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864B1 -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 Google Patents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864B1
KR102658864B1 KR1020210171620A KR20210171620A KR102658864B1 KR 102658864 B1 KR102658864 B1 KR 102658864B1 KR 1020210171620 A KR1020210171620 A KR 1020210171620A KR 20210171620 A KR20210171620 A KR 20210171620A KR 102658864 B1 KR102658864 B1 KR 10265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hell
film
culture
fil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3537A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864B1/ko
Priority to PCT/KR2021/019048 priority patent/WO2023101085A1/ko
Publication of KR2023008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시 패각들 간의 간격을 좁혀서 배양 수조 안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채묘시 김 패각 사상체들 간의 간격을 넓히고 절취한 후 김 양식망에 김 패각 사상체들을 소정의 이격거리로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 패각 사상체들로부터 방출되는 김 종자가 김 양식망에 균일하게 채묘되어 김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 양식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Seaweed shell conchocelis culture film}
본 발명은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시 패각들 간의 간격을 좁혀서 배양 수조 안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채묘시 김 패각 사상체들 간의 간격을 넓히고 절취한 후 김 양식망에 김 패각 사상체들을 소정의 이격거리로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 패각 사상체들로부터 방출되는 김 종자가 김 양식망에 균일하게 채묘되어 김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김 양식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은 산업적으로 가치 있는 해조류로 매년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김 양식 분야에서도 기술적인 진보를 요구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김 양식은 김 종자의 씨앗인 유리 사상체를 배양한 후 패각에 유리 사상체를 잠입시켜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하고, 배양이 완료된 김 패각 사상체를 김 양식망에 부착시켜 해상에서 채묘하며, 김 종자가 채묘된 김 양식망을 통해 김 양식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김 양식을 위한 작업은 김의 엽체에서 방출되는 접합포자로 유리 사상체를 배양하는 작업, 배양을 위한 수조에 다수의 패각을 촘촘하게 나열하는 작업, 패각이 나열된 배양 수조에 유리 사상체가 포함된 배양액을 살포한 후 패각에 유리 사상체가 잠입되도록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하는 작업, 김 패각 사상체 배양중 장기간 배양액에 담겨지는 패각들에 형성되는 물 때, 이끼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고압 분무를 통해 김 패각 사상체를 세척하는 작업, 배양이 완료된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 수조에서 꺼내서 담아 포장하여 채묘하기 위한 장소로 이송하는 작업, 이송된 김 패각 사상체들을 복수 겹으로 겹쳐진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작업, 김 패각 사상체가 부착된 김 양식망을 큰 봉투에 담아 해상에 설치함으로써, 김 패각 사상체로부터 방출되는 김 종자가 김 양식망에 붙도록 채묘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위와 같은 김 양식 작업은 정교한 작업이 요구되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김 패각 사상체 배양을 위해 배양 수조에 패각들을 나열할 경우, 최대한의 패각을 배양 수조에 넣기 위해 패각들을 촘촘하게 나열해야할 뿐만 아니라 세척시 이물질들이 물에 흘러나갈 수 있도록 소정 정도 겹쳐서 배열해야 하는 높은 작업 난이도의 일을 수행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높은 숙련도의 작업자가 요구되며, 나열된 패각들의 겹쳐진 면(약 35%~50%)은 빛에 노출되지 않아 김 패각 사상체 배양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패각의 허비량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김 패각 사상체를 세척할 경우, 고압 분무 방식으로 인해 나열된 패각이 흐트러지거나 이탈하게 되어 다시 수작업으로 재배열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중 작업이 요구되어 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은 종래의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김 패각 사상체를 채묘를 위해 김 양식망에 부착시킬 경우, 종래에는 다수의 김 패각 사상체를 김 양식망에 살포하였으나, 이는 김 패각 사상체가 김 양식망에 고정되지 않고 해류에 의해 움직여서 김 양식망에 김 종자가 고르게 채묘되지 않기 때문에 김 양식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망을 활용하여 김 패각 사상체를 김 양식망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2는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김 패각 사상체가 일렬로 배치되어 들어갈 수 있는 복수 개의 망을 김 양식망에 일정 이격거리를 갖도록 고정시켰으나, 이 또한 다수 개의 김 패각 사상체가 해류에 의해 각 망안에서 망 중앙으로 밀집될 가능성이 있어 위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공정을 간소화하여 최소한의 시간과 인력으로 김 양식 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균일하게 김 종자 채묘가 가능하여 김 양식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5851호(2006.05.08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16932호(1998.06.05 공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1604호(2005.08.04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김 양식 공정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할 수 있어 김 양식 공정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김 종자 채묘가 가능하여 김 양식 생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패각이 부착되어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할 수 있고 김 양식망에 부착하여 채묘할 수 있는 필름으로, 상기 필름:은 양단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손잡이부; 다수 개의 패각을 종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도록 구획된 영역이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패각 배치부;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패각 배치부 사이 및 서로 인전합 복수 개의 패각 배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복수 개의 접힘부; 및 일단에서 타단까지 횡방향으로 상기 필름을 절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패각 배치부에 배치되는 패각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영역이 구획되게 종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 제1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절취선을 따라 복수 개의 단일필름으로 분할되며, 각 단일필름의 손잡이부는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취할 수 있는 제2 절취선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김 패각 사상체 배양시 각 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접은 상태로 소정의 열을 가해 녹여서 서로 접합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횡방향 길이는 5cm ~ 40cm 사이 길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각 배치부는 패각을 고정시키기 위한 실 또는 끈과 같은 고정 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에 의하면, 배양 수조 안에 다수의 패각들을 일정 간격으로 촘촘하게 나열되도록 접힘부를 접어서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할 수 있고, 배양이 완료된 후 필름 그대로 채묘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송된 필름을 펼치고 절취하여 김 양식망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각각 부착한 후 채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과 노동력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에 의하면, 다수의 패각들을 서로 겹치지 않고 촘촘하게 배열되도록 필름에 고정시켜 배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각의 표면 전체가 고르게 빛에 노출되어 허비되는 패각 없이 많은 양의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할 수 있고, 김 패각 사상체에 고압 분무 세척할 경우, 패각이 움직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패각을 배양 수조에 재배열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어 편리한 세척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는 채묘하는 방식에 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이 채묘를 위한 김 양식망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은 다수의 패각(10)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여 김 종자를 배양할 수 있고, 김 종자가 배양된 다수의 패각(10)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펼치고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취하여 김 양식망(1)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고정하여 채묘할 수 있는 필름으로, 손잡이부(110), 패각 배치부(120), 접힘부(130) 및 제1 절취선(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류 소재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은 채묘를 위해 펼쳤을 경우, 횡방향의 길이가 상기 김 양식망(1)에 묶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김 양식망(1)의 횡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보다 소정 길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종방향의 길이는 배양을 위한 수조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은 일반적으로 1책(1.8m × 40m)인 김 양식망(1)에 고정시키기 위해 횡방향의 길이가 약 2m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상기 필름(100)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작업자가 파지하여 이송하거나, 상기 필름(100)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패각 배치부(120)는 다수 개의 패각(10)을 고정하여 부착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패각(10)은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실 또는 끈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묶어서 부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친환경 접착제 또는 암, 수로 구분된 체결 수단 등에 의해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고정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각 배치부(120)는 상기 필름(100)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110) 사이에서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획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각 배치부(120)는 상기 다수 개의 패각(10)을 상기 필름(100)의 종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패각(10)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폭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패각(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끈 또는 실과 같은 고정 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힘부(130)는 상기 필름(100)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110)와 인접한 상기 패각 배치부(120) 사이 및 서로 인접한 복수 개의 패각 배치부(120) 사이마다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힘부(130)는 상기 복수 개의 패각 배치부(120)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접었다 펼 수 있도록 접는 선(131)이 형성되며, 상기 접는 선(131)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접힘부(130)는 횡방향의 길이가 5cm ~ 40c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패각 사상체로부터 김 종자가 각 방향으로 방출되는 거리(약 15c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부(130)는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은 상태에서 열을 가해 녹여서 접합시키는 방법, 스템플러로 고정시키는 방법, 미세한 실로 미싱하여 고정시키는 방법 및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김 패각 사상체 배양시 접은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각 방법에 의해 접합된 접힘부(130)는 보통의 사람이 힘을 가했을 경우 떨어질 수 있을 정도로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힘부(130)는 접착제를 통해 접합될 경우, 상기 일면과 타면 중 어느 한 면에 소정의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일면과 타면 중 어느 한 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은 상기 일면과 타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접은 후, 상기 일면과 타면의 각 반대면 중 어느 한 면이 상기 필름(10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접어서 평평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100)은 상기 접힘부(130)가 위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며, 이에 상기 접힘부(130)가 접힌 상태로 고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양 필름(100)은 김 종자를 패각(10)에 배양하는 공정에서 배양을 위한 수조 안에 다수의 패각(10)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상기 접힘부(130)를 접어서 상기 패각 배치부(120)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취선(140)은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일렬로 배치된 패각(10)들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획하여 절취하기 위한 절취선으로, 횡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필름(100)을 절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취선(140)은 상기 필름(100)의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세하게는 상기 패각(10)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절취선(140)을 따라 절취되어 복수 개의 단일필름(100A1,100A2,…,100An)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일필름(100A1,100A2,…,100An)은 각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절취하기 위한 제2 절취선(1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취선(150)은 양 손잡이부(110)가 종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절취선(150)을 기준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취선(150)은 상기 김 양식망(1)에 양단의 틀에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절취선(140,150)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보통의 사람이 힘을 가해 절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이 채묘를 위한 김 양식망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의 사용 방법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다수의 패각(10)을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부착하고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하기 위한 수조에 넣어서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한다.
여기서,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실 또는 끈이 관통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패각(10)들을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실 또는 끈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실 또는 끈이 관통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스템플러와 같은 고정부재를 상기 패각(10)과 상기 필름(100)에 동시에 타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김 패각 사상체를 고압 분무 방식으로 세척시 배양 수조에 배치된 패각(10)들이 흐트러지거나 이탈되지 않아 별도의 나열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100)의 접힘부(130)가 접힌 상태로 고정되어 제공될 경우, 그대로 배양 수조에 넣어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하며, 상기 필름(100)의 접힘부(130)가 접힌 상태로 고정되지 않고 제공될 경우, 상기 다수의 패각(10)을 상기 패각 배치부(120)에 부착하기 전, 상기 접힘부(130)를 접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배양이 완료된 김 패각 사상체들이 부착된 필름(100)은 배양 상태 그대로 포장 상자 등에 담아 채묘 장소로 이송시킨다.
다음, 이송된 필름(100)은 김 양식망에 부착시키기 위해 양 손잡이부(110)를 각각 외측으로 잡아당겨 접혀있는 접힘부(130)를 펼친 후, 펼쳐진 필름(100)을 상기 복수 개의 제1 절취선(140)을 따라 절취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일필름(100A1,100A2,…,100An)으로 각각 분리한다.
다음, 상기 김 양식망(1)에 각각의 단일필름(100A1,100A2,…,100An)을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해 양 손잡이부(110)에 형성된 제2 절취선(150)을 따라 두 가닥으로 분리되도록 절취한다.
다음, 각각의 단일필름(100A1,100A2,…,100An)을 상기 김 양식망(1)의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배치하고, 상기 두 가닥으로 분리된 손잡이부(110)로 상기 김 양식망(1)의 양 단에 매듭지어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단일필름(100A1,100A2,…,100An)은 상기 김 양식망(1)에 20cm ~ 40cm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김 패각 사상체는 상기 김 양식망(1)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바둑판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김 패각 사상체에서 방출되는 김 종자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김 양식망(1)에 채묘될 수 있어 김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100)은 김 양식 공정에 따라 상기 접힘부(130)를 접었다 펼 수 있어 부착된 다수의 패각(10) 간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간소화할 수 있어 김 양식 공정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 시간과 인건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김 양식망 10 : 패각
100 :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110 : 손잡이부
120 : 패각 배치부 130 : 접힘부
131 : 접는 선 140 : 제1 절취선
150 : 제2 절취선

Claims (5)

  1. 다수 개의 패각이 부착되어 김 패각 사상체를 배양할 수 있고 김 양식망에 부착하여 채묘할 수 있는 필름으로,
    상기 필름:은
    양단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손잡이부;
    다수 개의 패각을 종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도록 구획된 영역이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패각 배치부;
    상기 손잡이부와 인접한 패각 배치부 사이 및 서로 인전합 복수 개의 패각 배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각각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접는 선을 기준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복수 개의 접힘부; 및
    일단에서 타단까지 횡방향으로 상기 필름을 절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패각 배치부에 배치되는 패각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영역이 구획되게 종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 제1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절취선을 따라 복수 개의 단일필름으로 분할되며,
    각 단일필름의 손잡이부는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 절취할 수 있는 제2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접는 선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으로 구획되며,
    김 패각 사상체 배양시 각 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접은 상태로 소정의 열을 가해 녹여서 서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횡방향 길이는 5cm ~ 40cm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각 배치부는 패각을 고정시키기 위한 실 또는 끈과 같은 고정 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KR1020210171620A 2021-12-03 2021-12-03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KR10265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620A KR102658864B1 (ko) 2021-12-03 2021-12-03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PCT/KR2021/019048 WO2023101085A1 (ko) 2021-12-03 2021-12-15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620A KR102658864B1 (ko) 2021-12-03 2021-12-03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537A KR20230083537A (ko) 2023-06-12
KR102658864B1 true KR102658864B1 (ko) 2024-04-18

Family

ID=8661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620A KR102658864B1 (ko) 2021-12-03 2021-12-03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8864B1 (ko)
WO (1) WO202310108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525B1 (ko) 2018-06-07 2019-01-04 이승환 각포자 종묘 배양망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772U (ja) * 1984-08-13 1986-03-08 田中 保 海苔育成用の貝殻付着マツト
JPH0563260U (ja) * 1992-01-31 1993-08-24 ニチモウ株式会社 採苗器
KR19980016932A (ko) 1996-08-30 1998-06-05 정병용 패각 진주층을 이용한 김사상체의 종묘배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91604Y1 (ko) 2005-05-06 2005-08-04 이상화 김 양식용 수하식 채묘장치
KR200415851Y1 (ko) 2006-02-17 2006-05-08 이상화 수하식 사상체 배양장치
KR20100043039A (ko) * 2010-02-26 2010-04-27 황인영 평판접이식 전복양식쉘터
KR101383911B1 (ko) * 2012-06-22 2014-04-14 엄성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525B1 (ko) 2018-06-07 2019-01-04 이승환 각포자 종묘 배양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537A (ko) 2023-06-12
WO2023101085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9382B2 (ja) 水栽培法及びその実施装置
US20080209805A1 (en) Wall Planted with Vegetation and Constituent Elements
WO2017163745A1 (ja) 植物栽培方法および植物栽培装置
KR102658864B1 (ko) 김 패각 사상체 배양 필름
CN1943310A (zh) 植物播种与机械化移栽成套新农艺
US3834074A (en) Seedling grower and method of planting seedling cultivated in the seedling grower
EP0434900B1 (de) Flächenhafter Saatträger mit einer unteren und einer oberen Bahn zum Aufkleben von Samenkörnern
US202100299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growing crops with non-fibrous and non-consumable media
US3757468A (en) Seedling grower and method of planting seedling cultivated in the seedling grower
JP3521293B2 (ja)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JPH02104216A (ja) 芝の移植方法及び同用巻ロール製品
JP6574536B1 (ja) 縦型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縦型水耕栽培方法
JPH08266162A (ja) 育苗移植用連続集合鉢
KR20230090494A (ko) 김 패각 사상체가 구비된 김 양식 채묘봉투
JP3464885B2 (ja) 高設栽培容器
NL9401236A (nl) Substraat en werkwijze voor meermalige teelt.
JPH08172948A (ja) 水耕栽培部材、水耕栽培装置、及び水耕栽培方法
KR100915935B1 (ko) 식생용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3311310B2 (ja) 栽培用補助具
JP2000226852A (ja) 緑化用の植生ネットと植生基体構成用のネット及び植生基体と植生袋
JP2000300087A (ja) 水稲の育成方法及び水稲の育成方法に用いる不織布
TW404815B (en) A highly equipment cultivated container
JPH09224469A (ja) トマトの養液栽培方法及び養液栽培用設備
EP0814649B1 (en) Plant growing
JP3464884B2 (ja) 高設栽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