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285A - 보강재 - Google Patents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285A
KR20110112285A KR1020117012988A KR20117012988A KR20110112285A KR 20110112285 A KR20110112285 A KR 20110112285A KR 1020117012988 A KR1020117012988 A KR 1020117012988A KR 20117012988 A KR20117012988 A KR 20117012988A KR 20110112285 A KR20110112285 A KR 2011011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tion
reinforcement
rebar
coupling
termin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니스트 코머포드
Original Assignee
멍키 바 커플러스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890573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8905736A0/en
Application filed by 멍키 바 커플러스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멍키 바 커플러스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11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4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bars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21F15/08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making use of soldering or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whole cross-section, e.g. of concrete reinforcing bars
    • C21D7/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whole cross-section, e.g. of concrete reinforcing bars of concrete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보강재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철근과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종결부를 포함하는 보강재가 개시되어 있다. 종결부는 일체형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마찰 용접공정에 의해 철근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종결부는 대향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된 측방향 결합면을 갖는다. 사용시에, 상기 제 1 단부는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면은 종방향으로 적용된 하중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인터록(interlock)을 형성하도록 보완적으로 형상화된 종결부와 서로 끼워 맞추어지게 배열된 로킹 형성부들을 그 위에 통합한다.

Description

보강재{REINFORC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다른 시멘트질의 건축물에 대한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철근들의 결합에 관련되며 여기에서는 그러한 맥락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폭넓게 응용될 수 있고 철근을 금속판들과 같은 다른 단단한 물체에 결합시키는데에도 이용될 것이다.
건축산업에 있어서, (벽, 바닥, 슬래브 및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들은 그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해서 콘크리트를 붓는 영역에서 철근들과 같은 보강재를 위치시킴으로써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철근들은 원하는 위치에서 지지되어야 하고 일정길이의 철근들을 서로 결합시킬 필요가 자주 존재하는데, 이는 보강재가 올바르게 위치하는 것 뿐만아니라 결합을 가로질러서 하중을 전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고, 그래서 철근들은 텐션이나 압축시에 그들의 축 용량의 많은 부분 또는 심지어 전체를 수용할 수 있다.
과거에는, 콘크리트 주입 전에 인접한 철근들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철근들의 중첩하는 단부들 주위로 와이어 결속이나 포장이 고정되었다. 축방향 하중들은 2개의 결합된 철근들을 에워싸는 콘크리트를 통해서 하나의 철근으로부터 다른 중첩된 철근으로 전달된다. 철근의 중첩된 길이는 단지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이러한 중첩된 길이는 건축물에서 철근의 상당한 매스(mass)를 형성하므로, 이 방법은 필요 이상의 철근을 사용한다.
다른 배치에 있어서, 철근들은 짧게 외부로 나사 단부들을 갖도록 형성되고, 철근들의 인접한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좌측과 우측 내부 나사부들을 갖는 슬리이브가 사용된다.
바들의 단부에 외부 나사부를 형성하는 것은 바의 나머지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하고, 이것은 공학적인 필요조건들에 따르면 소정 직경을 갖는 바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특대형 바들을 채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바의 나사 단부가 공학적 필요조건에서 기술하고 있는 직경보다 같거나 큰 직경을 갖도록 보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바들의 대부분은 필요한 것보다 큰 치수를 갖는다.
이상적으로, 축방향 용량이나 그것의 연성과 같은 결합의 특성들은 바들의 주요 부분과 적어도 동일하고, 결합이 로딩되는 경우에 단지 제한된 종방향 슬립만이 일어나게 된다. 만일 이러한 특성들이 일정한 오차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결합은 결과적인 구조물을 상당히 타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과도한 종방향 슬립이 존재하면, 이것은 과도하게 국한된 균열을 야기하고, 이에 의해서 부식의 위험성을 초래하고 과도한 편향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만일 결합이 바의 주요 부분만큼 연성을 갖지 않으면, 이것은 결합의 비극적인 실패를 잠재적으로 야기할 수 있는 국부적인 응력집중을 초래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나사 슬리이브와 같은 별도의 결합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은 건축위치가 다른 강도의 철근을 갖는 경우 바들에 대한 슬리이브의 잠재적인 부조화의 위엄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문제가 될 것이다. 또한, 나사 배열의 사용은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몇몇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하고, 이에 의해서 하중하에 수용 불가능한 종방향 슬립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결합을 조정하게 되는 위치에서 결합이 적당하게 조여지지 않는 계속 진행중인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본 출원인의 앞선 국제출원 제 2006/094320 호에서는, 철근 축 상에 일체로 형성된 확대 종결부를 포함하는 철근가 개시되어 있다. 종결부는 로킹 형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종결부가 인터록(interlock)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철근의 단부를 변형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으로 개시되었다. 형상화된 종결부를 갖는 보강재의 형성방법이 국제출원 제 WO 2006/084321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철근 단부는 다양한 단조 및 밀링 단계를 거치게 된다.
반면에 앞선 출원들에 발표된 보강은 잘 수행되었지만, 보강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특별한 장비는 장비에 대하여 필수적인 자본적 지출의 견지에서 제품의 분산 제조에 제한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재를 제조하는 다른 방식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종래기술을 참조한 것은 호주나 다른 곳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의 일반적 지식 중 일부를 형성하는 종래기술을 도입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한가지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보강을 위한 종결부를 제공하는데, 상기 종결부는 대향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된 측방향 결합면을 구비하며, 사용시에 상기 제 1 단부는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면은 그 위에 형성된 로킹을 통합하며, 상기 로킹은 종방향으로 적용된 하중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인터록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완적으로 형상화된 종결부와 상호결합하도록 배열된다.
한가지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금속 주조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종결부는 단조공정에 의해서 별도로 제작되어 철근에 결합된다. 이것은 보강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철근에 대하여 종결부를 영구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결과적인 보강재는 일체형이 될 수 있고, 보강재가 철근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과 같은 부수적인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보강재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철근, 및 상기 철근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형태에 따른 종결부를 포함한다.
명세서의 문맥에 있어서, 용어 "영구적으로"는 본딩(bonding)에 의해서 결합된 부품들이 연결 및/또는 부품들의 파괴를 야기함이 없이 분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의 제 1 단부는 철근의 단부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그래서 종결부와 철근은 단부 대 단부 관계로 결합된다.
특별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바에 비해서 확대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결부의 참조 축은 철근의 축과 정렬된다. 이러한 축들의 정렬은 철근의 텐셔닝(tensioning) 중에 인터록에서 축방향 하중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결부에 작용하는 편심하중을 줄인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원하는 경우에 철근의 축에 대하여 오프셋되도록 배열될 것이다.
명세서의 문맥에 있어서, "축방향 하중"은 종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고 그래서 인터록이 텐션이나 압축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인터록"은 비록 부품들이 하중하에서 다른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분리될지라도 하중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부품들이 함께 연결되는 배열을 의미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영구적인 연결을 형성하도록 축에 대하여 융합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은 종결부를 철근에 결합시키도록 사용된다. 한 형태에 있어서, 결합은 용접에 의해서 형성된다.
특별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축에 대하여 마찰 용접된다. 마찰용접은 2개의 부품들이 함께 힘을 받게 되고(마찰이나 단조력 하에서) 다른 부품에 대해서 맞문질러지는(통상적으로 다른 부품은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한 부품을 회전시킴에 의해서) 한 부품의 기계적 마찰에 의해서 가열되는 공정을 채용한다. 기계적 마찰에 의한 가열은 재료 연화 및 요소들의 몇몇 단축(upset)이 마찰력하에서 일어날 때까지 충분한 시간동안 계속된다. 회전 구동력은 불연속적이지만, 마찰력은 재료들을 함께 융합하기 위해서 유지되거나 증가된다. 기술적으로, 용융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마찰용접은 전통적인 방식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용접공정이 아니고 단조 기술이다.
마찰 용접의 장점은 용접 면에 열이 도입되므로 비교적 작은 열적 영향 영역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용융이 없고 고화 결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결과로서 생긴 결합은 양질로 단조되고 접촉영역을 통해서 완벽한 인접 결합용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철근을 보완적인 형상의 종결부를 갖는 다른 철근과 같은 다른 물체와 종결부에 의해서 직접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보강재가 제공된다. 이 배열의 장점은 인터록에 걸쳐서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도록 다른 요소들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커플링의 통합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또한,적절한 크기와 형상의 종결부들을 만듦으로써, 커플링에 대하여 연성과 축방향 용량을 위한 원하는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중하에서 종방향 슬립은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가지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철근과 동일한 재료 특성들을 가지며 바 축에 비해서 확대되고, 그래서 인터록은 적당한 성능 특성들(예를 들어 축방향 하중과 연성하에서의 강도)을 나타낸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인터록의 적당한 성능 특성들을 보장하기 위해서, 종결부는 다른 재료로부터 철근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축과 동일한 재료(재료 특성들은 변경됨)로 제조된다. 이러한 후자의 배열들에 있어서, 종결부는 바 축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초기 배열에 비해서 확대될 것이다.
한 형태에 있어서, 로킹 형성부들이 형상화되고 인터록이 축 하중의 전부를 실질적으로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리테이닝 장치는 결합에서 종결부들을 보유하도록 이용되나, 이 장치는 보강재의 축방향 하중에 작용하는 하중하에서 위치하도록 필수적으로 설계되지는 않는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로킹 형성부들이 형상화되고 축방향 하중하에서 인터록에 작용하는 반응력은 종결부들의 분리를 유도하지는 않는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철근들을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이 제공되는데,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 1 및 제 2 철근들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종결부들 - 상기 종결부들과 상기 철근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4 항 내지 제 21 항들 중 어느 항에 따른 보강재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종결부들의 상기 결합면들은 인터록을 형성하도록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로킹 형성부들과 대항햐여 인접함 -;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상기 결합면들을 보유하도록 상기 인터록 주위로 배치된 리테이닝 장치를 포함한다.
특별한 실시 예에 있어서, 종결부는 동일한 형상의 보완적인 종결부를 갖는 인터록을 형성하도록 형상화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종결부들은 동일하다. 그러한 배열은 종결부들이 취급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서 현장에서 설치가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특별한 형태의 종결부에 있어서, 로킹 형성부들은 상기 결합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융기부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함몰부들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융기부들과 함몰부들은 인터록을 형성하도록 보완적으로 형상화된 종결부에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융기부들 및 함몰부들과 서로 끼워 맞추어진다.
특별한 실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융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는 인접한 융기부의 한 측벽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특별한 형태에 있어서, 측벽(들)은 인터록의 형성에 있어서 상호결합하도록 배열되는 지지면들을 채용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다수의 융기부들은 종결부의 제 2 단부 쪽으로 결합면을 따라서 하방향으로 단이 진다. 이러한 배열은 하중이 종결부를 보다 균등하게 가로질러서 분배될 수 있게 하며, 일 실시 예에서, 융기부들은 다른 종결부의 대응하는 함몰부들 내로 융기부들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위해서 다른 크기를 갖는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시에, 커플링은 철근들의 축들의 축방향 용량과 적어도 동등한 축방향 하중을 수용할 수 있고, 바 축들에 비해서 증가된 연성을 나타낸다. 몇몇 상황에서, 커플링은 다른 축 직경들을 갖는 보강재를 보정하도록 바람직하게 사용될 것이다. 이것은 구조물에 걸쳐서 하중조건들이 변하는 건축에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의 커플링을 사용함으로써, 이것은 큰(또는 작은) 바 직경의 보강에 대하여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 바 축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대형(또는 소형)인 종결부를 갖는 보강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 형태에 있어서, 지지면은 축방향 하중의 방향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커플링에 적용된 반응력은 종결부들 내에 포함되고, 정상적인 탄성 로딩조건하에서 주변의 리테이닝장치를 로딩하게될 상당한 벡터힘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축방향 하중의 방향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법선을 이루는 지지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커플링 내의 종방향 슬립은 보유장치와 종결부들 사이에 끼워맞춤을 요구함이 없이 수용가능한 한계로 포함될 것이며,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종결부들 사이의 어느 측방향 운동은 (리테이닝장치와 서로맞물린 단자들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가능해질 것임) 종방향 변위를 전달하지 못할 것이다. 이와는 달리, 리테이닝 장치와 종결부들 사이의 타이트한 허용오차는 리테이닝장치들의 기둥 형성을 통해서 또는 인터로킹 종결부들과 리테이닝 장치 사이에서 심과 같은 패킹의 사용을 통해서 제공될 것이며, 후자의 형태에 있어서 지지면의 경사면은 임계적이지 않다.
특별한 형태에 있어서, 지지면들은 참조 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10°이내의 각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직선에 대하여 5°이내의 각도로 연장된다.
특별한 실시 예에 있어서, 둘러싸는 슬리이브는 철근 축의 하중 용량보다 큰 전단 하중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는 구간 모듈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커플링들은 전단 커넥터로서 로딩되는 경우에 사용될 것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보강재의 형성방법으로서, 상기한 형태에 따른 종결부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종결부를 상기 철근과 일체로 만들기 위해서 상기 종결부를 철근의 단부 위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강재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철근에 융합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단조에 의해서 철근에 결합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단조에 의해서 철근에 용접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는 철근에 마찰 용접된다.
따라서, 보강축의 단부에 결합된 종결부를 통합하여 보강이 제공된다. 이 종결부는 주조 요소로서 제조될 것이며, 이에 의해서 조절된 조건하에서 필요한 하이 스탠다드로 제작될 수 있다. 종결부는 철근의 예비처리가 이루어지면 상대적으로 비싸지않은 장비를 사용하여 단지 최소로 마찰 용접 공정에 의해서 표준 철근에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인 보강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공정의 각 단계(예를 들면, 주조 및 결합)는 적당하게 조절될 수 있어서 보강을 이용하는 커플링은 강도, 연성 및 종방향 슬립의 원하는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근과는 별도로 종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보강은 철근을 변형함으로써 종결부를 만들어 내는데 필수적인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제품의 제조에 대한 제한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및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앞서 폭넓게 설명한 것을 제한하지 않는 것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철근 단부 상에 있는 보강재의 종결부를 보여주는 보강재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강재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보강재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보강재의 종결부 상에 있는 로킹 형성부들의 확대 상세도;
도 5는 도 1의 보강재의 결합의 부품들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6은 도 5의 결합의 단면도;
도 7은 시어 코넥터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도 5의 결합의 변형 예의 단면도;
도 8은 다른 결합면 프로필을 갖는 도 1의 보강재의 변형 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종결부의 추가적인 변형 예의 측면도;
도 10은 단조 종결부 및 철근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조 종결부 및 철근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된 보강재의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도 10의 단조 종결부와 철근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된 마찰 용접기의 개략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철근(10)의 부분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철근(10)는 통상적으로 강으로 제조되고, 철근(10)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11)을 통합하고 있다. 축(11)의 단지 작은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축은 수 미터의 길이로 연장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바들은 연속적인 길이로 제조되고, 특별한 작업의 요구조건에 따라 일정크기로 절단된다. 또한, 편의성을 위하여, 축(11)이 평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시, 축은 리빙(ribbing)을 포함할 것이며, 그러한 바는 보통은 이형철근으로 언급된다.
철근(10)는 종결부(12)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바의 단부를 따라서 철근(10)의 종결단부(13)로 연장된다. 설명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12)는 축(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축에 비해서 확대된다(예를 들면, 축보다 큰 거리만큼 철근의 중앙축(CL)으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다). 축(11)과 확대된 종결부(12) 사이에는 천이영역(14)이 존재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확대된 종결부(12)는 통상적으로 철근의 단부를 변형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형성 전에, 철근(10의 전체는 축(11)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종결부(12)는 축방향 결합면(15)을 포함하는데, 이는 철근(10)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어 거기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이 결합면(15)은 로킹 형성부들을 포함하도록 형상화되는데, 상기 로킹 형성부들은 철근(10)로 하여금 인터록(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됨)을 형성하도록 다른 바나 다른 물체와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설명된 형태의 로킹 형성부들은 다수의 이격된 융기부들(16,17,18,19) 및 다수의 함몰부들(20,21,22,23)을 포함한다. 이러한 함몰부들(21,22,23)의 대부분은 융기부들(16,17,18,19)의 인접한 하나와 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함몰부들중 가까운 함몰부(20)는 종결부의 허브부(24)와 그것의 인접한 융기부(16)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2 및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종결부는 축(11)의 축보다 큰 직경을 갖는 실린더로서 구성된다. 또한, 결합면(15)은 원통형 종결부로부터 "절개부"로서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결합면(15)이 절개부로서 고려되는 것은, 종결부가 단조작업, 주조작업 등에 의해서 재료의 상당량을 제거할 필요없이 최종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러한 제조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금속 보강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etal Reinforcing)"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 계류중인 국제출원에서는 단조작업을 사용하여 철근(1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출원의 내용은 여기에서는 참조로서 통합된 것이다. 주조 종결부(71)를 사용하는 보강재(70)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에서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융기부들(16, 17, 18 and 19)은 다리부(2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대향하는 측벽들(25)을 포함한다. 또한, 종결부(12)의 허브부(24)는 측벽(27)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측벽들(25,27)은 함몰부들에 대한 측벽으로서 또한 작용한다. 베이스부(28)는 각각의 함몰부들(20, 21, 22, 23)의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이와같은 인접한 측벽들을 서로 연결한다.
설명한 형태에서 측벽들(25)은 선형이며 전체 결합면(15)을 가로질러서 연장된다. 또한, 다리부(26)와 베이스(28)는 편평한 면으로서 형성된다. 도 4의 확대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25)은 3개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제 1 요소는 지지면(29)이며, 이는 측벽의 중간영역에 배치되어 철근(10)의 중앙선(CL)에 대하여 법선을 이룬다. 제 1 천이영역(30)은 지지면(29) 위로 형성되고, 지지면(29)과 다리면(26) 사이에서 교차지점을 형성한다. 하부 천이영역(31)은 지지면(29)으로부터 베이스부(28)로 연장된다. 상부 및 하부 천이영역(30,31)은 상부 천이영역(30)의 반경이 하부 천이영역(31)의 반경보다 작은 방식으로 반경을 채용하였다.
결합면(15)의 융기부와 함몰부들은 형상화되고 종결부(12)는 동일한 형상의 종결부를 갖는 인터록을 형성하게될 것이다.
바(10)의 종결단부(13)에 인접한 단부 융기부(19)는 다른 융기부들보다 넓다. 또한, 최내부 함몰부(20)는 단부 융기부(19)의 형상의 융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더욱 넓다. 이 배열은 인터록의 형성에 있어서 종결부의 적당한 부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들은 종결부 단부(13) 쪽으로 하방향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다양한 융기부들의 지지면(29)은 축방향으로 정렬되지는 않고 중앙선(CL)으로부터 다른 방사상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것은 다른 종결부와 결합될 때 종결부를 통해서 보다 균등한 스트레스 분배가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한 철근의 종결부(12)와 다른 바의 동일한 종결부와의 상호연결로부터 형성되는 커플링(50)이 도시되어 있다. 편리함을 위해서, 커플링(50)의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한 철근은 위첨자 Ⅰ를 사용하여 지정되었고 반면에 다른 철근은 지정된 것과 유사한 연관된 특징들을 갖도록 위첨자 Ⅱ를 포함한다.
커플링(50)은 인터록(51)을 형성하도록 종결부들(12)와 (1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한 종결부의 융기부들은 다른 종결부의 대응하는 함몰부들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인터록은 설명된 형태에서 각각의 철근들(10, 10)의 중앙축과 동축인 축(A-A)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일단 종결부들(12,12)이 그들의 결합면들(15,15)을 따라서 서로 연결되면, 종결부의 외면은 각각의 축(1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완벽한 실린더(설명된 형태에서는 원형 실린더)를 형성한다.
커플링(50)은 종결부들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배열된 리테이닝 장치(52)를 또한 포함한다. 설명된 형태에 있어서, 리테이닝 장치(51)는 통상적으로 상호연결된 종결부들에 의해서 형성된 실린더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큰 내부 보어를 갖는 금속 슬리이브인 슬리이브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래핑(lapping) 종결부들 위로 미끄러질 수 있고 와이어 결속 등과 같은 것에 의해서 제 위치에 통상적으로 보유된다.
사용시에, 철근들(10, 10)은 결과적인 구조물에서 유도된 하중을 수용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배열된다. 통상적으로 2가지 타입의 하중 조건들이 존재한다. 첫번째는 바 축(CL)의 방향으로 주로 연장되는 축방향 하중이다. 이 축방향 하중은 텐션이나 압축이 될 것이다. 다른 하중 조건은 하중이 중앙선(CL)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이다. 커플링(50)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조건들에서의 하중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축방향 하중하에서, 인장하중이 유력한 조건하에서 철근들(10, 10)은 떨어지도록 편향되거나(텐션하에서) 또는 함께 편향된다. 이러한 축방향 하중은 2개의 종결부들(12,12)에서 융기부들의 상호결합을 통해서 커플링(50)에 의해서 수용된다. 특히, 융기부들은 측벽들에 형성된 그들의 지지면들(29,29)을 따라서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이것들은 축방향 하중하에서 융기부들의 접촉의 지역들을 형성하고, 특히 낮은 천이영역(31)과 비교하여 상부 천이영역(30)의 반경이 더 작기 때문에 천이영역들(30,31) 사이에서는 접촉 지점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지면들(29,29)이 하중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며, 에워싸는 슬리이브(51)를 로딩하기 위한 벡터힘이 발휘되지 않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러한 축방향 하중은 종결부들 내에서 완전히 포함된다.
전단하중을 수용하기 위해서, 리테이닝장치(51)는 설계 전단하중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구간 모듈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철근들을 배향하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고, 따라서 전단은 인터록에 의해서 수용된다.
도 7은 커플링(50)의 변형인 전단 커플링(60)을 나타낸다. 전단 커플링이 앞서 설명한 커플링(50)의 요소들을 포함함에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사한 특징들에는 유사한 참조부호들이 주어진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플링(60)에 제공된 2개의 철근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윗첨자들을 사용한다.
벽(100)으로부터 슬랩(101)에 보강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전단 커넥터(60)가 이용된다. 이러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벽(100)이 먼저 구성되고 철근들(10)을 통합한다. 벽(100)의 평면에서 단독으로 연장하는 대신에, 철근들(101)은 벽(100)의 면(102)으로 연장하기 위해서 회전한다. 벽(100)은 함몰부들(103)을 갖도록 주조되는데, 이는 종결부(121)를 노출시키고 종결부들을 벽(100)의 면(102)으로부터 접근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 면(102)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이러한 종결부들(12)은 슬래브(101)를 위한 보강의 설정시에 철근들(10)을 수용하게 된다.
설명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들(12,12)은 앞선 실시 예에서 4개의 융기부들 보다는 작은 단지 3개의 융기부들을 갖는 짧은 길이이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종결부들(12)은 벽(100)의 면(102)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슬래브(101)를 위한 보강의 설정시에, 종결부들(12)을 종결부들(12)에 서로연결시킴에 의해서 인터록(61)을 형성함으로써 철근들(10)은 철근들(10)에 간단히 연결될 것이다. 그러면 슬리이브들(62)은 결합에서 종결부들을 보유하도록 인터록 위로 배치된다. 또한, 슬리이브들(62)은 커플링(60)에서 설계 전단하중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구간 모듈을 구비한다.
일단 보강이 연결되면, 콘크리트는 이러한 슬리이브를 형성하도록 부어진다. 콘크리트를 주조함에 있어서, 보강 위로 적당한 커버를 보장하기 위해서 함몰부들(103)은 완전히 채워진다.
도 8과 9는 위에서 언급한 종결부의 형상에서 다양한 변형들을 보여준다. 이러한 종결부들은 앞서 설명한 많은 특징을 가지므로, 유사한 특징들은 유사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 내지 8의 실시 예에 있어서, 종결부들(12)의 융기부들(16,17,18)은 앞선 실시 예들에서와 같은 선형보다는 아치형으로 보다 복잡하게 설계된다.
도 9는 종결부(12)의 프로필 상에서의 추가적인 변형을 나타낸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융기부들은 초기 실시 예들에서보다 더욱 기복이 있다. 도 8 및 9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측벽에 형성된 지지면들은 수직으로부터 축방향 하중의 방향으로 경사져있다. 이것은 특히 도 9의 실시 예들에 대한 경우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러한 실시 예들에 있어서, 비록 하중의 대부분은 바를 통해서 취할 수 있을지라도, 축방향 하중하에서 힘은 리테이닝장치로 전달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융기부들의 형상 때문에, 측방향 슬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종결부들과 리테이닝 장치 사이에서 매우 타이트한 허용오차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허용오차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패킹의 사용에 의해서 또는 리테이닝장치의 형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보강재(70)가 2개의 별도 부품들, 즉, 단부 요소(또는 종결부)(71) 및 일정길이의 종래 철근(75)(변형된 바로서 도시됨)로부터 형성되는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다. 종결부(71)는 측방향 결합면(15) 및 철근(10)의 로킹 형성부들(16,17,18,19,20,21,22,23)을 포함하도록 형상화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유사한 특징들에는 유사한 참조부호들이 주어진다. 종결부(71)는 바와는 별도로 형성되고, 특별한 형태에서 단일체로서 주조된다. 그런데, 종결부를 제조하는 공정은 주조로서 제한되지 않으며, 단조, 밀링, 프레싱 등 또는 이들 공정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재료 가공기술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종결부는 제 1 및 제 2 단부(72.73)를 포함하며, 이때 제 1 단부(72)는 철근(75)의 단부(76)에 대하여 결합된다. 설명한 형태에 있어서, 제 1 단부(72)의 직경은 바(75)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그래서 결합되는 경우에 보강재(70)(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있는 요소들 사이에서 일관된 연결 결합(78)이 존재한다. 이러한 연결 결합(78)은 철근(CL)의 축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수직하다. 결합은 보강재의 주요 하중 조건(축)에 대하여 수직하다.
보강재(71)의 형성에 있어서, 종결과 철근 사이의 결합(78)은 영구적으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보강을 완전히 일체형 유닛으로 만드는 장점을 가지며, 이것은 현장에서 부품들의 수동 조립 필요성을 회피하게 한다. 이것은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별도 커플링들의 부정확한 끼워 맞춤의 문제점을 회피하게 한다. 이것은 결합의 특성들이 만족할 만큼 조절될 수 있는 환경에서 결합이 만들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부품들의 결합은 부품들 위로 틀 결합된 칼라와 같은 기계적인 연결을 사용하고, 연결에 사용된 부품들을 최소화하며, 축방향 하중과 연성하에서 강도의 요구조건들을 만족스럽게 하기 위해서 결합의 양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특별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와 바는 마찰용접 공정에 의해서 연결되는데, 이는 2개의 부품들이 함께 가압되고(마찰력이나 단조력 하에서) 한 부품을 다른 부품에 대하여 문지르는 기계적 마찰에 의해서 가열된다(도 12에 설명된 형태에서, 한 부품은 회전시키고 다른 부품은 정지상태로 유지함에 의해서). 특히, 바(75)는 마찰 용접기계(120)의 비 회전 척(121)에서 고정되고, 반면에 종결부(71)는 회전 척(122)에 부착된다. 부품들(71,75)은 정렬되고 그래서 바(75)의 축(CL)은 종결부(71)의 참조 축(RA)에 정렬된다. 부품 단부들(72,76)은 척들(121,122)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서 함께 결합하고 척(122)은 종결단부(72)를 바 단부(76)에 대하여 문지르도록 회전된다. 금속이 연화되고 부품들의 몇몇 단축(전복)이 마찰력하에서 일어날 때까지 충분한 시간 동안에 기계적인 마찰에 의해서 가열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척(122) 상의 회전 구동력은 불연속적이지만, 종결부를 바 단부(76)에 융합시키기 위해서 마찰력은 유지되거나 증가한다. 기술적으로, 용융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용접은 용접공정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실제적이지 않고 단조 기술이 실행된다. 결과적인 결합은 단조 질이고, 접촉영역을 통해서 완벽한 인접 결합용접이다. 마찰 용접기계는 특별한 설치조건들을 요구하지 않으며, 배기되어야할 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 공정은 높은 생산비율로 자동화하기 쉽다. 추가적인 장점은 결합될 단부들이 특별히 준비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서 부품들(71,75)의 예비처리를 최소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들(10)이나 보강재(70)를 사용하는 커플링 배열은 실제적인 잇점을 갖는다. 각각의 종결부가 바 축에 영구적으로 결합됨에 따라서, 특히 종결부가 바 축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에 종결부의 강도는 바의 강도에 적당히 부합될 수 있다. 별도 부품들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 커플러들과 연관된 주요 문제는 철근가 강도면에서 변한다는 것이다.(예를 들면, 보통은 500MPa/bar가 높은 강도 650Mpa을 갖게 됨). 이것은 커플러들이 매우 강한 바들과 부합하지 않고 그래서 이러한 가능한 부조화를 수용하기 위해서 커플러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이것은 요구되는 것보다 높은 강도의 커플러를 제공함으로써 커플러 자체의 연성특성을 감소시킴에 따라서 수반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축에 대한 종결부의 일체형 특성은 부조화를 회피하게 하고, 바 축에 대하여 올바르게 부합하도록 결합에 연성과 강도를 허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확대된 단부와 형상화된 결합면을 통합하고 축과 동일한 종결부의 재료를 가짐으로써, 커플링에서의 강도는 결합된 철근보다 크다. 한 형태에 있어서, 종결부에서 다양한 요소들의 치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지라도 커플링은 바의 강도의 약 110%의 강도를 갖는다.
이렇게 증가된 강도를 갖더라도, 커플링은 바 축보다 큰 연성을 나타내며, 본 발명자에 의해서 수행된 테스트들은 이것이 그러한 케이스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론에 의해서 기초함이 없이, 이 연성 증가는 커플링을 따라서 신장 가능하게 하는 융기부가 붕괴되는 소성변형하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게 되었다.
또한, 보통의 지지면들은 하중하에서 커플링의 종방향 슬립을 제한한다. 발명자에 의해서 수행된 테스트들은 앞서 설명한 하중 테스트 조건들(통상적으로 300Mpa의 축방향 하중하에서) 하에서 0.1mm보다 작은 슬립이 존재하는 것을 알게되었다. 축방향 하중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지지면들을 갖는 특징은 슬립이 슬리이브(51)와 결합된 종결부들 사이에서 끼워 맞추어짐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슬리이브는 정확한 허용오차로 제조될 필요는 없다.
또한, 커플링은 비교적 얇은 형상을 가지며, 이것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보강재 위로 적당한 콘크리트 커버를 가능하게 하면서 더욱 얇은 콘크리트 구간들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이다.
끝으로, 커플링의 장점은 현장에서 조립하기에 쉽고 현장에서 커플링이 적당히 설치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쉽다는데 있다. 만일 종결부들이 함께 적당히 연결되지 않으면, 결합된 종결부들 위로 슬리이브를 위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및/또는 슬리이브 길이를 넘어서서 종결부 돌출부의 일부로서 명백하게 가시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종결부들의 예비형성 및 종결부들을 철근들에 부수적으로 결합시키는 옵션은, 결과적인 보강재가 고도의 특별한 장비 없이도 만들어질 수 있게 하며, 이에 의해서 제품의 제조에서 유연함이 제공되고 특히 제조현장에서 원하는 경우에 이송 및 취급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분배된 제조에 대하여 가능해진다.
다음에 설명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와 본 발명의 앞선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문맥에서 표현언어나 필수적인 함축으로 인한 것들로 인해 요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용어 "comprise" 또는 "comprises"나 "comprising"과 같은 변형들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특징들의 존재를 특정화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른 특징들의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 포괄적인 의미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역역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앞서 설명한 부분들에 대하여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3)

  1. 철근용 종결부(termination)로서,
    상기 종결부는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부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된 측방향 결합면을 구비하고, 사용시에, 상기 제 1 단부는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면은 종방향으로 적용된 하중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인터록(interlock)을 형성하도록 보완적으로 형상화된 종결부와 서로 끼워맞추어지게 배열된 로킹 형성부들을 그 위에 채용한 철근용 종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금속 주조로서 형성되는 철근용 종결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보강 커플링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형상화되고 상기 종결부에 대하여 동일한 형상의 보완적인 종결부를 갖는 인터록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철근용 종결부.
  4. 어느 선행하는 항에 따른 철근으로서, 상기 로킹 형성부들이 형상화되어 축방향 하중하에서 상기 인터록에서의 반응력은 상기 종결부의 분리를 유도하지 않는 철근.
  5. 어느 선행하는 항에 따른 보강용 종결부로서, 상기 로킹 형성부들은 상기 결합면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융기부들 및 상기 융기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포함하며, 사용시에,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와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는 보완적으로 형상화된 종결부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 및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와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보강용 종결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융기부들은 상기 함몰부의 각각의 측벽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는 보강용 종결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상기 인터록에서 상기 보완적인 형상의 종결부와 결합하도록 배열된 지지면들을 통합하는 보강용 종결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참조 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의 내부각도 10°로 연장되는 보강용 종결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참조 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의 내부각도 5°로 연장되는 보강용 종결부.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들은 상기 종결부의 상기 제 2 단부 쪽으로 상기 결합면을 따라서 하방향으로 단이 지는 보강용 종결부.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융기부는 제 2 융기부 보다 종방향으로 더 넓은 보강용 종결부.
  12.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강으로 형성되는 철근용 종결부.
  13. 어느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강으로 형성되는 철근용 종결부.
  14. 보강재로서,
    상기 보강재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철근; 및
    상기 보강재의 단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어느 선행하는 항에 따른 종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보강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철근의 단부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종결부와 상기 철근은 단부 대 단부 관계로 결합되는 보강재.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종결부의 참조 축은 상기 철근의 축과 정렬되는 보강재.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융합되는 보강재.
  18. 제 14 내지 제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대하여 단조되는 보강재.
  19. 제 14 내지 제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용접되는 보강재.
  20. 제 14 내지 제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축에 마찰 용접되는 보강재.
  21. 제 14 내지 제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축에 비해서 확대되는 보강재.
  22. 제 1 및 제 2 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으로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제 1 및 제 2 철근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종결부들 - 상기 종결부들과 상기 철근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4 항 내지 제 21 항들 중 어느 항에 따른 보강재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종결부들의 상기 결합면들은 인터록을 형성하도록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로킹 형성부들과 대항하여 인접함 -;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여 인접하는 관계로 상기 결합면들을 보유하도록 상기 인터록 주위로 배치된 리테이닝 장치를 포함하는 커플링.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이 배열되고 그래서 상기 인터록은 상기 리테이닝 장치상에서 어느 상당한 하중을 포함함이 없이 축방향 하중을 수용하는 커플링.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장치는 슬리이브의 형태를 이루는 커플링.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인접하는 종결부들 위로 미끄러질 수 있는 커플링.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상기 철근들 중 적어도 하나 보다 큰 전단강도를 갖는 커플링.
  27.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종결부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커플링.
  28. 제 21 항 내지 제 27 항들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들은 강으로 형성되는 커플링.
  29. 보강재의 형성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결부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종결부를 상기 철근과 일체로 만들기 위해서 상기 종결부를 철근의 단부 위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강재의 형성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융합되는 보강재의 형성방법.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단조되는 보강재의 형성방법.
  32.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용접되는 보강재의 형성방법
  33.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부는 상기 철근에 마찰 용접되는 보강재의 형성방법
KR1020117012988A 2008-11-06 2009-11-06 보강재 KR20110112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8905736A AU2008905736A0 (en) 2008-11-06 Reinforcing
AU2008905736 2008-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285A true KR20110112285A (ko) 2011-10-12

Family

ID=4215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988A KR20110112285A (ko) 2008-11-06 2009-11-06 보강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52888A4 (ko)
JP (1) JP2012507645A (ko)
KR (1) KR20110112285A (ko)
CN (1) CN102209822B (ko)
BR (1) BRPI0916129A2 (ko)
CA (1) CA2742721A1 (ko)
WO (1) WO20100515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31B1 (ko) * 2012-06-26 2013-03-04 이정화 철근 및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9081B (zh) * 2011-01-19 2016-05-25 日本轻金属株式会社 旋转工具单元、摩擦搅拌接合方法、双层面板的组装体及双层面板的摩擦搅拌接合方法
EP2756976B1 (en) * 2013-01-22 2019-07-24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Assembly for connecting two objects
CN103206045A (zh) * 2013-04-19 2013-07-17 陈灿斌 一种钢筋锚固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103276906A (zh) * 2013-06-06 2013-09-04 金陵科技学院 钢筋连接方法及其配套扣件
WO2015081365A1 (en) * 2013-12-03 2015-06-11 Monkey Bar Couplers Pty Ltd Reinforcing couplings and their manufacture
CN104213640B (zh) * 2014-08-11 2016-09-28 美国国绿投资集团 叠梁粘合式抗剪连接器
JP6638897B2 (ja) * 2015-01-29 2020-01-29 清水建設株式会社 構造物補強用部材及び継手構造
CN105569277B (zh) * 2015-12-16 2017-10-27 天津银龙高科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筋连接头
JP6410756B2 (ja) * 2016-05-17 2018-10-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属複合材及び金属接合方法
CN107023120B (zh) * 2017-04-21 2023-05-1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自锁卡管式钢筋直插接头
KR101930290B1 (ko) * 2018-01-12 2018-12-18 (주)레보메드 체액 분리 장치
KR101979382B1 (ko) * 2018-11-30 2019-05-17 (주)레보메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체액세포 분리 및 농축키트
CN110552466A (zh) * 2019-08-13 2019-12-10 孔瑞清 钢筋连接组件、连接节点及在装配式建筑中的应用
CN112523576B (zh) * 2020-11-09 2022-07-19 山东天成钢结构有限公司 一种装配式板梁界面减振抗剪连接构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9096A (en) * 1981-01-15 1986-10-28 Richmond Screw Anchor Co., Inc. Rebar splicing and anchoring
US5098216A (en) * 1990-04-16 1992-03-24 Caperton Charles B Interlocking rods and coupler
JP3008779U (ja) * 1994-09-09 1995-03-20 合同製鐵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構造部材のための打継ぎ用継手を備えた補強鉄筋の構造
JPH08261216A (ja) * 1995-03-27 1996-10-08 Tokyo Tekko Co Ltd 異形鉄筋用ねじ継手
GB2320264B (en) 1996-12-13 2000-12-27 Tai Hsiu Lan Connecting structure for reinforcements
US6065263A (en) 1997-06-27 2000-05-23 Kaieitechno Co.,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concrete block and connector used therefor
JP2911036B1 (ja) * 1998-05-13 1999-06-23 株式会社ケー・エフ・シー 異形差筋アンカーとその製造法
NL1012410C2 (nl) * 1999-06-22 2001-01-10 R C M Ankertec B V Betonconstructie met ankerstaven alsmede ankerstaaf.
US20030231925A1 (en) 2002-06-13 2003-12-18 Ching-Cheng Chen Visual inspection coupler
BRPI0606570A2 (pt) * 2005-02-08 2017-06-27 Sugar Steel Eng Pty Ltd método e dispositivo para conformar reforço de metal, dispositivo de conformação de barras de reforço, instalação de produção de barra de reforço e método de produzir barra de reforço
EP1896670A1 (en) 2005-03-11 2008-03-12 Adjusta Pty Ltd Concrete reinforcement connec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31B1 (ko) * 2012-06-26 2013-03-04 이정화 철근 및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9822B (zh) 2014-06-25
BRPI0916129A2 (pt) 2018-05-15
JP2012507645A (ja) 2012-03-29
CN102209822A (zh) 2011-10-05
CA2742721A1 (en) 2010-05-14
EP2352888A4 (en) 2012-12-26
EP2352888A1 (en) 2011-08-10
WO2010051594A1 (en)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285A (ko) 보강재
US9637924B2 (en) Reinforcing
JP5746809B2 (ja) 補強棒
US20090263185A1 (en) Rebar splice sleeve and method of splicing
KR100919701B1 (ko) 프리캐스트 기둥과 프리캐스트 보의 접합구조
KR20170059840A (ko) 결합성을 향상시킨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1122122B1 (ko) 헤드철근을 위한 철근연결장치
KR102221614B1 (ko) 철근 연결용 원터치 커플러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AU2009311264B2 (en) Reinforcing
KR20220014700A (ko) Phc 파일용 연결구, phc 파일용 연결구가 구비된 phc 파일 및 이의 제작 방법
WO2021014616A1 (ja) 鉄筋継手および鉄筋組立体、並びに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CN111021339A (zh) 快速对接组件及快速对接机构
CN211690314U (zh) 快速对接组件及快速对接机构
CN211690308U (zh) 快速对接机构
KR101865400B1 (ko) Phc파일용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
KR20240016380A (ko) 철근 이음 장치
KR20170064677A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JP2006124976A (ja) 鉄筋の機械式継手
CN111088794A (zh) 快速对接机构
CN111101505A (zh) 快速对接组件及快速对接机构
CN111021342A (zh) 快速对接组件及快速对接机构
CN111119166A (zh) 快速对接组件及快速对接机构
JPH11124958A (ja) 鉄筋の継手構造
JP200218059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鉄筋継手、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接合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