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962B1 -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 Google Patents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962B1
KR102488962B1 KR1020210039901A KR20210039901A KR102488962B1 KR 102488962 B1 KR102488962 B1 KR 102488962B1 KR 1020210039901 A KR1020210039901 A KR 1020210039901A KR 20210039901 A KR20210039901 A KR 20210039901A KR 102488962 B1 KR102488962 B1 KR 10248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microphone
frame
magnet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845A (ko
Inventor
고주헌
민병일
박정권
하윤욱
이종원
김서영
홍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21003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962B1/ko
Priority to US17/386,249 priority patent/US11496839B2/en
Publication of KR2022013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8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or their suspension covered by H04R7/00 but not provided for in H04R7/00 or in H04R2307/00
    • H04R2207/021Diaphragm extensions, not necessarily integrally formed, e.g. skirts, rims, fl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6Transducers having separately controllable opposing diaphragms, e.g. for ring-tone and vo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7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dome-shap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진동판; 상기 제1 진동판에 고정되는 제1 코일; 상기 요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진동판;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 및 상기 제2 진동판에 고정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요크에 함께 접촉하고, 상기 프레임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Speaker unit for earphone}
실시예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하우징 내부에 음파를 생성시키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어폰은 이어팁이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8527호(2017.08.30.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노즐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에서, 노즐을 포함하는 하우징안에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피커 유닛은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신호를 전달받는다. 마이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브라켓이 필요하다. 브라켓을 스피커 유닛의 프레임에 결합시킨 후, 마이크를 브라켓에 장착한다.
때문에 브라켓의 장착공간을 고려하여, 스피커 유닛을 설계하여야 한다. 그 결과, 스피커 유닛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많은 공간적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8527호(2017.08.30. 공개)
본 발명은 마이크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공간적 제약을 제거하여, 설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과, 상기 제1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진동판과, 상기 제1 진동판에 고정되는 제1 코일과, 상기 요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 및 상기 제2 진동판에 고정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요크에 함께 접촉하고, 상기 프레임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음방출 홀이 배치된 일면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타면과,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이크와 접촉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가 수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의 일부 영역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마이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일부는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타면에서 상기 홀까지 연결되는 제1 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관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시키는 제2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리브가 위치하는 제1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보다 돌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돌기부 중 일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상기 마이크에 전달되는 소리의 방향과, 상기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의 소리의 방출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실시예는, 프레임과, 마그넷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플레이트와, 진동판과, 반경방향으로 상기 마그넷 및 상기 플레이트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코일과, FPCB과, 상기 FPCB와 연결되는 마이크 및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환형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이크가 장착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트는 제1-1 파트와 제1-2 파트를 포함하고, 상제1-1 파트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2 파트는 상기 제1-1 파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파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파트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이크의 양 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파트와 단차지게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진동판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진동판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제거하고, 프레임에 마이크를 직접 장착하여, 스피커 유닛의 설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유닛의 안착부와 연통되는 제1 관로와 홀을 프레임에 배치하여, 신호가 마이크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유닛의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을 연통시켜 사용자의 귀의 압력을 해제하는 제2 관로가 프레임에 배치되어, 스피커 유닛의 설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제거하고, 그릴에 마이크를 직접 장착하여, 스피커 유닛의 설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의 안착부를 하우징의 노즐에 위치시켜 마이크로 소리가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분해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프레임과 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프레임의 저면도,
도 7은 프레임의 사시도,
도 8은 마이크의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마이크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2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분해도,
도 15는 그릴에 장착되는 마이크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안착부를 포함하는 그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이어폰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는 이어폰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분해도이다.
이하, 전방이라 함은 제1 진동판(700), 제2 진동판(800)을 통해 소리가 방출되는 방향을 나타내며, 후방이라 함은 전방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A)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과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투웨이(2way) 형태)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과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A)은 하우징(2A)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A)은, 프레임(10)과, 요크(20)와, 마그넷(30)과, 플레이트(40)와, 제1 코일(50)과, 제2 코일(60)과, 제1 진동판(70)과, 제2 진동판(80)과, 마이크(9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30)은 제1 마그넷(31)과 제2 마그넷(3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40)는 제1 플레이트(41)와 제2 플레이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31)과 제2 마그넷(32)은 요크(20)를 공유한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1A)은 전후방향으로 정렬되지 않고, 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어 도출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이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어폰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도, 튜닝 구조를 각각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A)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프레임(10)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프레임(10)은 음이 방출되는 홀(H1)을 포함한다.
요크(20)는 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1 마그넷(31)과 제2 마그넷(30)은 요크(20)와 함께 접촉한다.
제1 마그넷(31)은 제1a 마그넷(31a)과 제1b 마그넷(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a 마그넷(31a)은 제1 코일(5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코일(5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 할 수 있다. 제1b 마그넷(31b)은 제1 코일(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코일(51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 할 수 있다. 제1a 마그넷(31a)은 사각형의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b 마그넷(31b)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마그넷(32)은 제2 코일(6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 할 수 있다. 제2 마그넷(32)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1)는 제1 마그넷(31)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제1 플레이트(41)는 제1a 플레이트(41a)와 제1b 플레이트(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플레이트(41a)는 제1a 마그넷(31a)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a 플레이트(41a) 사각형의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b 플레이트(41b)는 제1b 마그넷(31b)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1b 플레이트(41b)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2)는 제2 마그넷(32)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제2 플레이트(42)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코일(50)은 전후방향으로 제1a 마그넷(31a)과 제1b 마그넷(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50)은 전후방향으로 제1a 플레이트(41a)와 제1b 플레이트(4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50)의 일부는 전후방향으로 제1 마그넷(31)과 제1 플레이트(41)에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60)은 일부는 전후방향으로 제2 마그넷(32)과 제2 플레이트(42)에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판(70)은 제1 플레이트(41)의 외측에 배치되며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진동판(70)에 제1 코일(50)이 고정된다. 제1 진동판(70)의 진동방향은 전후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제2 진동판(80)은 제2 플레이트(42)의 외측에 배치되며 고정링(71)을 통해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진동판(80)에 제2 코일(60)이 고정된다. 제2 진동판(80)의 진동방향은 전후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제1 그릴(G1)은 제1 진동판(7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그릴(G1)은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그릴(G2)은 제2 진동판(8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 그릴(G2)은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S)은 프레임(1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판(70)에 의해 재생된 저역대 소리는 프레임(10)의 홀(H1)을 통해 방출된다. 그리고, 제2 진동판(80)에 의해 재생된 고역대 소리도 프레임(10)의 홀(H1)을 통해 방출된다.
마이크(90)는 별도의 브라켓 없이 프레임(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0)에는 마이크(90)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된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프레임(10)과 마이크(9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프레임(10)의 저면도이고, 도 7은 프레임(10)의 사시도이다.
도 5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외면은 일면(10a)과 타면(10b)과 측면(10c)을 포함한다. 일면(10a)은 프레임(10)의 전면에 해당할 수 있고, 타면(10b)은 프레임(10)의 후면에 해당할 수 있다. 측면은 일면(10a)과 타면(10b)을 연결할 수 있다. 음이 방출되는 홀(H1)은 프레임(10)의 일면(10a)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90)는 프레임(10)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90)는 프레임(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마이크(90)를 장착하기 위한 안착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는 안착면(11a)과 가이드(11b)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11a)은 마이크(90)와 접촉하는 면이다.
안착면(11a)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접착 테이프가 배치되어, 마이크(90)와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11b)는 안착면(11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마이크(90)와 수용되는 슬롯을 형성한다. 가이드(11b)는 프레임(1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안착면(11a)은 프레임(10)의 측면 중 일부일 수 있다. 안착부(11)는 안착면(11a)에 배치되는 홀(H2)을 포함한다. 홀(H2)은 프레임(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안착부(11)는 리브(11c)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c)는 홀(H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리브(11c)는 안착면(11a)에서 돌출되어 마이크(90)와 위치를 정렬하고 프레임(10)과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11b)는 마이크(90)가 진입할 수 있도록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11b)는 돌기부(PB1,PB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PB1,PB2)는 가이드(11b)에서 돌출되어 안착부(11)에 배치된 마이크(90)의 일부 영역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PB1,PB2)는 마이크(90)가 안착부(11)에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돌기부(PB1,PB2)는 여러 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PB1,PB2)는 제1 돌기(PB1)와 제2 돌기(P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PB1)는 안착부(11)의 입구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PB2)는 제1 돌기(PB1)가 안착부(11)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제1 돌기(PB1)는 홀(H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돌기(PB2)는 홀(H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11b)는 프레임(10)의 일면(10a)보다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영역(A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R)은 전후방향으로 안착부(11)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돌기(PB2)는 이러한 제1 영역(AR)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마이크(90)의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마이크(90)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 8및 도 9를 참조하면, 마이크(90)는 베이스(91)와, 베이스(91)의 표면에 배치되는 마이크모듈(9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1)는 제1 홈(9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91a)은 베이스(91)의 에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이드(11b)의 일부가 위치하는 후크 형태의 걸림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 홈(91a)은 마이크(90)가 장착부에서 이탈하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마이크(90)와 프레임(10)의 결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91)는 안착면(11a)과 접촉하는 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홈(9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1)가 안착면(11a)에 접촉할 때, 제2 홈(93)에는 리브(11c)가 삽입되어, 마이크(90)와 프레임(10)의 결합성을 높이고, 마이크모듈(92)과 프레임(10)의 홀(H2)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도 10은 도 2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은 제1 관로(Q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로(Q1)는 하우징(2A)의 노즐(2Aa)과 홀(H2)을 연통시켜, 노즐(2Aa)로 유입되는 소리를 마이크(9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관로(Q1)는 홀(H2) 및 노즐(2Aa)과 연통되게 프레임(1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A)의 노즐(2Aa)로 유입된 소리는 제1 관로(Q1) 및 홀(H2)을 통해 마이크(90)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1 관로(Q1)를 통해 마이크(90)에 전달되는 소리(M)의 방향과 제1 진동판(70) 및 제2 진동판(80)의 소리(K)의 방출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도 11은 도 2의 C-C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은 제2 관로(Q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로(Q2)는 스피커 유닛(1A)의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을 연통시켜, 사용자의 귀의 압력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관로(Q2)는 하우징(2A)의 노즐(2Aa)과 하우징(2A)의 내측 공간이 연통되도록 프레임(1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관로(Q2)는 기압평형을 형성할뿐만 아니라 초저역대 소리의 음향을 튜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스피커 유닛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이어폰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이어폰의 반경방향을 나타낸다. 전방이라 함은, 제1 진동판(700), 제2 진동판(800)을 통해 소리가 방출되는 방향이며, 후방은 그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B)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과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투웨이(2way) 형태)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B)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과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B)은 하우징(도 17의 2B)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B)은, 프레임(100)과, 마그넷(200)과,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와, 제1 코일(500)과, 제2 코일(600)과, 제1 진동판(700)과, 제2 진동판(800)과, 마이크(900)와, 그릴(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B)은 별도의 브라켓 없이 그릴(1000)에 마이크(900)를 장착하는 특징이 있다.
프레임(100)은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마그넷(200)은 제1 코일(500) 및 제2 코일(600)과 전자기적 상호 작용한다. 마그넷(200)은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과 제3 마그넷(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210)은 제2 코일(600)의 외측에 배치되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마그넷(230)은 제1 코일(5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넷(220)은 반경방향(y)으로 제1 코일(500)과 제2 코일(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폰의 반경방향(y)으로 기준으로, 제3 마그넷(230)이 가장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마그넷(210)이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제2 마그넷(220)이 제1 마그넷(210)과 제3 마그넷(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은 환형의 부재일 수 있다. 제3 마그넷(230)은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마그넷(220)과 제3 마그넷(230)은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플레이트(300)는 마그넷(200)의 일면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제1 플레이트(300)는 제1a 플레이트(310)와 제1b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플레이트(310)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a 플레이트(310)는 제1 마그넷(210)의 일면과 제2 마그넷(220)의 일면에 접촉한다. 제1b 플레이트(320)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b 플레이트(320)는 제2 마그넷(220)의 일면에 접촉한다.
제2 플레이트(400)는 마그넷(200)의 타면과 접촉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제2 플레이트(400)는 제2a 플레이트(410)와 제2b 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a 플레이트(410)는 환형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a 플레이트(410)는 제1 마그넷(210)의 타면과 접촉한다. 제2b 플레이트(420)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b 플레이트(420)는 제2 마그넷(220)의 일면 및 제3 마그넷(230)의 일면에 접촉한다.
제1 코일(500)은 제1 진동판(700)에 고정된다. 제1 코일(500)이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제1 진동판(700)도 움직인다. 제1 코일(500)은 반경방향(y)으로 제2 마그넷(220)과 제3 마그넷(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500)은 반경방향(y)으로 제1a 플레이트(310)와 제1b 플레이트(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일(500)의 일부가 반경방향(y)으로 제2 마그넷(220)과 제3 마그넷(230)에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코일(500)의 일부가 반경방향(y)으로 제1 플레이트(300)에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제1 코일(500)은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코일(600)은 제2 진동판(800)에 고정된다. 제2 코일(600)이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제2 진동판(800)도 움직인다. 제2 코일(600)은 반경방향(y)으로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코일(500)은 반경방향(y)으로 제2a 플레이트(410)와 제2b 플레이트(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600)의 일부가 반경방향(y)으로 제1 마그넷(210)과 제2 마그넷(220)에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코일(600)의 일부가 반경방향(y)으로 제2 플레이트(400)에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제1 코일(500)은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진동판(700)은 FPCB(FB)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진동판(700)은 고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진동판(800)은 고정링(8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810)은 그릴(G) 및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진동판(800)은 저역대 소리를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마이크(900)는 별도의 브라켓 없이 그릴(10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그릴(1000)에는 마이크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된다.
그릴(1000)은 전후방향(x)을 기준으로 제1 진동판(700)의 일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그릴(1000)은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FPCB(FB)는 제1 코일(500)과 제2 코일(600)에 전기신호를 공급한다. FPCB(FB)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튜닝부(F1)는 프레임(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튜닝부(F2)는 제1b 플레이트(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튜닝부(F1)와 제2 튜닝부(F2)는 음색 또는 음향 특색이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메쉬(mesh)소재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 부직포, 멤브레인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00)와 제2 플레이트(400) 사이의 공간으로 자기장이 이동한다. 제1 코일(500) 및 제2 코일(600)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1 코일(500)과 제2 코일(600)이 자성을 띠게 되면, 제1 코일(500)과 제2 코일(600)의 자력 극성에 따라 제1 코일(500)과 제2 코일(600)이 움직인다.
즉. 제1 코일(500)의 극성이 제1 플레이트(300)와 극성이 같으면, 제1 코일(500))이 밀려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코일(600)의 극성이 제2 플레이트(400)와 극성이 같으면, 제2 코일(600)이 밀려 이동한다. 반면에, 제1 코일(500)의 극성이 제1 플레이트(300)의 극성과 상이하면, 제1 코일(500)이 당겨져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코일(600)의 극성이 제2 플레이트(400)의 극성과 상이하면, 제2 코일(600)이 당겨져 이동한다. 이처럼, 제1 진동판(700)과 제2 진동판(800)이 움직이면서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킨다.
도 15는 그릴(1000)에 장착되는 마이크(9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안착부(1110)를 포함하는 그릴(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마이크(900)는 별도의 브라켓 없이 그릴(1000)에 직접 고정된다. 그릴(1000)은 안착부(1100)와 환형의 몸체(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00)는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안착부(1100)는 몸체(1200)의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제1 파트(1110)와, 마이크(900)가 장착되는 제2 파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1120)는 제1 파트(1110)에서 연장된다.
제1 파트(1110)는 제1-1 파트(1111)와 제1-2 파트(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파트(1111)는 몸체(1200)의 내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1-2 파트(1112)는 제1-1 파트(11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2 파트(1120)와 연결된다. 이때, 제1-2 파트(1112)는 제1-1 파트(1111)에서 상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200)가 누워진 상태라면, 제2 파트(1120)는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100)는 가이드(11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121)는 제2 파트(1120)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가이드(1121)는 마이크(900)의 양 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2 파트(1120)에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1100)는 제1 진동판(700)과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안착부(1100)에 고정된 마이크(900)도 제1 진동판(700)과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B)은 별도의 브라켓 없이, 마이크(90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B)을 포함하는 이어폰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마이크(900)는 안착부(1100)에 장착되어, 하우징(2B)의 노즐(2Ba)의 내측에 위치한다. 스피커 유닛(1B)에서 방출되는 소리(V1)는 노즐(2Ba)을 통해 방출되고, 노즐(2Ba)을 통해 유입된 소리(V2)는 마이크(900)로 바로 유입된다. 때문에 마이크(900)로 소리가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프레임
20: 요크
30: 마그넷
31: 제1 마그넷
31a: 제1a 마그넷
31b: 제1b 마그넷
32: 제2 마그넷
40: 플레이트
41: 제1 플레이트
41a: 제1a 플레이트
41b: 제1b 플레이트
42: 제2 플레이트
50: 제1 코일
60: 제2 코일
70: 제1 진동판
80: 제2 진동판
90: 마이크
G1: 제1 그릴
G2: 제2 그릴
100: 프레임
110: 안착부
200: 마그넷
210: 제1 마그넷
220: 제2 마그넷
230: 제3 마그넷
300: 제1 플레이트
310: 제1a 플레이트
320: 제1b 플레이트
400: 제2 플레이트
410: 제2a 플레이트
420: 제2b 플레이트
500: 제1 코일
600: 제2 코일
700: 제1 진동판
800: 제2 진동판
900: 마이크
1000: 그릴
1100: 안착부

Claims (1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진동판;
    상기 제1 진동판에 고정되는 제1 코일;
    상기 요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진동판;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및
    상기 제2 진동판에 고정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요크에 함께 접촉하고,
    상기 프레임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음방출 홀이 배치된 일면과 상기 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타면과,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이크와 접촉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이크가 수용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타면에서 상기 홀까지 연결되는 제1 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관로와 연통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착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과 접촉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리브가 위치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의 일부 영역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는 마이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일부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시키는 제2 관로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
  8. 삭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보다 돌출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돌기부 중 일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상기 마이크에 전달되는 소리의 방향과, 상기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진동판의 소리의 방출 방향은 서로 반대인 스피커 유닛.
  11. 프레임;
    마그넷;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넷에 접촉하는 플레이트;
    진동판;
    반경방향으로 상기 마그넷 및 상기 플레이트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코일;
    FPCB;
    상기 FPCB와 연결되는 마이크;및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은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환형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이크가 장착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제1-1 파트와 제1-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파트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2 파트는 상기 제1-1 파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파트와 연결되는 스피커 유닛.
  12. 삭제
  13. 삭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2 파트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이크의 양 측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파트와 단차지게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진동판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진동판과 전후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
KR1020210039901A 2021-03-26 2021-03-26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KR10248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01A KR102488962B1 (ko) 2021-03-26 2021-03-26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US17/386,249 US11496839B2 (en) 2021-03-26 2021-07-27 Speaker unit for ea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01A KR102488962B1 (ko) 2021-03-26 2021-03-26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45A KR20220134845A (ko) 2022-10-06
KR102488962B1 true KR102488962B1 (ko) 2023-01-18

Family

ID=8336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01A KR102488962B1 (ko) 2021-03-26 2021-03-26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96839B2 (ko)
KR (1) KR102488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2609B1 (en) * 2022-02-11 2023-04-18 Fortune Grand Technology Inc. Thin double-sided vibrating speaker
KR102586612B1 (ko) * 2022-05-10 2023-10-12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98B1 (ko) * 2014-01-28 2015-03-2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일체형 2웨이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KR101952068B1 (ko) * 2018-02-12 2019-02-25 김현철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KR102097472B1 (ko) * 2019-07-18 2020-04-06 주식회사 비에스이 압력평형 구조를 가진 커널형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5597A (ja) * 2001-05-09 2002-11-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複合スピーカー
TWM482916U (zh) * 2014-04-11 2014-07-21 Jetvox Acoustic Corp 貼耳式降噪耳機
KR20170098527A (ko)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이어 이어폰
KR102266425B1 (ko) * 2019-08-07 2021-06-18 부전전자 주식회사 사각 형상의 마이크로 스피커
US11528563B2 (en) * 2020-09-22 2022-12-13 Em-Tech Co., Ltd. Hybrid receiver having fixing bracket for driv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98B1 (ko) * 2014-01-28 2015-03-2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일체형 2웨이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KR101952068B1 (ko) * 2018-02-12 2019-02-25 김현철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KR102097472B1 (ko) * 2019-07-18 2020-04-06 주식회사 비에스이 압력평형 구조를 가진 커널형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45A (ko) 2022-10-06
US11496839B2 (en) 2022-11-08
US20220312124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509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US6931140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two diaphragms
EP2785072B1 (en) Enclosure speaker with side acoustic emission structure
KR102488962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JP4652474B1 (ja) イヤホン
US20080298623A1 (en) Adapter For a Loudspeaker
CN110603816A (zh) 具有电磁扬声器和微型扬声器的扬声器单元
US11412330B2 (en) Speaker unit for earphone and earphone including the same
WO2009051347A1 (en) Flat speaker
US20220095056A1 (en) Hybrid receiver having fixing bracket for drivers
KR101423841B1 (ko)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KR102447285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US11653133B2 (en) Speaker unit for earphone
CN216414548U (zh) 圈铁喇叭组件及耳机
US11317194B2 (en) Speaker
KR102552838B1 (ko) 이어폰용 스피커
JP2006100879A (ja) リング型スピーカー
US11102587B2 (en) Hybrid acoustic apparatus including rectangular microspeaker
KR102115379B1 (ko) 슬림 스피커
KR102545584B1 (ko) 음향 생성 장치
JP2012134640A (ja) スピーカ
KR100813156B1 (ko) 마이크로스피커
US20240073611A1 (en) Coaxial Speaker
KR20230036259A (ko) 드라이버 유닛
KR20230085420A (ko) 내부 덕트 구조를 갖는 이어폰용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