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494A -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 Google Patents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494A
KR20230090494A KR1020210179303A KR20210179303A KR20230090494A KR 20230090494 A KR20230090494 A KR 20230090494A KR 1020210179303 A KR1020210179303 A KR 1020210179303A KR 20210179303 A KR20210179303 A KR 20210179303A KR 20230090494 A KR20230090494 A KR 20230090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hell
main body
shells
filament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494A/ko
Priority to PCT/KR2021/019051 priority patent/WO2023113064A1/ko
Publication of KR2023009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양시에는 패각들이 서로 겹치지 않게 일정 간격으로 배양 수조 안에 배열되도록 좁힐 수 있어 패각 허비량을 최소화하면서 배양할 수 있고, 채묘시에는 김 패각 사상체들 간의 간격을 넓혀 김 패각 사상체들을 소정의 이격거리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 패각 사상체들로부터 방출되는 김 종자가 김 양식망에 균일하게 채묘되어 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공정을 간소화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Seaweed seedling bag with shell conchocelis}
본 발명은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양시에는 패각들이 서로 겹치지 않게 일정 간격으로 배양 수조 안에 배열되도록 좁힐 수 있어 패각 허비량을 최소화하면서 배양할 수 있고, 채묘시에는 김 패각 사상체들 간의 간격을 넓혀 김 패각 사상체들을 소정의 이격거리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 패각 사상체들로부터 방출되는 김 종자가 김 양식망에 균일하게 채묘되어 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공정을 간소화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은 산업적으로 가치 있는 해조류로 매년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김 양식 분야에서도 기술적인 진보를 요구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김 양식은 김 종자의 씨앗인 유리 사상체를 배양한 후 패각에 유리 사상체를 잠입시켜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하고, 배양이 완료된 김 패각 사상체를 김 양식망에 부착시켜 해상에서 채묘하며, 김 종자가 채묘된 김 양식망을 통해 김 양식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김 양식을 위한 작업은 김의 엽체에서 방출되는 접합포자로 유리 사상체를 배양하는 작업, 배양을 위한 수조에 다수의 패각을 촘촘하게 나열하는 작업, 패각이 나열된 배양 수조에 유리 사상체가 포함된 배양액을 살포한 후 패각에 유리 사상체가 잠입되도록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하는 작업, 김 패각 사상체 배양중 장기간 배양액에 담겨지는 패각들에 형성되는 물 때, 이끼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고압 분무를 통해 김 패각 사상체를 세척하는 작업, 배양이 완료된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 수조에서 꺼내서 담아 포장하여 채묘하기 위한 장소로 이송하는 작업, 이송된 김 패각 사상체들을 복수 겹으로 겹쳐진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작업, 김 패각 사상체가 부착된 김 양식망을 큰 봉투에 담아 해상에 설치함으로써, 김 패각 사상체로부터 방출되는 김 종자가 김 양식망에 붙도록 채묘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위와 같은 김 양식 작업은 정교한 작업이 요구되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김 패각 사상체 배양을 위해 배양 수조에 패각들을 나열할 경우, 최대한의 패각을 배양 수조에 넣기 위해 패각들을 촘촘하게 나열해야할 뿐만 아니라 세척시 이물질들이 물에 흘러나갈 수 있도록 소정 정도 겹쳐서 배열해야 하는 높은 작업 난이도의 일을 수행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높은 숙련도의 작업자가 요구되며, 나열된 패각들의 겹쳐진 면(약 35%~50%)은 빛에 노출되지 않아 김 패각 사상체 배양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패각의 허비량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김 패각 사상체를 세척할 경우, 고압 분무 방식으로 인해 나열된 패각이 흐트러지거나 이탈하게 되어 다시 수작업으로 재배열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중 작업이 요구되어 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은 종래의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김 패각 사상체를 채묘를 위해 김 양식망에 부착시킬 경우, 종래에는 다수의 김 패각 사상체를 김 양식망에 살포하였으나, 이는 김 패각 사상체가 김 양식망에 고정되지 않고 해류에 의해 움직여서 김 양식망에 김 종자가 고르게 채묘되지 않기 때문에 김 양식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그물망을 활용하여 김 패각 사상체를 김 양식망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2는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김 패각 사상체가 일렬로 배치되어 들어갈 수 있는 복수 개의 망을 김 양식망에 일정 이격거리를 갖도록 고정시켰으나, 이 또한 다수 개의 김 패각 사상체가 해류에 의해 각 망안에서 망 중앙으로 밀집되어 균일하게 채묘되지 않아 위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공정을 간소화하여 최소한의 시간과 인력으로 김 양식 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김 종자 채묘가 가능하여 김 양식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김 양식 공정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할 수 있어 김 양식 공정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김 종자 채묘가 가능하여 김 양식 생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해서 다회 사용이 가능하여, 제조 비용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 개선 또한 가능한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패각이 수용되어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할 수 있고, 김 양식망에 고정하여 채묘할 수 있는 봉투로, 상기 봉투:는 상기 다수 개의 패각을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패각을 각각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패각 수용부; 상기 패각 수용부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접었다 펼 수 있어 서로 인접한 패각 수용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하측이나 양측 모두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서로 다른 봉투가 연결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 및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를 상기 김 양식망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각 수용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패각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제1 주머니; 및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1 주머니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제2 주머니;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주머니는 각각 개방된 일측이 마주보도록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주머니의 일측 소정 부분이 상기 제2 주머니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의 길이는 5cm ~ 40cm 사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각 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접은 상태로 소정의 열을 가해 녹여서 서로 접합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상기 일면 또는 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일면에 형성된 암 체결부재와 상기 타면에 형성된 수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된 암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된 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봉투는 서로 대응하는 암 연결부재와 수 연결부재의 결합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패각 수용부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비닐 소재이며, 상기 본체와 상기 패각 수용부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 개의 단의 그물눈이 일정한 형태로 구성되는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갈고리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의하면, 계획된 목적에 따라 채묘봉투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 채묘봉투의 패각 수용부에 보관된 김 패각 사상체의 간격을 간격 조절부에 의해 조절할 수 있어, 배양 공정 과정에서는 배양 수조 안에 크기에 대응되게 패각 수집부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김 패각 사상체의 배양을 수행할 수 있고, 배양 공정 후에는 채묘봉투를 그대로 채묘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채묘 공정 과정에서는 연결된 채묘봉투들을 분리한 후 패각 수용부 간의 거리를 넓혀 김 양식망에 고정시켜 채묘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의하면, 다수의 패각을 서로 겹치지 않고 촘촘하게 배열되도록 패각 수용부에 각각 넣어서 배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각의 표면 전체가 고르게 빛에 노출되어 허비되는 패각 없이 많은 양의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할 수 있고, 주머니 구조의 패각 수용부에 각각 패각을 넣어서 고정시킬 수 있어 김 패각 사상체에 고압 분무 세척할 경우, 패각이 움직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패각을 배양 수조에 재배열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어 세척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의하면, 채묘봉투에 형성된 연결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채묘봉투가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채묘 공정이 완료된 후에도 각 채묘봉투를 다시 연결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절감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개선 또한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에 의하면, 채묘봉투에 암,수로 구성되어 결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김 양식망에 채묘봉투를 쉽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는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의 패각 수용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의 패각 수용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채묘봉투가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가 채묘를 위한 김 양식망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양식 채묘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양식 채묘봉투(100)는 다수의 패각(10)들을 보관하여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하거나 채묘할 수 있는 봉투로, 배양시 배양 수조 안에서 다수의 패각(10)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좁힐 수 있고, 채묘시 김 패각 사상체들이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김 양식망(1)에 고정되도록 넓힐 수 있으며, 본체(110), 패각 수용부(120), 간격 조절부(130), 연결수단(140) 및 고정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다수의 패각(10)을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10)는 횡방향 길이가 채묘시 상기 김 양식망(1)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김 양식망(1)의 횡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책(1.8m × 40m)인 김 양식망(1)의 횡방향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되도록 약 2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김 패각 사상체 세척시 용이하게 배양액 배수를 할 수 있고, 고압 분무에 세척된 이물질들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류 소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위에서 언급한 소재들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편직 패턴에 따라 복수 개의 단의 그물눈이 일정한 형태로 구성되는 그물망 구조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본체(100)는 그물눈으로 인해 배양액 배수와 이물질 배출을 위한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패각 수용부(120)는 패각(10)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와 같은 소재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의 패각 수용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의 패각 수용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패각 수용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각 수용부(120)는 패각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패각을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나의 주머니로 형성되어, 상기 패각(10)이 상기 패각 수용부(120)에서 보관된 상태로 김 양식 공정 과정에서 상기 패각(10)들이 일정 간격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패각 수용부(1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패각 수용부(120)와 비교하여 일측이 개방된 제1,2 주머니(121,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주머니(121)는 상기 패각(10)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주머니(122)는 상기 제1 주머니(121)보다 큰 크기를 가며, 상기 제1 주머니(121)와 개방된 일측이 마주보도록 반대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주머니(122)가 상기 제1 주머니(121)의 일측 소정 부분이 상기 제2 주머니(122)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2 주머니(122)가 상기 제1 주머니(121)의 일측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함과 동시에 일측의 소정 영역을 덮는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패각 수용부(120)는 김 양식 과정에서 상기 패각(10)들을 일정 간격 유지할 수 있게 보관할 뿐만 아니라, 채묘 과정에서 상기 김 패각 사상체가 강한 해류로 인해 상기 패각 수용부(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각 수용부(120)에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시 유리 사상체가 상기 패각(10)에 용이하게 잠입할 수 있고, 채묘시 김 패각 사상체로부터 김 종자가 상기 김 양식망(1)으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와 상기 패각 수용부(120)에 형성된 구멍은 상기 패각 수용부(120)에 담긴 패각(10)이 이탈하지 않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조절부(130)는 서로 인접한 패각 수용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서로 인접하는 패각 수용부(120)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패각 수용부(120)들 간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접었다 펼 수 있도록 접는 선(131)이 형성되며, 상기 접는 선(131)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130)는 횡방향의 길이가 5cm ~ 40c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김 패각 사상체로부터 김 종자가 각 방향으로 방출되는 거리(약 15c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130)는 일면에 형성된 암 체결부재(132-1)와 타면에 형성된 수 체결부재(132-2)로 구성된 체결수단(132)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132)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간격 조절부(130)를 접은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132)은 상기 간격 조절부(130)를 접은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똑딱이 단추, 벨크로, 후크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수단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간격 조절부(130)가 상기 체결수단(132)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접착제로 접합시켜 고정하거나, 소정의 열을 가해 녹여서 접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일면과 타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은 후 상기 일면과 타면의 각 반대면 중 어느 한 면이 상기 본체(110)의 타면에 접촉하도록 접은 상태로만 제공하거나, 접은 상태로 상기 체결수단(132)에 의해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채묘봉투(100)는 상기 유리 사상체를 패각(10)에 잠입시키는 배양 공정시 상기 배양 수조 안에 다수의 패각(10)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상기 간격 조절부(130)를 접어서 상기 패각 수용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140)은 복수 개의 채묘봉투(100)를 폭 방향으로 연달아 연결시키기 위해 결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거나 양측 모두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채묘봉투가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의 소재에 따라 서로 다른 연결수단(140)의 종류와 복수 개의 채묘봉투(100)가 상기 연결수단(140)에 의해 결합되어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수단(140)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암 연결부재(141)가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수 연결부재(142)가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암,수 연결부재(141,142)가 각각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140)은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된 똑딱이 단추, 벨크로 등과 같은 결합수단일 수 있다.
즉, 어느 한 채묘봉투(100)의 상측 일면과 다른 채묘봉투(100)의 하측 타면이 서로 대응하는 상기 암 연결부재(141)와 상기 수 연결부재(142)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채묘봉투(100)가 연속해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140)은 상기 본체(110)가 그물망 구조일 경우, 상기 본체(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갈고리로 형성된 연결수단(140)이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채묘봉투(100)의 상측에 형성된 갈고리를 다른 채묘봉투(100)의 하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갈고리와 대응하는 위치의 그물코에 걸어서 상기 복수 개의 채묘봉투(100)가 연속해서 연결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채묘봉투(100)를 상기 김 양식망(1)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본체(110)의 일측과 타측 끝단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묶음끈(151)이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채묘봉투(100)는 상기 묶음끈(151)을 상기 김 양식망(1)의 틀에 매듭지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묶음끈(151)의 일측에 암 고정부재(152)와 타측에 수 고정부재(1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김 양식망(1)의 틀을 상기 묶음끈(151)으로 두른 후 상기 암,수 고정부재(152,153)의 결합에 의해 상기 채묘봉투(100)를 상기 김 양식망(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수 고정부재(152,153)는 똑딱이 단추, 벨크로 등과 같이 암,수로 구성된 결합수단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가 채묘를 위한 김 양식망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100)의 사용 방법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김 패각 사상체 배양을 위한 다수의 패각(10)을 복수 개의 패각 수용부(120)에 각각 넣어서 담는다.
이후, 다수의 패각(10)이 담긴 채묘봉투(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간격 조절부(130)를 접는 선(131)을 기준으로 접은 후 체결수단(132)에 의해 결합하여 접은 상태로 고정시킨다.
다음, 접혀진 복수 개의 채묘봉투(100)를 상기 연결수단(140)에 의해 연속해서 연결한다.
다음, 연결된 복수 개의 채묘봉투(100)를 김 패각 사상체 배양을 위한 수조에 넣어서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패각(10)은 상기 패각 수용부(120)에 담겨서 고정되기 때문에, 김 패각 사상체 배양 도중 상기 다수의 패각(10)을 고압 분무 방식으로 세척시 배양 수조에 배치된 패각(10)들이 흐트러지거나 이탈되지 않아 별도의 나열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후, 배양이 완료된 김 패각 사상체들이 담겨진 복수 개의 연결된 채묘봉투(100)는 배양 수조에 나열된 상태 그대로 포장 상자 등에 담아 채묘 장소로 이송시킨다.
다음, 이송된 복수 개의 연결된 채묘봉투(100)는 김 양식망(1)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수단(140)의 결합을 해체하여 복수 개의 채묘봉투(100)로 분리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130)에 형성된 체결수단(132)의 결합을 해체하여 각각의 채묘봉투(100)를 펼친다.
다음, 각각의 펼쳐진 채묘봉투(100)를 상기 김 양식망(1)에 20cm ~ 40cm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고정시킨다.
즉, 상기 김 패각 사상체는 상기 김 양식망(1)에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바둑판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김 패각 사상체에서 방출되는 김 종자들이 상기 김 양식망(1)에 고르게 채묘될 수 있어 김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100)는 김 양식 공정에 따라 상기 간격 조절부(130)를 접었다 펼 수 있어 부착된 다수의 패각(10)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할 수 있어 김 양식 공정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 시간과 인건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100)는 체결수단(132), 연결수단(140) 및 고정수단(150) 등을 통해 연결 또는 결합과 분리가 다회번 가능하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절감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환경 개선 또한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김 양식망 10 : 패각
100 : 김 양식 채묘봉투 110 : 본체
120 : 패각 수용부 121 : 제1 주머니
122 : 제2 주머니 130 : 간격 조절부
131 : 접는 선 132 : 체결부재
132-1 : 암 체결부재 132-2 : 수 체결부재
140 : 연결부재 141 : 암 연결부재
142 : 수 연결부재 150 : 고정부재
151 : 묶음끈 152 : 암 고정부재
153 : 수 고정부재

Claims (9)

  1. 다수 개의 패각이 수용되어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할 수 있고, 김 양식망에 고정하여 채묘할 수 있는 봉투로,
    상기 봉투:는
    상기 다수 개의 패각을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패각을 각각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패각 수용부;
    상기 패각 수용부들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접었다 펼 수 있어 서로 인접한 패각 수용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부;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하측이나 양측 모두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서로 다른 봉투가 연결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 및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를 상기 김 양식망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각 수용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패각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제1 주머니; 및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1 주머니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제2 주머니;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주머니는 각각 개방된 일측이 마주보도록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주머니의 일측 소정 부분이 상기 제2 주머니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의 길이는 5cm ~ 40cm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양식 채묘봉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각 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접은 상태로 소정의 열을 가해 녹여서 서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상기 일면 또는 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일면에 형성된 암 체결부재와 상기 타면에 형성된 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된 암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된 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봉투는 서로 대응하는 암 연결부재와 수 연결부재의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양식 채묘봉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패각 수용부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비닐 소재이며,
    상기 본체와 상기 패각 수용부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 개의 단의 그물눈이 일정한 형태로 구성되는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갈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양식 채묘봉투.
KR1020210179303A 2021-12-15 2021-12-15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KR20230090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03A KR20230090494A (ko) 2021-12-15 2021-12-15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PCT/KR2021/019051 WO2023113064A1 (ko) 2021-12-15 2021-12-15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03A KR20230090494A (ko) 2021-12-15 2021-12-15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494A true KR20230090494A (ko) 2023-06-22

Family

ID=8677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303A KR20230090494A (ko) 2021-12-15 2021-12-15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0494A (ko)
WO (1) WO20231130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267U (ja) * 1992-06-02 1993-12-27 三井石化産資株式会社 海苔貝殻糸状体の培養装置
JP3035215U (ja) * 1996-08-29 1997-03-11 登起夫 田中 海苔種苗培養用加工貝殻およびその組立体
JP2002084904A (ja) * 2000-09-14 2002-03-26 Daiichi Seimou Co Ltd 海苔養殖用施肥方法および装置
JP2005102615A (ja) * 2003-09-30 2005-04-21 Daiichi Seimou Co Ltd 海藻養殖用の培養用基材
CN107581049A (zh) * 2017-10-26 2018-01-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紫菜与海带轮养间养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064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3807A (en) Seedling unit
CN104853589A (zh) 用于植物水培种植的袋状垂直悬挂单元以及具有所述用于水培种植的袋状垂直悬挂单元的板
CN201226696Y (zh) 组合式育苗盘
CN103563735A (zh) 一种刺槐杂交隔离装置
KR20230090494A (ko)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US3757468A (en) Seedling grower and method of planting seedling cultivated in the seedling grower
JP2018121578A (ja) カキの採苗方法及び養殖方法
JPH10155378A (ja) 水耕栽培方法および水耕栽培装置
KR102658864B1 (ko)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CN210929012U (zh) 绿叶蔬菜沙基质栽培生产系统
JP6574536B1 (ja) 縦型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縦型水耕栽培方法
KR20150088003A (ko) 게비온형 녹화구조물
JP3578713B2 (ja) 栽培用容器
JP3684442B2 (ja) アカガイ種苗の採苗器、アカガイ種苗生産方法、アカガイ養殖篭およびアカガイ養殖方法
JP3464886B2 (ja) 高設栽培容器
EP2268133B1 (en) Kit for growing shellfish, assembly of parts of such a kit and method for growing shellfish using such an assembly
CN216775607U (zh) 一种蔬菜育苗装置
CN205962419U (zh) 贻贝筏式养殖区中鱼类幼体的采集网
KR100794577B1 (ko)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CN214593138U (zh) 一种夏栎无纺布容器
KR200491004Y1 (ko) 전개형 패브릭 화분
CN211210996U (zh) 一种海参产卵用漂浮网箱
CN211558345U (zh) 一种环保型水培作物定植袋
CN213755853U (zh) 一种立体栽培支架
CN217088814U (zh) 一种用于林区的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