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577B1 -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 Google Patents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577B1
KR100794577B1 KR1020060038193A KR20060038193A KR100794577B1 KR 100794577 B1 KR100794577 B1 KR 100794577B1 KR 1020060038193 A KR1020060038193 A KR 1020060038193A KR 20060038193 A KR20060038193 A KR 20060038193A KR 100794577 B1 KR100794577 B1 KR 10079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g
seedbed
mat
seedlings
mo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학
고석태
Original Assignee
신용학
고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학, 고석태 filed Critical 신용학
Priority to KR102006003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판을 사용하여 모내기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못자리에 미세 격자무늬를 갖는 깔판을 깔고, 그 위에 깔개제거부를 형성하여 모판을 얹혀놓은 후, 모를 파종하고, 모뿌리가 깔판의 미세 격자무늬를 통과하여 자라게 한 것으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양측 및 중심측에 보강부를 구비하는 깔개를 못자리에 펼쳐서 까는 제 1단계와, 상기 깔개의 상면에 모판을 전후 및 좌우측으로 다수 밀착하여 구비하며, 상기 깔개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일정 폭의 깔개제거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판에 일정 량의 모를 파종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모판에 파종된 모를 일정 기간 기를 후 본 논에 이양할 시, 상기 모판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깔개의 상기 깔개제거부의 일 측단을 밑으로 접어서 절첩하며, 밑으로 절첩된 상기 측단을 매듭지어 매듭부를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를 로프 등에 연결하는 제 3단계 및 로프의 타 측단은 농기계와 연동시켜 농기계의 힘으로 상기 깔개를 끌어당김으로 절첩부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빠르게 이송되어 가위질되어 제거되게한 제 4단계로 구성되는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과, 모판의 저면과 못자리 간에 구비되는 다수의 줄을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그물망형 미세격자무늬를 형성시킨 깔개와, 상기 깔개의 양 측단 및 중앙 측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보강부로 구성된 모판깔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판, 깔개, 모내기, 보강부

Description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A Seedbed mat and removal method for transplant rice}
도 1은 종래의 모판을 사용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판깔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판깔개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판깔개 중 고리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판깔개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깔개 11: 줄
12: 미세격자무늬 20: 보강부
30: 고리 30A: 매듭부
A:깔개제거부 A1: 측단
본 발명은 모판을 사용하여 모내기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못자리에 미세 격자무늬를 갖는 깔판을 깔고, 그 위에 깔개제거부를 형성하여 모판을 얹혀놓은 후, 모를 파종하고, 모뿌리가 깔판의 미세 격자무늬를 통과하여 자라게 한 것으로, 모를 옮겨심을 때 상기 깔판을 측방으로 제거함으로 모뿌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이를 통해 모판이 논에서 쉽게 떨어지게 한 모내기용 모판깔개 및 모판깔개를 이용한 모내기 법에 관한 것이다.
모내기법은 못자리에서 모를 본논에 옮겨심는 것을 뜻하는 말로 모심기라고도 하며, 이전에는 논에 물을 대고 논바닥을 고른 후 다음 종자를 뿌리거나, 밭상태의 논을 고르고 종자를 뿌리는 직파재배법에 의한 농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조선 중기 이후부터 모내기에 의한 농사법이 널리 보급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농사법이다.
모내기법을 통한 벼농사는, 어린 모가 좁은 면적의 못자리에서 생육되기 때문에 집약적인 관리와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못자리기간만큼은 다른 용도로 토지사용을 달리할 수 있어 토지이용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고, 본논에 물을 대는 기간이 단축됨으로 관개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모를 심기 때문에 본논의 재배관리가 쉽다.
모내기법을 실시하는 방식에 있어서, 산식과 정조식으로 구분되는 데, 산식은 포기 사이와 줄 사이가 고르지 못한 방법으로 최근에 이르러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한편, 정조식은 줄 사이와 포기 사이가 일정하여 논에서의 여러 가지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정조식으로 모를 심을 때도 줄 사이와 포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여러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일반적으로 줄 사이 21cm X 포기 사이 21cm와 같이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모를 심는 정사각형식, 30cm X 15cm와 같이 심는 직사각형식, 직사각형의 변형인 병목식, 또는 2조 병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처럼 모내기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모판을 사용하여 모를 심고, 일정 기간 동안 키운 후, 옮겨 심기를 하는데, 이때 도 1 도시와 같이 모판(100)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110)을 통해 모의 뿌리가 외부로 뻗어나가 논 속에 깊게 뿌리를 내리게 되어 모판을 들어올리기 힘들던 문제가 있었다.
한편, 논 속에 뿌리를 내린 모를 강제로 들어올리게 되어 어린 모에 손상을 주게 되고 결과적으로 본논에 파종되는 모가 제대로 자라지 않아 벼의 수확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내기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모를 본논에 옮겨심기 위해 모판을 들어올릴 시, 모의 뿌리 중 모판의 저면을 통과해 논에 뿌리 내린 일정 길이를 절단함으로 모판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모의 손상을 줄여 건강한 모의 량을 증대시킨 모판깔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모판을 사용한 모내기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양측 및 중심측에 보강부를 구비하는 깔개를 못자리에 펼쳐서 까는 제 1단계와;
상기 깔개의 상면에 모판을 전후 및 좌우측으로 다수 밀착하여 구비하며, 상 기 깔개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일정 폭의 깔개제거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판에 일정 량의 모를 파종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모판에 파종된 모를 일정 기간 기른 후 본 논에 이양할 시, 상기 모판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깔개의 상기 깔개제거부의 일 측단을 밑으로 접어서 절첩하며, 밑으로 절첩된 상기 측단을 매듭지어 매듭부를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를 로프 등에 연결하는 제 3단계 및;
로프의 타 측단은 농기계와 연동시켜 농기계의 힘으로 상기 깔개를 끌어당김으로 절첩부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빠르게 이송되어 가위질되어 제거되게 한 제 4단계로 구성된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모판의 저면과 못자리 간에 구비되는 다수의 줄을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그물망형 미세격자무늬를 형성시킨 깔개와;
상기 깔개의 양 측단 및 중앙 측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보강부로 구성된 모판깔개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깔개의 일 측 또는 양 측단을 말아서 매듭지어 고리를 형성시킨 매듭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깔판의 상기 줄 수를 길이방향으로 배가하여 조밀하게 접착고정시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른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첨부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도 2는 본 발명의 모내기용 모판깔개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상측의 모판(1)과 상기 모판(1) 하측에 위치되는 깔개(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모내기용 모판깔개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 모판(1)과 그 저면에 구비되는 깔개(10) 및 상기 모판(1)의 상면에 파종된 모가 뿌리내린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모내기용 모판깔개 중 고리(30)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모내기용 모판 깔개(10)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제거법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양측 및 중심측에 보강부(20)를 구비하는 깔개(10)를 못자리에 펼쳐서 까는 제 1단계.
상기 깔개(10)의 상면에 모판(1)을 전후 및 좌우측으로 다수 밀착하여 구비하며, 상기 깔개(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일정 폭의 깔개제거부(A)를 형성하고, 상기 모판(1)에 일정 량의 모를 파종하는 제 2단계.
상기 모판(1)에 파종된 모를 일정 기간 기른 후 본 논에 이양할 시, 상기 모판(1)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깔개(10)의 상기 깔개제거부(A)의 일 측단(A1)을 밑으로 접어서 절첩하며, 밑으로 절첩된 상기 측단(A1)을 매듭지어 로프 등에 연결하는 제 3단계.
로프의 타 측단은 농기계와 연동시켜 농기계의 힘으로 상기 깔개(10)를 끌어당김으로 절첩부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빠르게 이송되어 가위질되어 제거되게 한 제 4단계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모판깔개는, 상기 모판(1)의 저면과 못자리 간에 구비되는 다수의 줄(11)을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그물망형 미세격자무늬(12)를 형성시킨 깔개(10)를 구비하며, 상기 깔개(10)의 양 측단 및 중앙 측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보강부(20)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20)는 상기 줄(11)의 수를 길이 방향으로 조밀하게 접착고정시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깔개(10)의 일 측 또는 양 측단을 말아서 매듭지어 고리를 형성한 매듭부(3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A"는 상기 깔개(10) 위에 상기 모판(1)을 얹을 시, 상기 깔개(10)제거가 용이하도록 일정 폭의 여분을 두는 깔개제거부이다.
미설명부호 "A1"는 상기 깔개제거부(A)의 일측단이다.
미설명 부호"G"는 상기 깔개(10)의 일측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접어 형성되는 절첩부이다.
미설명 부호"30"은 상기 깔개(10)의 일측 또는 양 측단에 장착 고정되는 고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모내기용 모판깔개 및 모판깔개를 이용한 모내기 법은, 도 2 도시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고, 좌 우측으로 일정 개수를 밀착하여 구비하며, 그 상 하측으로 다수 나열시킨 상기 모판(1)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모판(1)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일정 면을 갖는 상기 깔개(10)를 못자리에 깐다.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모판(1)에 파종된 모가 뿌리를 내려 그 하부에 형성된 통공(H)을 통해 상기 모판(1)의 하부측으로 뻗어나가게 될 시, 도 3 도시와 같이 논과 상기 모판(1) 간에 구비된 상기 깔개(10)에 형성된 다수의 그물망형 미세격자무늬(12)를 관통하여 논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즉, 상기 모판(1)의 저면과 밀착되는 상기 깔개(10)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H)과 상기 미세격자무늬(1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못자리인 논에 뿌리를 내리게 되어 일정 기간 동안 모가 자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길러지는 모를 이양할 시, 다수 배열된 모판을 논에서 들어내어 이앙기 또는 수작업을 통해 본논에 옮겨 심게 되는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모판(1)과 상기 깔개(10)가 못자리에 얹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깔개(10)의 일측 상기 깔개제거부(A)만을 일 측방으로 끌어당겨 제거한다.
상기 깔개(10)를 일 측방으로 제거하기 위해 트랙터 또는 경운기 등과 같은 별도의 기계적 농기계를 이용하여 강한 힘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농기계에 용이하게 결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 측단(A1)을 말아서 상기 매듭부(30A)와 같이 고리가 되게 매듭지어 묶고, 그 묶인 끝단을 로프 등을 이용해 농기계와 연결되는 것으로, 강한 힘으로 끌어당겨도 상기 깔개(10)는 다수의 상기 줄(11)로 미세 그물망을 이루므로 그 강도가 우수해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농기계와의 결속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도 4 도시와 같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상기 깔개(10)의 일 측 또는 양측에 상기 고리(30)를 구비함으로, 별도의 묶음 작업 없이 상기 고리(30)에 로프 등을 결속하여 농기계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깔개(10)를 일 측방으로 강하게 제거함에 있어서, 상기 모판(1) 저면의 상기 통공(H)과 상기 미세격자무늬(12)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뿌리를 내리는 모의 뿌리가 절단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깔개(10)의 상기 깔개제거부(A)를 밑으로 절첩하여 일 측방으로 제거할 시, 도 5 도시와 같이 농기계와 연동되는 일 측단(A1)이 밑으로 절첩되어 끌어당겨지고, 이때 상기 깔개(10)가 당겨지면서 절첩부(G)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빠르게 이동되며, 절첩부의 상측 또는 하측이 상기 미세격자무늬(12)를 관통하는 모뿌리 층을 순간적으로 가위질함으로써 절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깔개(10)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모판(1)은 자연스럽게 들뜨게 됨과 동시에, 논에 깊이 뿌리내린 모의 뿌리가 일정 길이를 갖게 절단되어 상기 모판(1)을 본 논으로 옮겨 심기 위해 옮기거나 이앙기 등에 싣기 쉽게 된다.
한편, 상기 깔개(10)를 일 측방으로 제거할 시, 논에 채워진 물에 의해 장기간 노출됨으로 노후화되고, 따라서 상기 깔개(10)를 제거할 시 힘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깔개(10)의 길이방향 양 측단 및 중앙 측에 일정 폭을 갖는 상기 보강부(20)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보강부(20)는 상기 미세격자무늬(12)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줄(11)을 이중 또는 그 이상을 밀집하여 접착함으로, 해당 부위의 강도를 높인 것이다.
상기 보강부(20)의 바른 실시 예로서 상기 줄(11)을 이중 또는 그 이상을 밀집하여 접착시킨 것으로 명시되었으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강성이 우수한 별도의 재질을 사용하여 구비되어도 무관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모내기용 모판깔개 및 모판깔개를 이용한 모내기 법의 사용으로, 모판을 사용한 모내기를 실시함에 있어서, 모를 본논에 옮겨심기 위해 모판을 들어올릴 시, 모의 뿌리 중 모판의 저면을 통과해 논에 뿌리 내린 일정 길이를 절단함으로 모판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모판을 들어올리기 위한 작업시간의 감소와 모의 손상을 줄여 건강한 모의 량을 증대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 벼수확량을 늘려 농가의 수익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4)

  1. 모판을 사용한 모내기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양측 및 중심측에 보강부(20)를 구비하는 깔개(10)를 못자리에 펼쳐서 까는 제 1단계와;
    상기 깔개(10)의 상면에 모판(1)을 전후 및 좌우측으로 다수 밀착하여 구비하며, 상기 깔개(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일정 폭의 깔개제거부(A)를 형성하고, 상기 모판(1)에 일정 량의 모를 파종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모판(1)에 파종된 모를 일정 기간 기른 후 본 논에 이양할 시, 상기 모판(1)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깔개(10)의 상기 깔개제거부(A)의 일 측단(A1)을 밑으로 접어서 절첩하며, 밑으로 절첩된 상기 측단(A1)을 매듭지어 매듭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매듭부(30A)를 로프 등에 연결하는 제 3단계 및;
    로프의 타 측단은 농기계와 연동시켜 농기계의 힘으로 상기 깔개(10)를 끌어당김으로 절첩부가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빠르게 이송되어 가위질되어 제거되게 한 제 4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2. 모판(1)의 저면과 못자리 간에 구비되는 다수의 줄(11)을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그물망형 미세격자무늬(12)를 형성시킨 깔개(10)와;
    상기 깔개(10)의 양 측단 및 중앙 측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보강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깔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깔개(10)의 일 측 또는 양 측단을 말아서 매듭지어 고리를 형성한 매듭부(30A)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깔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20)는 상기 깔개(10)의 상기 줄(11) 수를 길이방향으로 배가하여 조밀하게 접착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깔개.
KR1020060038193A 2006-04-27 2006-04-27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KR10079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193A KR100794577B1 (ko) 2006-04-27 2006-04-27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193A KR100794577B1 (ko) 2006-04-27 2006-04-27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408U Division KR200432494Y1 (ko) 2006-04-27 2006-04-27 모내기용 모판깔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577B1 true KR100794577B1 (ko) 2008-01-17

Family

ID=3921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193A KR100794577B1 (ko) 2006-04-27 2006-04-27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37B1 (ko) 2013-07-31 2014-01-03 주식회사 장 자동화 종류가 상이한 식물종자가 부착되는 종자붙임 멀칭재 제조 방법 및 종자붙임 멀칭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69Y1 (ko) 1999-09-20 2000-02-15 안병익 모판 분리구
KR20000005606U (ko) * 1998-08-27 2000-03-25 조종식 모판 탈착기
KR200195657Y1 (ko) 2000-04-19 2000-09-01 박종현 모판에서 모분리를 위한 차단 비닐판
KR20030070749A (ko) * 2002-02-26 2003-09-02 정광진 볍씨종자가 파종되어 있는 육묘상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606U (ko) * 1998-08-27 2000-03-25 조종식 모판 탈착기
KR200170469Y1 (ko) 1999-09-20 2000-02-15 안병익 모판 분리구
KR200195657Y1 (ko) 2000-04-19 2000-09-01 박종현 모판에서 모분리를 위한 차단 비닐판
KR20030070749A (ko) * 2002-02-26 2003-09-02 정광진 볍씨종자가 파종되어 있는 육묘상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37B1 (ko) 2013-07-31 2014-01-03 주식회사 장 자동화 종류가 상이한 식물종자가 부착되는 종자붙임 멀칭재 제조 방법 및 종자붙임 멀칭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70537B (zh) 油菜移栽法及专用移栽机
KR101645458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고설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재배방법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101645455B1 (ko)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CN102907228A (zh) 一种油菜毯状苗培育方法
KR101823253B1 (ko)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JP6035653B2 (ja) 野菜栽培器具
KR20120002016U (ko) 잡초생장 억제기능을 갖는 식물모종 덮개용 패드
KR100794577B1 (ko) 육묘된 모내기용 모판 제거법 및 모판깔개
KR200432494Y1 (ko) 모내기용 모판깔개
CN106888640B (zh) 杂交稻分蘖大苗插秧机单本插植分苗方法
KR100841897B1 (ko) 육묘용 상자
KR102009570B1 (ko) 잡초방지 및 수확을 위한 다기능 그물
KR200309796Y1 (ko) 산파용 개량 육묘상자
CN112690165A (zh) 一种标准化蓝莓种植方法及辅助装置
JP5763357B2 (ja) 混合して種子を植えるシート
CN206923350U (zh) 种植杯及其种植装置
JP2001224244A (ja) 育苗方法及び育苗施設
KR200242455Y1 (ko)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CN110326495B (zh) 一种苎麻种植和收获方法
KR100423104B1 (ko) 산파모용 볍씨 육묘상자
JP3074673U (ja) 育苗・深植え移植容器
CN218831431U (zh) 一种可供番茄育苗直接移栽的组装式育苗盆
KR200407156Y1 (ko) 육묘상자 어셈블리
CN202184075U (zh) 一种区域性除草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