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262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262B1
KR102075262B1 KR1020180095238A KR20180095238A KR102075262B1 KR 102075262 B1 KR102075262 B1 KR 102075262B1 KR 1020180095238 A KR1020180095238 A KR 1020180095238A KR 20180095238 A KR20180095238 A KR 20180095238A KR 102075262 B1 KR102075262 B1 KR 10207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upport
pillow
head support
elastic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경
Original Assignee
이형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경 filed Critical 이형경
Priority to KR102018009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 지지부는, 양측에 배치된 상기 옆머리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경추를 교정할 수 있고,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머리를 시원하게 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 눕게 되면, 머리가 약간 앞으로 굽은 인간의 신체 구조상 머리가 뒤로 젖혀져 불편한 느낌을 받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도구가 바로 베개다.
높은 베개를 베고 잘 경우, 얼굴이 붓기 쉽고 목의 근육이 이완되어 목이 점점 굵어진다.
높은 베개는 사람의 목뼈를 L자형(소위, ‘자라목’이라 한다)으로 만드는데, 목디스크 내지는 어깨결림을 악화시킬 가능성도 있다. 평소에 목이 많이 뻐근한 사람일수록 높은 베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낮은 베개가 목뼈를 정상적으로 C자형으로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낮은 베개가 바람직하다고 하여 베개를 아예 베고 자지 않으면 머리로 피가 몰리기 때문에 피로감이 쉽게 해소되지 않는다. 때문에 평소보다 많은 잠을 자게 되며, 일어나더라도 전혀 개운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또한 평소에 옆으로 누워서 잠드는 습관이 있는 사람의 경우 어깨 높이가 있기 때문에 너무 낮은 베개는 부담스럽게 된다.
따라서 사람마다 적절한 베개의 높이는 달라지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전통적인 베개인 솜이나 곡식피 등으로 채운 베개의 단점(후두부의 체압을 고루 받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메모리폼 베개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메모리폼 베개는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쿠션이 좋고, 인체의 후두부나 경추에 대한 체압을 고루 받아서 쾌적한 수면을 가능케하는 기능성 베개이다.
그러나 메모리폼 베개는 그 재질 자체가 합성 소재이므로 통풍성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자연 소재에 비해서 열세인 단점이 있다. 한의학의 두한족열이란 말처럼 건강한 수면의 시작은 머리맡의 시원하고 편한 잠자리다. 따라서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시원한 머리를 위한 수면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베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개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베개의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통풍이 원활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경추를 자극하는 자극력을 높여 거북목을 방지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 지지부는, 양측에 배치된 상기 옆머리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 지지부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후두부 탄성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옆머리 지지부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옆머리 탄성홈이 형성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베개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베개의 소재에 구애받지 않고 통풍이 원활한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경추를 자극하는 자극력을 높여 거북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베개에 후두부 지지패드 및 옆머리 지지패드를 삽입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100); 후두부 지지부(100)의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200); 및 후두부 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300)를 포함하고, 후두부 지지부(100)는,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2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10)가 복수로 배치되고, 복수의 연결부(110) 사이에는 슬릿(111)이 형성된다.
슬릿(111)은 좁은 틈새로, 공기를 유동가능하게 한다. 슬릿(111)은 후두부 지지부(100)를 복수의 연결부(110)로 나눈다. 복수의 연결부(110)는 슬릿(111)에 의해 구분된다. 슬릿(111)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연결부(11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연결부(110)는, 상하방향으로 탄성운동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슬릿(111)에 의해 연결부(110)는 서로 다른 높이로 탄성운동 가능하다. 중심에 있는 연결부(110)는 후두부의 무게에 의해 가장 높은 하중을 받게 되어 가장 큰 변위를 갖고, 외곽 즉, 가장 전방 또는 가장 후방에 있는 연결부(110)는 가장 작은 변위를 갖는다. 즉 중심에 있는 연결부(110)는 가장 낮은 높이까지 내려가고, 외곽에 있는 연결부(110)는 보다 높은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연결부(110) 및 슬릿(111)으로 인해 후두부는 감싸지게 된다. 연결부(110) 및 슬릿(111)으로 인해 후두부는 후두부 지지부(100)의 최초 위치 보다 낮은 위치에서 지지된다.
옆머리 지지부(200)는, 상면에 통풍골(210)이 형성되고, 통풍골(210)은 슬릿(111)과 연결된다.
통풍골(210)은 슬릿(111)과 연결되고, 공기는 통풍골(210)과 슬릿(111)을 통해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후두부 지지부(100)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후두부 탄성홈(120)이 형성된다.
후두부 탄성홈(120)은 빈 공간을 형성하므로, 연결부(110)는 제한없이 바닥까지 내려갈 수도 있다. 연결부(110)가 내려가는 높이는 연결부(110)가 가해지는 인장력 및 탄성계수에 비례한다.
후두부 탄성홈(120)은 복수의 연결부(110)들 하부에 형성되고, 슬릿(111)은 후두부 탄성홈(120)과 연통한다. 후두부 탄성홈(120)은 슬릿(111)을 통하여 통풍골(210)과 연결된다.
사용자는 취침중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연결부(110) 및 후두부 탄성홈(120)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된다. 통풍골(210)과 슬릿(111)과 후두부 탄성홈(120)을 서로 공기순환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후두부 탄성홈(120)의 수축과 이완으로 인한 체적변화는 통풍골(210)과 슬릿(111)과 후두부 탄성홈(120)간 공기의 순환량을 증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후두부 지지부(100), 옆머리 지지부(200) 및 경추지지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면에 후두부 탄성홈(120)과 외부를 연결하는 연통골(10, 11)이 형성된다.
후두부 탄성홈(120)의 체적변화에 의해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원활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베게의 저면에는 연통골(10, 11)이 형성된다. 연통골(10, 11)은 후두부 지지부(100), 옆머리 지지부(200) 및 경추지지부(300) 중 어디에든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연통골(10, 11)이 경추지지부(300) 및 후두부 지지부(100)의 후방쪽에 형성한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후두부 탄성홈(120)과 외부를 연결하는 가장 짧은 경로가 된다. 연통골(10, 11)은 베개 일부에 구멍을 내어 형성할 수도 있으며, 파이프를 배치하여 유로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후두부 탄성홈(120)의 체적변화는 연통골(10, 11)을 통해 외부공기를 베개 곳곳으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후두부는 신선한 공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머리의 온도를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옆머리 지지부(200)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을 향해 통풍홀(211)이 형성된다. 통풍홀(211)은 통풍골(210)에 형성된다.
옆머리 지지부(200)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옆머리 탄성홈(220)이 형성되고, 통풍홀(211)은 옆머리 탄성홈(220)과 연통한다. 옆머리 지지부(200), 후두부 지지부(100) 및 경추지지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면에 옆머리 탄성홈(220)과 외부를 연결하는 순환골(20)이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로, 옆머리 지지부(200)의 공기는 통풍골(210)과 통풍홀(211)을 통해 옆머리 탄성홈(220)과 연통한다. 베개는 메모리폼과 같이 체적변화가 용이한 메모리폼 등으로 제조된다. 옆머리 탄성홈(220)은 체적변화가 발생하므로 순환골(20) 및 통풍홀(211)을 통해 공기가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옆머리는 신선한 공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머리의 온도를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베개에 후두부 지지패드(400) 및 옆머리 지지패드(500)를 삽입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100); 후두부 지지부(100)의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200); 및 후두부 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300)를 포함하고, 후두부 지지부(100)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후두부 탄성홈(1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후두부 지지부(100)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두부 탄성홈(120)에 삽입되는 후두부 지지패드(400)를 포함한다.
후두부 탄성홈(120)은 후두부의 자중에 의해 후두부 지지부(100)의 높낮이가 달라지도록 한다. 후두부 지지패드(400)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후두부 지지패드(400)는 후두부의 높이를 제한한다. 따라서 취침시 후두부 지지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100); 후두부 지지부(100)의 양측에 배치된 옆머리 지지부(200); 및 후두부 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300)를 포함하고, 옆머리 지지부(200)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옆머리 탄성홈(2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개는, 옆머리 지지부(200)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옆머리 탄성홈(220)에 삽입되는 옆머리 지지패드(500)를 포함한다.
옆머리 탄성홈(220)은 옆머리의 자중에 의해 옆머리 지지부(200)의 높낮이가 달라지도록 한다. 옆머리 지지패드(500)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옆머리 지지패드(500)는 옆머리의 높이를 제한한다. 따라서 취침시 옆머리 지지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11: 연통골
20: 순환골
100: 후두부 지지부
110: 연결부
111: 슬릿
120: 후두부 탄성홈
200: 옆머리 지지부
210: 통풍골
211: 통풍홀
220: 옆머리 탄성홈
300: 경추지지부
400: 후두부 지지패드
500: 옆머리 지지패드

Claims (15)

  1.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면에 통풍골이 형성된 옆머리 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 지지부는,
    바닥면을 향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후두부 탄성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두부 탄성홈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운동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양측에 배치된 상기 옆머리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후두부 탄성홈과 상기 통풍골을 연통시키는 슬릿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지지부, 상기 옆머리 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면에 상기 후두부 탄성홈과 외부를 연결하는 연통골이 형성된 베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을 향해 통풍홀이 형성된 베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홀은 상기 통풍골에 형성된 베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옆머리 탄성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풍홀은 상기 옆머리 탄성홈과 연통하는 베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면에 상기 옆머리 탄성홈과 외부를 연결하는 순환골이 형성된 베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지지부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후두부 탄성홈에 삽입되는 후두부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베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는,
    바닥면과 접하는 저면에 빈 공간인 옆머리 탄성홈이 형성된 베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옆머리 지지부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옆머리 탄성홈에 삽입되는 옆머리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베개.
KR1020180095238A 2018-08-16 2018-08-16 베개 KR10207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38A KR102075262B1 (ko) 2018-08-16 2018-08-16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38A KR102075262B1 (ko) 2018-08-16 2018-08-16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262B1 true KR102075262B1 (ko) 2020-02-07

Family

ID=6957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38A KR102075262B1 (ko) 2018-08-16 2018-08-16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2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090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1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2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KR20230084734A (ko) * 2021-12-06 2023-06-13 티티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89Y1 (ko) * 2001-12-07 2002-03-09 주식회사 정훈기공 베개
KR20180004513A (ko) * 2016-07-04 2018-01-12 공재철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89Y1 (ko) * 2001-12-07 2002-03-09 주식회사 정훈기공 베개
KR20180004513A (ko) * 2016-07-04 2018-01-12 공재철 기능성 베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090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1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20145092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어썸랩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KR102617859B1 (ko)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KR102617855B1 (ko)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102617858B1 (ko)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20230084734A (ko) * 2021-12-06 2023-06-13 티티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KR102544783B1 (ko) * 2021-12-06 2023-06-16 티티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262B1 (ko) 베개
CA3068810C (en) Pillow
CN101969892B (zh) 头形矫正器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20180256387A1 (en) A pillow
US11627822B2 (en) Anti-wrinkle anatomic pillow
US20040074008A1 (en) Memory foam mattress system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0978285B1 (ko) 숙면용 베개
KR101864769B1 (ko) 메모리 폼 베개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1742734B1 (ko) 베개
KR101922599B1 (ko) 메모리 폼 베개
KR101805270B1 (ko) 기능성 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US20230292942A1 (en) Stabilization Pillows
US20210353080A1 (en) Functional pillow
US6739007B1 (en) Air filled therapeutic pillow
WO2009038278A1 (en) A pillow with multi-layered structure
US20110131729A1 (en) Configurable Support Locations Pillow
CN201256829Y (zh) 具有仰卧和侧卧生理曲度的颈椎保健枕
CN207055293U (zh) 枕芯及其枕头
CN209235587U (zh) 一种带有不同软硬度分区的高度可调节枕头
KR102611491B1 (ko) 기능성 방음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