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158A - 연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연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158A
KR20130061158A KR1020130054137A KR20130054137A KR20130061158A KR 20130061158 A KR20130061158 A KR 20130061158A KR 1020130054137 A KR1020130054137 A KR 1020130054137A KR 20130054137 A KR20130054137 A KR 20130054137A KR 20130061158 A KR20130061158 A KR 2013006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upling
coupling case
members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517B1 (ko
Inventor
홍의창
Original Assignee
(주) 호창엠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호창엠에프 filed Critical (주) 호창엠에프
Priority to KR102013005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결합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2개의 연결용 소재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에는 다수의 수용홈(140)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100,102)와;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100,102)의 수용홈(140)에 각각 수용되며, 연결용소재(M)의 외면과 밀착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00)와;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에 체결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탄성부재(300)가 결합케이스(100,10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4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에 의해 커플링이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있다.

Description

연결용 커플러 {Joining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2개의 연결용 소재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링(coupling)장치는 '축이음'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두 개의 축을 연결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커플링장치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허 건설현장에서 철근의 연결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플링장치는 연결구조가 복잡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지 못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 등록번호 제10-1003302에서와 같은 철근커플러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철근커플러의 경우에도 하우징 안쪽에 별도의 커플러 바디가 존재하고, 커플러 락이나 성형스프링 등이 하우징 내에서 유동이 발생하므로 철근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재료비 상승은 물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100330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체결부재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2개의 연결용 소재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대칭되는 좌우의 부품들 사이에 별도의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어, 결합케이스 내부에서 부품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에는 다수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의 수용홈에 각각 수용되며, 연결용소재의 외면과 밀착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와 탄성부재가 결합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케이스는, 일측으로 갈수록 첨차 내경이 감소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 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결합케이스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블럭이 등(等)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블럭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증가하는 구성을 가지며, 일면에는 상기 연결용소재에 형성되는 마디와 간섭되는 다수의 체결톱니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톱니의 외면은 상기 연결용소재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가 접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우측결합케이스에 장착되고, 중앙부에는 체결을 위한 렌치홈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 내부에 체결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부품수의 단순화로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합케이스의 내부에 지지블럭이 등(等)간격으로 형성되므로, 연결용 커플러를 구성하는 결합케이스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연결용 커플러의 내구성과 결합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 내부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좌우의 부품들 사이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하나의 결합케이스(우측결합케이스)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체결부재와 탄성부재 등의 내부 부품이 결합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조립작업이나 분리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결합케이스 내부에서 부품들의 자유 유동이 방지되어 연결용 커플러의 체결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2개의 연결용소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좌측결합케이스의 상세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좌측결합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측결합케이스의 상세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측결합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부재의 상세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탄성부재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와 연결용 소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로 연결용소재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연결용소재가 결합된 상태의 외관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도 1의 정단면도와 'A-A'부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용 커플러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100,102)와, 연결용소재(M)의 외면과 밀착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00)와,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탄성부재(300)가 결합케이스(100,10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케이스(100,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된다. 즉, 상대적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결합케이스(10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결합케이스(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며, 전체적인 연결용 커플러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수용홈(140)이 길이방향(좌우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200)가 수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결합케이스(10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부터 한 쌍의 연결용소재(M)의 끝단이 삽입되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용소재(M)는, 다양한 형태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철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연결용소재(M)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마치 대나무와 같은 마디(M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마디(M1)는 등(等)간격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마디(M1)에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부재(200)의 체결톱니(210)가 걸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100,102)에 형성되는 수용홈(140)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연결용소재(M)의 외면과 밀착하여 연결용소재(M)가 결합케이스(100,102)의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2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톱니(2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체결톱니(210)가 상기 연결용소재(M)의 마디(M1)와 간섭되어 연결용소재(M)가 결합케이스(100,102)의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300)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300)는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서로 좌우로 대칭되게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탄성부재(300)는, 좌우에 구비되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들을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의 외측 방향으로 밀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좌측의 체결부재(200)는 좌측 방향으로 밀게 되고,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부에 구비되는 우측의 체결부재(200)는 우측 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에 체결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탄성부재(300)가 결합케이스(100,10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재(4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되어,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부에 조립된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탄성부재(300)가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외측(좌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는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외관사시도 및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는, 일측으로 갈수록 첨차 내경이 감소하는 좌측몸체(110)와, 상기 좌측몸체(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좌측체결단(112)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측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좌측몸체(110)의 우측단은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측체결단(11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좌측체결단(112)은,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가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우측체결단(122)과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체결단(11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체결단(112)은 상기 좌측몸체(110)의 우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좌측체결단(11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12a)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블럭(130)이 등(等)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다수의 지지블럭(130)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14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블럭(130)이 등(等)간격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블럭(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이 상기 연결용소재(M)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원호(곡률)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블럭(130)은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지지블럭(130) 내측에는 상기 연결용소재(M)가 충분히 통과 가능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체결부재(2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적어도 상기 체결부재(200)가 내부에 수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상기 수용홈(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부(142)와, 상기 좌측체결단(112)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평부(144)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홈(140)의 끝단은 상기 체결부재(200)의 끝단과 대응되는 고리(
Figure pat00001
)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수용홈(140) 경사부(142)의 좌측단은 갈고리 형상(
Figure pat00002
)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좌측면에는 상기 연결용소재(M)가 통과하는 좌측출입홀(114)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외관사시도 및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는, 일측으로 갈수록 첨차 내경이 감소하는 우측몸체(120)와, 상기 우측몸체(1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우측체결단(122)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우측몸체(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우측몸체(120)의 좌측단은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체결단(12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우측체결단(122)은,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가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좌측체결단(112)과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체결단(1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우측체결단(122)은 상기 우측몸체(120)의 좌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어 단차지게 형성되며, 이러한 우측체결단(12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우측체결단(12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2a)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체결단(1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122a)와 대응되는 수나사(112a)가 형성되므로, 상기 우측체결단(122)과 좌측체결단(112)이 서로 나사체결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블럭(130)이 등(等)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다수의 지지블럭(130)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블럭(130)과 수용홈(140)은,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지지블럭(130) 및 수용홈(140)과 형상 및 크기는 동일하며, 다만 형성방향이 좌우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블럭(130)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체결부재(2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체결부재(200)가 내부에 수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있어야 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수용홈(140)도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에서의 경우와 같이, 상기 우측몸체(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부(142)와, 상기 우측체결단(122)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평부(144)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수용홈(140)의 끝단은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수용홈(140)과 같이 갈고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우측면에는 상기 연결용소재(M)가 통과하는 우측출입홀(124)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7에는 상기 체결부재(20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0)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증가하는 구성을 가지며, 일면에는 상기 연결용소재(M)에 형성되는 마디(M1)와 간섭되는 다수의 체결톱니(210)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0)는 우측(도 7에서)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하는 사각기둥 형상의 외관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00)의 상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다수의 체결톱니(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200)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체결톱니(210)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톱니(210)는 상기 연결용소재(M)의 마디(M1)에 걸리게 되어, 연결용소재(M)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톱니(210)의 외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체결톱니(210)의 외면은, 상기 연결용소재(M)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톱니(210)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에는 슬라이딩면(220)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도 7에서)에는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의 수용홈(140) 바닥면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220)은 상기 수용홈(140)의 바닥면과 대응되도록 경사면(222)과 수평면(22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사면(222)은 상기 수용홈(140)의 경사부(142)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면(224)은 상기 수용홈(140)의 수평부(144)와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면(220)의 경사면(222)과 수평면(224)은, 상기 수용홈(140)의 경사부(142)와 수평부(144)와 접하게 된다. 다만, 상기 경사면(222)의 좌우 길이는, 상기 경사부(142)의 좌우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면(224)의 좌우 길이도 상기 수평부(144)의 좌우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면(222)과 수평면(224)의 좌우(도 7에서) 길이가, 상기 수용홈(140)의 경사부(142) 및 수평부(144)의 좌우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체결부재(200)가 상기 수용홈(140)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의 내부로 상기 연결용소재(M)가 삽입될 때 상기 체결부재(200)가 지지부재(400) 쪽으로 일정 구간 밀려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에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0)는,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가 접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지지부재(400)가 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재(300)는, 내부에 탄성홀(310)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링(ring) 형상을 가진다. 상기 탄성홀(310)은 상기 연결용소재(M)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hole)이다.
상기 탄성부재(300)의 테두리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즉, 도시(도 8)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0)는 좌측(도 8에서)의 외경이 우측단보다 그 크기가 작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홀(310) 좌측단 테두리는, 좌측(도 8에서)으로 더 돌출되어 가이드턱(320)을 형성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의 좌측면 중앙부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좌측(도 8에서)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부재(200)의 우측단(도 7에서)이 탄성부재(300)와 원활하게 접하도록 가이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에는 상기 지지부재(4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00)는,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수나사(40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00)의 수나사(402)는 상기 우측체결단(12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2a)와 대응되는 치형(나사산)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우측체결단(122)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00)의 중앙부에는 렌치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렌치홈(410)은, 상기 지지부재(400)가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에 육각렌치 등과 같은 기구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육각렌치를 상기 렌치홈(410)에 삽입한 다음 지지부재(400)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400)가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연결용 커플러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홈(140)에 상기 체결부재(200)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상기 탄성부재(300)를 상기 체결부재(200)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00)를 육각렌치 등을 사용하여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우측체결단(122)에 나사 결합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탄성부재(300)는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나면,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를 좌측결합케이스(100)에 결합시킨다. 즉, 상기 좌측체결단(112)과 우측체결단(122)을 근접시켜 서로 나사 결합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좌측체결단(112)의 수나사(112a)와 상기 우측체결단(122)의 암나사(122a)가 서로 체결되고, 결국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를 좌측결합케이스(100)가 결합되어, 전체적인 연결용 커플러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연결용 커플러의 좌우로부터 2개의 연결용소재(M)를 삽입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화살표와 같이 좌우로부터 상기 연결용소재(M)를 삽입한다. 즉,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 내부의 체결부재(200)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밀려 좌측결합케이스(100)의 내부 좌측단에 밀착되고,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 내부의 체결부재(200)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밀려 우측결합케이스(102)의 내부 우측단에 밀착되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용 커플러의 좌우로부터 상기 연결용소재(M)가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의 좌측으로부터는 연결용소재(M)가 좌측결합케이스(100)의 좌측출입홀(114)을 통과하여 우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우측으로부터는 연결용소재(M)가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우측출입홀(124)을 통과하여 좌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좌우(도 11의 검은색 화살표 참조)로부터 상기 연결용소재(M)가 각각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연결용소재(M)에 의해 밀려 연결용 커플러의 내부 중앙(도 11의 흰색 화살표 참조)으로 모이게 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용소재(M)의 마디(M1)와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톱니(210)가 서로 간섭되므로,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되어, 도 11의 화살표(횐색)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00) 쪽으로 모이게 된다.
즉, 도 11과 같이 상기 연결용소재(M)가 좌우(검은색 화살표 참조)로부터 삽입되면, 상기 결합케이스(100,102)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체결부재(200) 간 거리가, 상기 연결용소재(M)의 외경 크기보다 더 작으므로,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는 상기 지지부재(400)가 설치된 중앙부(흰색 화살표 참조)로 밀려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가 상기 연결용소재(M)에 의해 밀려 상기 수용홈(140)을 따라 슬라이딩하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재(200) 상호 간의 거리는 점점 늘어나게 된다. 즉,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의 몸체(110,120)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수용홈(140)의 경사부(142)를 따라 상기 체결부재(200)가 이동함에 따라 마주보는 체결부재(200) 상호간의 거리는 점점 늘어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상기 연결용소재(M)가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결합케이스(102)이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다음에는, 상기 연결용소재(M)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조금씩 회전시키면서 좌우로 당긴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의 연결용소재(M)를 다시 연결용 커플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서 좌우(도 3의 검은색 화살표 참조)로 당기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탄성부재(300)에 의해 밀려 좌우(도 3의 흰색 화살표 참조)로 유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용소재(M)의 마디(M1)는,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톱니(210)와 간섭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용소재(M)는 상기 좌측결합케이스(100)와 우측결합케이스(102)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좌측결합케이스 102. 우측결합케이스
110. 좌측몸체 112. 좌측체결단
120. 우측몸체 122. 우측체결단
130. 지지블럭 140. 수용홈
200. 체결부재 210. 체결톱니
220. 슬라이딩면 300. 탄성부재
310. 탄성홀 400. 지지부재
M. 연결용소재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에는 다수의 수용홈(140)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100,102)와;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100,102)의 수용홈(140)에 각각 수용되며, 연결용소재(M)의 외면과 밀착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300)와;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에 체결되어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와 탄성부재(300)가 결합케이스(100,10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케이스(100,102)는,
    일측으로 갈수록 첨차 내경이 감소하는 몸체(110,120)와;
    상기 몸체(110,1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 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단(112,12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결합케이스(100,102)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블럭(130)이 등(等)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블럭(130)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1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커플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0)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증가하는 구성을 가지며, 일면에는 상기 연결용소재(M)에 형성되는 마디(M1)와 간섭되는 다수의 체결톱니(210)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톱니(210)의 외면은 상기 연결용소재(M)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커플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상기 다수의 체결부재(200)가 접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지지부재(400)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커플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우측결합케이스(102)에 장착되고, 중앙부에는 체결을 위한 렌치홈(410)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커플러.
KR1020130054137A 2013-05-14 2013-05-14 연결용 커플러 KR10145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37A KR101456517B1 (ko) 2013-05-14 2013-05-14 연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137A KR101456517B1 (ko) 2013-05-14 2013-05-14 연결용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158A true KR20130061158A (ko) 2013-06-10
KR101456517B1 KR101456517B1 (ko) 2014-10-31

Family

ID=4885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137A KR101456517B1 (ko) 2013-05-14 2013-05-14 연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51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15Y1 (ko) * 2013-11-26 2014-10-15 (주) 호창엠에프 커플러용 체결랙 제조장치
KR101602399B1 (ko) 2015-10-13 2016-03-10 하재식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180112486A (ko) 2017-04-04 2018-10-12 정기찬 철근 연결기
CN109390900A (zh) * 2018-11-29 2019-02-26 威海市泓淋电力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用半导电附件
KR20200093937A (ko) * 2019-01-29 2020-08-06 (주) 호창메탈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163564B1 (ko) 2019-10-22 2020-10-07 (주)호성 원터치 커플러
CN111904702A (zh) * 2020-08-17 2020-11-10 河南中医药大学 一种中医护理用药物热敷装置
KR102250239B1 (ko) * 2020-09-07 2021-05-11 정현석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30B1 (ko) * 2017-03-22 2018-12-06 주영희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083942B1 (ko) * 2017-11-13 2020-03-04 동림산업(주) 철근이음장치
KR20200038785A (ko) 2018-10-04 2020-04-14 (주) 호창엠에프 랙형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068303B1 (ko) 2019-05-08 2020-01-21 (주)호창메탈 철근 커플러
KR102257383B1 (ko) 2019-10-02 2021-05-31 홍의창 세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105560B1 (ko) * 2019-10-25 2020-04-28 차성진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154938B1 (ko) * 2019-12-23 2020-09-10 김윤수 조립성을 향상시킨 철근 커플러
KR102325683B1 (ko) * 2020-02-18 2021-11-17 (주)케이모듈 구조재 정착용 커플러를 이용한 신규구조물의 정착 시공방법
KR102564835B1 (ko) 2022-12-15 2023-08-07 황영태 철근 융접합 개량 커플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113B2 (ja) * 1994-04-15 2002-03-25 株式会社ディビーエス 鉄筋連結具及び鉄筋連結方法
KR100722433B1 (ko) * 2005-05-26 2007-05-28 (주)대도산업 원터치식 철근 연결구
KR200415715Y1 (ko) * 2006-02-27 2006-05-04 공대식 철근 이음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15Y1 (ko) * 2013-11-26 2014-10-15 (주) 호창엠에프 커플러용 체결랙 제조장치
KR101602399B1 (ko) 2015-10-13 2016-03-10 하재식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180112486A (ko) 2017-04-04 2018-10-12 정기찬 철근 연결기
CN109390900A (zh) * 2018-11-29 2019-02-26 威海市泓淋电力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用半导电附件
KR20200093937A (ko) * 2019-01-29 2020-08-06 (주) 호창메탈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163564B1 (ko) 2019-10-22 2020-10-07 (주)호성 원터치 커플러
CN111904702A (zh) * 2020-08-17 2020-11-10 河南中医药大学 一种中医护理用药物热敷装置
KR102250239B1 (ko) * 2020-09-07 2021-05-11 정현석 조립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517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1158A (ko) 연결용 커플러
KR200474814Y1 (ko) 커플링 장치
KR101768816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RU268319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онентов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92613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768819B1 (ko) 나선철근과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US9829026B2 (en) Anchor bolt
TW201727085A (zh) 用於夾持膨脹部分的膨脹錨具
KR20130125697A (ko)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용 정착부재
KR10210169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JP2008095928A (ja) 締結部材
JP6258154B2 (ja) ボルト軸への取着体、及び配線・配管材支持装置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20120035976A (ko) 석재 고정용 셋트앵커
KR20200093937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768822B1 (ko) 전선 고정용 커플러
KR101827175B1 (ko) 강선 이음용 커플러
KR200474815Y1 (ko) 커플러용 체결랙 제조장치
KR101236247B1 (ko) 찬넬 스프링 락 너트
KR20170103284A (ko) 철근 커플러
KR100590420B1 (ko) 사면 네일링용 스페이서
JP6584890B2 (ja) 逆転防止機構付きアンカーボルト
KR101827163B1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제작방법
JP6819992B2 (ja) 連結具を備える仕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