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20A -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20A
KR20230085420A KR1020210173565A KR20210173565A KR20230085420A KR 20230085420 A KR20230085420 A KR 20230085420A KR 1020210173565 A KR1020210173565 A KR 1020210173565A KR 20210173565 A KR20210173565 A KR 20210173565A KR 20230085420 A KR20230085420 A KR 2023008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rame
magnet
condu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813B1 (ko
Inventor
고주헌
박정권
홍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21017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8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플레이트;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요크; 진동판;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면과 상기 마그넷의 외면은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Speaker for earphone having the inner duct structure}
실시예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용 스피커는 하우징 내부에 음파를 생성시키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스피커 유닛은 진동판과 마그넷과 코일과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이 자성을 띠고, 코일과 플레이트의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코일이 움직이면서 진동판이 움직인다.
이러한 진동판과 마그넷과 코일과 플레이트는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선하기 위하여, 스피커에 음향 관로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관로는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에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경우 프레임의 크기가 증가하며,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켜, 음향 관로를 형성시키는 경우,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스피커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스피커의 구성을 활용하여, 음향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선하면서도,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어폰용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요크와, 진동판 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면과 상기 마그넷의 외면은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플레이트와, 진동판과, 반경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코일 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코일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면과 상기 요크의 외면은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측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마그넷의 외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음향 관로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측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요크의 외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음향 관로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관로는 제1 입구와 출구로 이어지는 제1 관로와, 제2 입구와 상기 출구로 이어지는 제2 관로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출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입구와 제 2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음향 관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입구의 크기와 상기 제2 입구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출구는 상기 제1 관로와 연통되는 제1 출구와, 상기 제2 관로와 연통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출구를 덮는 튜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닝부는, 제1 매쉬와, 상기 제1 매쉬에 적층되는 제2 매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매쉬는 상기 제2 출구와 정렬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매쉬는 상기 제1 출구와 정렬되는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구의 크기와 상기 제2 출구의 크기는 상이하고, 상기 제1 홀의 크기와 상기 제2 홀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음향 관로는 제1 입구와 출구로 이어지는 제1 관로와, 제2 입구와 상기 출구로 이어지는 제2 관로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출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인 출구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입구와 제 2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상기 음향 관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제1 관로와 연통되는 제1 출구와, 상기 제2 관로와 연통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가 합쳐져 하나의 출구로 형성되는 제3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제2 출구에 배치되는 제3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기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상면에서 돌출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2 관로를 제2-1 관로와 제2-2 관로로 구획하고,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1관로는 상기 제1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2 관로는 상기 제2 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제2 영역을 통해 출구까지 이어지는 덕트 구조의 음향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음향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선하면서도, 구성을 간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의 후방에서 음이 외부로 방출되어, 공진주파수를 고역과 저역으로 변환하여 음질을 향상시키고, 중, 저음의 음압과, 고역의 음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어, 원음의 왜곡을 감소시키고,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관로와 연통되는 출구가 제1 출구와 제2 출구로 구분되고, 제1 출구의 크기와 재2 출구의 크기가 상이하여, 최적의 음질을 구현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구와 제2 출구에 대응하여, 제1 매쉬와 제2 매쉬를 마련하고, 제1 매쉬와 제2 매쉬를 적층하여 하나의 튜닝부를 구비함으로써, 최적의 음질을 구현하면서도 구성이 간소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출구와 제2 출구가 구비된 출구블록을 플레이트와 일체로 성형시킴으로써, 프레임의 외관이나 내부구조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관로를 구분하는 격벽을 포함함으로써, 음향 관로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하여 음향 특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프레임을 위쪽에서 바라본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프레임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스피커의 바닥을 이루는 제3 플레이트가 프레임의 하측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음향 관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변형례에 따른 음향 관로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단면도,
도 8은 요크와 제3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변형례예에 따른 음향 관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0은 음향 관로를 따라 이동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출구로 방출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스피커의 저면도,
도 13은 도 1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
도 14는 출구에 배치된 튜닝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튜닝부의 분해도,
도 16은 튜닝부의 확대도,
도 17은 출구블록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8은 출구블록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서 도시한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
도 20은 변형례에 따른 출구블록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1은 출구블록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2에서 도시한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
도 23은 제2 관로에 격벽을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
도 24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2 관로를 도시한 프레임의 저면도,
도 25는 제2-1 관로와 제2-2 관로를 통해 흐르는 소리의 이송경로를 도시한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
도 26은 제2-1 관로와 제2-2 관로를 통해 흐르는 소리의 이송경로를 도시한 스피커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는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음향 관로를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음향 관로(D)를 프레임(100)과, 마그넷(200)과, 플레이트(300)의 일부 영역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음향 관로(D)를 확보하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는, 프레임(100)과, 마그넷(200)과, 플레이트(300)와, 진동판(500)과, 코일(6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내측에는 마그넷(200)과, 플레이트(300)와, 진동판(500)과, 코일(600)이 위치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마그넷(200)은 코일(600)과 전자기적 상호 작용한다. 마그넷(200)은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210)은 제2 마그넷(2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마그넷(210)은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그넷(210)은 환형 부재이며, 제2 마그넷(220)의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플레이트(300)는 마그넷(200)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플레이트(300)는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와, 제3 플레이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0)는 환형 부재로서, 제1 마그넷(2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20)는 원판 형태의 부재로서, 제2 마그넷(22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330)는 제1 마그넷(210)의 타면 및 제2 마그넷(220)의 타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33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마그넷(200)과 접촉하는 영역이며,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그넷(200)과 접촉하지 않는 영역이다.
제2 영역(A2)의 외측 에지는 프레임(100)의 내벽에 압입될 수 있다.
진동판(500)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판(500)은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600)은 진동판(5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코일(600)은 반경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코일(600)은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60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600)이 자성을 가진다. 코일(600)이 자력 구성에 따라 움직인다. 코일(600)의 극성이 플레이트(300)와 극성이 같으면, 코일(600)이 밀려 이동한다. 반면에, 코일(600)의 극성이 플레이트(300)의 극성과 상이하면 코일(600)이 당겨져 이동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코일(600)이 움직이면 진동판(500)이 움직여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킨다.
도 2는 플레이트(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30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된다. 제1 영역(A1)은 상면에서 돌출되는 환형의 리브(3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30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A1)에는 제2 마그넷(220)이 접촉하고, 리브(30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A2)에는 제1 마그넷(210)이 접촉한다.
도 3은 프레임(100)을 위쪽에서 바라본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프레임(100)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상면에 제1 입구(E1)와 제2 입구(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구(E1)와 제2 입구(E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입구(E1)의 크기와 제2 입구(E2)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은 하면에 출구(O1,O2)를 포함할 수 있다. 출구(O1,O2)는 크기가 상이한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스피커의 바닥을 이루는 제3 플레이트(300)가 프레임(100)의 하측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플레이트(300)에 제2 마그넷(220)이 안착되고, 제2 플레이트(320)가 제2 마그넷(220)의 일면에 안착된 상태로 프레임(100)에 조립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00)의 외측 에지가 프레임(100)의 내면에 압입되면서, 제3 플레이트(330)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음향 관로(D)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관로(D)는 프레임(100)의 내면 중 측면(101) 및 상면(102)과 제2 영역(A2)의 일면(331)과 제1 마그넷(210)의 외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101)은 제1 마그넷(210)의 외면을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면 (102)은 제2 영역(A2)의 일면(331)을 대향하여 배치된다.
측면(101)은 음향 관로(D)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제1 마그넷(210)의 외면은 음향 관로(D)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제2 영역(A2)의 일면(331)은 음향 관로(D)의 하면을 형성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음향 관로(D)는 프레임(100)에 배치된 제1 입구(E1), 제2 입구(E2), 제1 출구(O1) 및 제2 출구(O2)와 연통된다.
도 7은 변형례에 따른 음향 관로(D)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요크와 제3 플레이트(3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음향 관로(D)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는 마그넷이 내측에 하나만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3 플레이트(330)의 제2 영역(A2)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요크(400)를 포함한다. 요크(400)의 하단이 제3 플레이트(330)의 제2 영역(A2)에 접촉할 수 있다. 요크(400)는 반경방향으로 사이에 공간을 두고 제2 마그넷(2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코일은 요크(400)와 제2 마그넷 (22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변형례예에 따른 음향 관로(D)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음향 관로(D)는 음향 관로(D)는 프레임(100)의 내면 중 측면(101) 및 상면(102)과 제2 영역(A2)의 일면(331)과 요크(400)의 외면(401)으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101)은 제1 마그넷(210)의 외면을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면(102)은 제2 영역(A2)의 일면(331)을 대향하여 배치된다.
측면(101)은 음향 관로(D)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요크(400)의 외면은 음향 관로(D)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제2 영역(A2)의 일면(331)은 음향 관로(D)의 하면을 형성한다.
도 10은 음향 관로(D)를 따라 이동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출구(O1,O2)로 방출되는 소리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음향 관로(D)는 제1 관로(D1)와 제2 관로(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로(D1)는 제1 입구(E1)와 출구(O1,O2)로 이어진다. 제2 관로(D2)는 제2 입구(E2)와 출구(O1,O2)로 이어진다. 출구(O1,O2)가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관로(D1)는 제1 출구(O1)와 이어지고, 제2 관로(D2)는 제2 출구(O2)와 이어진다.
이하, 제1 입구(E1)를 통해 음향 관로(D)로 유입되어 출구(O1,O2)로 향하는 소리의 이동 경로를 제1 경로(P)라 하고, 제2 입구(E2)를 통해 음향 관로(D)로 유입되어 출구(O1,O2)로 향하는 소리의 이동 경로를 제2 경로(T)라 한다.
제1 경로(P)는 제1-1 경로(P1)와 제1-2 경로(P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1 경로(P1)는 제1 입구(E1)를 통해 음향 관로(D)로 유입되어 제1 출구(O1)로 향하는 소리의 이동 경로이고, 제1-2 경로(P2)는 제1 입구(E1)를 통해 음향 관로(D)로 유입되어 제2 출구(O2)로 향하는 소리의 이동 경로이다.
제2 경로(T)는 제2-1 경로(T1)와 제2-2 경로(T2)로 구분될 수 있다. 제2-1 경로(T1)는 제2 입구(E2)를 통해 음향 관로(D)로 유입되어 제1 출구(O1)로 향하는 소리의 이동 경로이고, 제2-2 경로(T2)는 제2 입구(E2)를 통해 음향 관로(D)로 유입되어 제2 출구(O2)로 향하는 소리의 이동 경로이다.
진동판(500)에서 발생된 소리는 제1 입구(E1)를 통해 제1 관로(D1)로 유입되고, 제1 관로(D1)를 통해 제1 출구(O1)로 바로 방출되는 제1-1 경로(P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500)에서 발생된 소리는 제1 입구(E1)를 통해 제1 관로(D1)로 유입되고, 제1관로(D1)와 제2 관로(D2)를 거쳐 제2 출구(O2)로 방출되는 제1-2 경로(P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2 경로(P2)는 제1-1 경로(P1)보다 길게 형성된다.
한편, 진동판(500)에서 발생된 소리는 제2 입구(E2)를 통해 제1 관로(D1)로 유입되고, 제1 관로(D1)를 통해 제1 출구(O1)로 방출되는 제2-1 경로(T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판(500)에서 발생된 소리는 제1 입구(E1)를 통해 제2 관로(D2)로 유입되고, 제2 출구(O2)로 방출되는 제2-2 경로(T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관로(D1)와 제2 관로(D2)는 길이 및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2는 스피커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음향 관로(D)와 연통된 출구(O1,O2)는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는 단면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출구(O1)를 통해 방출되는 소리의 양과 제2 출구(O2)를 통해 방출되는 소리의 양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소리의 방출구(O1,O2)조는 공진주파수를 변경하여, 최적의 음질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출구(O1,O2)에 배치된 튜닝부(7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튜닝부(700)의 분해도이고, 도 16은 튜닝부(700)의 확대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출구(O1,O2)를 덮는 튜닝부(700)가 마련될 수 있다. 튜닝부(700)는 음색 또는 음향 특색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매쉬(mesh)소재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 부직포, 멤브레인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튜닝부(700)는 제1 관로(D1) 및 제1 출구(O1)의 단면 크기와, 제2 관로(D2) 및 제2 출구(O2)의 단면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출구(O1) 및 제2 출구(O2)에 동일한 특성의 튜닝부(700)를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튜닝부(700)는 제1 매쉬(710)와 제2 매쉬(720)로 구성되는 이중 구성을 가짐으로써, 음향 특성이 상이한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에 대응한다.
일례로서, 튜닝부(700)는 제1 매쉬(710)와, 제1 매쉬(710)에 적층되는 제2 매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매쉬(710)와 제2 매쉬(720) 사이에는 접착제(730)가 위치하고, 제1 매쉬(710)의 상면에는 접착제(730)가 위치하고, 제2 매쉬(720)의 하면에도 접착제(730)가 위치한다.
제1 매쉬(710)는 제1 홀(711)을 포함한다. 제1 홀(711)은 제2 출구(O2)와 정렬된다. 제2 매쉬(720)는 제2 홀(721)을 포함한다. 제2 홀(721)은 제1 출구(O1)와 정렬된다. 제1 매쉬(710)와 제2 매쉬(720)는 음향 임피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에 대응하게 제1 매쉬(710)와 제2 매쉬(720)를 각각 매칭할 수 있다. 접착제(730)는 제1 홀(711) 및 제2 홀(721)과 각각 정렬되는 제3 홀(7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출구블록(800)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33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8은 출구블록(800)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33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에서 도시한 제3 플레이트(330)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출구블록(800)은 출구블록(800)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구블록(800)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330)의 외측 에지 부근에 배치되도록 제3 플레이트(33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는 제3 플레이트(330)가 프레임(100)에 결합하면, 음향 관로(D)와 연통된다. 제1 출구(O1)는 제1 관로(D1)와 연통되고, 제2 출구(O2)는 제2 관로(D2)와 연통된다. 제1 출구(O1)를 지나는 소리와 제2 출구(O2)를 지나는 소리는 완전히 분리되어 방출된다.
도 20은 변형례에 따른 출구블록(800)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33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1은 출구블록(800)이 일체화된 제3 플레이트(33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2에서 도시한 제3 플레이트(330)를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출구블록(800)은 출구블록(8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를 포함하고, 출구블록(80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3 출구(O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출구(O1,O2)는 제1 출구(O1)와 제2 출구(O2)로 합쳐져 하나의 출구(O1,O2)를 형성한다.
이러한 출구블록(800)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330)의 외측 에지 부근에 배치되도록 제3 플레이트(33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출구블록(800)은 단차면(801)을 포함하고, 제1 출구(O1)는 단차면(801)에 배치될 수 있다. 튜닝부(700)는 단차면(801)에 장착된다. 제1 출구(O1)를 지나는 소리와 제2 출구(O2)를 지나는 소리는 완전히 분리되어 방출된다. 제1 출구(O1)를 지나는 소리는 튜닝부(700)를 거쳐 음향 특색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출구(O1)를 지나는 소리와 제2 출구(O2)를 지나는 소리는 제3 출구(O3)에서 합쳐져 방출된다.
도 23은 제2 관로(D2)에 격벽(110)을 포함하는 이어폰용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4는 격벽(110)에 의해 구획되는 제2 관로(D2)를 도시한 프레임(100)의 저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격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10)은 프레임(100)의 내면 중 제2 관로(D2)를 형성하는 상면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격벽(110)은 제2 관로(D2)를 제2-1 관로(D2_1)와 제2-2 관로(D2_2)로 구획한다.
도 25는 제2-1 관로(D2_1)와 제2-2 관로(D2_2)를 통해 흐르는 소리의 이송경로를 도시한 스피커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6은 제2-1 관로(D2_1)와 제2-2 관로(D2_2)를 통해 흐르는 소리의 이송경로를 도시한 스피커의 저면도이다.
도22,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1 관로(D1) 및 제2-1관로(D2_1)는 제1 출구(O1)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2-2 관로(D2_2)는 제2 출구(O2)와 연통된다. 제2-1관로(D2_1)를 따라 이동하는 소리는 제1 관로(D1)를 따라 이동하는 소리와 함께 튜닝부(700)를 거쳐 제1 출구(O1)로 유입되어 제3 출구(O3)로 방출된다. 제2-2 관로(D2_2)를 따라 이동하는 소리는 제2 출구(O2)로 유입되어 제3 출구(O3)로 방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이어폰용 스피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음향 관로
D1: 제1 관로
D2: 제2 관로
100: 프레임
200: 마그넷
300: 플레이트
310: 제1 플레이트
320: 제2 플레이트
330: 제3 플레이트
400: 요크
500: 진동판
600: 코일

Claims (15)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플레이트;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요크;
    진동판;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면과 상기 마그넷의 외면은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2.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플레이트;
    진동판;
    반경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코일;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코일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면과 상기 요크의 외면은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측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마그넷의 외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음향 관로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상면을 형성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측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요크의 외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음향 관로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면은 상기 음향 관로의 상면을 형성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관로는 제1 입구와 출구로 이어지는 제1 관로와, 제2 입구와 상기 출구로 이어지는 제2 관로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출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입구와 제 2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음향 관로와 연통되는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의 크기와 상기 제2 입구의 크기는 상이한 이어폰용 스피커.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상기 제1 관로와 연통되는 제1 출구와, 상기 제2 관로와 연통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의 크기는 상이한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를 덮는 튜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닝부는, 제1 매쉬와, 상기 제1 매쉬에 적층되는 제2 매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매쉬는 상기 제2 출구와 정렬되는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매쉬는 상기 제1 출구와 정렬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구의 크기와 상기 제2 출구의 크기는 상이하고,
    상기 제1 홀의 크기와 상기 제2 홀의 크기는 상이한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11.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관로는 제1 입구와 출구로 이어지는 제1 관로와, 제2 입구와 상기 출구로 이어지는 제2 관로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출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인 출구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입구와 제 2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는 상기 음향 관로와 연통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제1 관로와 연통되는 제1 출구와, 상기 제2 관로와 연통되는 제2 출구를 포함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가 합쳐져 하나의 출구로 형성되는 제3 출구를 포함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블록은 상기 제2 출구에 배치되는 제3 메쉬를 포함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내면 중 상기 음향 관로를 형성하는 상면에서 돌출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2 관로를 제2-1 관로와 제2-2 관로로 구획하고, 상기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1 관로는 상기 제1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2-2 관로는 상기 제2 출구와 연통되는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KR1020210173565A 2021-12-07 2021-12-07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KR10264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65A KR102649813B1 (ko) 2021-12-07 2021-12-07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565A KR102649813B1 (ko) 2021-12-07 2021-12-07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20A true KR20230085420A (ko) 2023-06-14
KR102649813B1 KR102649813B1 (ko) 2024-03-21

Family

ID=8674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565A KR102649813B1 (ko) 2021-12-07 2021-12-07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8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372A (ko) * 2014-02-17 2015-08-26 (주)비엔비아이엔티 외자형 스피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372A (ko) * 2014-02-17 2015-08-26 (주)비엔비아이엔티 외자형 스피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813B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513B1 (ko) 하이브리드 스피커
EP2869593B1 (en) Earphone device
CN110972041A (zh) 单磁双音路同轴扬声器
CN214045990U (zh) 混合扬声器及音频再现装置
KR102432571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CN110178383B (zh) 桥型边缘方式的高分辨率电磁扬声器
JP7238137B2 (ja) 拡声アセンブリ及び拡声器
KR102488962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102070202B1 (ko) 실장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스피커
KR200417799Y1 (ko) 동 위상 저음 반전 방식의 출력 구조를 갖는 전기음향변환유닛
US20210266654A1 (en) Earphone including tuning means
US10462577B2 (en) Ported cavity tweeter
KR20210017278A (ko)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 스피커
CN114915882B (zh) 混合扬声器及音频再现装置
KR20230085420A (ko)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KR20150104878A (ko) 이중 구동부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KR101901906B1 (ko) 혼 스피커
CN212305604U (zh) 一种二合一耳机喇叭
KR102552838B1 (ko) 이어폰용 스피커
US20050115762A1 (en) Speaker Unit
JP3222536U (ja) 密閉型イヤホン
KR102543007B1 (ko) 평판형 트위터 진동판을 적용한 투웨이 리시버
KR102235640B1 (ko)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 스피커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음향기기
JP7371216B1 (ja) スピーカ及び電子機器
WO2023012868A1 (ja) 放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