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239B1 -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239B1
KR102250239B1 KR1020200114116A KR20200114116A KR102250239B1 KR 102250239 B1 KR102250239 B1 KR 102250239B1 KR 1020200114116 A KR1020200114116 A KR 1020200114116A KR 20200114116 A KR20200114116 A KR 20200114116A KR 102250239 B1 KR102250239 B1 KR 10225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oupler
ring
reinforcing bars
taper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석 filed Critical 정현석
Priority to KR102020011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 F16B7/02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with the expansion of an element inside the tubes due to axial movement towards a wedge or conic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양측에서 제1,2 철근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마련되고, 외주면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외측에 수용 테이퍼면이 형성된 복수의 가압키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 및 일측 내주면에 가압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체결됨으로써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키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2 철근에 체결력을 가하는 한 쌍의 조임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체적으로 부속의 수를 절감하고, 형상을 단순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안정적인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oupler for Rebar Connection with Secured Assembly and Stability}
본 발명은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에는 양측으로 제1,2 철근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마련되고, 외주면 양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외측에 수용 테이퍼면이 형성된 복수의 가압키가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가압부가 마련되고, 몸체부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조임쇠는 내측에 구비된 가압키가 가압될 수 있도록 일측 내주면에 가압 테이퍼면이 형성된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압축재로 활용되는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장재인 철근이 다량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철근은 생산과정에서 그 길이를 일정이하로 제한할 수밖에 없으므로 연속적인 철근 배근을 위하여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결속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대표적인 철근의 결속방법으로는 철근을 상호 겹치고, 철사와 같은 결속선을 복수의 개소에서 권취함으로써 상호 이음하는 겹침이음 방식, 철근의 단면을 불꽃 등으로 가열하고,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호 접합하는 가스압접 방식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에 나사산을 탭 가공하고,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암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종래의 커플러 방식이 있다.
그러나, 겹침이음 방식은 소구경의 철근이음에 국한되고, 콘크리트 타설이나 작업 하중에 의하여 이음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스압접 방식은 기후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작업자의 기능이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쳐 균질성과 시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플러 방식은 철근의 단면에 손실이 발생하고, 탭 가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철근 결속방법들이 지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커플러 자체의 조임만으로도 한 쌍의 철근이 효과적으로 가압 고정되도록 구현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0867호 "고강도 원터치 철근 커플러"(2015. 11. 16.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커플러 본체(1)를 구비하여 양측 중공부를 통하여 철근을 삽입하되, 각각의 커플러 본체(1)의 내주면에 테이퍼면을 통한 가압 결합이 가능하도록 분할된 조임유닛(2)이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 본체(1)와 조임유닛(2)에 각각 형성된 테이퍼면이 상호 맞닿은 상태로 슬리브(3)가 체결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구현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분할된 조임유닛(2)을 일체로 거동시키기 위한 결속링(4)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제작의 비효율이 야기되었으며, 결속링(4)이 구비되더라도 복수의 조임유닛(2)들이 커플러 본체(1)의 내부에서 방사상 또는 길이방향으로 불규칙적인 유동을 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편중됨으로써 일정한 체결력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기술들은 충분한 체결력이 확보된 것인지 확인이 곤란한 한계가 있었으며, 부속의 개수와 형상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으며, 기계적 결함이 발생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플러를 구성하는 부속의 형상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부속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며, 부속간의 간섭이나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자나 도구의 선택에 따른 오차의 발생 없이 안정적인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양측에서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부(110)가 마련되고, 외주면 양측에 나사산(120)이 형성되며, 양단에는 키 삽입부(130)가 형성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측에 수용 테이퍼면(211)이 형성되고, 키 삽입부(130)에 구비되도록 삽입 돌기(212)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압키(210)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200); 및 일측 내주면에 가압 테이퍼면(310)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 나사산(32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체결됨으로써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키(210)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2 철근(R1)(R2)에 체결력을 가하는 한 쌍의 조임쇠(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200)의 복수의 가압키(210)는 수용 테이퍼면(211)의 일측에 제1 링홈(213)이 형성되어 제1 탄성링(410)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2 링홈(214)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탄성링(420)이 구비되어 복수의 가압키(210)가 상호 결속되며, 상기 복수의 가압키(210)는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가압키(210)는 제1 링홈(213)과 제2 링홈(214)이 양 측면에 연장되어 각각 제1 측면홈(215)과 제2 측면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링(410)과 제2 탄성링(420)도 상기 제1,2 링홈(213)(214)과 제1,2 측면홈(215)(216)에 구비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2 라운드부(411)(421) 및 측면의 제1,2 가이드부(412)(4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키 삽입부(130)의 내측면에는 제1 가이드 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돌기(212)의 내측면에는 제2 가이드 경사면(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삽입부(130)의 폭(w)이 삽입 돌기(212)의 두께(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 탄성링(410)과 제2 탄성링(420)은 동일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링(410) 보다 제2 탄성링(420)의 단면적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키(210)의 수용 테이퍼면(211)과 상기 조임쇠(300)의 가압 테이퍼면(310) 사이에는 일정 간격(g)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 테이퍼면(211)과 가압 테이퍼면(310) 사이에는 소정의 연성을 지니는 원추링(5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에 의하면, 몸체부, 복수의 가압키로 구성된 가압부 및 조임쇠가 상호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부속의 수를 절감하고, 형상을 단순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는 키 삽입부가 형성되어 가압키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 돌기가 삽입되고, 복수의 가압키는 제1,2 탄성링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므로 조립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과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키의 양 측면에 연장되도록 제1,2 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탄성링이 상기 제1,2 측면홈에 구비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체결 과정에서 개별 가압키의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자나 도구의 선택에 따른 오차의 발생 없이 안정적인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키 삽입부의 폭이 삽입 돌기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키의 수용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쇠의 가압 테이퍼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부속간의 조립이 보다 용이함은 물론, 몸체부에 제1,2 철근을 구비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 테이퍼면과 가압 테이퍼면 사이에는 소정의 연성을 지니는 원추링이 구비되므로, 시공성을 확보하면서도 원추링의 연성 변형을 바탕으로 체결 과정에서 안정적인 체결력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커플러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체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체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가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가압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와 탄성링이 (a) 상호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및 (b) 상호 체결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가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조임쇠가 (a) 분리된 상태 및 (b)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하여 철근을 체결하는 상태를 (a) 조임쇠 체결 전과 (b) 체결 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철근(R1)(R2)을 길이방향으로 연속 결속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서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심에 배치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 외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가압키(210)로 구성되는 가압부(200) 그리고 복수의 가압키(21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조임쇠(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내측'은 커플러(C)에 의하여 체결되는 제1,2 철근(R1)(R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은 상기 철근(R1)(R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양측에서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부(110)가 마련되고, 외주면 양측에는 나사산(120)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쇠(30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중공부(110)의 직경은 삽입되는 한 쌍의 철근(R1)(R2)과 동일하거나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과도하게 큰 직경을 지니는 경우에는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1,2 철근(R1)(R2)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하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는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에는 일측과 타측으로 중공부(110)가 분리되도록 스토퍼(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40)는 양측에서 삽입되는 철근(R1)(R2)이 특정 위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정위치를 특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 중심에는 철근(R1)(R2)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게이터 홀(150)이 내주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기 인디게이터 홀(150)을 바탕으로 몸체부(100)에 삽입된 제1,2 철근(R1)(R2)이 정위치에 구비된 것인지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한 후에 조임쇠(30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 철근(R1)(R2)을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가압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200)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압키(210)로 구성되며, 각각의 가압키(210)는 외측에 수용 테이퍼면(2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테이퍼면(211)은 몸체부(100)의 중심을 향하여 외측으로 점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조임쇠(300)의 내주면에 의하여 내측으로 가압되어진다.
상기 조임쇠(300)는 타측 내주면에는 나사산(32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체결되어 몸체부(100)의 중심으로 점진 이동될 수 있으며, 일측 내주면에는 가압 테이퍼면(310)이 형성되어 내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키(210)의 수용 테이퍼면(211)과 맞닿으므로써 가압키(210)를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가압키(210)에 의하여 상기 제1,2 철근(R1)(R2)에 소정의 체결력이 가해지고, 한 쌍의 제1,2 체결(R1)(R2)은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C)를 매개로 상호 결속되어진다. 이때, 개별 가압키(210)의 수용 테이퍼면(211)에 대향되는 내측에는 복수의 체결죠(217)가 형성되어 철근(R1)(R2)과의 맞물림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쇠(300)는 나사산(320)이 형성되는 내주면은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나, 가압 테이퍼면(310)이 형성되는 내주면은 몸체부(10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전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 테이퍼면(310)은 나사산(320)이 형성되는 부분과 동일한 직경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테이퍼면(310)에는 페이스트가 주입될 수 있도록 페이스트 주입공(330)이 형성되어 철근(R1)(R2)과 커플러(C)의 추가적인 결속력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에는 키 삽입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키(210)의 일측 단부에는 삽입 돌기(212)가 형성되어 상기 키 삽입부(130)에 삽입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키 삽입부(130)는 원형으로 마련되어 개별 가압키(210)의 삽입 돌기(210)가 각각 방사상으로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가압키(210)의 삽입 돌기(2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복수의 키 십입부(130)가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키 삽입부(130)은 일차적으로 체결과정에서 가압키(210)가 길이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며, 추가적으로 삽입돌기(212)가 키 삽입부(130)에 안착되므로 내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삽입부(130)와 개별 가압키(210)는 상기 키 삽입부(130)의 내측면에는 제1 가이드 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돌기(212)의 내측면에는 제2 가이드 경사면(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가이드 경사면(131)(212a)은 대응되는 경사각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별 가압키(210)를 포함하는 가압부(200)를 몸체부(100)의 양 단에 구비함에 있어서 키 삽입부(130)에 삽입 돌기(212)가 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제1,2 가이드 경사면(131)(212a)이 안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부속간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200)의 개별 가압키(210)는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므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개별 가압키(210)를 몸체부(100)에 안정적으로 구비하는 것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복수의 개별 가압키(210)를 구속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2 탄성링(410)(420)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압부(200)를 구성하는 개별 가압키(210)의 수용 테이퍼면(211)의 일측에는 제1 링홈(213)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링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링홈(213)(214)에 각각 제1,2 탄성링(410)(42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가압키(210)가 상호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복수의 가압키(210)로 구성된 가압부(200) 및 조임쇠(300)가 상호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부속의 수를 절감하고, 형상을 단순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복수의 가압키(210)는 제1,2 탄성링(410)(420)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므로 조립성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2 탄성링(410)(420)에 의하여 복수의 가압키(210)가 구속되더라도 복수의 가압키(210)가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별 가압키(210)가 내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어하는데 그 기능이 국한되므로, 본 발명의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가압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압키(210)를 제1,2 탄성링(410)(420)으로 결속함에 추가적으로, 인접된 가압키(210)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2 탄성링(410)(420)을 절곡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압키(210)들이 체결과정에서 일측으로 몰리는 편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가압키(210)에는 제1 링홈(213)과 제2 링홈(214)이 각각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 제1 측면홈(215)과 제2 측면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링(410)과 제2 탄성링(420)도 상기 제1,2 측면홈(215)(216)에 구비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제1,2 라운드부(411)(421) 및 측면의 제1,2 가이드부(412)(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몸체부(100)와 조임쇠(300)의 체결 과정에서 개별 가압키(210)의 내외측 유동은 물론 조임쇠(300)의 회전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자나 도구의 선택에 따른 오차의 발생 없이 안정적인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탄성링(410)과 제2 탄성링(420)은 강재와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공과정에서 철근(R1)(R2)이 가압부(200)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2 철근(R1)(R2)의 삽입과정에서 가압키(210)가 외측으로 소정의 위치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철근(R1)(R2)이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제1 탄성링(410)이 제2 탄성링(420) 보다 작은 탄성력을 지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2 탄성링(410)(420)이 동일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탄성링(410) 보다 제2 탄성링(420)의 단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연결용 커플러(C)를 구성하는 개별 부속의 조립성을 고려하여 상기 가압키(210)의 수용 테이퍼면(211)과 상기 조임쇠(300)의 가압 테이퍼면(310) 사이에는 완전히 체결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일정 간격(g)이 확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용 테이퍼면(211)과 가압 테이퍼면(310)의 간격(g)이 지나치게 넓게 확보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체결력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상기 수용 테이퍼면(211)과 가압 테이퍼면(310) 사이에는 소정의 연성을 지니는 원추형 연성 링(500)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추형 연성 링(500)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연성 재질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조립성과 체결력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연성이 확보되는 소재라면 폴리우레탄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연성 소재의 부재는 원추링의 형상은 물론 개별 가압키(210)의 수용 테이퍼면(21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키 삽입부(130)의 폭(w)도 상기 가압키(210)의 삽입 돌기(212)의 두께(d)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간격(g2)이 확보되도록 하여 몸체부(100)와 가압부(200)의 조립성을 꾀하면서도 동시에 시공과정에서 제1,2 철근(R1)(R2)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압부(200)의 가압키(210)가 외측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머,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철근 연결용 커플러 R1,R2:제1,2 철근
100:몸체부 110:중공부
120:나사산 130:키 삽입부
131:제1 가이드 경사면 140:스토퍼
150:인디게이터 홀 200:가압부
210:가압키 211:수용 테이퍼면
212:삽입 돌기 212a:제2 가이드 경사면
213:제1 링홈 214:제2 링홈
215:제1 측면홈 216:제2 측면홈
300:조임쇠 310:가압 테이퍼면
320:나사산 330:페이스트 주입공
410:제1 탄성링 420:제2 탄성링
500:연성 링

Claims (8)

  1. 양측에서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부(110)가 마련되고, 외주면 양측에 나사산(120)이 형성되며, 양단에는 키 삽입부(130)가 형성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측에 수용 테이퍼면(211)이 형성되고, 키 삽입부(130)에 구비되도록 삽입 돌기(212)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압키(210)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200); 및
    일측 내주면에 가압 테이퍼면(310)이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 나사산(32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체결됨으로써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키(210)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2 철근(R1)(R2)에 체결력을 가하는 한 쌍의 조임쇠(3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200)의 복수의 가압키(210)는 수용 테이퍼면(211)의 일측에 제1 링홈(213)이 형성되어 제1 탄성링(410)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2 링홈(214)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탄성링(420)이 구비되어 복수의 가압키(210)가 상호 결속되며, 상기 복수의 가압키(210)는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가압키(210)는 제1 링홈(213)과 제2 링홈(214)이 양 측면에 연장되어 각각 제1 측면홈(215)과 제2 측면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링(410)과 제2 탄성링(420)도 상기 제1,2 링홈(213)(214)과 제1,2 측면홈(215)(216)에 구비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2 라운드부(411)(421) 및 측면의 제1,2 가이드부(412)(4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부(130)의 내측면에는 제1 가이드 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돌기(212)의 내측면에는 제2 가이드 경사면(21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삽입부(130)의 폭(w)이 삽입 돌기(212)의 두께(d)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링(410)과 제2 탄성링(420)은 동일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링(410) 보다 제2 탄성링(420)의 단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키(210)의 수용 테이퍼면(211)과 상기 조임쇠(300)의 가압 테이퍼면(310) 사이에는 일정 간격(g)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 테이퍼면(211)과 가압 테이퍼면(310) 사이에는 소정의 연성을 지니는 원추형 연성 링(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0200114116A 2020-09-07 2020-09-07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250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116A KR102250239B1 (ko) 2020-09-07 2020-09-07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116A KR102250239B1 (ko) 2020-09-07 2020-09-07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239B1 true KR102250239B1 (ko) 2021-05-11

Family

ID=7591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116A KR102250239B1 (ko) 2020-09-07 2020-09-07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2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163A (ja) * 1998-01-28 1999-08-03 Ps:Kk Frp緊張材の定着具
KR200413225Y1 (ko) * 2006-01-25 2006-04-05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20060085046A (ko) * 2005-01-21 2006-07-26 티에스스틸산업 주식회사 철근이음장치
KR20130061158A (ko) * 2013-05-14 2013-06-10 (주) 호창엠에프 연결용 커플러
KR20190055280A (ko) * 2017-11-13 2019-05-23 동림산업 주식회사 철근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163A (ja) * 1998-01-28 1999-08-03 Ps:Kk Frp緊張材の定着具
KR20060085046A (ko) * 2005-01-21 2006-07-26 티에스스틸산업 주식회사 철근이음장치
KR200413225Y1 (ko) * 2006-01-25 2006-04-05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20130061158A (ko) * 2013-05-14 2013-06-10 (주) 호창엠에프 연결용 커플러
KR20190055280A (ko) * 2017-11-13 2019-05-23 동림산업 주식회사 철근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076B1 (ko) 철근 커플러
US20040071507A1 (en) Reinforcing bar coupling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US20220235550A1 (en) Rebar movement-prevention-type one-touch coupler
KR102226838B1 (ko) 조립성과 일정한 체결력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CN110832151A (zh) 一触式钢筋联接件
KR102145555B1 (ko)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WO2019074050A1 (ja) H形鋼の接合構造
WO2018074489A1 (ja) 接合金物
KR102250239B1 (ko)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190064240A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JP7026362B2 (ja) 異形鉄筋つなぎ金具
KR20220110032A (ko) 철근 커플러
KR102149032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2221614B1 (ko)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20120098159A (ko) 철근 이음장치
KR20190031075A (ko) 볼충진 이음방식 철근커플러
KR20160118731A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JP5024617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梁及びその構築方法
KR20200009747A (ko) 원터치형 이지 커플러
JP726165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20190091913A (ko) 철근이음장치
US20230079662A1 (en) Connecting metal
KR20200107901A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