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555B1 -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555B1
KR102145555B1 KR1020200022017A KR20200022017A KR102145555B1 KR 102145555 B1 KR102145555 B1 KR 102145555B1 KR 1020200022017 A KR1020200022017 A KR 1020200022017A KR 20200022017 A KR20200022017 A KR 20200022017A KR 102145555 B1 KR102145555 B1 KR 10214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orce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r
pair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석 filed Critical 정현석
Priority to KR102020002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제1,2 철근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형 가이드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디가 미들 링을 중심으로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바디부; 각각의 가이드 바디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상기 가이드 바디의 외측에 지지되는 링 헤드의 일측으로 복수의 키암이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슬릿에 구비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클림팽부의 키암이 내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상기 제1,2 철근에 체결력을 가하는 한 쌍의 슬리브;를 포함한다.
이로써, 복수의 키암이 일정한 체결력으로 철근을 가압 체결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체결력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작업자나 도구의 선택에 따른 체결력의 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Reinforcing Coupler for Constant Clamping Force}
본 발명은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철근이 각각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고, 클램핑부의 링 헤드에 복수의 키암이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슬릿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한 쌍의 슬리브가 체결되어 클림팽부의 키암을 내측으로 가압 변형함으로써 한 쌍의 철근이 체결되는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압축재로 활용되는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장재인 철근이 다량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철근은 생산과정에서 그 길이를 일정이하로 제한할 수밖에 없으므로 연속적인 철근을 배근하기 위하여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결속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대표적인 철근의 결속방법으로는 철근을 상호 겹치고, 철사와 같은 결속선을 복수의 개소에서 권취함으로써 상호 이음하는 겹침이음 방식, 철근의 단면을 불꽃 등으로 가열하고,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호 접합하는 가스압접 방식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에 나사산을 탭 가공하고,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암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종래의 커플러 방식이 있다.
그러나 겹침이음 방식은 소구경의 철근이음에 제약되며, 콘크리트 타설이나 작업 하중에 의하여 이음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스압접 방식은 기후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작업자의 기능이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쳐 균질성과 시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플러 방식은 철근의 단면에 손실이 발생하고, 탭 가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철근의 결속방법들이 지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커플러 자체의 조임만으로도 한 쌍의 철근이 효과적으로 가압 고정되도록 구현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0867호 "고강도 원터치 철근 커플러"(2015. 11. 16.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커플러 본체(1)를 구비하여 양측 중공부를 통하여 철근을 삽입하되, 각각의 커플러 본체(1)의 내주면에 테이퍼면을 통한 가압 결합이 가능하도록 분할된 조임유닛(2)이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 본체(1)와 조임유닛(2)에 각각 형성된 테이퍼면이 상호 맞닿은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구현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분할된 조임유닛(2)을 일체로 거동시키기 위한 결속링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제작의 비효율이 야기되었으며, 결속링이 구비되더라도 복수의 조임유닛(2)들이 커플러 본체(1)의 내부에서 방사상 또는 길이방향으로 불규칙적인 유동을 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편중됨으로써 일정한 체결력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0678호 "철근이음장치"(2018. 8. 16.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되는 한 쌍의 커플러 본체(1)를 구비하여 양측 중공부를 통하여 철근을 삽입하되, 각각의 커플러 본체(1)의 내주면에 테이퍼면을 통한 가압 결합이 가능하도록 분할된 웨지(2)를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 본체(1)와 복수의 웨지(2)에 각각 형성된 테이퍼면이 상호 맞닿은 상태로 내측으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구현하였다.
특히, 선행기술문헌 2는 상기 커플러 본체(1)의 내주면에 웨지서포터(3)를 구비하여 분할된 웨지(2)의 일측 단부가 웨지서포터(3)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체결간에 유동이나 편중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웨지(2)의 일측 단부는 웨지서포터(3)에 마련된 홈에 끼움 결합방식으로 고정됨에 따라 체결간에 가해지는 강한 토크에 의하여 복수의 웨지(2)가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일부 이탈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 웨지서포터(3)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여전히 일정한 체결력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 1과 2는 모두 충분한 체결력이 확보된 것인지 확인이 곤란한 한계가 있었으며, 부속의 개수와 형상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으며, 기계적 결함이 발생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근을 상호 체결함에 요구되는 소정의 체결력이 작업자나 도구의 선택에 따른 오차의 발생 없이 일정하게 확보될 수 있으며, 부속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작업성이 확보되고, 충분한 체결력이 확보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육안으로도 식별이 가능하고, 추가적인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부속의 개수와 형상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형 가이드홀(11a)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11b)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디(11)가 미들 링(12)을 중심으로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바디부(10); 각각의 가이드 바디(1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20); 상기 가이드 바디(11)의 외측 단부에 지지되는 링 헤드(31)의 일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키암(32)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키암(32)은 상기 가이드 바디(1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일측에 체결부(32a)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32a)의 타측에는 가이드 바디(11)의 외측으로 점진 노출되도록 테이퍼부(32b)가 마련되어 각각 상기 슬릿(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30); 및 내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1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클램핑부(30)의 링 헤드(31)는 가이드 바디(11)의 외측 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키암(32)의 테이퍼부(32b)가 슬릿(20)에 구비된 상태로 내측으로만 가압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2 철근(R1)(R2)에 체결력을 가하는 한 쌍의 슬리브(40);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키암(32)의 체결부(32a)와 테이퍼부(32b)의 경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경사면(32c)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1)의 타측으로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나사 리스부(42)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산(41)과 나사 리스부(42)의 경계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 경사면(4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의 미들 링(12)의 양 측면에는 링형의 액체 캡슐(50)이 구비되어 슬리브(40)의 긴결에 따라 상기 액체 캡슐(50)이 파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미들 링(12)에는 내주면에는 철근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12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철근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 홀(12b)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에 의하면, 바디부에 슬리브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클램핑부의 키암이 가이드 바디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내측으로만 변형되어 각각의 키암이 방사상으로 유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키암이 일정한 체결력으로 철근을 가압 체결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체결력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작업자나 도구의 선택에 따른 체결력의 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에 슬리브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부속간의 간섭이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미들 링의 양 측면에는 슬리브의 긴결에 따라 파열되는 링형의 액체 캡슐이 구비되어 액체 페인트를 바탕으로 긴결 여부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액체 캡슐에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구비하는 경우 추가적인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디부의 미들 링에는 인디케이터 홀이 관통 형성되어 철근의 삽입 위치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철근이 정위치에 구비된 상태에서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부속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이 간편하도록 제작하고 각 부속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철근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체결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클램핑부가 분리된 상태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a) 도 3a와 (b) 도 3b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철근을 체결하는 상태를 (a) 슬리브 정위치 체결 전과 (b) 정위치 체결 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에 한 쌍의 철근(R1)(R2)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한 쌍의 제1,2 철근(R1)(R2)을 결속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철근(R1)과 제2 철근(R2)을 상호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로 중심에 배치되는 바디부(10), 바디부(1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20), 상기 바디부(10)에 일측이 지지된 상태로 타측이 슬릿(20)에 구비되는 클램핑부(30), 상기 바디부(10)의 양측 외측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슬리브(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측'을 커플러(C)에 의하여 체결되는 제1,2 철근(R1)(R2)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을 상기 철근(R1)(R2)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바디부(10)는 미들 링(12)을 중심으로 양 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 바디(11)가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바디(11)는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형 가이드홀(11a)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11b)이 형성되어 각각의 가이드 바디(11)에 슬리브(40)가 체결된다.
양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디(11)에 마련된 중공형 가이드홀(11a)을 통하여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중공형 가이드홀(11a)의 직경은 제1,2 철근(R1)(R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과도하게 큰 직경을 지니는 경우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2 철근(R1)(R2)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하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 링(12)은 한 쌍의 가이드 바디(11)에 형성된 중공형 가이드홀(11a)이 상호 연통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내주면에는 제1,2 철근(R1)(R2)의 정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타측 중공형 가이드홀(11a)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1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들 링(12)의 외주면에는 인디케이터 홀(12b)이 내주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철근(R1)(R2)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바, 작업자는 상기 인디케이터 홀(12b)을 바탕으로 바디부(10)에 삽입된 제1,2 철근(R1)(R2)이 정위치에 구비된 것인지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한 후 슬리브(4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홀(12b)의 폭(W)은 스토퍼(12a)의 폭(w) 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토퍼(w)를 중심으로 양측의 가이드홀(11a)에 삽입 구비된 제1,2 철근(R1)(R2)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C)도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커플러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된 바디부(10)의 양측에 한 쌍의 슬리브(40)가 체결되는 점에서는 공통되나, 각각의 가이드 바디(11)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슬릿(20)이 형성되는 구성에 주요한 차별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30)는 링 헤드(31)가 가이드 바디(11)의 외측에 지지되는 링 헤드(31)의 일측으로 복수의 키암(32)이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슬릿(20)에 구비된다. 즉, 상기 클램핑부(30)의 링 헤드(31)는 가이드 바디(11)의 단부측에 지지된 상태로 키암(32)이 가이드 바디(11)에 형성된 슬릿(20)에 구비됨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의 가이드 바디(11)에 슬리브(4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키암(32)은 슬리브(40)의 내주면에 의하여 내측으로만 안정적으로 가압 변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체결 과정에서 각각의 키암(32)이 슬릿(2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방사상으로 유동하거나 개별적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복수의 키암(32)이 일정한 체결력으로 한 쌍의 제1,2 철근(R1)(R2)을 가압 체결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체결력을 일정하게 구현할 수 있고, 작업자나 도구의 선택에 따라 체결력에 오차가 발생됨이 없이 정확한 체결력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10)의 가이드 바디(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b)에 내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슬리브(4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클램핑부(30)가 가이드 바디(11)의 단부와 슬릿(20)에 의하여 정위치에 고정되므로 부속간의 간섭이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커플러(C)는 부속으로서 일체화된 바디부(10), 클램핑부(30) 및 슬리브(40)만으로 구성되므로 부속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시공상에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작 과정에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의 (b)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30)의 키암(32)은 슬릿(20)에 구비된 상태에서 가이드 바디(1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일측에 체결부(32a)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32a)의 타측에는 가이드 바디(11)의 외측으로 점진 노출되도록 테이퍼부(32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11)의 외주면에 나사산(11b)이 형성되므로, 상기 키암(32)의 체결부(32a)는 슬릿(20)에 구비된 상태에서 슬리브(40)의 나사산(41)과의 체결성을 고려하여 가이드 바디(1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11)의 나사산(11b)과 연속되도록 체결부(32a)에도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체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보다 정확한 체결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암(32)의 테이퍼부(32b)는 슬리브(40)의 내주면에 의하여 가압되는 과정에서 타측을 향하여 가이드 바디(11)의 외측으로 점진 노출되도록 형성된 형상을 바탕으로 키암(32)이 점진적으로 내측으로 가압 변형되어 제1,2 철근(R1)(R2)에 체결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제1,2 철근(R1)(R2)과 맞닿는 키암(32)의 테이퍼부(32b)의 내측면에는 표면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톱날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암(32)의 체결부(32a)와 테이퍼부(32b)의 경계가 되는 내측면에는 탄성 변형이 유도되도록 조인트 홈(32d)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40)의 체결시 상기 조인트 홈(32d)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경계 부위에 변형이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암(32)의 체결부(32a)와 테이퍼부(32b)의 경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경사면(32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면(32c)과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1)의 타측으로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나사 리스부(42)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산(41)과 나사 리스부(42)의 경계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 경사면(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40)의 체결 과정에서 나사산(41)은 가이드 바디(11)의 나사산(11b)과 체결되고, 나사 리스부(42)는 키암(32)의 테이퍼부(32b)를 점진적으로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후, 도 5의 (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의 가이드 바디(11)와 슬리브(40)의 체결이 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키암(32)의 제1 경사면(32c)과 슬리브(40)의 제2 경사면(43)이 맞닿으면서 키암(32)의 테이퍼부(32b)에 추가적인 내측 가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즉, 상기 키암(32)에 형성된 제1 경사면(32c)과 슬리브(40)에 형성된 제2 경사면(43)은 일정한 체결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슬리브(40)의 체결 위치를 특정함과 동시에 한 쌍의 철근(R1)(R2)에 추가적인 체결력이 확보되도록 기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C)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의 미들 링(12)의 양 측면에는 링형의 액체 캡슐(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캡슐은 상기 미들 링(12)의 양 측면에 캡슐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용 홈에 액체 캡슐(50)이 구비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캡슐(50)은 슬리브(40)의 긴결에 따라 단부가 미들 링(12)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사전에 설계된 일정한 토크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액체 캡슐(50)이 파열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캡슐(50)이 파열되면, 액체 캡슐(50) 내에 구비되어 있던 액체 페인트가 노출되고, 이를 상술한 인디케이터(12)를 바탕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체결력을 확보함은 물론 긴결 여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캡슐(50)에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구비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폭시 수지를 통한 제1,2 철근(R1)(R2) 간은 물론 커플러의 부속들과 철근들(R1)(R2)의 추가적인 접착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C)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머,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철근 연결용 커플러 R1,R2:제1,2 철근
10:바디부 11:가이드 바디
12:미들 링 20:슬릿
30:클램핑부 31:링 헤디
32:키암 40:슬리브
41:나사산 42:나사 리스부
50:액체 캡슐

Claims (5)

  1. 제1,2 철근(R1)(R2)이 각각 삽입되도록 중공형 가이드홀(11a)이 마련되고, 외주면에 나사산(11b)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디(11)가 미들 링(12)을 중심으로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바디부(10);
    각각의 가이드 바디(1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20);
    상기 가이드 바디(11)의 외측 단부에 지지되는 링 헤드(31)의 일측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키암(32)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키암(32)은 상기 가이드 바디(1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일측에 체결부(32a)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32a)의 타측에는 가이드 바디(11)의 외측으로 점진 노출되도록 테이퍼부(32b)가 마련되어 각각 상기 슬릿(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30); 및
    내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1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클램핑부(30)의 링 헤드(31)는 가이드 바디(11)의 외측 단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키암(32)의 테이퍼부(32b)가 슬릿(20)에 구비된 상태로 내측으로만 가압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2 철근(R1)(R2)에 체결력을 가하는 한 쌍의 슬리브(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암(32)의 체결부(32a)와 테이퍼부(32b)의 경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경사면(32c)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1)의 타측으로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나사 리스부(42)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산(41)과 나사 리스부(42)의 경계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 경사면(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의 미들 링(12)의 양 측면에는 링형의 액체 캡슐(50)이 구비되어 슬리브(40)의 긴결에 따라 상기 액체 캡슐(50)이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의 미들 링(12)에는 내주면에는 철근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12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철근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 홀(12b)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0200022017A 2020-02-24 2020-02-24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14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17A KR102145555B1 (ko) 2020-02-24 2020-02-24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17A KR102145555B1 (ko) 2020-02-24 2020-02-24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555B1 true KR102145555B1 (ko) 2020-08-18

Family

ID=7226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017A KR102145555B1 (ko) 2020-02-24 2020-02-24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337A (zh) * 2020-12-25 2021-04-20 北京易成市政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支护桩
CN114775912A (zh) * 2022-05-12 2022-07-22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钢筋机械套筒灌浆连接结构
KR20220107659A (ko) * 2021-01-26 2022-08-02 허인태 키이가 일체로 구성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및 그 클램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494B1 (ko) * 2000-07-10 2002-10-1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이음장치
KR200317137Y1 (ko) * 2003-03-21 2003-06-25 신현택 이형철근 연결 커플러
KR20160139303A (ko) * 2015-05-27 2016-12-07 김인숙 철근 연결장치
KR102056394B1 (ko) * 2019-09-06 2019-12-16 정현석 긴결 확인이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494B1 (ko) * 2000-07-10 2002-10-1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철근이음장치
KR200317137Y1 (ko) * 2003-03-21 2003-06-25 신현택 이형철근 연결 커플러
KR20160139303A (ko) * 2015-05-27 2016-12-07 김인숙 철근 연결장치
KR102056394B1 (ko) * 2019-09-06 2019-12-16 정현석 긴결 확인이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337A (zh) * 2020-12-25 2021-04-20 北京易成市政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支护桩
KR20220107659A (ko) * 2021-01-26 2022-08-02 허인태 키이가 일체로 구성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및 그 클램프의 제조방법
KR102473333B1 (ko) 2021-01-26 2022-12-05 허인태 키이가 일체로 구성된 철근 커플러용 클램프 및 그 클램프의 제조방법
CN114775912A (zh) * 2022-05-12 2022-07-22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钢筋机械套筒灌浆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555B1 (ko) 일정한 체결력 확보가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226838B1 (ko) 조립성과 일정한 체결력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056394B1 (ko) 긴결 확인이 가능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JP5598783B2 (ja) 鉄筋カプラー
KR101959076B1 (ko) 철근 커플러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102069879B1 (ko)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
KR20110112285A (ko) 보강재
JP2008209228A (ja) コンクリートの引張り試験用治具及び引張り試験方法
KR100240099B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1371216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JP7026362B2 (ja) 異形鉄筋つなぎ金具
KR20060110610A (ko) 철근 연결부 구조 및 철근 연결방법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926125B1 (ko) 평탄형 암나사산을 갖는 슬리브를 이용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이음 방법
KR102221614B1 (ko)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KR101672479B1 (ko) 스크류 강관말뚝의 이음부 구조
KR100309611B1 (ko) 철근 연결구
KR102149032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583302B1 (ko) 철근의 삽입위치와 구속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노출형 구속부재를 구비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100090330A (ko) 철근 커플러
KR101918014B1 (ko) 테이퍼형 암나사산을 갖는 슬리브를 이용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이음 방법
KR100837113B1 (ko) 철근 커플러
KR101246678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