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113A -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 Google Patents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113A
KR20230087113A KR1020210175764A KR20210175764A KR20230087113A KR 20230087113 A KR20230087113 A KR 20230087113A KR 1020210175764 A KR1020210175764 A KR 1020210175764A KR 20210175764 A KR20210175764 A KR 20210175764A KR 20230087113 A KR20230087113 A KR 2023008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surface
cutting
processing
prototy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852B1 (ko
Inventor
조래순
유상현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조래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래순 filed Critical 조래순
Priority to KR102021017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8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vertical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3Surface milling of plates, sheet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2Machine tools for performing different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C2215/08Automotiv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48Methods of mill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은, 대상물을 가공하여 기 설정된 형상을 형성하는 절삭가공방법으로서, 상기 대상물의 제1 면을 절삭하여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제1 가공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제1 가공면에 지지액을 투입하는 지지단계, 상기 지지액을 건조시켜 상기 제1 가공면을 고정하도록 굳히는 건조단계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을 절삭하여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제2 가공면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절삭가공방법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PROTOTYPE FOR REAR SEAT FRAME MODULE USING CUTTING METHOD}
본 발명은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양면을 절삭하여 가공품을 형성하는 절삭가공과정에서 제1 면을 절삭한 후, 제2 면을 절삭하면서 지지액에 의해 제1 가공면을 지지하여 시제품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에 관한 것이다.
생산품을 공정을 통해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생산품의 품질과 공정과정에 대한 효율성, 적합성, 호환성 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생산품을 대량 생산 혹은 판매를 위한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시제품을 형성하여 1차적으로 생산품에 대한 품질의 완성도와 공정의 복합적인 부분을 판단해야 하며, 시제품을 제작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상술한 시제품을 생산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제품을 찍어내는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고, 대상물을 절삭하는 절삭가공을 활용할 수도 있으나, 절삭가공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상물의 양면을 절삭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과정이 수반될 수 있었다.
아울러 양면을 절삭하여 시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대상물을 절삭하는 절삭기가 양면 중 어느 하나의 제1 면을 절삭하여 제1 가공면을 형성하고, 제2 면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제1 가공면을 향한 압력 발생으로 제1 가공면이 구부러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절삭가공은 상당히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었다.
또한, 대상물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휘어지면 불량품이 되며, 제대로된 시제품을 확인할 수 없고, 이는 생산과정이 생산품의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으로 이어지므로, 절삭과정은 그 정교함이 다른 공정과정에 비해 높다는 단점도 있을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대상물이 절삭가공과정에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문적인 섬세함 없이 시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과제고유번호] 0012974
[과제번호] P0012974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전문기관] 대구지역사업평가단
[연구사업명] 지역활력프로젝트(비R&D) 자동차부품산업 위기극복 & 신산업 전환 지원
[연구과제명] 친환경차 적용 안락성 향상을 위한 탑승자 맞춤형 다기능 리어 시트 프레임 모듈 시제품제작
[기여율] 1/1
[과제수행기관] 우현정공
[협약기간] 2021.07.29 ~ 2022.02.2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대상물의 양면을 절삭하여 가공품을 형성하는 절삭가공과정에서 제1 면을 절삭한 후, 제2 면을 절삭하면서 지지액에 의해 제1 가공면을 지지하여 시제품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은, 대상물을 가공하여 기 설정된 형상을 형성하는 절삭가공방법으로서, 상기 대상물의 제1 면을 절삭하여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제1 가공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제1 가공면에 지지액을 투입하는 지지단계, 상기 지지액을 건조시켜 상기 제1 가공면을 고정하도록 굳히는 건조단계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을 절삭하여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제2 가공면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제1 면에서 절삭하며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며 메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제1 면에서 제1 높이만큼 상기 제1 면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형상 중 상기 제1 가공면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절삭하되, 상기 대상물의 높이 이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높이만큼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을 절삭하되, 상기 제1 면이 상기 지지액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액을 상기 메움공간에 대응되는 만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메움공간에 상기 지지액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상기 지지액이 굳어 상기 제1 가공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가공면에 상기 지지액을 떼어내기 위한 분리막을 위치시키는 위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가공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액을 상기 제1 가공면에서 분리하도록 상기 위치과정에서 상기 제1 가공면에 배치된 상기 분리막을 제거하는 분리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면을 절삭하되, 제2 높이만큼 절삭하고, 상기 제1 높이와 상기 제2 높이의 합이 상기 대상물의 높이 이내가 되도록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지지액이 상기 메움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굳어 상기 제1 가공면을 지지하도록 석고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절삭가공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탑승수단에 구비되는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으로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여 프레임모듈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가공면을 상기 지지액을 통해 지지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2 가공면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은 대상물의 양면을 절삭하여 가공품을 형성하는 절삭가공과정에서 제1 면을 절삭한 후, 제2 면을 절삭하면서 지지액에 의해 제1 가공면을 지지하여 시제품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의 절삭가공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의 제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의 지지단계와 건조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의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의 절삭된 상태의 대상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삭가공방법은 대상물(D)의 제1 면(D1)을 가공하는 제1 단계(S10), 상기 제1 단계(S10)에서 절삭되면서 형성되는 메움공간(10)에 지지액(30)을 주입하는 지지단계(S20), 상기 지지액(30)을 굳히는 건조단계(S30), 상기 지지액(30)에 의해 상기 제1 단계(S10)에서 형성된 제1 가공면(F1)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2 면(D2)을 가공하여 제2 가공면(F2)을 형성하는 제2 단계(S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S10)는 상기 대상물(D)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면(D1)을 가공하는 과정이며, 상기 제1 면(D1)은 생산하고자 하는 시제품의 형태에 맞도록 굴곡을 가진 상기 제1 가공면(F1)으로 가공되고, 상기 제1 가공면(F1)은 형태를 따라 서로 다른 제1 높이(L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높이(L1)는 상기 제1 면(D1)에서 상기 제1 가공면(F1)까지의 거리, 즉, 상기 시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상기 제1 가공면(F1)을 깎아내기 위한 거리에 부합되므로, 상기 제1 높이(L1)는 상기 제1 가공면(F1)의 형태를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높이(L1)는 정해진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시제품의 형태를 따라 상기 제1 면(D1)에서 상기 제1 가공면(F1)까지의 거리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단계(S20)는 상기 제1 면(D1)을 가공하는 상기 제1 단계(S10)를 수행하고, 상기 제2 단계(S40)에서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삭기(C)의 압력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상기 제1 면(D1)을 가공하며 형성되는 상기 메움공간(10)에 상기 지지액(30)을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액(30)은 상기 제1 가공면(F1)을 지지하도록 상기 메움공간(10)에 가득 주입될 수 있으며, 건조되면서 굳어 상기 제1 가공면(F1)을 지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액(30)은 석고로 구비되어 희석된 상태에서 상기 메움공간(10)에 주입되고, 건조되며 굳어 상기 제1 가공면(F1)을 지지하여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하면서 상기 절삭기(C)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가공면(F1)이 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단계(S20)는, 추후 상술할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메움공간(10)에 주입된 상기 지지액(30)을 상기 제2 단계(S40)가 종료된 시점에서 손쉽게 상기 제1 가공면(F1)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공면(F1)에 분리막(20)을 부착하는 위치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막(20)은 상기 제1 가공면(F1)에 부착되는 상기 위치과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제1 가공면(F1)과 상기 지지액(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공면(F1)에서 상기 지지액(3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공면(F1)과 분리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단계(S30)는 상기 지지단계(S20)를 통해 상기 메움공간(10)으로 주입된 상기 지지액(30)을 굳히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단계(S30)에서는 자연 건조를 통해 상기 지지액(30)을 굳힐 수도 있고, 별도의 열풍을 발생시키는 기기를 통해 상기 지지액(30)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지지액(30)을 상기 메움공간(10)에 고정하면서도 상기 지지액(30)을 굳혀 상기 제1 가공면(F1)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들을 활용할 수 있고, 반드시 언급된 바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S40)는, 앞서 상술한 과정을 완료하고,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하는 것은 상기 제1 가공면(F1)이 하부를 바라보는 상태, 혹은 상기 대상물(D)이 가공대 위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1 가공면(F1)이 상기 가공대를 바라보도록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움공간(10)에는 상기 지지액(30)이 가득차도록 주입되기 ?문에 상기 지지액(30)은 상기 가공대와 맞닿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절삭기(C)를 통해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하여 제2 가공면(F2)을 형성하되, 제2 높이(L2)만큼 절삭하여 상기 시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높이(L2)는 앞서 상술한 상기 제1 높이(L1)와 유사하게 상기 제2 가공면(F2)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면(D2)을 깎아내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2 면(D2)에서 상기 제2 가공면(F2)까지의 거리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상기 제1 단계(S10), 상기 지지단계(S20), 상기 건조단계(S30) 및 상기 제2 단계(S40)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삭가공방법은 상기 시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대상물(D)을 상기 가공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삭기(C)를 활용하여 상기 제1 면(D1)을 가공하는 상기 제1 단계(S10)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단계(S10)는 일반적으로 수동작업을 통해 가공하거나 기기를 활용하여 자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의 정밀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D)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제작하기 위한 상기 시제품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하여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의 시제품을 제작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D)은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상술할 내용도 금속재질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설명은 한 가지의 예시일 뿐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제품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반드시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제1 면(D1)을 가공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면(D1)에 상기 절삭기(C)를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절삭기(C)가 상기 제1 면(D1)을 깎아내면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절삭기(C)에 의해 압력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면(D2)은 가공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제1 가공면(F1)을 가공하는 과정에서는 별도의 지지력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D1)에서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절삭기(C)를 통해 상기 제1 면(D1)을 깎아내고,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D)을 깎아내면서 상기 메움공간(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움공간(10)은 상기 제1 가공면(F1)과 상기 제1 면(D1)이 형성하는 공간이며, 상기 지지액(30)이 주입되는 공간이고,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D)을 상기 절삭기(C)를 이용하여 깎아낸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계(S10)를 통해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면, 상기 메움공간(10)에 상기 메움공간(10)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상기 지지액(30)을 주입하고, 상기 제1 높이(L1)만큼 절삭되어 가공된 상기 제1 가공면(F1)에 상기 분리막(20)을 위치시키는 위치과정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풀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고 난 후, 상기 제1 가공면(F1)에 상기 분리막(20)을 위치시키되, 상기 분리막(20)의 테두리, 즉, 둘레부가 상기 메움공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액(30)을 상기 분리막(20)의 상부에 주입하며 상기 메움공간(10)을 메울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리막(20)의 둘레부를 상기 메움공간(10)에서 돌출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은 상기 제2 단계(S40)를 통해 상기 제2 가공면(F2)을 형성하고 나서 상기 지지액(30)을 상기 제1 가공면(F1)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막(20)이 상기 제1 가공면(F1)의 굴곡에 의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경우는 피치 못하게 상기 제2 가공면(F2)에 압력을 가해야 하고, 상기 제2 가공면(F2)에 압력이 가해져 휘어지면 상기 시제품은 불량 상태가 되므로, 상기 분리막(20)의 둘레부를 상기 메움공간(10)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가공면(F1)에서 상기 지지액(30)을 손쉽게 분리하도록 상기 분리막(20)의 둘레부를 상기 메움공간(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막(20)을 위치시키는 위치과정을 포함한 상기 지지단계(S20)를 수행하면, 상기 지지액(30)을 굳히는 상기 건조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단계(S30)를 수행함에 있어서 앞서 상기 건조단계(S30)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건조, 혹은 별도의 기기를 활용한 열풍 건조 등 상기 지지액(30)을 굳히는 과정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한 바에만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건조단계(S30)를 수행하고 나면, 상기 지지액(30)은 상기 제1 가공면(F1)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되며, 상기 제2 면(D2)을 상기 절삭기(C)를 향하도록 상기 대상물(D)을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절삭기(C)에 의해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하여 상기 제2 가공면(F2)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가공면(F2)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면(D2)에서 상기 제2 높이(L2)만큼 절삭되어 상기 시제품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높이(L1)와 상기 제2 높이(L2)의 합은 상기 대상물(D)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시제품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대상물(D)의 높이의 일부가 상기 시제품의 두께를 의미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높이(L1)와 상기 제2 높이(L2)의 합은 상기 대상물(D)의 높이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즉, 상기 대상물(D)과 상기 제1 높이(L1) 및 상기 제2 높이(L2)의 합은 서로 같을 수 없으며, 상기 제1 높이(L1) 및 상기 제2 높이(L2)의 합은 무조건 상기 대상물(D)의 높이보다 작은 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단계(S40)에서 상기 제2 가공면(F2)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1 가공면(F1)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액(30)을 분리해 상기 시제품의 형상을 구성해야 하므로, 상기 분리막(20)을 분리하는 분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분리막(20)을 상기 제1 가공면(F1)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시제품의 형상을 마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대상물(D)의 크기 및 상기 시제품의 크기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지만, 상기 시제품이 상기 대상물(D)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며, 상기 대상물(D)에 다수의 상기 시제품 형상을 마련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대상물(D)을 통해 다수의 상기 시제품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대상물(D)에 다수의 상기 시제품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시제품의 형상에 맞게 상기 대상물(D)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상기 절삭기(C)를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재단과정을 통해 상기 대상물(D)에서 분리시킬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재단과정을 거쳐 상기 시제품을 최종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제품의 형상을 상기 제1 가공면(F1)과 상기 제2 가공면(F2)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시제품의 형상 외 상기 대상물(D)은 재단하여 상기 시제품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단계(S10)를 통해 가공되는 상기 제1 가공면(F1)은 상기 시제품의 전면, 즉, 상기 시제품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계(S40)를 통해 가공되는 상기 제2 가공면(F2)은 상기 시제품의 후면, 즉, 상기 시제품의 양면 중 상기 제1 가공면(F1)과 대향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계(S10), 상기 지지단계(S20), 상기 건조단계(S30), 상기 제2 단계(S40)를 수행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시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단계(S10), 상기 지지단계(S20), 상기 건조단계(S30), 상기 제2 가공면(F2)을 형상하는 상기 제2 단계(S40)는 종래의 기술과 같이 상기 제1 가공면(F1)을 형성하고, 대향되는 면에서 상기 제2 가공면(F2)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삭기(C)의 압력에 의해 상기 시제품이 휘어지며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2 면(D2)을 가공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액(30)에 의해 상기 제1 가공면(F1)이 지지되며 상기 제2 면(D2)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압력을 기 설정된 수치 이하로 유지하며 절삭가공을 하는 정교한 작업이 상대적으로 불필요하여 종래의 기술에 비해 전문성을 상대적으로 적게 요구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대량 생산을 위한 과정에서 상기 시제품이 대량생산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해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종래의 기술과 같이 상기 시제품이 휘어지는 경우에는 그에 관련한 기 설정된 압력 조절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상기 시제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상당한 전문성과 시간 소요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가공방법은 상기 제1 가공면(F1)을 상기 지지액(30)을 통해 지지하여 상기 제2 면(D2)을 절삭가공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시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시간적 소요가 상대적으로 종래의 기술보다 적으며, 전문성 또한 적게 요구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당히 효과적으로 상기 시제품 제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단계(S20)를 통해 상기 제1 가공면(F1)을 지지하는 것은 상기 지지액(30)을 활용한다고 하였으나, 빠르게 굳는 특징을 가진 물질을 활용한다면, 대량 생산에서도 빠른 생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훨씬 효과적이고 효율성 높은 생산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상기 시제품은 도 7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제품은 운송수단에 구비되는 리어 시트의 프레임모듈에 대한 것일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공면(F1)은 상기 시제품의 양면 중 전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공면(F2)은 후면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대상물(D)을 절삭가공하여 상기 시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상기 대상물(D)과 상기 시제품의 크기에 따라 제작되는 수량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물(D)을 앞서 상술한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하여 상기 시제품을 제작하는 경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시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 절삭기
D: 대상물
D1: 제1 면
D2: 제2 면
F1: 제1 가공면
F2: 제2 가공면
L1: 제1 높이
L2: 제2 높이
S10: 제1 단계
S20: 지지단계
S30: 건조단계
S40: 제2 단계
10: 메움공간
20: 분리막
30: 지지액

Claims (10)

  1. 대상물을 가공하여 기 설정된 형상을 형성하는 절삭가공방법으로서,
    상기 대상물의 제1 면을 절삭하여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제1 가공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제1 가공면에 지지액을 투입하는 지지단계;
    상기 지지액을 건조시켜 상기 제1 가공면을 고정하도록 굳히는 건조단계;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을 절삭하여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제2 가공면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절삭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제1 면에서 절삭하며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며 메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의 상기 제1 면에서 제1 높이만큼 상기 제1 면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형상 중 상기 제1 가공면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절삭하되, 상기 대상물의 높이 이내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높이만큼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면이 하부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을 절삭하되, 상기 제1 면이 상기 지지액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액을 상기 메움공간에 대응되는 만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메움공간에 상기 지지액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상기 지지액이 굳어 상기 제1 가공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가공면에 상기 지지액을 떼어내기 위한 분리막을 위치시키는 위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가공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액을 상기 제1 가공면에서 분리하도록 상기 위치과정에서 상기 제1 가공면에 배치된 상기 분리막을 제거하는 분리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면을 절삭하되, 제2 높이만큼 절삭하고, 상기 제1 높이와 상기 제2 높이의 합이 상기 대상물의 높이 이내가 되도록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계는,
    상기 지지액이 상기 메움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굳어 상기 제1 가공면을 지지하도록 석고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가공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절삭가공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탑승수단에 구비되는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으로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면을 형성하여 프레임모듈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가공면을 상기 지지액을 통해 지지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2 가공면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KR1020210175764A 2021-12-09 2021-12-09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KR10259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764A KR102592852B1 (ko) 2021-12-09 2021-12-09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764A KR102592852B1 (ko) 2021-12-09 2021-12-09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13A true KR20230087113A (ko) 2023-06-16
KR102592852B1 KR102592852B1 (ko) 2023-10-23

Family

ID=8694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764A KR102592852B1 (ko) 2021-12-09 2021-12-09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8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568A (ja) * 1996-07-29 1998-02-10 Sankin Kogyo Kk 歯科用樹脂成形体製造用分離剤および該分離剤を用いた歯科用樹脂成形体の製法
KR100733890B1 (ko) * 2007-04-16 2007-07-02 주식회사 메트로테크 판재 부착용 작업대 누름장치
JP2015112648A (ja) * 2013-12-09 2015-06-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両面多軸加工機、及び両面多軸加工機を用いた製造方法
JP2018186901A (ja) * 2017-04-28 2018-11-29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被加工物成型用型および切削対象物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568A (ja) * 1996-07-29 1998-02-10 Sankin Kogyo Kk 歯科用樹脂成形体製造用分離剤および該分離剤を用いた歯科用樹脂成形体の製法
KR100733890B1 (ko) * 2007-04-16 2007-07-02 주식회사 메트로테크 판재 부착용 작업대 누름장치
JP2015112648A (ja) * 2013-12-09 2015-06-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両面多軸加工機、及び両面多軸加工機を用いた製造方法
JP2018186901A (ja) * 2017-04-28 2018-11-29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被加工物成型用型および切削対象物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852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2791A1 (ja) 板状ワーク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体
US20070186404A1 (en) Reusable support for a contoured surface of a part allowing machining of an opposite side of the part
CN102256776A (zh) 轮胎硫化模具的表层上的内衬组件
KR101585439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인너패널의 제조방법
RU2010147320A (ru) Способ и форм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нента из волоконного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авиационной и косми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US20070005176A1 (en) Method for producing die for press brake and die
CN105689560A (zh) 汽车覆盖件模具制造方法
Schuh et al. Small series production and geometric analysis of sheet metal car body parts using forming tools made of fused filament fabricated PLA
CN105793024B (zh) 切割轮胎模具的区段的方法和提供用于模制轮胎的模具的区段的半成品元件
KR20230087113A (ko) 절삭가공방법을 활용한 리어 시트 프레임모듈에 대한 시제품
JP2000234103A (ja) 光造形による金型製造方法
JPH0339768B2 (ko)
ITTO20110332A1 (it)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manufatti in materiale composito con struttura a sandwich a sezione chiusa
CN106670381B (zh) 基于fdm工艺的模具芯盒及其制作方法
JP2009183989A (ja) 成形素材及びプレス成形機並びにプレス成形方法
JPH1024495A (ja) 光造形品の制作法
KR101657798B1 (ko) 테일러 블랭크 제조 방법
CN108621673B (zh) 一种超薄微克重金条的制作方法
KR101532903B1 (ko) 패턴가공을 이용한 검사형상물 제작방법
JP7159089B2 (ja) タイヤ成形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US20220121156A1 (en) Production of an applique for a timepiece dial
KR100331938B1 (ko) 아이소레이션대쉬패널용트리밍및피어싱금형제작공법
GB2123335A (en) Moulds of rigid plastics foam
KR100906791B1 (ko) 스터드의 제조방법
CN208342984U (zh) 气动去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