본체(20), 고정캡(40) 및 상부 조절캡(50)을 포함한다. 제1 발향부(10)는 외부 본체(20)에 고정캡(40) 및 상부 조절캡(50)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외부 본체(20)는 상부에 제1 개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개방부(21)와 연결되며 제1 개방부(21)를 통하여 제1 방향제가 투입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본체(20)는 중심에 제1 연결 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을 따라서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29)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캡(40)은 외부 본체(20)의 상부에 삽입되어 외부 본체(20)의 제1 개방부(21)를 덮으며, 중심에 제1 연결 구멍(27)에 대응되게 제2 연결 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29)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조절캡(50)은 고정캡(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에 제2 연결 구멍(42)에 대응되게 관통 구멍(53)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조절캡(50)은 회전에 의해 제1-2 발산 구멍(43)과 제1-3 발산 구멍(55)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5)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입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발산 구멍(13)은 바닥판(25)에 형성된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29)과, 고정캡(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과, 상부 조절캡(50)에 형성된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55)을 포함한다.
외부 본체(20)는 바닥판(25), 외벽(31) 및 내벽(35)을 포함한다. 바닥판(25)은 중심 부분에 제1 연결 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을 따라서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29)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벽(31)은 바닥판(25)의 외측면을 따라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벽(35)은 제1 연결 구멍(27)의 내주면을 따라서 바닥판(25)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되, 외벽(31) 보다는 낮게 형성되며, 외부 본체(20)에 삽입되는 고정캡(40)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외부 본체(20)는 바닥판(25)에 외벽(31)과 내벽(35)이 형성되어 상부에 제1 개방부(21)를 갖는 제1 내부 공간(23)을 형성한다.
바닥판(25)에 형성된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29)을 연결하면 제1 연결 구멍(27)을 중심으로 원주 상에 배치되어 원을 형성한다. 제1-1 발산 구멍(29)은 원형, 타원형, 원호 형태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벽(35)의 높이는 외부 본체(20)에 고정캡(40)이 삽입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외벽(31)은 상단부에 상부 조절캡(5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3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부 조절캡(50)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발향부(10)는 중심에 관통 구멍(53)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디스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판(25)은 중심에 제1 연결 구멍(27)이 형성된 원판으로 형성되고, 외벽(31) 및 내벽(35)은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캡(40)은 덮개판(41), 삽입관(44) 및 주입부(45)를 포함한다. 덮개판(41)은 중심 부분에 제2 연결 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을 따라서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관(44)은 덮개판(41)의 외측면 및 제2 연결 구멍(42)의 내주면을 따라서 각각 아래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외벽(31)의 내측면과 내벽(35)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덮개판(41)을 내벽(35) 위에 탑재시킨다. 그리고 주입부(45)는 삽입관(44)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1 방향제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판(41)에 형성된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을 연결하면 제2 연결 구멍(42)을 중심으로 원주 상에 배치되어 원을 형성한다. 제1-2 발산 구멍(43)은 원형, 타원형, 원호 형태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은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29)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관(44)은 외부 삽입관(44a)과, 내부 삽입관(44b)을 포함한다. 외부 삽입관(44a)은 덮개판(41)의 외측면을 따라서 아래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 삽입관(44b)은 제2 연결 구멍(42)의 내주면을 따라서 아래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제2 연결 구멍(42)이 형성된 덮개판(41)의 안쪽 가장자리 부분인 탑재부(41a)가 내벽(35) 위에 탑재될 수 있도록, 내부 삽입관(44b)은 탑재부(41a)의 외측에 형성된다.
주입부(45)는 주입구(46)를 포함하고, 누출 방지막(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46)는 삽입관(44)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1 방향제를 주입할 수 있다. 누출 방지막(47)은 주입구(46)가 형성된 삽입관(44)의 내측에 설치되며, 주입구(46)로 주입되는 제1 방향제가 다시 외부로 누출되는 방지한다.
외부 본체(20)와 덮개판(41)이 형성하는 제1 내부 공간(23)에 투입되는 제1 방향제로는 고체형 방향제, 섬유나 부직포 형태의 방향제, 액상의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주입구(46)를 통하여 섬유나 부직포에 에션설오일과 같은 액상의 방향제를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캡(40)은 외부 본체(20)에 삽입되되, 덮개판(41)이 외벽(31)의 상단부 아래에 위치하게 삽입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발향부(10)는 중심에 관통 구멍(53)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디스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판(41)은 중심에 제2 연결 구멍(42)이 형성된 원판으로 형성되고, 삽입관(44)은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조절캡(50)은 조절판(51), 가이드 관(57) 및 상부 조절탭(59)을 포함한다. 조절판(51)은 중심 부분에 관통 구멍(5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을 따라서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55)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관(57)은 관통 구멍(53)의 내주면을 따라서 아래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제2 연결 구멍(42)을 통하여 제1 연결 구멍(27)으로 삽입되어 조절판(51)을 덮개판(41) 위에 탑재시킨다. 가이드 관(57)은 조절판(51)의 회전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부 조절탭(59)은 조절판(5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덮개판(41)에 대해서 조절판(51)을 회전시킨다.
조절판(51)에 형성된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55)을 연결하면 관통 구멍(53)을 중심으로 원주 상에 배치된다. 제1-3 발산 구멍(55)은 원형, 타원형, 원호 형태의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55)은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관(57)은 제2 연결 구멍(42)을 통하여 제1 연결 구멍(27)으로 삽입된다. 가이드 관(57)은 관통 구멍(53)에 삽입되는 제2 발행부의 삽입을 안내한다. 가이드 관(57)은 상부 조절탭(59)으로 조절판(51)을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원통관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관(57)은 제1 내부 공간(23)에 삽입된 제1 방향제와, 관통 구멍(53)으로 삽입되는 제2 발향부(60)에 삽입되는 제2 방향제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차단한다.
조절판(51)과 가이드 관(57)이 연결되는 경계 부분에 안쪽으로 단차지게 걸림턱(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조절캡(50)의 관통 구멍(53)으로 삽입되는 제2 발향부(60)는 걸림턱(54)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 조절탭(59)을 이용하여 조절판(51)을 일정 각도 범위에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53)은 원통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조절탭(59)의 회전에 의해 제1-2 발산 구멍(43)과 제1-3 발산 구멍(55)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5)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입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5)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입력되는 외부 공기 또는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5)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배출되는 제1 향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부 조절탭(59)으로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5)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입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제1 발향부(10)의 제1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1 향기의 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조절탭(59)은 조절판(51)의 외측면에서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본체(20)의 외벽(31) 상부에는 상부 조절캡(50)이 삽입되어 상부 조절캡(5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발향부(10)에 제1 방향제는 다음과 같이 설치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먼저 외부 본체(20)에 결합된 상부 조절캡(50)과 고정캡(40)을 순차적으로 분리한 이후에, 제1 내부 공간(23)에 제1 방향제를 투입할 수 있다. 전술된 투입 방법은 제1 발향부(10)에 형성된 제1 발산 구멍(13)이나 주입부(45)를 통하여 투입할 수 없는 크기의 제1 방향제를 투입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조절캡(50)을 회전시켜,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5)을 중첩시킨 이후에, 중첩된 발산 구멍을 통하여 제1 방향제를 제1 내부 공간(23)으로 투입할 수 있다. 또는 제1 발명부에서 상부 조절캡(50)을 외부 본체(20) 및 고정캡(4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제1-2 발산 구멍(43)을 통하여 제1 방향제를 제1 내부 공간(23)으로 투입할 수 있다. 전술된 두 가지의 투입 방법은 제1 방향제가 제1-2 또는 제1-3 발산 구멍(43,55)을 통하여 주입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는 고정캡(40)에 형성된 주입부(45)를 통하여 제1 방향제를 제1 내부 공간(23)으로 투입할 수 있다. 전술된 투입 방법은 제1 방향제가 액상인 경우, 주사기 등을 활용하여 투입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상부 조절캡(50)은 고정캡(40)이 결합된 외부 본체(20)에 결합되되, 조절판(51)은 덮개판(41) 위에 탑재되며, 조절판(51)이 외벽(31)의 상단부와 동일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발향부(10)는 중심에 관통 구멍(53)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디스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판(51)은 중심에 관통 구멍(53)이 형성된 원판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관(57)은 원통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향부(6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발향부(10)의 관통 구멍(53)에 결합된다. 여기서 도 9는 도 1의 제2 발향부(60)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러한 제2 발향부(60)는 내부 본체(70)와 뚜껑(80)을 포함한다. 내부 본체(70)는 상부 조절캡(50)의 관통 구멍(53)을 통하여 제1 발향부(10)의 관통 구멍(53)에 삽입되며, 상부에 제2 개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본체(70)는 제2 개방부(73)와 연결되며 제2 개방부(73)를 통하여 제2 방향제가 투입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75)이 형성된다. 내부 본체(70)는 관통 구멍(53)에 노출되는 하부면에 복수의 제2-1 발산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80)은 내부 본체(70)의 제2 개방부(73)를 덮으며, 관통 구멍(53)에 노출되는 상부면에 복수의 2-2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발산 구멍(61)은 내부 본체(70)에 형성된 복수의 제2-1 발산 구멍(71)과, 뚜껑(80)에 형성된 복수의 제2-2 발산 구멍(81)을 포함한다.
내부 본체(70)는 외측면에도 복수의 제2-1 발산 구멍(7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본체(70)는 전체가 망 상으로 복수의 제2-1 발산 구멍(71)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본체(70)는 제2 개방부(73)가 형성된 상단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링(7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발향부(10)의 관통 구멍(53)에 제2 발향부(60)를 삽입하여 결합할 때, 제1 발향부(10)의 관통 구멍(53)을 통하여 제2 발향부(60)가 삽입되고, 제2 발향부(60)의 고정링(77)이 제1 발향부(10)의 고정턱에 걸려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2 발향부(60)에 제2 방향제를 투입하는 방법은, 내부 본체(70)로부터 뚜껑(80)을 열고, 제2 내부 공간(75)으로 제2 방향제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상부 조절캡(50)을 회전시켜 발산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유체가 유입되는 쪽에 상부 조절캡(50)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유체는 상부 조절캡(50)을 통하여 제1 발향부(10)로 유입된 후 제1-1 발산 구멍(2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유체와 함께 제1 방향제의 제1 향기가 발산된다.
그리고 상부 조절캡(50)의 관통 구멍(53)에 삽입된 제2 발향부(60)로 유입된 유체는 제2-2 발산 구멍(81)을 통하여 투입되어 제2-1 발산 구멍(71)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유체와 함께 제2 방향제의 제2 향기가 발산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유체가 배출되는 쪽에 제1-1 발산 구멍(29) 및 제2-1 발산 구멍(7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방향제의 제1 향기와 제2 방향제의 제2 향기가 함께 유체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조절캡(50)의 상부 조절탭(59)을 가이드 홈(33)의 왼쪽 편에 위치시킬 경우,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55)과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이 정확히 중첩되어 100%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기능성 발향기(100a)에서 발산되는 제1 향기의 세기가 최대값이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조절캡(50)의 상부 조절탭(59)을 가이드 홈(33)을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판(51)이 회전하면서 제1-3 발산 구멍(55)과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의 중첩되는 부분이 줄어들면서 오픈되는 발산 구멍의 크기가 줄어든다. 이 경우, 기능성 발향기(100a)에서 발산되는 제1 향기의 세기가 최대값 보다는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부 조절탭(59)을 가이드 홈(33)의 오른쪽 편에 위치시킬 경우,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43)이 조절판(51)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게 된다. 이 경우, 기능성 발향기(100a)에서 발산되는 제1 향기의 세기는 최소값이 된다.
제2 향기의 발산은 상부 조절캡(50)의 조절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상부 조절캡(50)의 회전에 상관 없이 발산되는 제2 향기의 세기는 동일하다.
한편 제1 방향제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 도 12와 같이 상부 조절탭(59)에 의해 주입구(46)가 가리는 경우를 제외하면, 주입구(46)를 통하여 제1 방향제를 주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일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타측으로 제1 및 제2 방향제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유체가 유입되는 기능성 발향기(100a)의 일측에 기능성 발향기(100a)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상부 조절캡(50)을 구비함으로써, 기능성 발향기(100a)에서 발산되는 향기의 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발향부(1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복수의 제1 발산 구멍(13)이 형성되고, 상부면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제1 발산 구멍(13)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부 조절캡(50)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부 조절캡(50)을 이용한 제1 발산 구멍(13)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발향부(10)에서 발산되는 향의 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흘러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200,300,4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유체가 흘러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에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헤어드라이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발향기(100a)는 헤어드라이기(200)에서 열풍 또는 송풍이 배출되는 배출구(2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성 발향기(100a)는 헤어드라이기(200)의 배출캡(220)이 결합되는 배출구(210)에 설치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기(200)에서 배출되는 유체(열풍 또는 송풍)의 풍량 조절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기능성 발향기(100a)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를 구비하는 가습기(3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가습기(3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발향기(100a)는 가습기(300)의 배출구(3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성 발향기(100a)는 가습기(300)의 배출캡(320)이 결합되는 배출구(3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습기(30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가습량) 조절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기능성 발향기(100a)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4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진공청소기(4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발향기(100a)는 진공청소기(400)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10)에 설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400)의 공기 흡입 세기의 조절을 통하여, 배출구(410)에서 배출되는 유체(공기)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추가적으로 기능성 발향기(100a)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 외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제습기, 에어컨, 차량의 송풍구, 송풍기 또는 공기청청기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는 제1 발향부(10) 및 제2 발향부(60)를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는 제3 발향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는 내설된 제1 방향제로 제1 향기를 발산하는 제1 발향부(10)와, 내설된 제2 방향제로 제2 향기를 발산하는 제2 발향부(60), 및 내설된 제3 방향제로 제3 향기를 발산하는 제3 발향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발향부(10,6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도 4의 100a)의 제1 및 제2 발향부(10,60)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발향부(10,6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발향부(90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발향부(90)는 제2 발향부(60)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3 방향제가 투입되고, 제2 발향부(60)가 결합된 쪽에 반대되는 쪽을 통하여 제3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3 향기를 발산한다.
제3 방향제로는 탄화코르크 입자 또는 제오라이트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탄화코르크는 냄새 제거, 습도 조절, 포름알데히드 제거, 항균 기능 및 곰팡이 제거, 원적외선 방출 및 음이온 방출, 및 공기 정화 기능 등을 발휘한다.
① 냄새 제거
숯보다 수십배 탈취 효과 및 항력한 흡착력을 가지고 있다. 암모니아로 실험한 결과, 30분 경과 후 약 93%의 냄새 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② 습도 조절
습도가 높을 때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때 흡수한 습기를 방출하는 습도 조절 기능을 나타낸다.
③ 포름알데히드 제거
새집증후군의 주범인 포름알데히드를 공기 중으로부터 흡수하여 제거하다.
④ 항균 기능 및 곰팡이 제거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산균 등의 유해 세균과 곰팡이를 제거하고, 발생을 억제한다.
⑤ 원적외선 방출 및 음이온 방출
편백나무 수준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음이온을 방출한다.
⑥ 공기 정화 기능
탄화코르크 입자 약 1kg은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와 동일한 공기 정화 기능을 나타낸다.
그리고 탄화코르크는 최대 0.5kg/m2의 물 흡수 기능을 갖는다.
제오라이트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제오라이트는 높은 원적외선 방출, 혈액의 흐름을 촉진하고, 노폐물을 방출하게 하고, 사람을 유쾌하고 명량하게 하여 안락하게 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다공질 암석으로, 흡착 작용 및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냄새 제거 및 오염물질 제거, 세균 제거 등을 통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이온 교환 작용, 인체 에너지를 만들어 주는 단전 부위에 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중량 대비 약 50% 정도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오라이트는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되기 때문에, 열처리를 통하여 쉽게 흡착된 것을 탈착하고, 새로운 것을 다시 흡착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항균력이 지속적으로 나타낸다.
제오라이트는 내부에 있는 많은 기공을 통하여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열이 인가되면 흡수한 수분을 수증기로 발산한다. 다시 대기 중에 방치하거나 수분에 노출시키면서, 제오라이트는 수분을 다시 흡수한다. 예컨대 제오라이트를 대기 중에 일주일 정도 방지할 경우, 약 35 wt%의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오라이트는 대기가 건조할 경우, 흡수한 수분을 방출함으로써, 습도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제3 발향부(90)는 제2 발향부(60)의 내부 본체(7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발향부(90)는 내부 본체(70)에 나사 결합 방식 또는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발향부(90)는 전면을 통해서 제3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3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망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발향부(90)는 연결 본체(91) 및 발산캡(95)을 포함한다. 연결 본체(91)는 제2 발향부(60)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3 방향제가 투입된다. 그리고 발산캡(95)은 연결 본체(91)에 결합되며, 제3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3 향기를 발산한다.
연결 본체(91)는 내부 본체(70)에 대해서 확관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본체(91)는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 본체(91)의 외경은 외부 본체(20)의 외경 보다는 크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발향부(10,60)에서 제3 발향부(90) 쪽으로 유체의 흐림이 발생하는 경우, 유체의 흐름에 의해 제1 및 제2 발향부(10,60)에서 발산되는 제1 및 제2 향기는 연결 본체(9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향기와 함께 배출되는 유체는 연결 본체(91)를 통과하면서, 제3 향기가 첨가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제3 향기는 제1 및 제2 향기와 함께 배출되는 유체를 정화하거나,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본체(91)는 서로 다른 제3 방향제를 분리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본체(91)는 제1 연결 본체(92)와 제2 연결 본체(93)가 직렬로 결합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연결 본체(92)는 제2 발향부(60)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3 방향제가 투입된다. 제2 연결 본체(93)는 제1 연결 본체(92)와 발산캡(95) 사이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3 방향제가 투입된다.
제1 및 제2 연결 본체(92,93)에 투입되는 제3 방향제는 동일한 소재가 다른 소재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 본체(92)에 제오라이트 입자가 투입되고, 제2 연결 본체(93)에 탄화코르크 입자가 투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본체(92,93)에 투입되는 제3 방향제의 입자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 본체(92)에서 제2 연결 본체(93)로 균일하면서 원활하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제1 연결 본체(92)에 투입된 제3 방향제의 입자 크기가 제2 연결 본체(93)에 투입된 제3 방향제의 입자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본체(91)는 제1 및 제2 연결 본체(92,93)로 구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본체(91)는 하나로 형성되고, 중간에 분리막을 삽입하여 두 종류의 제2 방향제를 투입할 수도 있다.
연결 본체(91)는 제2 발향부(60)에 결합되는 일측에서 발산캡(95)이 결합되는 타측으로 복수의 공기 통로(94)가 형성된다. 복수의 공기 통로(94)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통로(94)를 통하여 연결 본체(91) 내에 원활한 유체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통로와 제3 방향제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제에서 발향되는 향기를 공기 통로(94)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발산캡(95)은 연결 본체(91)에 결합된다. 연결 본체(91)로부터 발산캡(95)을 분리한 후 연결 본체(91) 내부로 제3 방향제를 투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발산캡(95) 내부에 원활한 유체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송풍 펜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흘러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500,6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는 유체가 흘러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에 가까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5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는 헤어드라이기(5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발향기(100b)는 헤어드라이기(500)에서 열풍 또는 송풍이 배출되는 배출구(210)에 설치될 수 있다.
기능성 발향기(100b)는 연결 부재(30)를 매개로 배출구(210)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30)는 기능성 발향기(100b)와 헤어드라이기(500)의 배출구(210)의 연결하는 매개하는 커넥터이다. 연결 부재(30)는 나사 결합 방식, 스프링 결합 방식, 끼움 결합 방식, 실리콘 탄성체를 이용한 끼움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기(500)에서 배출되는 유체(열풍 또는 송풍)의 풍량 조절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기능성 발향기(100b)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헤어드라이기(500)로 모발을 손질하는 경우, 헤어드라이기(50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제3 발향부(90)의 공기 통로(95)와 제3 방향제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함으로써, 공기가 정화된 열풍이 제3 발향부(90)를 통하여 모발과 두피에 공급한다.
이때 제3 방향제로 탄화코르크 입자와 제오라이트 입자를 함께 사용하고, 헤어드라이기(500)를 사용하기 전에 제3 방향제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헤어드라이기(500)에서 발생되는 열풍에 기능성 발향기(100b)의 제3 방향제로부터 수분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어드라이기(500)를 사용하는 동안, 기능성 발향기(100b)를 통하여 수분을 모발과 두피에 공급할 수 있다.
제3 방향제에 다음과 같이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3 발향부(90)를 기능성 발향기(100b)로부터 분리한 물에 담구어 수분을 공급하거나 분무기로 수분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쉽게 공급할 수 있다. 수분이 공급된 제3 발향부(90)를 구비하는 기능성 발향기(100b)를 헤어드라이기(500)에 적용할 경우, 기능성 발향기(100b)는 헤어드라이기(500)에서 방출되는 열풍 또는 송풍을 이용하여 모발과 두피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제로 사용되는 탄화코르크 입자와 제오라이트 입자를 통하여 냄새 제거, 습도 조절, 포름알데히드 제거, 항균 기능, 곰팡이 제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공기 정화 기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를 구비하는 가습기(6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는 가습기(6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발향기(100b)는 가습기(600)의 배출구(3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습기(600)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가습량) 조절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기능성 발향기(100b)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b)가 설치된 가습기(600)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습기(600)는 수조 본체 내에 장착한 모터와 저온 살균을 통하여 물을 65 내지 70℃으로 가열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열풍은 최종적으로 제3 발향부(90)에 투입된 제올라이트 입자와 탄화코르크 입자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열풍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등을 필터링한 후 배출하게 된다.
제3 방향제로 사용되는 탄화코르크 입자와 제오라이트 입자를 통하여 냄새 제거, 습도 조절, 포름알데히드 제거, 항균 기능, 곰팡이 제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공기 정화 기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탄화코르크 입자와 제오라이트 입자는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가습기(600)는 주기적으로 공기만 기능성 발향기(100b)로 공급함으로써, 제3 방향제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켜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습기(600)의 가동에 필요한 전기와 물을 절약할 수 있고, 물 끊는 소리가 나지 않고, 화상과 같은 안전 사고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수조 본체에서 발생된 열풍은 제3 발향부(9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65 내지 70℃에서 50 내지 60℃로 낮아지기 때문에, 기능성 발향기(100b)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에 의한 화상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한편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a,100b)는 유체가 유입되는 축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구조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는 유체가 유입되는 축 방향과 경사를 이루도록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는 내설된 제1 방향제로 제1 향기를 발산하는 제1 발향부(10)와, 내설된 제2 방향제로 제2 향기를 발산하는 제2 발향부(60), 및 내설된 제3 방향제로 제3 향기를 발산하는 제3 발향부(9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는 제1 발향부(10)의 외측면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제외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도 15의 100b)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발향부(10)에 외측면에 형성된 유체가 배출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발향부(10)는 외부 본체(20), 고정캡(40) 및 상부 조절캡(50)을 포함한다. 외부 본체(20)는 바닥판(25), 외벽(31), 내벽(35) 및 돌출부(5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52)는 외벽(31)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1 향기를 제3 발향부(90)의 외곽으로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4 발산 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4 발산 구멍(52a)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제3 발향부(90)의 외곽을 통과하면서, 제3 발향부(90)에서 발향되는 제3 향기를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출되는 주 배출 방향에 대해서 외곽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제1-4 발산 구멍(52a)이 외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향기가 발생되는 주 배출 방향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제1 발향부(10)는 외부 본체(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여 결합되어 제1-1 발산 구멍(29)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과, 제1-4 발산 구멍(52a)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하부 조절캡(56)을 더 포함한다.
즉 하부 조절캡(56)은 상부 조절캡(50)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하부 조절캡(56)은 외부 본체(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에 제2 연결 구멍(42)에 대응되게 관통 구멍(58b)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29)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5 발산 구멍(58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조절캡(56)은 회전에 의해 제1-1 발산 구멍(290과 제1-5 발산 구멍(58a)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5)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유입되는 유체 중 제1-1 발산 구멍(290과 제1-5 발산 구멍(58a)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조절캡(56)은 제1-4 발산 구멍(52a)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하부 조절캡(56)은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하부 조절탭(56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1 발산 구멍(29)과 제1-5 발산 구멍(58a)이 일치하는 경우,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6)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유입되는 유체 중 대부분은 제1-1 발산 구멍(29)으로 배출되고, 제1-4 발산 구멍(52a)으로 배출되는 양은 적을 수 있다.
하지만 하부 조절캡(56)에 의해 제1-1 발산 구멍(29)의 크기가 줄어들 경우,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6)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유입되는 유체 중 제1-4 발산 구멍(52a)으로 배출되는 양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조절캡(56)에 의해 제1-1 발산 구멍(29)이 차단될 경우,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43,56)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모두 제1-4 발산 구멍(52a)으로 배출된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는 제3 발향부(90)를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도 4의 100a)와 같이 제3 발향부(9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를 구비하는 헤어드라이기(7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는 헤어드라이기(7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발향기(100c)는 헤어드라이기(700)에서 열풍 또는 송풍이 배출되는 배출구(210)에 설치될 수 있다. 기능성 발향기(100c)는 연결 부재(30)를 매개로 배출구(210)에 설치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기(700)에서 배출되는 유체(열풍 또는 송풍)의 풍량 조절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기능성 발향기(100c)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헤어드라이기(700)로 모발을 손질하는 경우, 헤어드라이기(70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제3 발향부(90)의 공기 통로와 제3 방향제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함으로써, 공기가 정화된 열풍이 제3 발향부(90)를 통하여 모발과 두피에 공급한다.
이때 제3 방향제로 탄화코르크 입자와 제오라이트 입자를 함께 사용하고, 헤어드라이기(700)를 사용하기 전에 제3 방향제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헤어드라이기(700)에서 발생되는 열풍에 기능성 발향기(100c)의 제3 방향제로부터 수분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어드라이기(700)를 사용하는 동안, 기능성 발향기(100c)를 통하여 수분을 모발과 두피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제로 사용되는 탄화코르크 입자와 제오라이트 입자를 통하여 냄새 제거, 습도 조절, 포름알데히드 제거, 항균 기능, 곰팡이 제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공기 정화 기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100c)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출되는 주 배출 방향에 대해서 외곽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제1-4 발산 구멍(52a)이 외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향기가 발생되는 주 배출 방향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이때 외곽으로 발산되는 향기에 수분,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을 함께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헤어드라기(700)에 적용 시, 부드럽고 촉족한 윤기 있는 모발을 유지하면서 두피의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모발에 사용 시, 기능성 발향기(100c)의 외곽으로 발산되는 향기에 포함된 수분,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으로 손상된 모발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제1 발향부 13 : 제1 발산 구멍
20 : 외부 본체 21 : 제1 개방부
23 : 제1 내부 공간 25 : 바닥판
27 : 제1 연결 구멍 29 : 제1-1 발산 구멍
30 : 연결 부재 31 : 외벽
33 : 가이드 홈 35 : 내벽
40 : 고정캡 41 : 덮개판
41a : 탑재부 42 : 제2 연결 구멍
43 : 제1-2 발산 구멍 44 : 삽입관
44a : 외부 삽입관 44b : 내부 삽입관
45 : 주입부 46 : 주입구
47 : 누출 방지막 50 : 상부 조절캡
51 : 조절판 52 : 돌출부
52a : 제1-4 발산 구멍 53 : 관통 구멍
54 : 걸림턱 55 : 제1-3 발산 구명
56 : 하부 조절캡 56a : 하부 조절탭
57 : 가이드 관 58a : 관통 구멍
58b : 제1-5 발산 구멍 59 : 상부 조절탭
60 : 제2 발향부 61 : 제2 발산 구멍
70 : 내부 본체 71 : 제2-1 발산 구멍
73 : 제2 개방부 75 : 제2 내부 공간
77 : 고정링 80 : 뚜껑
81 : 제2-2 발산 구멍 90 : 제3 발향부
91 : 연결 본체 92 : 제1 연결 본체
93 : 제2 연결 본체 94 : 공기 통로
95 : 발산캡 100a,100b,100c : 기능성 발향기
200,300,400,500,600,700 : 전자 장치
200,500 : 헤어드라기 210 : 배출구
220 : 배출캡 300,600 : 가습기
310 : 배출구 320 : 배출캡
400 : 진공 청소기 410 : 배출구
20 : 외부 본체 21 : 제1 개방부
23 : 제1 내부 공간 25 : 바닥판
27 : 제1 연결 구멍 29 : 제1-1 발산 구멍
30 : 연결 부재 31 : 외벽
33 : 가이드 홈 35 : 내벽
40 : 고정캡 41 : 덮개판
41a : 탑재부 42 : 제2 연결 구멍
43 : 제1-2 발산 구멍 44 : 삽입관
44a : 외부 삽입관 44b : 내부 삽입관
45 : 주입부 46 : 주입구
47 : 누출 방지막 50 : 상부 조절캡
51 : 조절판 52 : 돌출부
52a : 제1-4 발산 구멍 53 : 관통 구멍
54 : 걸림턱 55 : 제1-3 발산 구명
56 : 하부 조절캡 56a : 하부 조절탭
57 : 가이드 관 58a : 관통 구멍
58b : 제1-5 발산 구멍 59 : 상부 조절탭
60 : 제2 발향부 61 : 제2 발산 구멍
70 : 내부 본체 71 : 제2-1 발산 구멍
73 : 제2 개방부 75 : 제2 내부 공간
77 : 고정링 80 : 뚜껑
81 : 제2-2 발산 구멍 90 : 제3 발향부
91 : 연결 본체 92 : 제1 연결 본체
93 : 제2 연결 본체 94 : 공기 통로
95 : 발산캡 100a,100b,100c : 기능성 발향기
200,300,400,500,600,700 : 전자 장치
200,500 : 헤어드라기 210 : 배출구
220 : 배출캡 300,600 : 가습기
310 : 배출구 320 : 배출캡
400 : 진공 청소기 410 : 배출구
Claims (12)
- 중심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제1 방향제가 투입되며, 축 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제1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발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1 향기를 발산하는 제1 발향부;
상기 제1 발향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제2 방향제가 투입되며, 상기 축 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제2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발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2 향기를 발산하는 제2 발향부; 및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3 방향제가 투입되고, 상기 제2 발향부가 결합된 쪽에 반대되는 쪽을 통하여 상기 제3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3 향기를 발산하는 제3 발향부;
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향부는,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3 방향제가 투입되는 연결 본체; 및
상기 연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3 향기를 발산하는 발산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제는 탄화코르크 입자 및 제올라이트 입자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향부는 망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본체는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는 일측에서 상기 발산캡이 결합되는 타측으로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본체는,
상기 제2 발향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제올라이트 입자가 투입되는 제1 연결 본체;
상기 제1 연결 본체와 상기 발산캡 사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탄화코르크 입자가 투입되는 제2 연결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향부는,
상부에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개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제가 투입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중심에 제1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을 따라서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외부 본체;
상기 외부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개방부를 덮으며, 중심에 상기 제1 연결 구멍에 대응되게 제2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1-1 발산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2 발산 구멍이 형성된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제2 연결 구멍에 대응되게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1-2 발산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3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 발산 구멍과 상기 제1-3 발산 구멍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상기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입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상부 조절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는,
중심 부분에 상기 제1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을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1-1 발산 구멍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을 따라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제1 연결 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기 바닥판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외벽 보다는 낮게 형성되며 상기 외부 본체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캡을 지지하는 내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는,
상기 외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제로부터 발향되는 제1 향기를 상기 제3 발향부의 외곽으로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4 발산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향부는,
상기 외부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에 상기 제2 연결 구멍에 대응되게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1-1 발산 구멍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1-5 발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1-1 발산 구멍과 상기 제1-5 발산 구멍의 중첩되는 부분을 조절하여 상기 제1-2 및 제1-3 발산 구멍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유입되는 유체 중 상기 제1-1 발산 구멍과 상기 제1-5 발산 구멍이 형성하는 구멍으로 배출되는 양과 상기 제1-4 발산 구멍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하부 조절캡;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향기.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능성 발향기가 유체가 흘러 외부로 발산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헤어드라이기, 가습기, 제습기, 진공청소기, 에어컨, 차량의 송풍구, 송풍기 또는 공기청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289A KR102220721B1 (ko) | 2020-12-03 | 2020-12-03 |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PCT/KR2020/017572 WO2022059855A1 (ko) | 2020-09-16 | 2020-12-03 |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289A KR102220721B1 (ko) | 2020-12-03 | 2020-12-03 |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0721B1 true KR102220721B1 (ko) | 2021-02-26 |
Family
ID=7468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7289A KR102220721B1 (ko) | 2020-09-16 | 2020-12-03 |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0721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26333A (ja) * | 2005-01-05 | 2008-07-24 | コンセプション エ バロリザション ドゥ ブルベ (セーベーベー) | 多種香気拡散機器 |
KR20140001208U (ko) * | 2012-08-20 | 2014-02-28 | 김재옥 | 냉방수단 부착형 방향제 어셈블리 |
KR101532628B1 (ko) | 2015-01-27 | 2015-07-01 | (주)정방환경엔지니어링 | 집진기용 소음방지 배출관 |
KR101691786B1 (ko) * | 2016-07-05 | 2017-01-02 |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 방향제 분산 장치 |
KR20170096662A (ko) * | 2016-02-16 | 2017-08-25 | (주)아모레퍼시픽 |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
KR20180020670A (ko) * | 2016-08-19 | 2018-02-28 |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 다공성 물질에 항균성 방향제를 함침시킨 기능성 방향제 |
KR20200000401U (ko) * | 2018-08-09 | 2020-02-19 | 이상호 | 방향제 케이스 |
-
2020
- 2020-12-03 KR KR1020200167289A patent/KR1022207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26333A (ja) * | 2005-01-05 | 2008-07-24 | コンセプション エ バロリザション ドゥ ブルベ (セーベーベー) | 多種香気拡散機器 |
KR20140001208U (ko) * | 2012-08-20 | 2014-02-28 | 김재옥 | 냉방수단 부착형 방향제 어셈블리 |
KR101532628B1 (ko) | 2015-01-27 | 2015-07-01 | (주)정방환경엔지니어링 | 집진기용 소음방지 배출관 |
KR20170096662A (ko) * | 2016-02-16 | 2017-08-25 | (주)아모레퍼시픽 |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
KR101691786B1 (ko) * | 2016-07-05 | 2017-01-02 | 주식회사 림피드스카이 | 방향제 분산 장치 |
KR20180020670A (ko) * | 2016-08-19 | 2018-02-28 |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 다공성 물질에 항균성 방향제를 함침시킨 기능성 방향제 |
KR20200000401U (ko) * | 2018-08-09 | 2020-02-19 | 이상호 | 방향제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18226A (en) | Combination air filter and air treating device | |
KR100719788B1 (ko) |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 |
KR101691786B1 (ko) | 방향제 분산 장치 | |
KR101406864B1 (ko) | 방향 패치를 이용한 팬 타입 복합 기능 피톤치드 향 발산장치 | |
CN112556071B (zh) | 空气净化设备及其净化组件 | |
CN215427341U (zh) | 液体扩散器,用于液体扩散器的过滤器和熔岩流体扩散器 | |
CN101225986A (zh) | 一种空气加湿器 | |
CN201558351U (zh) | 一种茶香机 | |
KR101414452B1 (ko) |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 |
KR20140010650A (ko) | 가습기 | |
KR102220721B1 (ko) |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
JP2012254301A (ja) | 香発生装置 | |
JP2004239594A (ja) | 空気調和機 | |
KR200357824Y1 (ko) | 공기살균기 | |
CN201166429Y (zh) | 一种添加辅料的空气加湿器 | |
KR102195167B1 (ko) | 플라즈마 이오나이저와 방향성살균제가 적용된 실내의 정화방법 | |
KR20100107986A (ko) | 공기 청정기 | |
JPH08224433A (ja) | 脱臭装置 | |
KR200403266Y1 (ko) | 허브를 이용한 아로마 테라피 필터 | |
KR20220036578A (ko) |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
CN208859739U (zh) | 一种带香薰功能的空气净化器 | |
KR20230091510A (ko) | 자동차용 발향기 | |
KR20120111258A (ko) | 휘산기 | |
JP2012075487A (ja) | 除菌装置及びこの除菌装置を備えた調湿装置 | |
KR101132564B1 (ko) | 가습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