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875A -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875A
KR20230086875A KR1020210175196A KR20210175196A KR20230086875A KR 20230086875 A KR20230086875 A KR 20230086875A KR 1020210175196 A KR1020210175196 A KR 1020210175196A KR 20210175196 A KR20210175196 A KR 20210175196A KR 20230086875 A KR20230086875 A KR 20230086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urban
vehicle
transfer devic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욱
권용장
이석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875A/ko
Publication of KR2023008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화물차량; 상기 화물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상기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을 거점 역사 내 기 설정된 적재 구역으로 이송시키는 화물 이송장치; 및 상기 화물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화물차량과 물류 터미널 및 거점 역사 간에 화물을 이송시키고, 상기 화물차량을 거점 역사로 운행하여 물류 터미널에 적재된 화물을 거점 역사 내 적재 구역으로 운송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URBAN LOGISTICS SYSTEM USING UNDERGROUND URBAN RAILWAY}
본 발명은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심 내 도시철도 인프라인 차량 기지와 역사 등의 지하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철도 차량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의 물류 구매 방식이 홈쇼핑이나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전화 및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물류의 운송을 위해 택배서비스를 이용하는 수요자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택배시스템은 이용자들의 욕구에 맞추어 등장한 수하물 등의 운송시스템으로서, 송달자를 방문하여 배송할 물건이나 서류 등을 인수한 후 이를 수령자의 댁내까지 방문하여 전달하는 배달시스템을 말한다.
택배시스템의 예로서는, DHL과 같은 국가간 또는 대도시간 항공 택배서비스와, 국내의 지역간 또는 대도시권역의 택배서비스를 들 수 있다.
국내의 지역간 택배시스템은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화물 트럭 같은 화물운송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기존의 도심 화물운송은 도로 중심으로 화물 트럭을 이용한 배송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외곽 지역으로부터 도심으로 개별 화물 트럭에 의하여 화물 운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도시 화물운송은 물동량 증가에 따라 트럭 운행이 증가되면서 교통혼잡과 환경문제 등 사회적 비용이 함께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5503호(2011.10.21)의 '도시형 자동 물류 수송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도심 내 도시철도 인프라인 차량 기지와 도심 역사 등의 지하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철도 차량으로 화물을 운송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화물차량; 상기 화물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상기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을 도심 내 거점 역사의 기 설정된 적재 구역으로 이송시키는 화물 이송장치; 및 상기 화물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화물차량과 물류 터미널 및 거점 역사 간에 화물을 이송시키고, 상기 화물차량을 거점 역사로 운행하여 물류 터미널에 적재된 화물을 거점 역사 내 적재 구역으로 운송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상기 화물차량과 물류 터미널 간에, 상기 화물차량과 거점 역사의 승강장 간, 또는 상기 적재 구역 내에서 화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장치; 및 거점 역사 내 승강장에서 기 설정된 적재 구역까지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상기 수평 이송장치의 수평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화물차량, 물류 터미널, 거점 역사 승강장, 및 상기 적재 구역의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평 이송장치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화물을 담을 수 있을 수 있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상기 거점 역사 내 승강장 중 승객 이용 공간과 분리된 화물 전용 공간을 통해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물차량은 기 설정된 운송 스케쥴에 따라 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물차량은 승객을 운송하는 승객차량의 운행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물차량은 화물만을 운송하는 화물 전용 철도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도심 내 도시철도 인프라인 차량 기지와 역사 등의 지하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철도 차량으로 화물을 운송함으로써, 교통혼잡과 환경문제 등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화물차량을 여객차량과 분리하여 독립 편성하고 여객과 화물을 분리 운영하며, 특히 승객열차의 운행시간 간격 사이에 화물차량을 운행하여 화물을 운송함으로써, 화물 및 여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역사 내 여객 공간과 분리된 화물 전용 공간으로 화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객과 화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물 분류 및 적치 등 단말 배송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내 화물의 수직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기지와 화물차량 간의 화물 반입/반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과 승강장 간의 화물 반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구역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의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 내 화물의 수직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기지와 화물차량 간의 화물 반입/반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과 승강장 간의 화물 반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구역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화물차량(100), 화물 이송장치(300), 메인 서버(200) 및 역사 서버(400)를 포함한다.
화물차량(100)은 화물(50)을 적재하여 도심 지하철도의 선로(20)를 따라 화물(50)을 운송한다.
화물차량(100)은 물류 터미널(10)이나 도심 내 거점 역사(30) 등으로 화물(50)을 운송하거나, 적재된 거점 역사(30)에 적재된 화물(50)을 다른 거점 역사(30) 등으로 운송할 수 있다. 또한, 화물차량(100)은 하나의 노선에서 왕복운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화물차량(100)의 운행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류 터미널(10)은 화물(50)을 보관 수집하는 대규모 물류시설이며, 차량 기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물류 터미널(10)은 대규모 역사 또는 기타 시설물 등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역사는 거점 역사(30) 및 일반 역사(40)로 구분된다.
거점 역사(30)는 화물(50)을 분류하거나 적치하고 단말 배송이 가능한 역사이다. 거점 역사(30)는 물류 기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거점 역사(30)는 화물(50)을 분류하거나 적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공간, 예컨대 역사 물류 공간을 구비한다.
이에, 거점 역사(30)는 역사 물류 공간에 화물(50)을 적치한다. 이를 위해 거점 역사(30)에는 화물(50)을 이송시키기 위한 화물 이송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화물 이송장치(3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반 역사(40)는 거점 역사(30)를 제외한 나머지 역사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물(50)을 보관 적치하는 역사와 그렇지 않은 역사를 구분하기 위해 거점 역사(30)와 일반 역사(40)로 구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일반 역사(40)에 화물(50)을 적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일반 역사(40)도 거점 역사(30)가 될 수 있다.
이에, 화물차량(100)은 물류 터미널(10)과 거점 역사(30) 간 또는 거점 역사(30)와 거점 역사(30) 간에 화물(50)을 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철도차량은 화물(50)을 운송하는 화물차량(100)과 승객을 운송하는 승객차량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화물차량(100)은 내부에 승객을 탑승을 위한 의자나 손잡이 등이 제거될 수 있다.
화물차량(10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화물(50)을 적재하여 운송한다. 화물차량(100)은 화물(50)만을 운송하는 화물 전용 철도차량일 수 있다.
화물 이송장치(300)는 화물차량(100)에 화물(50)을 적재하거나 또는 화물차량(100)에 적재된 화물(50)을 역사 내 기 설정된 적재 구역으로 이송한다.
화물 이송장치(300)는 수평 이송장치(310), 수직 이송장치(320), 용기(330), 및 가이드부(340)를 포함한다.
수평 이송장치(310)는 가이드부(340)를 따라 이동하여 화물(50)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즉, 수평 이송장치(310)는 바닥에 배치된 가이드부(340)를 인식하고 이 가이드부(34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화물(50)을 이송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예컨대, 수평 이송장치(310)는 화물차량(100)과 물류 터미널(10) 간에 화물(5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화물차량(100)과 거점 역사(30)의 승강장 간에 화물(50)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적재 구역 내에서 화물(50)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 이송장치(310)가 화물(50)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내부에 화물(50)이 수용된 용기(330)를 이송시키는 것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수평 이송장치(310)는 가정용 무선청소기와 유사하게 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수평 이송장치(310)는 하우징(311)으로 용기(330)를 들어올려 바퀴(312)로 주행함으로써, 화물(50)을 이송시킨다.
수평 이송장치(310)는 화물차량(100)과 물류 터미널(10) 및 거점 역사(30)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부(340)를 따라 화물(50)을 이송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용기(330)는 내부에 화물(50)을 수용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용기(330)는 화물(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33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스(331)는 망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331)의 하부에는 관리자 등이 용기(33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360도 회전이 가능한 바퀴(332)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이송장치(310)와 용기(330)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수평 이송장치(310)와 용기(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이송장치(320)는 용기(330)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수직 이송장치(320)는 수평 이송장치(310)에 의해 화물(50)이 내부로 이송되면, 이 화물(50)을 기 설정된 적재 구역까지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직 이송장치(320)가 화물(50)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화물(50)이 수용된 용기(330)가 그 상단에 적재된 수평 이송장치(310)를 이송시키는 것이다.
적재 구역은 거점 역사(30)의 역사 물류 공간에 마련되어 해당 역사로 운송된 화물(50)을 분류 및 적치한다. 적재 구역에 적치된 화물(50)은 배송인 등에 의해 단말 배송된다.
적재 구역은 역사의 승강장 상부의 역사 물류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직 이송장치(3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수직 이송장치(320)는 화물(50)을 탑재한 수평 이송장치(310)가 이송되어 내부에 수용되면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여 화물(50)을 적재 구역까지 이송한다.
이후, 해당 수평 이송장치(310)가 적재 구역으로 이동하면,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승강장까지 이동한다.
즉, 수직 이송장치(320)는 엘리베이터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승강장과 적재 구역을 왕복하면서 화물(50)을 이송시킨다.
가이드부(340)는 화물차량(100)과 물류 터미널(10), 거점 역사(30)의 승강장, 및 적재 구역의 바닥에 배치되어 수평 이송장치(310)의 수평 이송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340)는 화물차량(100)과 물류 터미널(10), 역사의 승강장, 적재 구역 및 적재 구역 내 수평 이송장치(310)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가이드부(340)는 라인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수평 이송장치(310)가 화물(50)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에 충돌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수평 이송장치(310)는 가이드부(340)를 인식하고 이 가이드부(34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메인 서버(200)는 거점 역사(30)의 위치와 물류망을 고려하여 운송경로를 결정하고, 화물(50)의 운송을 관리한다.
즉, 메인 서버(200)는 철도 운영 스케쥴 정보, 화물 정보, 거점 역사 정보, 가용가능한 화물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운송 스케쥴을 생성한다.
메인 서버(200)는 생성된 운송 스케쥴에 따라 화물차량(100) 및 화물 이송장치(300)를 제어하여 화물(50)을 목표로 하는 거점 역사(30)의 적재 구역까지 이송시킨다.
특히, 메인 서버(200)는 철도 운행 시스템(500)으로부터 승객차량의 운행 시간대를 입력받고, 이 운행 시간대에 따라 운송 스케쥴을 생성한다.
이 경우, 메인 서버(200)는 화물차량(100)이 승객을 운송하는 승객차량의 운행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운행될 수 있도록 운송 스케쥴을 생성한다. 예컨대, 메인 서버(200)는 화물차량(100)을 승객차량의 운행 시간대(예컨대, 10분) 사이 또는 승객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대에 화물차량(100)이 운행하도록 운송 스케쥴을 생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한 낮시간대에는 승객차량의 운행 시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메인 서버(200)는 승객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낮시간대에 화물차량(100)을 운행하여 화물(50)을 운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물차량(100)과 승객차량의 운행이 분리될 수 있어 화물(50) 및 여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철도 운행 시스템(500)은 철도차량 운행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운송 스케쥴은 화물차량(100)의 운행 시간과 운행 간격, 화물 정보, 거점 역사 정보, 및 화물 이송장치 제어명령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이송장치(310)와 수직 이송장치(320) 각각은 화물 이송장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화물 이송장치 제어명령은 화물 이송장치(300)에 사전에 저장되거나, 또는 화물차량(100)의 위치나 현재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역사 서버(400)는 각 거점 역사(30)에 설치되어 화물차량(100)의 운행을 관리한다.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메인 서버(200)의 운송 스케쥴에 따라 물류 터미널(10)에서 거점 역사(30)의 적재 구역까지 화물(50)이 운송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 은 차량 기지의 물류 터미널(10)에서 화물차량(100)에 화물(50)이 적재되는 예가 도시되었다.
도 7 을 참조하면, 수평 이송장치(310)는 가이드부(34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물류 터미널(10)에 적치된 화물(50)을 화물차량(100) 내부에 적재한다.
참고로, 화물차량(100)에는 복수 개의 출입문(1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물차량(100)에는 화물차량(100)에 화물(50)을 반입하는 출입문(110)과 화물차량(100)으로부터 화물(50)을 반출하는 출입문(110)이 별도로 마련되고, 이러한 출입문(110)에 따라 가이드부(340)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화물(50)이 화물차량(100)에 효율적으로 반입 반출될 수 있다.
한편, 화물차량(100)에 화물(50)이 적재됨에 따라, 화물차량(100)은 해당 화물(50)을 운송할 거점 역사(30)로 운행한다.
거점 역사(30)에 도착하면, 수평 이송장치(31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100) 내부의 화물(50)을 반출한다.
수평 이송장치(310)는 화물(50)을 이송시키는 화물 전용 공간(32)을 통해 화물(50)을 이송시킨다.
화물 전용 공간(32)의 바닥에는 상기한 가이드부(340)가 배치되고, 이 가이드부(340)는 수직 이송장치(320)로 이어진다.
따라서, 수평 이송장치(310)는 화물차량(100)으로부터 가이드부(340)를 따라 수직 이송장치(320)까지 이동하여 화물(50)을 이송한다.
한편, 화물 전용 공간(32)은 역사 내부의 승강장에 임의로 마련될 수 있으나, 승강장에 이미 존재하는 더미 공간으로 채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역사의 승강장에는 승객이 화물차량(100)을 이용할 수 있는 승객 이용 공간(31) 이외에도 더미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더미 공간은 승객의 안전을 위해 승객의 이용을 제한하는 공간이다. 더미 공간은 승강장의 일단 또는 양단에 존재하며, 분리대(33) 등을 통해 승객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역사 내 여객 공간과 분리된 화물 전용 공간으로 화물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여객과 화물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수직 이송장치(320)는 내부에 화물(50)이 유입됨에 따라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여 화물(50)을 수직 상방으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화물(50)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재 구역에 도착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수평 이송장치(310)는 수직 이송장치(320)로부터 가이드부(340)를 따라 목표로 하는 적재 위치(60)까지 이동하여 화물(50)을 적치시킴으로써, 화물(50)이 최종적으로 목표로 하는 적재 위치(60)에 적재된다.
한편, 수평 이송장치(310)는 화물(50)을 목표로 하는 적재 위치(60)까지 이송시킨 후에는 가이드부(340)를 따라 이동하여 수평 이송장치(310)를 보관하는 보관 위치(70)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도심 내 기 구축되어 있는 도시철도 인프라인 차량 기지와 역사 등의 역사 물류 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철도 차량으로 화물(50)을 운송함으로써, 교통혼잡과 환경문제 등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화물차량을 여객차량과 분리하여 독립 편성하고 여객과 화물을 분리 운영하며, 특히 승객열차의 운행시간 간격 사이에 화물차량을 운행하여 화물을 운송함으로써, 화물 및 여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은 역사 내 여객 공간과 분리된 화물 전용 공간(32)으로 화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객과 화물(50)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물 분류 및 적치 등 단말 배송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물류 터미널 20: 선로
30: 거점 역사 31: 승객 이용 공간
32: 화물 전용 공간 33: 분리대
40: 일반 역사 50: 화물
60: 적재 위치 70: 보관 위치
100: 화물차량 110: 출입문
200: 메인 서버 300: 화물 이송장치
310: 수평 이송장치 320: 수직 이송장치
330: 용기 340: 가이드부
400: 역사 서버 500: 철도 운행 시스템

Claims (9)

  1. 화물차량;
    상기 화물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상기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을 도심 내 거점 역사의 기 설정된 적재 구역으로 이송시키는 화물 이송장치; 및
    상기 화물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화물차량과 물류 터미널 및 거점 역사 간에 화물을 이송시키고, 상기 화물차량을 거점 역사로 운행하여 물류 터미널에 적재된 화물을 거점 역사 내 적재 구역으로 운송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상기 화물차량과 물류 터미널 간에, 상기 화물차량과 거점 역사의 승강장 간, 또는 상기 적재 구역 내에서 화물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장치; 및
    거점 역사 내 승강장에서 기 설정된 적재 구역까지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상기 수평 이송장치의 수평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화물차량, 물류 터미널, 거점 역사 승강장, 및 상기 적재 구역의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평 이송장치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화물을 담을 수 있을 수 있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장치는
    거점 역사 내 승강장 중 승객 이용 공간과 분리된 화물 전용 공간을 통해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은
    기 설정된 운송 스케쥴에 따라 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은
    승객을 운송하는 승객차량의 운행 시간대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 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은
    화물만을 운송하는 화물 전용 철도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KR1020210175196A 2021-12-08 2021-12-08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KR20230086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96A KR20230086875A (ko) 2021-12-08 2021-12-08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96A KR20230086875A (ko) 2021-12-08 2021-12-08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875A true KR20230086875A (ko) 2023-06-16

Family

ID=8694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196A KR20230086875A (ko) 2021-12-08 2021-12-08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96693A (zh) * 2023-09-25 2023-12-08 西南交通大学 一种城市地下交通的物流需求预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96693A (zh) * 2023-09-25 2023-12-08 西南交通大学 一种城市地下交通的物流需求预测方法
CN117196693B (zh) * 2023-09-25 2024-03-26 西南交通大学 一种城市地下交通的物流需求预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2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odal materials delivery
CA2718630C (en) Ecological goods logistics system
US5720363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rdering and direct underground distribution of articles to customers
KR20140015300A (ko) 공항 내에서 수하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2825168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非暂时性存储介质
CN111815210A (zh) 室外室内全自动无人配送系统和方法
CN210527526U (zh) 车载储分一体化物流配送装置
CN112101853A (zh) 一种流动仓库及基于流动仓库的物流系统及方法
KR20230086875A (ko) 도시철도를 이용한 도심 물류 시스템
Shuts et al. Cassette robotized urban transport system of mass conveying passenger based on the unmanned electric cars
CN110689231A (zh) 一种城域地下空间的智能管理方法与系统
CN107609827A (zh) 一种共享车载空间的城市物流系统和方法
CN109583802B (zh) 无人配送网络系统及调度方法
JP4258066B2 (ja) 物流情報システム
Yeung et al. A systems design study introducing a collection point for baggage transfer services at a railway station in the UK
EP3010657B1 (e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parcels or piece goods
JP3538226B2 (ja) 荷物搬送仕分装置
CN105293103A (zh) 一种运输车辆用行李集装箱自动化输送方法及其装置
JP4004326B2 (ja) 有料自動車道路における荷物運送システム
KR20100049433A (ko) 공차 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공차 제공 방법
JP2003081439A (ja) 輸送処理システム
JP6970237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管理方法
JPH11246047A (ja) 物流設備
TW201905842A (zh) 配對無人機與貨運車使無人機完成貨品收送之系統及方法
CN117196435A (zh) 基于客货共运的城市轨道交通自动化物流配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