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068B1 -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 Google Patents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068B1
KR101952068B1 KR1020180017301A KR20180017301A KR101952068B1 KR 101952068 B1 KR101952068 B1 KR 101952068B1 KR 1020180017301 A KR1020180017301 A KR 1020180017301A KR 20180017301 A KR20180017301 A KR 20180017301A KR 101952068 B1 KR101952068 B1 KR 10195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circuit board
frame
gri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18001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둘레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음향이 방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향방출구멍이 형성된 그릴; 상기 그릴에 결합고정되는 마이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microphone integrated speaker unit}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스피커의 기능 뿐만 아니라 마이크의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마이크 겸용 이어폰이나 헤드셋 등과 같이 단일 제품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함께 탑재되어 사운드 청취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을 통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운드 청취 시에 주변의 소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 외부 소음을 스피커에 인접하게 배치된 마이크로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에 대하여 역위상을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의 중첩을 통해 소음 성분을 제거하는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가지는 이어폰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 겸용 이어폰, 헤드셋, ANC 이어폰 등에는 단일 제품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함께 탑재하여야 하므로, 마이크를 탑재할 별도의 공간 및 하우징이 요구되고, 스피커를 위한 배선 뿐만 아니라 마이크를 위한 배선이 부가되어, 제품의 소형화에 장애가 되고 기구물의 설계 및 조립이 복잡해지며 배선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으로 인해 제조 단가가 올라가고 수율이 낮은 문제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피커 유닛 자체에 마이크가 내장되도록 하여, 마이크를 탑재할 별도의 공간 및 하우징이 요구되지 않고 마이크를 위한 배선 처리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기구물의 설계 및 조립의 단순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배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둘레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음향이 방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향방출구멍이 형성된 그릴; 상기 그릴에 결합고정되는 마이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에는 상기 음향방출구멍과 별도로 마이크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결합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그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부분에 마이크홀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일단이 상기 마이크의 상기 그릴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마이크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마이크홀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그릴의 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외부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그릴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일단이 상기 마이크의 상기 그릴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의 측면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상기 그릴 내측으로부터 상기 그릴의 측면 바깥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부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둘레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음향이 방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향방출구멍이 형성된 그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고정되는 마이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마이크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회로기판에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일단이 상기 마이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 상기 마그네트,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회로기판 각각의 중공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판에는 상기 마이크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 자체에 마이크가 내장되도록 하여, 마이크를 탑재할 별도의 공간 및 하우징이 요구되지 않고 마이크를 위한 배선 처리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기구물의 설계 및 조립의 단순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배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 자체에 마이크가 내장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이 개시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피커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마이크 역시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이크가 효과적으로 내장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구조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에 내장되는 마이크는 음성 통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ANC 기능을 위한 주변 소음 수집용 마이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음성 통화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마이크로 유입되는 것은 ANC와 유사한 기법으로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마이크를 탑재할 별도의 공간 및 하우징이 요구되지 않고 마이크를 위한 배선 처리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기구물의 설계 및 조립의 단순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배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도면들로서, 도 1은 사시도를, 도 2는 측면 단면도를, 도 3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0)와, 마그네트(20)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22)와, 둘레가 프레임(10)의 내측을 따라 고정되고 플레이트(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28)과, 마그네트(20)와 플레이트(22)를 둘러싼 채로 진동판(28)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24)과, 프레임(10)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그릴(30)과, 프레임(1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스피커 신호를 입력받아 도선(미도시)을 통해 보이스코일(24)로 전달하는 회로기판(4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22), 마그네트(20), 프레임(10) 및 회로기판(40)은 서로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이 중공에 관통삽입되는 리벳(26)에 의해 서로 결합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들은 리벳(26) 이외의 다른 결합수단, 예컨대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결합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마이크(50)는 그릴(30)에 결합고정된다. 그릴(30)에는 통상적으로 진동판(28)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방출되도록 하는 음향방출구멍들(30a)이 형성되는데, 그릴(30)의 중앙부에서 이격된 부분에 음향방출구멍들(30a)과 별도로 마이크(50)를 결합하기 위한 마이크결합구멍(30b)이 형성된다. 마이크(50)는 일부는 그릴(30) 상부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그릴(30)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수용되도록 마이크결합구멍(30b)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50)는 마이크결합구멍(30b)에 끼움결합되거나, 그릴(30)의 마이크결합구멍(30b) 주위 부분에 접착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마이크(50)에서 출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회로기판(40)으로 전달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60)이 구비된다. 연성회로기판(60)의 일단은 마이크(50)의 그릴(30) 상부로 노출된 부분(여기에 마이크(50)의 출력 단자가 형성됨)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로기판(40)에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로기판(40)에는 스피커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스피커 신호를 도선을 통해 출력하는 단자 뿐만 아니라, 연성회로기판(60)으로부터 마이크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여기에 연성회로기판(60)의 타단이 결합됨)와 마이크 신호를 디바이스 측으로 출력하는 단자가 형성된다. 연성회로기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30)의 측면 및 프레임(10)의 외부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이크(50)의 그릴(30)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마이크홀(미도시)이 위치하며, 이 마이크홀이 연성회로기판(60)에 의해 덮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60)에는 마이크(50)의 마이크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이크홀과 연통되는 홀(6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도면들로서, 도 4는 사시도를, 도 5는 측면 단면도를, 도 6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0)와, 마그네트(20)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22)와, 둘레가 프레임(10)의 내측을 따라 고정되고 플레이트(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28)과, 마그네트(20)와 플레이트(22)를 둘러싼 채로 진동판(28)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24)과, 프레임(10)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그릴(31)과, 프레임(1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스피커 신호를 입력받아 도선(미도시)을 통해 보이스코일(24)로 전달하는 회로기판(4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22), 마그네트(20), 프레임(10) 및 회로기판(40)은 서로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이 중공에 관통삽입되는 리벳(26)에 의해 서로 결합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들은 리벳(26) 이외의 다른 결합수단, 예컨대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결합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마이크(51)는 그릴(31)에 결합고정된다. 그릴(31)에는 통상적으로 진동판(28)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방출되도록 하는 음향방출구멍들(31a)이 형성되는데, 그릴(31)의 중앙부에서 이격된 부분에 음향방출구멍들(31a)과 별도로 마이크(51)를 결합하기 위한 마이크결합구멍(31b)이 형성된다. 마이크(51)는 일부는 그릴(31) 상부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그릴(31)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수용되도록 마이크결합구멍(31b)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51)는 마이크결합구멍(31b)에 끼움결합되거나, 그릴(31)의 마이크결합구멍(31b) 주위 부분에 접착결합될 수 있다. 마이크(51)의 그릴(31)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마이크홀(51a)이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마이크(51)에서 출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회로기판(40)으로 전달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61)이 구비된다. 연성회로기판(61)의 일단은 마이크(51)의 그릴(31)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부분(여기에 마이크(51)의 출력 단자가 형성됨)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로기판(40)에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로기판(40)에는 스피커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스피커 신호를 도선을 통해 출력하는 단자 뿐만 아니라, 연성회로기판(61)으로부터 마이크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여기에 연성회로기판(61)의 타단이 결합됨)와 마이크 신호를 디바이스 측으로 출력하는 단자가 형성된다. 그릴(31)의 측면에는 연성회로기판(61)이 그릴(31)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그릴(31)의 측면 바깥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구멍(31c)이 형성되어, 연성회로기판(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통과구멍(31c)을 통과하여 프레임(10)의 외부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의 도면들로서, 도 7은 사시도를, 도 8은 측면 단면도를, 도 9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0)와, 마그네트(20)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23)와, 둘레가 프레임(11)의 내측을 따라 고정되고 플레이트(23)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29)과, 플레이트(23)를 둘러싼 채로 진동판(29)의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24)과, 프레임(11)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프레임(11)에 결합되는 그릴(32)과, 프레임(11)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스피커 신호를 입력받아 도선(미도시)을 통해 보이스코일(24)로 전달하는 회로기판(4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마이크(52)는 플레이트(23)에 결합고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 2 실시예와 달리 제3 실시예에서 외관상으로 마이크(52)는 드러나지 않는다.
플레이트(23)에는 마이크(52)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이크(52)의 삽입될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의 중공(23a)이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23)의 중공(23a)의 둘레에는 몇 군데(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4군데)에 걸쳐 중공(23a)의 내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마이크(52)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부(23b)가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와 달리 플레이트(23) 위에 마이크(52)가 배치된다면 제품의 두께가 마이크(52)의 두께만큼 증가될 것이나, 마이크(52)의 하부 일부를 플레이트(2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52)가 플레이트(23) 위로 돌출된 만큼만 제품 두께가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52)의 플레이트(23)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마이크홀(미도시)이 위치한다.
그릴(32)에는 통상적으로 진동판(29)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방출되도록 하는 음향방출구멍들(32a)이 형성되는데, 이 음향방출구멍들(32a)은 입력되는 소리가 마이크(52)로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특히 중앙의 음향방출구멍)도 하게 된다. 또한 입력되는 소리가 진동판(29)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진동판(29)에는 마이크(52)의 상부에 대응하는 중앙 부분에 구멍(29a)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마이크(52)에서 출력되는 마이크 신호를 회로기판(41)으로 전달하기 위해 신호케이블(70)이 구비된다. 신호케이블(70)의 일단은 마이크(52)의 플레이트(23)에 삽입된 하부 부분(여기에 마이크(52)의 출력 단자가 형성됨)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로기판(41)에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로기판(41)에는 스피커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와 스피커 신호를 도선을 통해 출력하는 단자 뿐만 아니라, 신호케이블(70)로부터 마이크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여기에신호케이블(70)의 타단이 결합됨)와 마이크 신호를 디바이스 측으로 출력하는 단자가 형성된다.
마그네트(20), 프레임(11), 회로기판(51)에는 각각 플레이트(23)의 중공(23a)과 연통되는 중공(20a, 11a, 4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신호케이블(70)은 마이크(52)에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플레이트(23), 마그네트(20), 프레임(11), 회로기판(51) 각각의 중공(23a, 20a, 11a, 41a)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타단이 회로기판(51) 하부의 마이크 신호 입력 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마이크(52)와 회로기판(51)을 플레이트(23)의 중공(23a)으로부터 마그네트(20), 프레임(11), 회로기판(51) 각각의 중공(20a, 11a, 41a)을 따라 신호케이블(70)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단순하고 간결한 배선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1 : 프레임
20 : 마그네트
22, 23 : 플레이트
28, 29 : 진동판
24 : 보이스코일
30, 31, 32 : 그릴
50, 51, 52 : 마이크
40, 41 : 회로기판
60, 61 : 연성회로기판
70 : 신호케이블

Claims (12)

  1. 삭제
  2.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둘레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음향이 방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향방출구멍이 형성된 그릴;
    상기 그릴에 결합고정되는 마이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에는 상기 음향방출구멍과 별도로 마이크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그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부분에 마이크홀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마이크의 상기 그릴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마이크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마이크홀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그릴의 측면 및 상기 프레임의 외부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그릴 내측에 수용되고,
    일단이 상기 마이크의 상기 그릴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측면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상기 그릴 내측으로부터 상기 그릴의 측면 바깥쪽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부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9. 삭제
  10.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위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둘레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 하부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음향이 방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향방출구멍이 형성된 그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고정되는 마이크;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마이크의 하부 일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중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이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회로기판에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마이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 상기 마그네트,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회로기판 각각의 중공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에는 상기 마이크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KR1020180017301A 2018-02-12 2018-02-12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KR10195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01A KR101952068B1 (ko) 2018-02-12 2018-02-12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01A KR101952068B1 (ko) 2018-02-12 2018-02-12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068B1 true KR101952068B1 (ko) 2019-02-25

Family

ID=6558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01A KR101952068B1 (ko) 2018-02-12 2018-02-12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0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643A (zh) * 2018-09-07 2019-01-04 歌尔科技有限公司 耳机和耳机单元
KR102104859B1 (ko) * 2019-05-14 2020-04-27 (주)와이에스티 연성회로기판의 마이크 홀 레이저 가공방법
KR102209485B1 (ko) 2019-11-06 2021-01-29 주식회사 이엠텍 마이크 일체형 리시버 유닛
WO2021206347A1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세이렌어쿠스틱스 마이크 내장형 스피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음 제거 방법
WO2022126779A1 (zh) * 2020-12-18 2022-06-2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扬声器箱
KR20220134845A (ko) * 2021-03-26 2022-10-06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544U (ko) * 1996-05-31 1997-12-11 마이크 내장형 스피커
JP2003324785A (ja) * 2002-03-01 2003-11-14 Alps Electric Co Ltd 音響装置
KR101769826B1 (ko) * 2016-05-10 2017-08-21 레프릭오디오주식회사 진동판과 일체화되는 고역 지지부가 형성된 서스펜션을 갖는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544U (ko) * 1996-05-31 1997-12-11 마이크 내장형 스피커
JP2003324785A (ja) * 2002-03-01 2003-11-14 Alps Electric Co Ltd 音響装置
KR101769826B1 (ko) * 2016-05-10 2017-08-21 레프릭오디오주식회사 진동판과 일체화되는 고역 지지부가 형성된 서스펜션을 갖는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643A (zh) * 2018-09-07 2019-01-04 歌尔科技有限公司 耳机和耳机单元
KR102104859B1 (ko) * 2019-05-14 2020-04-27 (주)와이에스티 연성회로기판의 마이크 홀 레이저 가공방법
KR102209485B1 (ko) 2019-11-06 2021-01-29 주식회사 이엠텍 마이크 일체형 리시버 유닛
WO2021206347A1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세이렌어쿠스틱스 마이크 내장형 스피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음 제거 방법
WO2022126779A1 (zh) * 2020-12-18 2022-06-2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扬声器箱
KR20220134845A (ko) * 2021-03-26 2022-10-06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US11496839B2 (en) 2021-03-26 2022-11-08 Almus Corp. Speaker unit for earphone
KR102488962B1 (ko) * 2021-03-26 2023-01-18 주식회사 알머스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068B1 (ko) 마이크 일체형 스피커 유닛
KR102292933B1 (ko) 이어폰
EP1169886B1 (en) Microphone for a hearing aid
US9173015B2 (en) Microphone module with sound pipe
CN107925808B (zh) 声音输出和拾取装置
US9934774B1 (en) Noise-cancelling earphone
US20140233756A1 (en) Sound input device
US20180242065A1 (en) Microphone
CN112565994A (zh) 用于产生和/或检测声波的音频转换单元
US20100208927A1 (en) Microphone module for a hearing device
WO2021098562A1 (zh) 麦克风与喇叭组合模组、耳机及终端设备
CN111801950A (zh) 无线耳机
US20230217154A1 (en) Acoustic sensor assembly having improved frequency response
US7400738B2 (en) Acoustic module for a hearing aid device
JP4793207B2 (ja) マイクロホン装置、および音響装置
JP2008135864A (ja) 通話装置
CN114095818A (zh) 一种耳机
EP2786592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mounting on a substrate
CN113225653A (zh) 发声器件和电子设备
US20060233412A1 (en) Microphone apparatus for a hearing aid
JP3976079B1 (ja) 通話装置
JP7437244B2 (ja) イヤホン
KR102172832B1 (ko) 무선 이어폰
CN219876001U (zh) 声学模块以及耳机
CN217486643U (zh) 双单元扬声器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