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734A -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 Google Patents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734A
KR20230084734A KR1020210172748A KR20210172748A KR20230084734A KR 20230084734 A KR20230084734 A KR 20230084734A KR 1020210172748 A KR1020210172748 A KR 1020210172748A KR 20210172748 A KR20210172748 A KR 20210172748A KR 20230084734 A KR20230084734 A KR 2023008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laminated
base
height
pi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783B1 (ko
Inventor
정회길
Original Assignee
티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7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A47G2200/226Weight sensor

Abstract

실시예는, 베이스 베개; 및 상기 베이스 베개 상에 적층되는 적층 베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베개 및 상기 적층 베개 각각에는 복수의 통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베개 및 상기 적층 베개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홀들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적층 베개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베개 상의 통공홀 들이 하나의 연속된 통공홀을 구성하고, 상기 적층 베개의 하부면에는 상기 베이스 베개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베개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 중 어느 하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통공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Stackable Height Adjustable Smart Pillow}
본 발명은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과 웰빙트렌드가 중요하게 부각됨에 따라 인간의 수면과 건강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침구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침구류란 '수면을 위해 사용하는 물건'으로 이불, 모포류, 베개류, 요와 매트리스, 침대시트와 커버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GDP가 연 2만 달러 수준에 진입하면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2만 5천 달러를 넘어서면 양질의 휴식을 통해 정신 건강을 챙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숙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한국에서도 삶의 질을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으로 인해 외모와 패션에 대한 관심에서 더 나아가 건강과 힐링을 위한 자신만의 휴식공간인 집을 가꾸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가구, 생활용품, 침구류 등을 포함하는 홈 퍼니싱(Home Furnishing) 열풍이 불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이불, 베개, 매트리스 같은 침구류 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베개의 경우 침구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저가에 해당하여 교체 주기가 빠르다. 그리고, 베개는 수면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침구류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고 사람의 신체의 형상이나 수면을 취하는 자세에 따라서 사람에게 적합한 베개는 모두 제각각인 점에서 매우 다양한 베개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숙면을 위한 베개의 조건으로는 열전도성, 배게의 높이, 크기, 탄성, 형태안정성, 흡습성, 통기성, 온도, 체동의 용이성 등이 있으며 그 중 베개의 높이가 크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고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베개의 높이를 조절을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은 크게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96941호의 베개 조립체, 한국의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11410호의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와 같이 베개를 구성하는 구성들을 조립하거나, 베개 사이에 패드를 끼워넣어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86956호의 높낮이 조절 베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3093호의 높이 조절 베개와 같이 기계적인 방식으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3205호의 높이조절 패드 삽입 포켓을 구비한 베개 커버,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674827호의 베개 장치,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13509171호의 Intelligent headrest,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12353200호의 Neck protection pillow 등의 에어 포켓 등을 이용하여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베개는 베개 내부가 복잡하게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되어 사용에 있어서 이질감이 있고 전체적인 베개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 베개의 무게 증가에 따른 불편함 등을 수반하고, 조립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베개의 조립된 구성품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나 사용자의 수면 자세가 바뀌면서 베개의 구성품들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베개의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고, 베개의 무게의 감소, 베개의 쿠션감의 유지를 위해 높이 조절을 매우 단순화한 기술로서 복수의 베개나, 패드 등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도 소개되었다. 복수의 베개나, 패드 등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의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214284331호의 Breathable double-core composite pillow,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112704366호의 Health-care pillow core of height-changeable pillow,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213429456호의 Height-adjustable pillow inner,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213155197호의 Music pillow with earphone,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68562호의 Layered, adjustable and natural latex side-sleeper pillow,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086635호의 침,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4185호의 수납공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345401호의 Neck support pillow, 중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10144372호의 Multilayer composite pillow,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531453호의 상반신 받침용 쿠션 매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34873호의 베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07025호의 높이조절용 물베개, 유럽 등록특허공보 제0095753호의 Medical pillow,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6827호의 건강 베개 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들은 적층되는 베개의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높이를 조절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수면 활동 중에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두부 상의 압력에 의해 적층된 베개들이 서로 흐트러지지 않도록 적층된 베개들을 상호 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213429456호의 Height-adjustable pillow inner는 적층되는 매트들 상호간의 고정을 위해 서로 결합하는 오목구조와 볼록 구조를 가진 베개를 소개하고 있다. 다만, 매트들을 아래 방향에서 적층하는 방식이므로 최상층의 매트의 쿠션감과 소재의 변화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으며 설령 최상층의 매트를 제거하는 경우를 가정한다고 하여도 아래층의 매트의 상부면의 볼록 구조가 사용자의 두부에 압박을 제공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086635호의 침,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4185호의 수납공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6827호의 건강 베개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34873호의 베개의 경우, 적층되는 매드들 각각에는 홀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086635호의 침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34873호의 베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6827호의 건강 베개의 경우 적층되는 매트들 각각에 형성된 홀들이 적층된 전체 매트에 있어서 하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통기성과 방습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만, 매트들 각각에 형성된 홀들이 하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전체 베개의 홀이 형성된 영역은 전체적으로 탄성력이 약화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의 압박에 의해 일부 영역이 일시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영구적으로 꺼짐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기술은 아니나 통기공이 형성된 베개를 소개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47606호의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에서는 적층되는 매트들 각각에 통기공이 형성되지만 적층 매트들 상호간에 통기공은 하나의 통기공을 형성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통기공 형성 영역의 탄성력 약화 문제를 어느 해소해볼 수 있으나 상하층의 매트들 사이의 통기공이 하나의 통기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원활한 통기 능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086635호의 침,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4185호의 수납공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34873호의 베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47606호의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를 비롯하여 종래의 적층되는 매트들에 홀이 형성된 베개들의 경우 사용자의 두부가 홀을 덮는 경우 두부와 베개의 접촉 부위 상에 공기가 연통되지 않아 통기성 효과가 감소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96941호 한국의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1141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8695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5309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3205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674827호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13509171호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12353200호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214284331호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112704366호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213429456호 중국 등록특허공보 제213155197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685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3086635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4185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345401호 중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10144372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53145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34873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07025호 유럽 등록특허공보 제009575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682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47606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높이의 높이 조절, 쿠션 강도 조절, 피부와의 접촉 면의 촉감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베개 전체 적인 통기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체의 발열에 따른 베개의 국부 영역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고, 베개의 상부면의 전체적인 쿠션감과 강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기의 순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두부에 의한 베개의 영역별 압박에 의한 압력을 이용하여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베이스 베개; 및 상기 베이스 베개 상에 적층되는 적층 베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베개 및 상기 적층 베개 각각에는 복수의 통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베개 및 상기 적층 베개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홀들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적층 베개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베개 상의 통공홀 들이 하나의 연속된 통공홀을 구성하고, 상기 적층 베개의 하부면에는 상기 베이스 베개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베개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 중 어느 하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통공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적층 베개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복수의 적층 베개로 구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적층 베개는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된 복수의 적층 베개로 구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적층 베개 각각의 상부면에는 통공홀과 통공홀을 둘러싸며 바로 위층에 적층되는 적층 베개상의 고정돌출부의 삽입을 위한 고정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바로 아래층에 적층되는 적층 베개 상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에 삽입될 고정돌출부가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적층 베개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들 중 서로 인접한 고정돌출부 삽입홀을 서로 연결하는 내측 공기흐름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 중 상기 적층 베개의 최외곽에 위치한 고정돌출부 삽입홈에서부터 상기 적층 베개의 측면까지 이어지는 외측 공기흐름홈이 형성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적층 베개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흐름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층 베개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까지 이어지는 연속된 공기흐름홈을 형성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을 중심으로 서로 인접한 공기흐름홀들 사이의 영역에 상기 고정돌출부 삽입홈과 접하여 추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 베개의 하부면의 영역 중 상기 고정돌출부와 접하여 아래층에 위치한 다른 적층 베개 상의 추가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추가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어느 하나의 적층 베개가 아래층의 적층 베개와 적층 시 상기 아래층의 적층 베개의 상부면에 형성된 공기흐름홈과 연결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의 고정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돌출부를 관통하는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이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 베개의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상기 베이스 베개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연속된 통공홀은 상기 베이스 베개의 내부의 공간과 연통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 제어부와 온도 감지, 사용자의 두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감지, 음향 신호의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센서부와 시각적, 청각적, 물리적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 스마트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는 사용자가 적층 베개의 적층 순서나 적층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쿠션 강도를 조절 및 피부와 닿는 베개의 표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촉감의 표면을 가진 베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속된 통공홀은 베개의 상부면에서부터 하측면까지 연통됨으로써 통기성을 높일 수 있고, 쾌적한 수면을 방해나는 일 요소인 신체의 발열에 따른 베개의 국부 영역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베개의 상부면의 전체의 쿠션감과 강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개의 통공홀을 통한 공기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켜 통기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두부가 통공홀에 맡닿아 통공홀을 실질적으로 폐쇄함으로써 통공홀을 통해 공기의 순환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베개들 사이의 공간에서도 공기의 흐름에 따른 통기성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베개의 전체적인 통기성을 향상시켜 흡습성 및 통기성 향상 및 적정 온도 유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수면 자세 변경시 베개의 상부 표면의 압박 영역의 변경에 따라 두부와 베개 표면의 맡닿은 영역까지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장치를 베개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적층 베개를 측면 및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는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일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일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도 8은 적층 베개의 일 측면의 일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도 9는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고정돌출부를 확대한 것이고, 상측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고정돌출부(상측에 위치한 적층 베개는 도시하지 않음)가 하측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있어서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있어서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고정돌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있어서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고정돌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적층되는 적층 베개의 개수에 따라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의 변경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공기흐름홈과 연통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하측을 바라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구비된 스마트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베이스 베개 및 적층 베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우레탄 폼, 메모리 폼 또는 라텍스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사용자가 베개를 베었을 때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함으로서 사용자의 머리가 항상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은 물론 어깨결림, 목덜미 결림, 허리결림, 팔다리 저림 등이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숙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베이스 베개(200) 및 적층 베개(30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베개(200)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와 외측 베이스 베개(220)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베개(210)는 베개(100) 전체의 쿠션 강도와 사용자의 두부에 의한 압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 베개(300)는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적층 베개(310), 제2 적층 베개(320) 및 제3 적층 베개(330)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층 베개(300)의 총 개수는 도시된 베개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 베개(200)와 적층 베개(300)는 굴곡진 형태를 가지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체로서 평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베개(200)를 구성하는 외측 베이스 베개(220)와 적층 베개(3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각각에는 후두 안착부(10), 측면 안착부(20) 및 경추 안착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정자세로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착되도록 이들 베개(220, 310, 320, 330) 각각의 중앙에 라운드 형태의 음각으로서 후두 안착부(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자세로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측두부가 안착되면서도 정자세보다 측면 자세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두부가 더 높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후두 안착부(10) 보다 높게 사용자의 두부를 안착시키는 측면 안착부(20)가 이들 베개(220, 310, 320, 330) 각각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 안착부(20)는 제1 측면 안착부(20a)와 제2 측면 안착부(20b)로 구성되어 이들 베개(220, 310, 320, 330) 각각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은 전체로써 라운드 형태의 양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베개(220, 310, 320, 330) 각각에는 사용자의 정자세 또는 측면 자세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경추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안착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경추 안착부(30)는 이들 베개(220, 310, 320, 330) 각각에서 베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들 베개(220, 310, 320, 330)의 상측의 상하 각각에 형성되고 후두 안착부(10) 및 측면 안착부(20)보다 더 높은 위치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베개(200) 및 적층 베개(300) 각각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및 상하 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층 베개(300)는 상부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부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적층 베개(300)를 측면이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개략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 베이스 베개(220)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하측 방향의 베개 수용홈(220a)으로 내측 베이스 베개(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 베이스 베개(200)의 하측은 개방되어 베개 수용홈(220a)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상부면은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상측의 굴곡진 형상에 대응한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하측면의 형상에 매칭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상측면은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후두 안착부(10)를 지지하기 위한 후두 안착지지부(11)가 형성되고,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측면 안착부(20)를 지지하기 위한 측면 안착지지부(21)가 형성되며,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경추 안착부(30)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안착지지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안착지지부(21)는 제1 측면 안착부(20a)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측면 안착지지부(21a)와 제2 측면 안착부(20b)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측면 안착지지부(21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상부면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상부면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 베이스 베개(210)는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 돌출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 상에 복수의 베이스 돌출부(212)가 형성되는 경우 이들은 소정의 거리로 서로 이격되면서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측면의 하측 방향에서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베개(220)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를 수용하면서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하측면 가장자리에는 베이스 돌출부(212)의 수용을 위한 베이스 돌출부 수용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베개(220)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를 수용하면서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 상에 안착되어 베이스 돌출부 수용홈(222)과 베이스 돌출부(212)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외측 베이스 베개(220)와 내측 베이스 베개(210)가 서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면서도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베이스 돌출부(21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의 일 지점(베이스 돌출부(212)가 형성된 지점)이 상측 방향을 돌출됨에 따라 지면과 해당 일 지점 사이에는 외부와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연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213)은 베이스 돌출부(212)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 적층 베개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각각은 두께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서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각각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서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각각은 각각의 두께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각각의 쿠션 강도는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서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각각의 쿠션 강도는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베이스 베개(200)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베이스 베개(200)에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중 적어도 하나를 적층시키거나 여러가지 조합으로 복수의 적층 베개를 적층 시킴으로써 다양한 높이로 전체 베개(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각각은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개(100)의 최 상층부에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중 어떤 적층 베개를 위치시킬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소재의 촉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의 적층 순서나 적층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베개(100)의 쿠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층 베개(300)의 적층 순서나 적층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베개(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쿠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피부와 닿는 베개(100)의 표면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촉감의 표면을 가진 베개(10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 통공홀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복수의 통공홀(40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홀(400)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개수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다. 복수의 통공홀(400)은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베개(200)와 적층 베개(300) 각각에는 복수의 통공홀(400)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베개(200)와 적층 베개(300)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홀(400)들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즉, 내측 베이스 베개(210)와 외측 베이스 베개(2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통공홀(400)과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통공홀(400)은 서로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2 적층 베개(310, 320, 330)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이들의 통공홀(400)은 서로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적층 베개(300)가 베이스 베개(200)에 적층된 상태에서 이들의 통공홀(400) 서로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를 구성하는 베이스 베개(200)와 적층 베개(300)의 통공홀(400)이 동일한 위치가 됨으로써 각 층의 베개들 각각의 통공홀(400)이 하나의 연속된 통공홀(41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된 통공홀(410)은 어느 하나의 층의 베개 상의 통공홀(400)의 전체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연속된 통공홀(410)은 베개(100)의 상부면에서부터 하측면까지 연통됨으로써 통기성을 높일 수 있고, 쾌적한 수면을 방해나는 일 요소인 신체의 발열에 따른 베개(100)의 국부 영역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적층 베개를 측면 및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는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일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 고정돌출부 및 고정돌출부 삽입홈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적층 베개(3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각각의 하측면에는 복수의 고정돌출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돌출부(500)는 적층 베개(300)에 형성된 통공홀(40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 돌출부(500)는 적층 베개(300) 상의 통공홀(400)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에서부터 적층 베개(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출부(600)를 통해 통공홀(400)이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에는 다른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의 고정돌출부(6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이 해당 적층 베개(300)의 하나의 통공홀(400)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의 가운데 영역에 통공홀(400)이 형성될 수 있다.
적층 베개(300)들이 서로 적층되면 상부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의 고정 돌출부는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상부면 상의 고정돌출부 삽입홈 상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돌출부와 고정돌출부 삽입홈 상에는 통공홀이 존재하므로 연속된 통공홀(410)의 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적층 베개(300)의 단면을 고려하면 적층 베개(300)의 단면의 두께는 모든 단면 영역에서 동일성을 유지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에서 동일한 두께가 될 수 있다. 이는 적층 베개(300)에서 통공홀(410)이 형성된 영역은 통공홀(410)의 형성에 따라 두께가 상실되었으나 통공홀(410)을 둘러싼 고정돌출부(600)가 형성되므로 통공홀(410)의 형성에 따라 상실된 적층 베개(300)의 단면의 두께를 고정돌출부(600)가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 전체의 쿠션감과 강도의 균일성이 확보된다.
또한, 통공홀(410)은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에서부터 고정돌출부(600)의 하측 방향으로 이어지고 통공홀(410)을 둘러싼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에 의해서 외부에서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의 통공홀(410)을 향하는 공기의 이동 경로가 유선형 타입이 되어 공기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켜 통기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상부면에도 바로 위에 적층된 적층 베개(300) 상의 고정돌출부(600)의 삽입을 위한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이 외측 베이스 베개(220) 상의 통공홀(400) 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베개(220)와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상호간에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가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베개 수용홈(220a) 상에 수용되고, 베이스 돌출부(212)와 베이스 돌출부 수용홈(222)이 상호 결합되므로 외측 베이스 베개(220)와 내측 베이스 베개(210)는 상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하부면에는 고정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상부면에는 고정돌출부의 수용을 위한 고정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공홀(400)의 형성에 다른 탄성력 저하를 보강하기 위하여 외측 베이스 베개(220)의 하부면에도 고정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돌출부 삽입홈이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 공기흐름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일 영역을 확대한 것이고, 도 8은 적층 베개의 일 측면의 일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고정돌출부를 확대한 것이고, 상측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고정돌출부(상측에 위치한 적층 베개는 도시하지 않음)가 하측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공기흐름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적층 베개(300) 상에는 공기흐름홈(5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각각의 상부면에는 서로 인접한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을 서로 연결하고 소정의 깊이를 가진 공기흐름홈(50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 각각의 상부면 상의 고정돌출부 삽입홈(700)들 중에서 최외곽에 위치한 고정돌출부 삽입홈(700a)들에 있어서, 인접한 최외각 고정돌출부 삽입홈(700a) 또는 내측 고정돌출부 삽입홈(700b)과 최외곽 고정돌출부 삽입홈(700a)을 서로 연결하는 내측 공기흐름홈(500b)과 인접한 최외각 고정돌출부 삽입홈(700a) 또는 내측 고정돌출부 삽입홈(700b)과 연결되지 않고 적층 베개(300)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외측 공기흐름홈(500a)이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흐름홈(500)은 적층 베개(300)의 좌측 끝단에서 우측 끝단까지 이어지면서 및 적층 베개(300)의 상측 끝단에서 하측 끝단까지 이어지면서 복수의 연속공기흐름홈(510)을 형성할 수 있다. 연속공기흐름홈(510)의 복수의 지점 상에는 통공홀(400)에 의한 홀과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에 의한 홈이 형성된다.
도면 상으로는 적층 베개(300)의 좌측 끝단에서 우측 끝단까지 이어지면서 및 적층 베개(300)의 상측 끝단에서 하측 끝단까지 이어지면서 복수의 연속공기흐름홈(510)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에는 연속공기흐름홈(510)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적층 베개(300)의 상측이나 하측 끝단에서부터 좌측 끝단이나 우측 끝단으로 이어지는 연속공기흐름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적층된 적층 베개(300) 중 어느 하나의 적층 베개의 상부면에 연속공기흐름홈(510)이 형성되어 있을 때, 해당 적층 베개의 바로 위에서 적층된 적층 베개의 하부면 중 아래층의 적층 베개의 연속공기흐름홈(510)과 마주하는 영역은 평평한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베개들이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도 아래층에 위치한 적층 베개 상의 연속공기흐름홈(510)이 윗층의 적층 베개의 하부면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되어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연속공기흐름홈(510)은 적층 베개(300)의 측면까지 이어지므로 적층 베개(300)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아래층의 적층 베개와 위층의 적층 베개의 경계면 상에 연속공기흐름홈(510)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연속공기흐름홈(510)은 적층 베개(30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연통된 공기흐름홀(52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적층 베개(300)의 일 측면에서부터 타 측면까지 이어지는 연속공기흐름홈(510)에 의해서 사용자의 두부가 통공홀(400)에 맡닿아 통공홀(400)을 실질적으로 폐쇄함으로써 통공홀(400)을 통해 공기의 순환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측 베이스 베개(220) 상의 상부면에도 공기흐름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적층 베개(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출부(600)에는 복수의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610)은 고정돌출부(600)의 측면에 형성되되 고정돌출부(600)와 적층 베개(300)의 하부면의 경계라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600) 상의 복수의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610)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바로 아래층에 적층된 적층 베개의 상부면 상의 공기흐름홈(500)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적층 베개(310)가 제2 적층 베개(320)의 상부면에 적층된다고 할 때, 제1 적층 베개(310)의 하부면의 고정돌출부(600)는 제2 적층 베개(320)의 상부면 상의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적층 베개(320)의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을 지나는 공기흐름홈(500)은 제1 적층 베개(310)의 하부면의 고정돌출부(600) 상의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610)과 마주하게 되어 전술한 연속공기흐름홈(510)이 마련됨과 동시에 적층 베개들 사이에서 공기흐름홀(520)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고정돌출부(600) 상에 복수의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610)을 형성함으로써 적층 베개(3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적층 베개(310, 320, 330)의 적층 순서와 무관하게 적층 베개들 사이에 공기흐름홀(520)을 형성함으로써 최상층의 적층 베개뿐만 아니라 적층된 베개들 사이에서도 공기의 흐름에 따른 통기성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 추가돌출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있어서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있어서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고정돌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있어서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고정돌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의 적층 베개(300) 상에는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의 고정돌출부 삽입홈(700)과 접하고 고정돌출부 삽입홈(700)을 둘러싸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추가돌출부(8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추가돌출부(800)는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700)과 만나고 서로 인접한 공기흐름홈(500) 사이의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돌출부(800)는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700)과 만나고 서로 인접한 공기흐름홈(500) 사이의 영역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적층 베개(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돌출부(600)와 인접하여 적층 베개(300)의 하부면 상에 추가돌출부 삽입홈(900)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돌출부 삽입홈(900)은 전술한 추가돌출부(8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돌출부 삽입홈(900)은 고정돌출부(600)와 적층 베개(300)의 하부면의 경계라인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추가돌출부 삽입홈(900)은 추가돌출부(8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돌출부 삽입홈(900)은 전술한 추가돌출부(8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 즉 적층 베개(300)들이 서로 적층될 때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적층 베개(300)들이 상호 적층될 때, 위층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하부면의 추가돌출부(800)가 하층에 위치한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추가돌출부 삽입홈(90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되는 베개들 상호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출부(60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610)이 더 형성됨으로써 적층된 베개들 사이의 공간에서도 공기의 흐름에 따른 통기성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3은 적층되는 적층 베개의 개수에 따라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14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의 변경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5는 공기흐름홈과 연통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높이에 따라서 적층 베개(300)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적층 베개들을 상호 조합하여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높이를 가진 베개(1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자세로 수면을 취하다가 옆으로 누운 자세로 변경하거나 그 반대로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의 두부에 의해 베개(100)의 상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변경되고 압력이 가해지는 상부면의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개(100)의 상부면에서 두부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제1 영역과 두부에 의한 압력이 해제되는 제2 영역 및 두부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던 제3 영역을 정의하면, 제1 영역의 두께의 수축에 따라 제2 및 제3 영역의 상부면의 통공홀(400)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고, 제2 영역에 가해진 압력의 해제에 따라 제2 영역의 상부면의 통공홀(40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의 제2 영역은 공기의 배출 및 유입이 동시에 발생하는 영역으로 일시적으로 공기의 배출과 유입의 압력에 의해 적층 베개(300)들 사이의 공기흐름홀(520)을 통해 공기가 순환되고 일부는 다른 통공홀(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베개(200)의 연통홀(213)을 통해 외부 공기가 베이스 베개(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 및/또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배출됨으로써 베개(100)의 복수의 영역들 전체적으로 통기성을 향상시켜 베개(100)의 흡습성 및 통기성 향상 및 적정 온도 유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자세 또는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하면서 일부 통공홀(400)을 폐쇄하는 경우에도 폐쇄된 통공홀(400)으로부터 이어지는 공기흐름홈(500)을 통해 공기가 두부와 베개(100)의 표면이 맡닿은 영역까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하여 베개(100)의 상부면의 일부 영역을 압박하는 경우 사용자의 두부에 의한 압력에 의해 두부와 맡닿은 통공홀(400)로 공기의 유입을 위한 압력이 형성되고, 이러한 압력에 의해 두부와 맡닿은 통공홀(400)과 이어지는 공기흐름홈(500)을 통해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베개(100)의 표면과 맡닿은 두부 상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의 하측을 바라본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하측 공간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내측 베이스 베개의 내부 공간 영역(210a)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하측 공간에 형성된 빈 공간을 폐쇄하는 내측 베이스 베개의 하측 커버부(210b)가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내측 베이스 베개의 하측 커버부(210b)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하측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하측 공간에 숙면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향 배출 물질을 삽입하고, 내측 베이스 베개의 하측 커버부(210b)를 내측 베이스 베개(210)의 하측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베개(100)의 공기의 순환에 따라 향 배출 물질로부터 배출된 향이 공기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 스마트 장치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에 구비된 스마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는 스마트 장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장치(9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7에서 설명한 내측 베이스 베개의 하측 커버부(210b)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측 베이스 베개의 하측 커버부(210b)를 베개(1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베개(100)의 무게가 감소하고 베개(100)에 탑재된 전자 장치에 의한 사용자가 느끼는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장치(90)는 스마트 장치(90)내의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 제어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장치(90)는 센서부(92), 통신부(93) 및 출력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부(92)는 통신부(93)와 무선통신하여 제어부(91)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92)는 적어도 일부가 적층 베개(300) 상에 탑재 가능하고 사용자의 두부와 두부 부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 센서, 적어도 일부가 적층 베개(300) 상에 탑재 가능하고 사용자의 두부에 의해 가해지는 적층 베개(300)의 상부면의 표면의 영역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사용자의 코골이 신호 등 각종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94)는 시각적, 청각적, 물리적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94)는 팬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91)의 제어하에 팬장치를 구동하여 베개(100)의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고, 두부와 베개(100)의 상부면의 표면의 접촉 부위 상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팬장치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제어부(91)는 사용자의 두부가 가해지는 베개(100)의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에 공기를 공급하는 팬장치를 구동할 수도 있다.
통신부(93)는 제어부(91)와 센서부(92) 사이의 무선 통신 및 제어부(91)와 출력부(94)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93)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제어부(91)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91)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100)
베이스 베개(200)
내측 베이스 베개(210)
내측 베이스 베개의 내부 공간 영역(210a)
내측 베이스 베개의 하측 커버부(210b)
외측 베이스 베개 지지부(211)
베이스 돌출부(212)
연통홀(213)
외측 베이스 베개(220)
베개 수용홈(220a)
베이스 돌출부 수용홈(222)
적층 베개(300)
제1 적층 베개(310)
제2 적층 베개(320)
제3 적층 베개(330)
후두 안착부(10)
후두 안착지지부(11)
측면 안착부(20)
측면 안착지지부(21)
제1 측면 안착부(20a)
제1 측면 안착지지부(21a)
제2 측면 안착부(20b)
제2 측면 안착지지부(21b)
경추 안착부(30)
경추 안착지지부(31)
통공홀(400)
연속된 통공홀(410)
공기흐름홈(500)
외측 공기흐름홈(500a)
내측 공기흐름홈(500b)
연속공기흐름홈(510)
공기흐름홀(520)
고정돌출부(600)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610)
고정돌출부 삽입홈(700)
최외각 고정돌출부 삽입홈(700a)
내측 고정돌출부 삽입홈(700b)
추가돌출부(800)
추가돌출부 삽입홈(900)
스마트 장치(90)
제어부(91)
센서부(92)
통신부(93)
출력부(94)

Claims (10)

  1. 베이스 베개; 및
    상기 베이스 베개 상에 적층되는 적층 베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베개 및 상기 적층 베개 각각에는 복수의 통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베개 및 상기 적층 베개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홀들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적층 베개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베개 상의 통공홀 들이 하나의 연속된 통공홀을 구성하고,
    상기 적층 베개의 하부면에는 상기 베이스 베개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베개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 중 어느 하나는 어느 하나의 상기 통공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베개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복수의 적층 베개로 구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베개는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된 복수의 적층 베개로 구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4. 제2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 베개 각각의 상부면에는 통공홀과 통공홀을 둘러싸며 바로 위층에 적층되는 적층 베개상의 고정돌출부의 삽입을 위한 고정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바로 아래층에 적층되는 적층 베개 상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에 삽입될 고정돌출부가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베개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들 중 서로 인접한 고정돌출부 삽입홀을 서로 연결하는 내측 공기흐름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 중 상기 적층 베개의 최외곽에 위치한 고정돌출부 삽입홈에서부터 상기 적층 베개의 측면까지 이어지는 외측 공기흐름홈이 형성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베개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흐름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층 베개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까지 이어지는 연속된 공기흐름홈을 형성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베개의 상부면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고정돌출부 삽입홈을 중심으로 서로 인접한 공기흐름홀들 사이의 영역에 상기 고정돌출부 삽입홈과 접하여 추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 베개의 하부면의 영역 중 상기 고정돌출부와 접하여 아래층에 위치한 다른 적층 베개 상의 추가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추가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8. 제5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적층 베개가 아래층의 적층 베개와 적층 시 상기 아래층의 적층 베개의 상부면에 형성된 공기흐름홈과 연결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적층 베개의 하부면 상의 고정돌출부의 외주면을 고정돌출부를 관통하는 고정돌출부 공기유도홀이 형성된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베개의 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상기 베이스 베개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연속된 통공홀은 상기 베이스 베개의 내부의 공간과 연통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10. 제1 항에 있어서,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 제어부와
    온도 감지, 사용자의 두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감지, 음향 신호의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센서부와
    시각적, 청각적, 물리적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 스마트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KR1020210172748A 2021-12-06 2021-12-06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KR102544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48A KR102544783B1 (ko) 2021-12-06 2021-12-06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748A KR102544783B1 (ko) 2021-12-06 2021-12-06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34A true KR20230084734A (ko) 2023-06-13
KR102544783B1 KR102544783B1 (ko) 2023-06-16

Family

ID=8676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748A KR102544783B1 (ko) 2021-12-06 2021-12-06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783B1 (ko)

Citation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5753B1 (de) 1982-05-28 1988-01-20 IBU BETTEN-UNION GmbH & Co. KG Medizinisches Kopfkissen
JPH07284Y2 (ja) * 1989-11-07 1995-01-1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表皮材
KR19980024912U (ko) * 1998-04-23 1998-07-25 성영종 베개
KR19990007025A (ko) 1997-06-16 1999-01-25 모리시타 요우이치 버퍼 메모리 제어 장치
JP3086635B2 (ja) 1995-08-24 2000-09-11 東京ピジョン株式会社 止水栓
US6345401B1 (en) 1999-09-21 2002-02-12 Larry G. Frydman Neck support pillow
KR200334873Y1 (ko) 2003-07-11 2003-12-01 주식회사 가나클리너 베개
JP4531453B2 (ja) 2004-06-16 2010-08-25 アキレス株式会社 上半身受け用クッションマット
KR101053093B1 (ko) 2009-11-04 2011-08-04 백옥선 높이 조절 베개
KR101147606B1 (ko)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101686956B1 (ko) 2015-05-08 2016-12-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20170004185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흥진메텍 피난 갱문
KR101796941B1 (ko) 2016-04-26 2017-11-14 김경부 베개 조립체
KR20190023205A (ko) 2017-08-28 2019-03-08 정태연 높이조절 패드 삽입 포켓을 구비한 베개 커버
KR101998556B1 (ko) * 2018-11-16 2019-07-10 신종철 온도제어가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190123112A (ko) * 2018-04-23 2019-10-31 박세호 스마트 베개
KR102075262B1 (ko) * 2018-08-16 2020-02-07 이형경 베개
JP6674827B2 (ja) 2016-04-13 2020-04-0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枕装置
KR102186827B1 (ko) 2020-01-03 2020-12-04 티티전자 주식회사 건강 베개
CN112353200A (zh) 2020-12-09 2021-02-12 罗莱生活科技股份有限公司 护颈枕
US20210068562A1 (en) 2019-09-10 2021-03-11 Adjust For Me Pillow Llc Layered, adjustable and natural latex side-sleeper pillow
CN112704366A (zh) 2021-01-25 2021-04-27 王永红 一种可变换高度枕的保健枕头芯
CN213155197U (zh) 2020-10-20 2021-05-11 四川福怡长者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带有线耳机的音乐枕头
CN213429456U (zh) 2020-11-10 2021-06-15 惠州华盛家庭用品有限公司 可调节高度枕芯
KR20210111410A (ko) 2020-03-03 2021-09-13 유지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CN214284331U (zh) 2021-02-24 2021-09-28 成都以手维生科技有限公司 透气双核复合枕
CN113509171A (zh) 2021-05-26 2021-10-19 天津工业大学 一种智能头枕
KR20210144372A (ko)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해초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Patent Citation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5753B1 (de) 1982-05-28 1988-01-20 IBU BETTEN-UNION GmbH & Co. KG Medizinisches Kopfkissen
JPH07284Y2 (ja) * 1989-11-07 1995-01-1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表皮材
JP3086635B2 (ja) 1995-08-24 2000-09-11 東京ピジョン株式会社 止水栓
KR19990007025A (ko) 1997-06-16 1999-01-25 모리시타 요우이치 버퍼 메모리 제어 장치
KR19980024912U (ko) * 1998-04-23 1998-07-25 성영종 베개
US6345401B1 (en) 1999-09-21 2002-02-12 Larry G. Frydman Neck support pillow
KR200334873Y1 (ko) 2003-07-11 2003-12-01 주식회사 가나클리너 베개
JP4531453B2 (ja) 2004-06-16 2010-08-25 アキレス株式会社 上半身受け用クッションマット
KR101053093B1 (ko) 2009-11-04 2011-08-04 백옥선 높이 조절 베개
KR101147606B1 (ko)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101686956B1 (ko) 2015-05-08 2016-12-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20170004185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흥진메텍 피난 갱문
JP6674827B2 (ja) 2016-04-13 2020-04-0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枕装置
KR101796941B1 (ko) 2016-04-26 2017-11-14 김경부 베개 조립체
KR20190023205A (ko) 2017-08-28 2019-03-08 정태연 높이조절 패드 삽입 포켓을 구비한 베개 커버
KR20190123112A (ko) * 2018-04-23 2019-10-31 박세호 스마트 베개
KR102075262B1 (ko) * 2018-08-16 2020-02-07 이형경 베개
KR101998556B1 (ko) * 2018-11-16 2019-07-10 신종철 온도제어가 가능한 기능성 베개
US20210068562A1 (en) 2019-09-10 2021-03-11 Adjust For Me Pillow Llc Layered, adjustable and natural latex side-sleeper pillow
KR102186827B1 (ko) 2020-01-03 2020-12-04 티티전자 주식회사 건강 베개
KR20210111410A (ko) 2020-03-03 2021-09-13 유지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KR20210144372A (ko)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해초류 포자끈 자동 이앙장치
CN213155197U (zh) 2020-10-20 2021-05-11 四川福怡长者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带有线耳机的音乐枕头
CN213429456U (zh) 2020-11-10 2021-06-15 惠州华盛家庭用品有限公司 可调节高度枕芯
CN112353200A (zh) 2020-12-09 2021-02-12 罗莱生活科技股份有限公司 护颈枕
CN112704366A (zh) 2021-01-25 2021-04-27 王永红 一种可变换高度枕的保健枕头芯
CN214284331U (zh) 2021-02-24 2021-09-28 成都以手维生科技有限公司 透气双核复合枕
CN113509171A (zh) 2021-05-26 2021-10-19 天津工业大学 一种智能头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783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282B2 (en) Universal pillow
KR200485725Y1 (ko)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TW568850B (en) Total comfort bicycle saddle
US7178186B2 (en) Inflatable support apparatus
US20200375382A1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US20110252572A1 (en) Multi-layer multi-material foam mattresses
US20110047710A1 (en) Mattress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US20160106361A1 (en) Sleep surface inser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7506529A (ja) マットレス中央部の隆起の補正
EP3922142A1 (en) Pillow with supporting structure
KR102280491B1 (ko) 경추 서포트가 구비된 이중 베개
US6226818B1 (en) Multiple firmness pillow
KR20210122255A (ko) 베딩 시스템
JP5498539B2 (ja) 人体工学的に好ましい圧力分散枕
KR102544783B1 (ko)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JP3946495B2 (ja) ベッド用マットレス
JP6959657B2 (ja)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JP7307455B2 (ja)
US20220142581A1 (en) Pillow with independent-supporting structure
KR102093516B1 (ko) 어깨 눌림이 방지되는 매트리스
JP3171680U (ja)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