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711A -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 Google Patents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711A
KR20230087711A KR1020210176186A KR20210176186A KR20230087711A KR 20230087711 A KR20230087711 A KR 20230087711A KR 1020210176186 A KR1020210176186 A KR 1020210176186A KR 20210176186 A KR20210176186 A KR 20210176186A KR 20230087711 A KR20230087711 A KR 2023008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bolt
bolted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송
김민규
신동윤
양재근
최종열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711A/ko
Publication of KR2023008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몸체부; 일측면에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Bolted-type reinforcing tying line}
본 발명은,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공사에서 수행되는 철근 배근 작업 시 철근들을 결속하도록 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축조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수용되는 철근배근 작업 중 철근들의 교차지점을 견속하는 방법에는 가스 압점, 커플러 공법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을 교차 결속하는 방법 관련하여서는, 시방서 내에 명확한 규정이 없기에 결속 작업 시 작업자와 관리자 간에 불필요한 마찰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 작업 완료시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한편, 철근 결속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자동결속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자동결속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결속의 편의성은 향상되나, 가격대가 비싸며, 전용 철근결속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4231호(발명의 명칭 : 철근 결합용 자동 결속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자동화 기계 없이 단순한 작업으로 견고한 결속이 되도록 하여 철근 작업을 수월하게 하도록 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몸체부; 일측면에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는, 철재소재로 된다.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삽입홀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도록 구비된 볼트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삽입홀의 내벽에 상기 볼트몸체가 상기 몸체부를 가압 시 상기 몸체부 일부가 수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은, 직경이 상기 볼트몸체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에 의하면, 몸체부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삽입되는 결합부 내부에 결합되는 볼트부재를 통해 별도의 자동화 기계 없이 단순한 작업으로 몸체부와 결합부가 견고한 결속이 되도록 하여 철근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부에 몸체부가 유입되어 볼트부재로부터 가압되기 전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결합부에 몸체부가 유입되어 볼트부재로부터 가압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100)은 몸체부(110), 결합부(120), 볼트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결속대상체(미도시)를 묶어주는 부분으로서 복수개의 돌출 형성된 돌기(111)를 구비하고 철재소재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결합부(120)에 결합이 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11)는 원형 및 다각형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철재소재의 상기 몸체부(110)는 탄소강(carbon steel), 스테인리스강(stainless)으로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110)는 철재소재로 형성이 되므로, 플라스틱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130)로부터 가압 시 높은 강성으로 압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0)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일측면에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이 필요에 맞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홀(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홀(1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부(120)는 타측면에 상기 볼트부재(130)가 관통되는 제2삽입홀(122)과, 상기 제1삽입홀(121)의 내벽에 상기 볼트부재(130)가 상기 제2삽입홀(122)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가 수용되는 안착홈(123)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이 상기 제1삽입홀(121)을 통해 삽입 시 상기 제2삽입홀(122)을 통한 상기 볼트부재(130)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가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안착홈(123)에 안착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가 상기 볼트부재(130)에 의하여 가압되며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결합부(12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는 상기 제2삽입홀(122)을 통한 상기 볼트부재(130)의 가압으로 상기 안착홈(123)에 안착되는 경우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일부부위돌기(111a)가 상기 안착홈(123)과의 접촉으로 마찰력이 크게 증대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결합부(120)는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130)는 상기 제2삽입홀(122)을 통해 상기 결합부(12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가압시킨다.
상기 볼트부재(130)는 볼트머리(131), 볼트몸체(132)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머리(131)는, 상기 볼트몸체(132)의 일단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120)의 외측면에 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볼트몸체(132)는 일단이 상기 볼트머리(131)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120)의 외측에서 상기 제2삽입홀(122)을 통해 삽입되어 타단이 상기 제1삽입홀(121)의 내부로 관통 및 삽입된 상기 몸체부(110)를 가압한다.
상기 볼트몸체(132)는, 사용자가 상기 볼트머리(131)를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몸체부(110) 측으로 전진하며,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를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안착홈(123)에 수용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123)은 직경이 상기 볼트몸체(13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볼트몸체(132)는 상기 안착홈(123)에 가압 시 가압력이 알맞게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가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안착홈(123)에 수용되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부재(130)는 상기 볼트머리(131)로부터 상기 볼트몸체(132)에 가압력이 전달되는 경우 철재소재로 된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가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안착홈(123)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결합부(120)가 견고한 결속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100)는 상기 볼트부재(130)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일부부위(110a)가 가압이 되어 상기 안착홈(123)에 안착으로 별도의 철속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결합부(120)가 견고한 결속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기에 철근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100)에 의하면, 철재소재로 된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삽입되는 결합부(120) 내부에 결합되는 상기 볼트부재(130)를 통해 별도의 자동화 기계 없이 단순한 작업으로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결합부(120)가 견고한 결속이 되도록 하여 철근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100 :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110 : 몸체부
110a: 일부부위 111 : 돌기
111a: 일부부위돌기 120 : 결합부
121 : 제1삽입홀 122 : 제2삽입홀
123 : 안착홈 130 : 볼트부재
131 : 볼트머리 132 : 볼트몸체

Claims (5)

  1.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몸체부;
    일측면에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철재소재인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삽입홀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도록 구비된 볼트몸체를 포함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삽입홀의 내벽에 상기 볼트몸체가 상기 몸체부를 가압 시 상기 몸체부 일부가 수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직경이 상기 볼트몸체보다 크게 형성되는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KR1020210176186A 2021-12-10 2021-12-10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KR20230087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86A KR20230087711A (ko) 2021-12-10 2021-12-10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86A KR20230087711A (ko) 2021-12-10 2021-12-10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11A true KR20230087711A (ko) 2023-06-19

Family

ID=8698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186A KR20230087711A (ko) 2021-12-10 2021-12-10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7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231A (ko) 2004-07-09 2006-01-12 김용수 철근 결합용 자동 결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231A (ko) 2004-07-09 2006-01-12 김용수 철근 결합용 자동 결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14182A (zh) 连接钢条的单触式快速接头
KR20190000226U (ko)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JP2006515393A (ja) 鉄筋連結具
KR20230087711A (ko) 볼트체결형 철근결속선
KR102221614B1 (ko)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0309611B1 (ko) 철근 연결구
KR20190125896A (ko) 철근용 커플러
CN211473402U (zh) 一种自锁式建筑模板连接紧固装置
JP2008267096A (ja) 杭用メカニカルジョイント
CN210395397U (zh) 连接组件及桩基础组合构件
KR101187379B1 (ko) 나사 체결식 철근 결속장치
KR100791250B1 (ko) 자석이 구비된 망치자루
KR102462093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장치
KR100849742B1 (ko) 철근 커플러
KR101003981B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200308578Y1 (ko) 철근 연결구
JP3218652U (ja) 鉄筋連結器
JPH10115048A (ja) 鉄筋用連結具
KR200262338Y1 (ko) 철근 결속구
JP4234085B2 (ja) 場所打ち杭の杭頭処理方法、および杭頭処理具
KR20080081774A (ko) 망치용 자루
KR102250239B1 (ko)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WO2004079119A1 (en) Reinforcing bar coupler
EP1753107B1 (en) Clamping piece
KR20080095154A (ko) 망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