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688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688A
KR20230090688A KR1020210179661A KR20210179661A KR20230090688A KR 20230090688 A KR20230090688 A KR 20230090688A KR 1020210179661 A KR1020210179661 A KR 1020210179661A KR 20210179661 A KR20210179661 A KR 20210179661A KR 20230090688 A KR20230090688 A KR 20230090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vaporator
exhaust
flow path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688A/ko
Publication of KR2023009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를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증발기측에서 발생되는 곰팡이 냄새와 악취를 차실외로 배출시켜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기도입구와 외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테이크 도어와, 내,외기도입구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로 송풍된 내,외기를 순차적으로 냉각시키고 가열하는 증발기와 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모드에 따라,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증발기를 통과시켜 차실내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증발기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의 일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키거나, 또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측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공기흐름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를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증발기측에서 발생되는 곰팡이 냄새와 악취를 차실외로 배출시켜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들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그 일례로서, 애프터 블로우(After Blow)기능, 예약환기기능 등이 있다.
애프터 블로우기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블로어(1)를 작동시켜서 증발기(3)와 공조케이스(5)의 내부유로(5a)측으로 공기를 송풍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와 내부유로(5a)측을 건조시킨다. 이로써, 증발기(3)와 내부유로(5a)측에서의 곰팡이와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여, 증발기(3)와 내부유로(5a)측에서의 곰팡이 냄새와 악취 발생을 방지한다.
예약환기기능은, 여름철, 일사량이 많은 곳에 차량을 장시간 주차할 시에, 미리 설정된 예약시간에 블로어(1)와 인테이크 도어(7)를 작동시켜 차실내로 외기를 도입한 다음, 측면 창유리(도시하지 않음) 또는 선루프(Sun Roof)를 개방하여 차실내의 공기를 차실외로 배출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예약환기기능은, 여름철, 차량의 장시간 주차 시에, 차실내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환기시킴으로써, 차실내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고온소킹(Soaking) 현상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쾌적성을 위한 상기 애프터 블로우기능과 예약환기기능에 여러가지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애프터 블로우기능의 경우, 블로어(1)를 작동시켜 상기 증발기(3)와 공조케이스(5)의 내부유로(5a)측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3)와 공조케이스(5)의 내부유로(5a)측을 건조시킨 공기가 차실내로 그대로 유입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증발기(3)와 공조케이스(5)의 내부유로(5a)측을 건조시킨 공기는, 습하고 냄새나며, 각종 곰팡이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기가 차실내로 그대로 유입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예약환기기능의 경우에는, 차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과정에서, 차량의 측면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개방된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통해, 차실외의 각종 이물질이 차실내로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우천 시에, 개방된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통해 빗물이 차실내로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개방된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통한 도난 사고의 우려도 있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증발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측을 건조시키되, 상기 증발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측을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발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측을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증발기, 공조케이스 내부유로의 건조 시에, 건조 공기의 차실내 유입으로 인한 차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를 환기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환기 시에 차실외의 이물질 유입과, 도난 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의 내기도입구와 외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테이크 도어와, 상기 내,외기도입구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로 송풍된 내,외기를 순차적으로 냉각시키고 가열하는 증발기와 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켜 차실내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의 일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키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측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공기흐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흐름제어부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 중, 상기 블로어와 증발기 사이의 부분을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의 일측부분에 대응되는 제 1유로부와, 타측부분에 대응되는 제 2유로부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 1유로부측의 공기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는 제 1배기유로와; 상기 제 2유로부측의 공기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는 제 2배기유로와;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와 상기 제 1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기 증발기로의 공기흐름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 도입 전, 상기 제 1유로부측 공기의 상기 제 1배기유로측 배출을 허용하는 제 1배기도어와;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와 상기 제 2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기 증발기로의 공기흐름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 상류측 공기의 상기 제 2배기유로측 배출을 허용하는 제 2배기도어와;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제 1유로부와 제 1배기유로에 대한 상기 제 1배기도어의 개폐 및, 상기 제 2유로부와 제 2배기유로에 대한 상기 제 2배기도어의 개폐를 제어하여,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유로부측의 모든 공기를 상기 증발기측으로 통과시켜 차실내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 통과 전의 상기 제 1유로부측 공기를 상기 제 1배기유로로 배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유로부측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 2유로부로 도입시킨 후, 상기 제 2배기유로로 배기시키는 마이콤(Mico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은, 냉,난방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1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배기도어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2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배기도어를 제어하여, 냉,난방모드 시에, 상기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가 모두 개방되면서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동시에 도입하고, 도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동시에 통과하면서 차실내로 송풍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은, 환기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는 차단하고, 상기 제 1배기유로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배기도어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2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배기도어를 제어하여, 환기모드 시에, 상기 내기도입구측과 상기 제 1배기유로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되면서, 상기 블로어로 흡입된 차실내 공기가 상기 증발기 통과 전에 상기 제 1배기유로를 통해 차실외로 환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1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배기도어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는 차단하고, 상기 제 2배기유로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배기도어를 제어하여,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와 제 2배기유로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되면서,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상기 제 1유로부측의 증발기 일측부분과 상기 제 2유로부측의 증발기 타측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게 한 후, 상기 제 2배기유로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증발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를 공기배기부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시키는 구조이므로, 증발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발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건조 공기의 차실내 유입으로 인한 차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모드 시에, 차실내 공기를 공조케이스의 공기배기부를 통해 환기시키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으므로, 차실내의 환기 시에 창유리와 선루프를 통한 차실외의 이물질 유입과, 도난 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증발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곰팡이 냄새와 악취를 차실외로 배출시키는 구조이므로,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발생되는 증발기측 곰팡이 냄새와 악취의 차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냉,난방모드 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환기모드 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모드도어들을 닫아, 증발기를 건조시킨 공기를 차실외로 모두 배기시키는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모드도어들을 일정량 개방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킨 공기의 일부분을 차실내로 순환시키는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온풍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템프도어를 제어하여, 온풍통로의 히터도 건조시키는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환기모드 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증발기 건조모드 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0)는 내기도입구(12)와 외기도입구(14) 및 상기 내기도입구(12)와 외기도입구(14)를 개폐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16)를 구비한다.
내기도입구(12)는 차실내와 연통되어 차실내의 공기를 도입하고, 외기도입구(14)는 카울(Cowl)(18)측 공기흡입구(18a)를 통해 차실외와 연통되어 차실외의 공기를 도입한다.
인테이크 도어(16)는, 외기도입구(14)와 내기도입구(12)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외기도입구(14)와 내기도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여기서, 공조케이스(10)는, 보조 내기도입구(19)와,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19)를 개폐하는 보조 인테이크 도어(19a)를 더 갖추고 있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블로어(20)와 증발기(30)와 히터(40)를 구비한다.
블로어(20)는, 내,외기도입구(12, 14)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로 송풍한다.
증발기(3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로 송풍된 내,외기를 냉각시켜 차실내로 공급하고, 히터(4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로 송풍된 내,외기를 가열하여 차실내로 공급한다.
여기서, 블로어(20)와 증발기(30) 사이의 내부유로(10a)부분에는 이온발생기(50)가 설치된다.
이온발생기(50)는, 내부유로(10a)의 공기 중에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방출하여, 하류측의 증발기(30)를 살균 및 탈취 처리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증발기(30)와 히터(40) 사이의 내부유로(10a)상에 설치되는 템프도어(Temp. Door)(60)를 구비한다.
템프도어(60)는, 내부유로(10a) 중, 냉풍유로(10b)와 온풍유로(10c)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식 도어로서, 상기 냉풍유로(10b)와 온풍유로(10c)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냉,온기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다수의 모드도어(Mode Door)(62)들을 구비한다.
모드도어(62)들은,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공기의 토출모드에 따라 각 토출벤트(62a, 62b, 62c), 예를 들면, 운전자와 탑승객의 얼굴 방향측 페이스 벤트(Face Vent)(62a)와, 차실내의 바닥면측 플로어 벤트(Floor Vent)(62b), 창유리측 디스프로스 벤트(Defrost Vent)(62c)의 개도량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조모드에 따라, 블로어(20)의 토출공기를 증발기(30)를 통과시켜 차실내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증발기(30)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의 일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키거나, 또는 증발기(3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측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공기흐름제어부(70)를 구비한다.
공기흐름제어부(70)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이, 각각 다른 공기흐름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를 상기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에 대응되게 구획하는 격벽(72)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72)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 중, 블로어(20)와 증발기(30) 사이의 유로부분을 상기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에 대응되는 제 1유로부(10a-1)와, 타측부분(34)에 대응되는 제 2유로부(10a-2)로 구획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72)은, 상기 제 1유로부(10a-1)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증발기(30)의 하측부분(32a)에 대응되고, 상기 제 2유로부(10a-2)가 증발기(30)의 상측부분(34a)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를 상,하로 구획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격벽(72)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를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에 대응되는 제 1유로부(10a-1)와, 타측부분(34)에 대응되는 제 2유로부(10a-2)로 구획함으로써, 상기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이 각기 다른 공기흐름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이,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의 개도여부에 따라 서로에 대해 병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직렬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를 동시에 개방하여,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가 각각 독립적인 공기흐름경로를 갖게 하면,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은 서로에 대해 병렬로 배열되면서 블로어(20)의 토출공기를 동시에 통과시키게 된다.
반대로, 제 1유로부(10a-1)는 개방하고 제 2유로부(10a-2)는 차단하여,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가 증발기(30)의 하류측 내부유로(10a)를 통해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될 수 있게 하면,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은 서로에 대해 직렬로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72)은, 블로어(20)의 토출구측에 설치된 이온발생기(50)의 하류측으로부터 증발기(30)까지 연장된 후, 다시, 증발기(30)의 하류측으로부터 히터(40)의 상류측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히터(40)의 상류측까지 연장되어 있되, 상기 히터(40)의 일측부분(42)과 타측부분(44)을 구획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연장되는 격벽(72)은, 상기 히터(40)의 일측부분(42)과 타측부분(44)을 상기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에 각각 대응할 수 있도록 구획한다.
이러한 격벽(72)은, 상기 히터(40)의 일측부분(42)과 타측부분(44)도 상기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과 마찬가지로 각기 다른 공기흐름경로 상에 배열될 수 있게 한다.
특히, 히터(40)의 일측부분(42)이 제 1유로부(10a-1)에, 타측부분(44)이 제 2유로부(10a-2)상에 각각 배열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흐름제어부(70)는, 공조케이스(10)의 제 1유로부(10a-1)측 공기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는 제 1배기유로(74)와, 제 2유로부(10a-2)측 공기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는 제 2배기유로(7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배기유로(74)는, 증발기(30)와 블로어(20) 사이의 제 1유로부(10a-1)부분과,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1배기유로(74)는, 제 1유로부(10a-1)측 공기를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으로 배출시킨다.
특히, 상기 블로어(20)로부터 상기 제 1유로부(10a-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하기 전에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으로 배출시켜, 차실외로 배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배기유로(74)는, 제 1유로부(10a-1)부분과,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을 서로 연결시키는 배기덕트(74a)에 의해 구성된다.
제 2배기유로(76)는, 증발기(30)와 블로어(20) 사이의 제 2유로부(10a-2)부분과,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2배기유로(76)는, 제 2유로부(10a-2)측 공기를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으로 배출시킨다.
특히,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되어,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이 하류측의 내부유로(10a)를 통해 서로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경우, 직렬로 연결된 상기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을 블로어(20)의 토출공기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제 2유로부(10a-2)측으로 유입되는데, 이렇게 유입된 제 2유로부(10a-2)측의 공기를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으로 배출시켜, 차실외로 배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배기유로(76)는, 제 2유로부(10a-2)부분과,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을 서로 연결시키는 배기덕트(76a)에 의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배기유로(74)와 제 2배기유로(76)는, 하류측이 서로 연결되어, 공통의 출구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흐름제어부(70)는,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1배기유로(7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배기도어(77)와, 상기 제 2유로부(10a-2)와 제 2배기유로(7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2배기도어(78)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배기도어(77)는,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와 제 1배기유로(74) 사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돔형 도어(Dome Type Door)로서,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와 제 1배기유로(74)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특히, 공조모드에 따라,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는 개방하고, 제 1배기유로(74)는 차단한다. 따라서, 블로어(20)로부터 증발기(30)로의 공기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공조모드에 따라,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는 차단하고, 제 1배기유로(74)는 개방한다. 따라서, 증발기(30) 도입 전, 제 1유로부(10a-1)측 공기의 차실외 배출을 허용한다.
상기 제 2배기도어(78)는, 블로어(20)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10a-2)와 제 2배기유로(76) 사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돔형 도어로서,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블로어(20) 토출측의 제 2유로부(10a-2)와 제 2배기유로(76)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특히, 공조모드에 따라, 블로어(20)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10a-2)는 개방하고, 제 2배기유로(76)는 차단한다. 따라서, 블로어(20)로부터 증발기(30)로의 공기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공조모드에 따라, 블로어(20)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10a-2)는 차단하고, 제 2배기유로(76)는 개방한다. 따라서, 증발기(30) 상류측 공기의 차실외 배출을 허용한다.
특히, 상기 제 1배기도어(77)가 제 1유로부(10a-1)를 개방할 경우, 상기 제 1유로부(10a-1)측의 공기는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a)을 통과한 후, 증발기(30)의 타측부분(34a)을 향해 방향전환하면서 통과하여 증발기(30)의 상류측으로 유입되는데, 이렇게 유입된 증발기(30) 상류측 공기의 차실외 배출을 허용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흐름제어부(70)는,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배기도어(77, 78)를 제어하는 마이콤(Micom)(79)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콤(79)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배기도어(77, 78)를 제어하여, 제 1유로부(10a-1)와 제 1배기유로(74)에 대한 공기흐름 여부 및, 제 2유로부(10a-2)와 제 2배기유로(76)에 대한 공기흐름 여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마이콤(7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냉,난방모드 시에,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는 개방하고, 제 1배기유로(74)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 1배기도어(77)를 제어하고, 아울러, 블로어(20)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10a-2)는 개방하고, 제 2배기유로(76)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 2배기도어(78)를 제어한다.
따라서, 통상의 냉,난방모드 시에,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가 모두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블로어(20)의 토출공기가 제 1유로부(10a-1)측의 증발기(30) 일측부분(32)과 제 2유로부(10a-2)측의 타측부분(34)을 동시에 통과하면서 차실내로 송풍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차실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7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모드 시에,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는 차단하고, 제 1배기유로(74)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 1배기도어(77)를 제어하고, 아울러, 블로어(20)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10a-2)는 개방하고, 제 2배기유로(76)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 2배기도어(78)를 제어한다.
따라서, 환기모드 시에, 상기 내기도입구(12, 19)측과 제 1배기유로(74)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환기모드 시에, 내기도입구(12, 19)를 통해 도입된 차실내 공기가, 증발기(30)로 도입되기 전에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1배기유로(74)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환기모드 시에, 차실내의 공기를 빠르게 환기시켜 차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여름철에 주차중인 경우, 차실내 공기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는데, 이러한 높은 온도의 차실내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킨다. 그 결과, 차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 시에, 차량의 측면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주차중 또는 주행중 차실내의 환기 시에 차실외의 이물질 유입과, 도난 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콤(79)은, 환기모드 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16)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19a)를 제어하여, 인테이크 도어(16)는 외기도입구(1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보조 인테이크 도어(19a)는 보조 내기도입구(19)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환기모드 시에, 외기도입구(14)로는 차실외 공기가 도입되면서 제 2유로부(10a-2)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보조 내기도입구(19)로는 차실내 공기가 유입되면서 제 1유로부(10a-1)와 제 1배기유로(74)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를 중심으로 차실내로의 외기도입과, 차실내 공기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이로써, 차실내 공기의 환기효율을 극대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콤(79)은, 각 모드도어(62)들을 제어하여 각 토출벤트(62a, 62b, 62c)들을 미리 설정된 개도량으로 일정량 개방해야 한다.
여기서, 외기도입구(14)로 도입된 차실외 공기가, 제 2유로부(10a-2)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기도입구(14)와 제 2유로부(10a-2)가, 동일한 공기흐름경로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보조 내기도입구(19)로 도입된 차실내 공기가, 제 1유로부(10a-1)와 제 1배기유로(74)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19)와 제 1유로부(10a-1)가 동일한 공기흐름경로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한편, 제 1배기유로(74)와 외기도입구(14)는,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과 연통되므로, 제 1배기유로(7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외기도입구(14)로 도입되는 공기 간에 간섭과 섞임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1배기유로(74)측 배출공기와, 외기도입구(14)측 도입공기 간의 간섭과 섞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에는, 공기섞임방지용 격벽(18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섞임방지용 격벽(18b)은, 제 1배기유로(74)와 외기도입구(14) 사이부분의 카울(18)의 공기흡입구(18a)측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공기섞임방지용 격벽(18b)은, 제 1배기유로(74)측 배출공기와, 외기도입구(14)측 도입공기 간의 간섭과 섞임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7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는 개방하고, 제 1배기유로(74)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 1배기도어(77)를 제어하고, 아울러, 블로어(20)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10a-2)는 차단하고, 제 2배기유로(76)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 2배기도어(78)를 제어한다.
따라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와 제 2배기유로(76)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제 1유로부(10a-1)측에 대응되는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제 2유로부(10a-2)에 대응되는 증발기(30)의 타측부분(34)과, 제 2배기유로(76)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블로어(20)의 토출공기가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제 2배기유로(76)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블로어(20)의 토출공기가,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30)를 건조시키고, 이후, 제 2배기유로(76)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3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측을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그 결과, 건조 공기의 차실내 유입으로 인한 차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콤(79)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는, 각 모드도어(62)들을 제어하여 각 토출벤트(62a, 62b, 62c)들을 모두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공조케이스(10)측 공조공기의 차실내 토출을 완전히 차단하여, 증발기(3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측을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마이콤(79)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드도어(62)들을 제어하여 각 토출벤트(62a, 62b, 62c)들을 미리 설정된 개도량으로 일정량 개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증발기(3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측을 건조시킨 공기를 차실내로 순환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이콤(79)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16)와 보조 인테이크 도어(19a)를 제어하여, 인테이크 도어(16)는 외기도입구(1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보조 인테이크 도어(19a)는 보조 내기도입구(19)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외기도입구(14)와 보조 내기도입구(19)를 통해, 차실내,외 공기가 동시에 도입되면서 증발기(30)를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 2배기유로(76)와 외기도입구(14) 사이의 카울(18)측 공기흡입구(18a)부분에는, 공기섞임방지용 격벽(18b)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배기유로(746측 배출공기와, 외기도입구(14)측 도입공기 간의 간섭과 섞임은 방지된다.
이 밖에도, 상기 마이콤(79)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유로(10c)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템프도어(6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증발기(30)와 히터(40)의 일측부분(32, 42)에 대응되는 제 1유로부(10a-1)와, 증발기(30)와 히터(40)의 타측부분(34, 44)에 대응되는 제 2유로부(10a-2)와, 상기 제 2배기유로(76)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제 1유로부(10a-1)측에 대응되는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히터(40)의 일측부분(42), 제 2유로부(10a-2)에 대응되는 히터(40)의 타측부분(44)과 증발기(30)의 타측부분(34), 제 2배기유로(76)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블로어(20)의 토출공기가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히터(40)의 일측부분(42)과 히터(40)의 타측부분(44)과 증발기(30)의 타측부분(3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제 2배기유로(76)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블로어(20)의 토출공기가, 증발기(30)와 히터(40)의 일측부분(32, 42)과 타측부분(34, 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30)와 히터(40)를 건조시키고, 이후, 제 2배기유로(76)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79)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증발기(30) 상류측의 제 1유로부(10a-1)는 개방하고, 제 1배기유로(74)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 1배기도어(77)를 제어하고, 아울러, 블로어(20)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10a-2)는 차단하고, 제 2배기유로(76)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 2배기도어(78)를 제어한다.
따라서,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 1유로부(10a-1)와 제 2유로부(10a-2)와 제 2배기유로(76)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제 1유로부(10a-1)측에 대응되는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제 2유로부(10a-2)에 대응되는 증발기(30)의 타측부분(34)과, 제 2배기유로(76)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블로어(20)의 토출공기가 증발기(30)의 일측부분(32)과 타측부분(3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제 2배기유로(76)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증발기(30)측에서 발생되는 곰팡이 냄새와 악취를 차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증발기(30)측에서 발생된 곰팡이 냄새와 악취의 차실내 유입을 방지하여, 차실내의 쾌적성을 높여준다.
다음으로, 도 9와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와 그 작동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공조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외기도입구(14)를 분리벽(80)으로 구획하여 양쪽의 제 1외기도입구부(14a)와 제 2외기도입구부(14b)로 나눈다.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배기유로(74, 76)와 연통되는 일측의 제 1외기도입구부(14a)와, 상기 제 1 및 제 2배기유로(74, 76)와 분리벽(80)에 의해 차단되는 타측의 제 2외기도입구부(14b)로 나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양쪽의 제 1 및 제 2외기도입구부(14b)에 인테이크 도어(16)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이들 양쪽의 인테이크 도어(16)(이하, "제 1인테이크 도어(16a)"와 "제 2인테이크 도어(16b)"로 칭하기로 한다)를 상기 마이콤(79)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마이콤(79)은, 상기 제 1인테이크 도어(16a)와 제 2인테이크 도어(16b)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외기도입구부(14a, 14b)의 개도량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특정 공조모드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16a, 16b)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배기유로(74)측의 제 1외기도입구부(14a)는 차단하고, 제 2외기도입구부(14b)는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모드 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제 1인테이크 도어(16a)는 제 1외기도입구부(14a)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제 2인테이크 도어(16b)는 제 2외기도입구부(14b)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환기모드 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제 1 및 제 2배기유로(74, 76)측의 제 1외기도입구부(14a)는 차단되고, 제 2외기도입구부(14b)는 개방되도록 한다.
이로써, 환기모드 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제 2외기도입구부(14b)측으로는 외기가 도입되면서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0a)측으로 흡입될 수 있게 하고, 제 1외기도입구부(14a)측으로는 공조케이스(10)의 제 1배기유로(74) 또는 제 2배기유로(76)로 배기되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증발기(3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를 공기흐름제어부(70)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시키는 구조이므로, 증발기(3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30)와 공조케이스(10)의 내부를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건조 공기의 차실내 유입으로 인한 차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 시에, 차실내 공기를 공조케이스(10)의 공기흐름제어부(70)를 통해 환기시키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창유리 또는 선루프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으므로, 차실내의 환기 시에 창유리와 선루프를 통한 차실외의 이물질 유입과, 도난 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증발기(30)와 히터(40)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곰팡이 냄새와 악취를 차실외로 배출시키는 구조이므로,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발생되는 증발기(30)와 히터(40)측 곰팡이 냄새와 악취의 차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0a: 내부유로
10a-1: 제 1유로부 10a-2: 제 2유로부
10b: 냉풍유로 10c: 온풍유로
12: 내기도입구 14: 외기도입구
14a: 제 1외기도입구부 14b: 제 2외기도입구부
16: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16a: 제 1인테이크 도어
16b: 제 2인테이크 도어 18: 카울(Cowl)
18a: 공기흡입구 20: 블로어(Blower)
30: 증발기 32: 일측부분
32a: 하측부분 34: 타측부분
34a: 상측부분 40: 히터(Heater)
42: 일측부분 44: 타측부분
50: 이온발생기 60: 템프도어(Temp. Door)
62: 모드도어(Mode Door) 62a, 62b, 62c: 토출벤트(Vent)
70: 공기흐름제어부 72: 격벽
74: 제 1배기유로 74a: 배기덕트(Duct)
76: 제 2배기유로 76a: 배기덕트(Duct)
77: 제 1배기도어(Door) 78: 제 2배기도어
79: 마이콤(Micom) 80: 분리벽

Claims (18)

  1. 공조케이스의 내기도입구와 외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테이크 도어와, 상기 내,외기도입구를 통해 내,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로 송풍된 내,외기를 순차적으로 냉각시키고 가열하는 증발기와 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상기 증발기를 통과시켜 차실내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기 전의 공기의 일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키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측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공기흐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제어부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 중, 상기 블로어와 증발기 사이의 부분을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의 일측부분에 대응되는 제 1유로부와, 타측부분에 대응되는 제 2유로부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 1유로부측의 공기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는 제 1배기유로와;
    상기 제 2유로부측의 공기를 차실외로 배기시킬 수 있는 제 2배기유로와;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와 상기 제 1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기 증발기로의 공기흐름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 도입 전, 상기 제 1유로부측 공기의 상기 제 1배기유로측 배출을 허용하는 제 1배기도어와;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와 상기 제 2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기 증발기로의 공기흐름을 허용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 상류측 공기의 상기 제 2배기유로측 배출을 허용하는 제 2배기도어와;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제 1유로부와 제 1배기유로에 대한 상기 제 1배기도어의 개폐 및, 상기 제 2유로부와 제 2배기유로에 대한 상기 제 2배기도어의 개폐를 제어하여,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유로부측의 모든 공기를 상기 증발기측으로 통과시켜 차실내측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 통과 전의 상기 제 1유로부측 공기를 상기 제 1배기유로로 배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유로부측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 2유로부로 도입시킨 후, 상기 제 2배기유로로 배기시키는 마이콤(Mico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냉,난방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1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배기도어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2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배기도어를 제어하여,
    냉,난방모드 시에, 상기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가 모두 개방되면서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동시에 도입하고, 도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동시에 통과하면서 차실내로 송풍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환기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는 차단하고, 상기 제 1배기유로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배기도어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2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배기도어를 제어하여,
    환기모드 시에, 상기 내기도입구측과 상기 제 1배기유로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되면서, 상기 블로어로 흡입된 차실내 공기가 상기 증발기 통과 전에 상기 제 1배기유로를 통해 차실외로 환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보조 내기도입구와,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를 개폐하는 보조 인테이크 도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이콤은,
    환기모드 시에, 상기 인테이크 도어는 상기 외기도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 인테이크 도어는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각각 제어하여,
    환기모드 시에, 상기 외기도입구로는 차실외 공기가 도입되면서 상기 제 2유로부를 통해 차실내로 유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로는 차실내 공기가 도입되면서 상기 제 1배기유로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구와 상기 제 2유로부가, 동일한 공기흐름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도입구로 도입된 차실외 공기가 상기 제 2유로부로 유동하면서 차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이고;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와 제 1유로부가, 동일한 공기흐름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내기도입구로 도입된 차실내 공기가 상기 제 1유로부측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 1배기유로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기유로와 외기도입구는, 카울의 공기흡입구를 통해 차실외와 연통되며,
    환기모드 시에, 상기 제 1배기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외기도입구로 도입되는 공기 간에 간섭과 섞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배기유로와 외기도입구 사이부분의 상기 카울의 공기흡입구측에 공기섞임방지용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1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배기도어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는 차단하고, 상기 제 2배기유로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배기도어를 제어하여,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와 제 2배기유로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되면서,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상기 제 1유로부측의 증발기 일측부분과 상기 제 2유로부측의 증발기 타측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게 한 후, 상기 제 2배기유로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각 토출벤트에 설치되어, 차실내로의 공기 토출 풍량을 조절하는 각 모드도어(Mode Door)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각 토출벤트들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모드도어들을 제어하여,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킨 공기의 차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각 토출벤트에 설치되어, 차실내로의 공기 토출 풍량을 조절하는 각 모드도어(Mode Door)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콤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각 토출벤트들을 일정량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모드도어들을 제어하여,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킨 공기의 일부를 차실내측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히터 사이의 내부유로 중, 상기 증발기측의 냉풍유로와 상기 히터측의 온풍유로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온풍유로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템프도어(Temp. Door)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히터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상기 증발기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에 각각 대응할 수 있게 구획하며;
    상기 마이콤은,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온풍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템프도어를 제어하여,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가 상기 제 1유로부측의 증발기 일측부분과 히터의 일측부분, 상기 제 2유로부측의 증발기 타측부분과 히터의 타측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 2배기유로를 통해 차실외로 배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증발기측의 제 1유로부는 개방하고, 상기 제 1배기유로는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배기도어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블로어 토출구측의 제 2유로부는 차단하고, 상기 제 2배기유로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배기도어를 제어하여,
    에어컨 초기 작동모드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 1유로부와 제 2유로부와 제 2배기유로가 하나의 공기흐름경로로 연결되면서, 상기 블로어의 토출공기를 상기 제 1유로부측의 증발기 일측부분과 상기 제 2유로부측의 증발기 타측부분과 상기 제 2배기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차실외로 배기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측의 곰팡이 냄새와 악취를 차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기도입구는, 상기 제 1 및 제 2배기유로와 연통되는 일측의 제 1외기도입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배기유로와 차단되는 타측의 제 2외기도입구부로 각각 분리 구획되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는, 상기 제 1 및 제 2외기도입구부의 개도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제 1인테이크 도어와 제 2인테이크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콤은,
    특정 공조모드 시에, 상기 배기유로측의 제 1외기도입구부는 차단하고, 상기 제 2외기도입구부는 개방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특정 공조모드 시에, 상기 제 2외기도입구부측으로는 외기가 도입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측으로 흡입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 1외기도입구부측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배기유로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환기모드, 증발기 건조모드 시에, 상기 제 1외기도입구부는 차단하고, 상기 제 2외기도입구부는 개방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 1유로부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의 하측부분에 대응되고, 상기 제 2유로부가 상기 증발기의 상측부분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를 상,하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기유로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제 1유로부부분과, 카울의 차실외 부분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기덕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배기유로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제 2유로부부분과, 카울의 차실외 부분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기덕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제 2항 및,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배기유로는, 하류측이 서로 연결되어, 공통의 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10179661A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90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61A KR20230090688A (ko)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61A KR20230090688A (ko)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88A true KR20230090688A (ko) 2023-06-22

Family

ID=8698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61A KR20230090688A (ko) 2021-12-15 2021-12-1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6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59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2397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65050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US11642934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18006776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3723805B2 (ja) 自動車用の空気調和システム
WO2010061648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068566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WO2006112083A1 (ja) 車両用換気装置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23009068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2300906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906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401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5288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5041356A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200446552Y1 (ko) 차량용 공조유니트
KR100810822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
JP4503446B2 (ja) 車両用換気装置
KR10078902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의 송풍기
KR1017244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