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859B1 -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859B1
KR102617859B1 KR1020210051735A KR20210051735A KR102617859B1 KR 102617859 B1 KR102617859 B1 KR 102617859B1 KR 1020210051735 A KR1020210051735 A KR 1020210051735A KR 20210051735 A KR20210051735 A KR 20210051735A KR 102617859 B1 KR102617859 B1 KR 102617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upport
pet
front le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092A (ko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썸랩
Priority to KR102021005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859B1/ko
Priority to PCT/KR2022/005537 priority patent/WO2022225276A1/ko
Publication of KR2022014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01K1/0353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개골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앞다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앞다리 지지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Multipurpose cushion for pet}
본 발명은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수면과 휴식시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관절을 보호하고, 소형 및 대형 반려동물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 중 개는 약 12~15시간의 수면을 필요로 하는 동물이며, 최소 10~12시간 정도는 자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딱딱하고 평평한 실내는 체중을 신체 일부에 집중시켜 관절과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증가시키고, 특히 수면과 휴식시 잘못된 자세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은 반려동물에 각종 관절질환을 야기시킨다.
관절질환이 발생하면 특별한 외상없이도 다리를 불편해하는 증상을 보이게 된다. 개에서는 모든 종, 크기, 연령에서 나타나며 1년령 이상의 개에서는 20% 정도의 관절질환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고양이는 관절질환이 강아지보다 드물거나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보통 대형견은 고관절 이형성증, 소형견은 슬개골 탈구 등이 문제되며, 반려동물의 평균수명 증가와 함께 관절질환의 치료와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추간판탈출증 (IVDD, lntervertebral disc disease)은 디스크라고도 불리며,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추간판이 충격을 받거나 파열되어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발병시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목을 들지 못하거나 보행이상, 마비, 배변 및 배뇨를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수면과 휴식시 척추와 관절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체압이 분산되어 편히 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로서, KR2020200000756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면과 휴식중 척추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앞다리의 관절이 머리에 의해 눌리지 않고 이완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수면과 휴식중 척추가 직선을 유지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대형견과 소형견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앞다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앞다리 지지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앞다리의 측면과 맞닿는 앞다리 지지벽;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앞다리 지지벽의 하측에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앞다리 지지벽의 둘레에 앞다리를 수용하는 앞다리 지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은, 펫(pet)의 갈비뼈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두개골(skull)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골반(Sacral vertebrae )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보다 높이가 낮다.
첫째, 수면과 휴식중 척추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한다.
둘째, 앞다리의 관절이 머리에 의해 눌리지 않고 이완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척추가 직선을 유지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대형견과 소형견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은 반려동물 중 개의 해부도를 표현한 것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3 은 도2 의 사시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배면도(상측)와 정면도(하측)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비교하여 표시한 것이다.
도5 는 도3 의 5-5단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좌측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8 은 도7 의 8-8단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정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배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3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의 평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4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을 다른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그 평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16 은 도15 의 사시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7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를 사용하는 사용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1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19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의 평면도이다.
도20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의 좌측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2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22 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가 반영된 반려동물용 침대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23a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23b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23c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23d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4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24a 는 도22 의 평면도에 반려동물이 누운 위치를 음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24b 는 도24a 의 24b-24b단면도에 반려동물의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표시한 것이다.
도25a 는 도22 의 평면도에 반려동물이 누운 위치를 음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25b 는 도25a 의 25b-25b단면도에 반려동물의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표시한 것이다.
도26 은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펫(pet) 중 개(dog)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대상은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양이를 포함한 모든 척추동물을 포함한다.
도1 은 개의 해부도를 표현한 것이다(원본 그림의 저작자는 Wilhelm Ellenberger and Hermann Baum이며, 출처는 University of Wisconsin Digital Collections임).
도1 을 참조하면, 개의 머리뼈(skull)은 상악골(Maxilla, 2), 하악골(Mandible, 3), 광대뼈(zygomatic, 4)로 이루어져 있다.
견갑골(scapula, 11)은 앞다리(foreleg)와 연결된다.
앞다리는, 상완골(humerus, 13)과 주관절(elbow, 17), 요골(radius, 14), 앞발목골(carpus, 15), 앞발허리골(metacarpus, 16)로 이루어진다.
경추(Cervical vertebrae, 20)는 머리뼈와 연결된다. 경추는 1번 경추(Atlas, 21), 2번 경추(Axis, 22)를 포함한다.
이후, 흉추(thoracic vertebrae, 30), 요추(Lumbar vertebrae, 40), 골반(Sacral vertebrae, 51), 꼬리뼈(Caudal vertebrae, 60)가 일렬로 배치된다.
척추는 경추(20), 요추(30), 흉추(40)를 포함하고, 각각 가시돌기(spinous process, 80)가 형성되어 있다.
뒷다리는, 대퇴골(femur, 53), 경골(tibia, 54), 뒷발목골(tarsus, 55), 뒷발허리골(metatarsus, 56)로 이루어진다.
흉부는 복장뼈(sternum, 70), 복장뼈 자루(manubrium of sternum, 71), 복장뼈 몸통(body of sternum, 72), 늑골(rib, 73)로 이루어진다.
도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의 사시도이다. 도3 은 도2 의 사시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의 배면도(상측)와 정면도(하측)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비교하여 표시한 것이다(도4 에 표시된 해부도의 저작자는 Wilhelm Ellenberger and Hermann Baum이며, 출처는 University of Wisconsin Digital Collections임).
도2 내지 도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110); 펫의 경추(20)를 지지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추 지지부(130); 및 머리 지지부(110)와 경추 지지부(130)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능선(120)을 포함한다.
머리 지지부(11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머리 지지부(110)는 아래턱뼈(하악골(3))을 지지한다. 아래턱뼈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올라가는 형상이다. 따라서 아래턱뼈은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도록 경사지게 유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추 지지부(130)는 경추(20)가 전방 상측으로 세워지도록 한다. 경계능선(120)은 아래턱뼈의 후방에 배치된다. 경계능선(120)은 머리 지지부(110)와 경추 지지부(130)의 가장 상단을 형성하므로 펫은 아래턱뼈를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유지하며 누울 수 있다. 경계능선(120)과 경추 지지부(130)와 머리 지지부(110)의 형상은 펫의 휴식중 두개골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경추(20)가 전방 상측으로 세워지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경추 지지부(130)의 폭(Rd)은, 머리 지지부(110)의 폭(Fd)보다 넓게 형성된다.
경추(20)의 하측 주변에는 상완골 지지부(143)이 있고, 상완골 지지부(143)은 두개골보다 폭이 넓다. 따라서 펫은 폭이 넓은 쪽에 위치해서 폭이 좁은 쪽에 머리를 두게된다. 경추 지지부(130)의 폭(Rd)과 머리 지지부(110)의 폭(Fd) 차이는 펫이 올바른 위치를 찾아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5 는 도3 의 5-5단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은, 경계능선(120)의 횡 방향에 앞다리를 수용하는 홈 형상의 앞다리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앞다리(foreleg)는 상완(upperarm), 전완(forearm), 앞발(forefoot)을 포함한다. 앞다리 지지부(140)는 경계능선(1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펫은 경추(20)를 경추 지지부(130)에 올려놓고, 앞다리를 앞다리 지지부(140)에 거치시킨다.
앞다리 지지부(140)는, 상완골 지지부(143)을 지지하는 상완골 지지부(143); 및 상완골 지지부(143)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완골 지지부(143)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요골 지지부(141)를 포함한다.
상완골 지지부(143)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낮아지는 형상이다. 상완골 지지부(143)은 만곡된 형태이므로 상완골 지지부(143)도 상측으로 돌출된 만곡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뼈와 유사한 형태는 근육과 접촉면적을 넓혀 체압을 균등하게 분배한다.
요골 지지부(141)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개의 앞발이 지면에 닿거나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체압을 분배하는 기능을 한다.
앞다리 지지부(140)의 가장 높은 지점은, 전후 방향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앞다리 지지부(140)는, 전방으로부터 상단면의 기울기가 점차 줄어들다가 다시 상승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전방은 요골(14)을 지지하는 요골 지지부(141); 및 요골 지지부(141)의 후방에 형성된 상완골 지지부(143)를 포함한다. 상완골 지지부(143)은 요골(14)보다 짧고 굽어진 형태이다. 또한 상완골 지지부(143)은 견갑골(11)과 연결된 방향이 곡률이 보다 크다. 앞다리 지지부(140)의 가장 높은 지점은 곡률이 가장 큰 지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완골 지지부(143)은 늑골(73)로 인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위치한다. 상완골(13)을 지지하는 상완골 지지부(143)는 요골 지지부(14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은, 상완골 지지부(143)와 요골 지지부(141) 사이에 주관절 지지부(142)가 형성된다. 상완골 지지부(143)과 요골(14) 사이에는 주관절(17)이 위치하고 주관절(17)은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따라서 주관절 지지부(142)가 위치하는 지점은 상완골 지지부(143)의 곡률과 달라져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은, 앞다리 지지부(140)의 가장 높은 지점과 전단과 후단을 연결한 삼각형에서, 전단의 각도는 후단의 각도보다 낮다. 상완골 지지부(143)과 요골(14)의 길이 및 상완골 지지부(143)의 곡률로 인해 전단의 각도는 후단의 각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110); 펫의 경추(20)를 지지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추 지지부(130); 및 머리 지지부(110)와 경추 지지부(130)의 측면에 형성되어 펫의 앞다리를 수용하는 앞다리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펫은 앞다리로 머리를 받치고 수면을 취하거나 쉴 필요가 없어 앞다리 관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하악골(3)이 바닥과 수평하게 되지 않아 경추(20)가 전방 상측으로 세워져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펫의 관절을 보호하여, 고관절 이형성증, 슬개골 탈구와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추(20)를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도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100)의 좌측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200)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 머리 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펫의 경추(20)를 지지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추 지지부(130); 및 경추 지지부(130)의 후방에 배치되어 복장뼈(70, sternum)를 지지하는 복장뼈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머리 지지부는 펫의 머리를 지지한다. 머리 지지부는 펫의 하악골(3)을 지지한다. 경추 지지부(130)는 펫의 경추(20)를 지지한다. 경추 지지부(130)는 경추(20)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형성된다.
복장뼈(70)는 복장뼈 자루(71)와 복장뼈 몸통(72)으로 이루어진다. 복장뼈 지지부(150)는 경추 지지부(130)의 후방에 형성된다.
복장뼈 지지부(150)는 복장뼈(70)가 지면과 일정 각도로 세워지도록 한다. 복장뼈(70)가 세워지면 흉추(30)와 요추(40)가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된다.
복장뼈 지지부(150)는, 경추 지지부(130)보다 높이가 낮다.
복장뼈 지지부(150)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경추 지지부(130)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보다 낮다. 펫이 누은 자세를 기준으로 복장뼈(70)는 경추(20)보다 높이가 낮다. 경추 지지부(130)는 복장뼈(70)와 경추(20)가 세워지도록 한다. 경추 지지부(130)는 복장뼈(70) 보다 경추(20)가 더 세워지도록 한다.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200)의 사시도이다. 도8 은 도7 의 8-8단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7 내지 도8 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머리 지지부(110), 경추 지지부(130)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복장뼈 지지부(250)는, 복장뼈 자루(71)를 수용하는 복장뼈 자루 수용홈(253)이 형성된다. 복장뼈 자루(71)는 복장뼈 자루 수용홈(253)에 삽입될 수 있다.
복장뼈 지지부(250)는, 복장뼈 자루(71) 를 지지하는 제1 가슴 지지부(251); 및 복장뼈 몸통(72)을 지지하는 제2 가슴 지지부(255)를 포함한다.
제1 가슴 지지부(251)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제2 가슴 지지부(255)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복장뼈 자루(71)는 복장뼈 몸통(72)보다 상측에 위치해야 흉추(30)가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복장뼈 자루(71)는 복장뼈 몸통(72)보다 경추(20)를 향하여 더 굽어져 있다. 따라서 지면을 기준으로 경추 지지부(130)의 각도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제1 가슴 지지부(251)의 각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슴 지지부(252)는 제1 가슴 지지부(251)의 각도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200)은, 제1 가슴 지지부(251)와 제2 가슴 지지부(255) 사이에 복장뼈 자루(71)를 수용하는 복장뼈 자루 수용홈(25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200)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머리 지지부(110); 펫의 경추(20)를 지지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추 지지부(130); 및 경추 지지부(130)의 후방에 형성되어 복장뼈 자루(71)를 수용하는 복장뼈 자루 수용홈(25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200)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머리 지지부(110); 펫의 경추(20)를 지지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추 지지부(130); 경추 지지부(130)의 후방에 형성되어 복장뼈 자루(71)를 지지하는 제1 가슴 지지부(251); 및 제1 가슴 지지부(251)의 후방에 형성되어 복장뼈 몸통(72)을 지지하는 제2 가슴 지지부(255)를 포함한다.
제2 가슴 지지부(255)는, 제1 가슴 지지부(251)보다 높이가 낮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펫은 수면 또는 휴식시 흉추(30)가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될 수 있어 흉추(30)에 가해지는 압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추(20)를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척추(20,30,40)에서 발생하는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도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의 사시도이다. 도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의 정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2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의 배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9 내지 도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311); 및 제1 지지부(3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앞다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앞다리 지지벽(370)을 포함한다.
제1 지지부(311)는 펫의 머리를 지지한다. 제1 지지부(311)는 펫의 하악골(3)을 지지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제1 지지부(311)의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펫의 앞다리로 감싸안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펫이 머리로 앞다리를 누르지 않도록 한다.
복장뼈 지지부(350)는, 제1 지지부(311)를 향해 함몰되어 'c' 형태로 만곡된 홈을 형성한다.
머리 지지부의 후방에는 복장뼈 지지부(350)가 형성된다. 복장뼈 지지부(350)는 복장뼈(7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흉추(30)가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은,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311); 제1 지지부(3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앞다리의 측면과 맞닿는 앞다리 지지벽(370); 및 제1 지지부(311)와 앞다리 지지벽(370)의 하측에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패드(380)를 포함하고, 패드(380)는, 앞다리 지지벽(370)의 둘레에 앞다리를 수용하는 앞다리 지지부(340)가 형성된다.
패드(380)는, 좌우 단부가 돌출형성되어, 앞다리 지지벽(370)과 좌우 단부 사이에 앞다리 지지부(340)를 형성한다.
패드(380)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미끄럼을 방지한다. 패드(380)의 좌우 단부는 펫이 앞다리를 앞다리 지지부(340)에 놓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13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의 평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3 을 참조하면, 앞다리 지지벽(370)은, 횡 방향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완골(13)과 맞닿는 상완골 지지벽(373)을 포함한다.
상완골 지지벽(373)은, 상완골(13)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완골 지지벽(373)은 상완골(13)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횡 방향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요골(14)과 맞닿는 요골 지지벽(371)을 포함한다.
요골 지지벽(371)은 요골(14)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요골 지지벽(371)은 요골(14)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횡 방향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완골(13)과 맞닿는 상완골 지지벽(373); 및 일측은 상완골 지지벽(373)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지지부(311)의 전후방향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져 요골(14)과 맞닿는 요골 지지벽(37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은, 경추 지지부(130)의 후방에 배치되어 복장뼈(70)(sternum)를 지지하는 복장뼈 지지부(350)를 포함하고, 상완골 지지벽(373)은, 일측은 복장뼈 지지부(35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지지부(311)의 중심선(c-c')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중심선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머리 지지부의 후방에서 시작하여 전방의 좌우로 서로 멀어지게 형성되는 상완골 지지벽(373)과, 상완골 지지벽(373)의 각 끝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중심선(c-c')방향으로 연장되는 요골 지지벽(371)을 포함한다.
앞다리 지지벽(370)은, 'L' 형태로 절곡된다. 상완골 지지벽(373)과 요골 지지벽(371)은 'L' 형태로 만곡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펫은 앞다리로 머리를 받치고 수면을 취하거나 쉴 필요가 없어 앞다리 관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하악골(3)이 바닥과 수평하게 되지 않아 경추(20)가 전방 상측으로 세워져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펫의 관절을 보호하여, 고관절 이형성증, 슬개골 탈구와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추(20)를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도14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을 다른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그 평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쿠션(300)은, 펫(pet)의 갈비뼈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311); 두개골(skull)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312); 및 상기 제2 지지부(312)와 높이가 동일한 제3 지지부(313)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311)는, 제2 지지부(312)보다 높이가 낮다.
제1 지지부(311)와 제2 지지부(312)와 제3 지지부(313)는 횡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다. 제1 지지부(311)는 반원통 형태로 만곡되어 펫의 흉부를 지지한다.
제2 지지부(312)는 제1 지지부(311) 보다 높이가 높다. 따라서 경추(20)가 꺽이지 않고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하며, 흉추(30)가 지면과 직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2 지지부(312)와 제3 지지부(313)는 높이가 동일하다. 펫은 선택에 따라 제2 지지부(312)와 제3 지지부(313)를 사용하여 머리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11)는, 반원통 형태로 만곡 형성된다. 제1 지지부(311)는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므로 펫은 흉부를 제1 지지부(311) 안에 넣고 수면을 취할 수 있다.
펫은 크기에 따라, 제1 지지부(311)만 사용하여 눕거나 업드릴 수 있다. 좀더 크다면 반려동물은 제2 지지부(312)에 머리를 올려놓고, 제1 지지부(311)에 흉부와 골반을 올려두고 눕거나 업드릴 수 있다. 좀더 크다면 반려동물은 제2 지지부(312)에 머리를 올려놓고, 제1 지지부(311)에 흉부를 올려두고, 제3 지지부(313)에 골반을 올려두고 쉬거나 잠을 잘 수 있다. 좀더 크다면 반려동물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311)에 머리를 올려두고 쉬거나 잠을 잘 수 있다.
제2 지지부(312)와 제3 지지부(313)는, 제1 지지부(311)의 전후방향 중심선(c-c')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형태이다. 제2 지지부(312)와 제3 지지부(313)는 중심선(c-c') 방향으로 낮아지므로 경추(20)를 경사지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사용방향을 변경하면 소형견과 대형견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옆으로 눕더라도 척추를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어 척추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312)와 제3 지지부(313)가 제1 지지부(311)를 향하게 경사져 있어 경추(20)와 흉추(30)와 요추(30) 및 골반(51)이 꺽이지 않게되고, 주변 근육을 부드럽게 감싸는 형태가 된다.
도1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의 사시도이다. 도16 은 도15 의 사시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17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를 사용하는 사용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15 내지 도1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410); 머리 지지부(410)의 측면에 형성되고, 머리 지지부(410)와 높이 차이가 있는 앞다리 지지부(440); 및 머리 지지부(410)의 후방에 형성된 매트리스(4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머리 지지부(410)의 후방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추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앞다리 지지부(440)는, 머리 지지부(410)보다 높이가 낮다. 앞다리 지지부(440)는, 매트리스(480)보다 높이가 높다. 머리 지지부(410)는 펫의 하악골(3)을 지지한다. 머리 지지부(410)는 머리뼈를 지지한다. 머리 지지부(410)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앞다리 지지부(440)는 머리 지지부(410)의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부(440)는 머리 지지부(410) 보다 높이가 낮을 수 있다.
매트리스(480)는 머리 지지부(410)의 후방에 형성된다. 매트리스(480)는 앞다리 지지부(440) 보다 높이가 낮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앞다리 지지부(440)와 머리 지지부(410)의 경계를 형성하고, 머리 지지부(410)의 중심을 향해 굽어진 앞다리 지지벽(470)을 포함한다.
앞다리 지지벽(470)의 굽어진 면은 상완골(13)과 접한다. 앞다리 지지벽(470)은 머리 지지부(410)의 후방에서 시작되어 좌우로 각각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470)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앞다리 지지벽(470)은 만곡된 형상이다. 앞다리 지지벽(470)은 상완골(13)과 맞닿는 곳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앞다리 지지부(440)와 머리 지지부(410)의 경계를 형성하는 앞다리 지지벽(470)을 포함하고, 머리 지지부(410)의 전후방향 중심선(c-c')과 동축을 이루는 X축, X축과 수직인 Y축으로 이루어진 X-Y 평면 상에 매트리스(480)가 형성되고, 앞다리 지지벽(470)은, Y축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차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매트리스(48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측벽(491)을 포함한다. 측벽(491)은, 앞다리 지지부(44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매트리스(48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후방 벽(493)을 포함하고, 측벽(491)과 후방 벽(493)은 'L' 형태로 연결된다.
매트리스(480)의 전방은 머리 지지부(4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후방 벽(493)이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하나에 측벽(491)이 형성된다. 남은 한 측은 펫이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는 입구 역할을 한다.
도18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18 을 참조하면, 측벽(491)과 후방벽은 'L' 형태로 형성되어 구석을 형성한다. 펫은 본능적으로 몸을 숨길 수 있는 위치를 좋아하므로 이러한 구조는 펫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따라서 펫은 주변 환경이나 심리 상태에 따라 도17 과 같이 중앙에 머무를 수도 있고, 도18 과 같이 구석에 몸을 숨기거나 몸을 웅크리 있을 수 있다.
도19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의 평면도이다.
도19 를 참조하면, 앞다리 지지부(440)는, 전후방향 폭(Ld1, Ld2)이 머리 지지부(410)를 향할수록 점차 줄어드는 형태이다. 앞다리 지지부(440)의 후방은 펫의 흉부가 위치하며, 흉부는 대략 타원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앞다리 지지부(440)의 후방단부는 흉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로록 만곡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앞다리 지지부(440)의 후방 면은 중심선(c-c')에서 멀어질 수록 후방으로 향하는 곡면 형태가 된다.
측벽(491)은, 후방으로 갈수록 횡방향 폭(Sd1, Sd2, Sd3)이 점차 줄어들다가 늘어나는 형태로 형성된다.
측벽(491)은, 후방으로 갈수록 머리 지지부(410)의 전후방향 중심선(c-c')과의 횡방향 폭(Cd1, Cd2, Cd3)이 점차 늘어나다가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410); 머리 지지부(410)의 후방에 형성된 매트리스(480); 및 매트리스(48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측벽(491)를 포함하고, 측벽(491)은, 후방으로 갈수록 머리 지지부(410)의 전후방향 중심선(c-c')과의 횡방향 폭(Cd1, Cd2, Cd3)이 점차 늘어나다가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18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펫은 측벽(491)을 등지고 수면을 취하거나 쉴 수 있다. 또한 펫은 웅크린 자세로 측벽(491)에 기대어 수면을 취하거나 쉴 수 있다. 따라서 웅크린 자세에서 벽과 밀착이 가능하도록 측벽(491)의 내면은 만곡된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0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의 좌측면도에 반려동물의 대응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20 을 참조하면, 측벽(491)은, 척추(20,30,40)에 형성된 가시돌기(80)를 수용하는 가시돌기 수용홈(491c)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400)는,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410); 머리 지지부(410)의 후방에 형성된 매트리스(480); 및 매트리스(48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측벽(491)을 포함하고, 측벽(491)은, 척추(20,30,40)에 형성된 가시돌기(80)를 수용하는 가시돌기 수용홈(491c)이 형성된다. 펫은 옆으로 누워 측벽(491)에 기대어 쉴 수 있다. 이 경우 척추(20,30,40)의 가시뼈 돌기는 벽에 밀착되어 압력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491)은 매트리스(480)를 향하는 내측 면에 가시돌기 수용홈(491c)이 형성된다.
도21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500)의 사시도이다.
도21 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500)는, 앞다리 지지부(540)는 머리 지지부(410) 보다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일부 펫의 경우, 특히 대형견의 경우 상체의 크기로 인하여 상완골(13)이 높게 위치하므로 앞다리 지지부(540)가 머리 지지부(410)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2 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가 반영된 반려동물용 침대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23a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1)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도22 내지 도23a 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1)는, 중앙지점에 형성된 중심 홈과 중심 홈(481a)보다 깊이가 낮은 외곽 홈(481c)이 형성되고, 중심 홈(481a)과 외곽 홈(481c) 사이에는 복수의 중간 홈(481c)이 형성되며, 중간 홈(481c)은, 외곽 홈(481c)에 가까울수록 깊이가 낮고, 중심 홈(481a)에 가까울수록 깊이가 깊다.
도23b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2)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2)는, 중앙지점에 형성된 중심 홈(482a)과 중심 홈(482a)보다 직경이 작은 외곽 홈(482c)이 형성되고, 중심 홈(482a)과 외곽 홈(482c) 사이에는 복수의 중간 홈(482c)이 형성되며, 중간 홈(482c)은, 외곽 홈(482c)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작고, 중심 홈(482a)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크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482)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침대는, 매트리스(482)의 외곽에 배치된 측벽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482)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침대는, 측벽과 연결되고, 매트리스(482)의 외곽에 배치되며, 펫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110,410)를 포함한다.
도24a 는 도22 의 평면도에 반려동물이 누운 위치를 음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24b 는 도24a 의 24b-24b 단면도에 반려동물의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표시한 것이다.
도24a 및 도24b 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의 매트리스(481,482)는, 중앙의 지지력이 낮아 반려동물이 중앙에 누을 경우 중앙이 움푹 패인 형태가 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느낌을 갖게 된다.
도23c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3)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3)는,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제1 홈(483a)과 제1 홈(483a)보다 깊이가 낮은 제3 홈(483c)이 형성되고, 제1 홈(483a)과 제3 홈(483c) 사이에는 복수의 제2 홈(483b)이 형성되며, 제2 홈(483b)은, 제3 홈(483c)에 가까울수록 깊이가 낮고, 제1 홈(483a)에 가까울수록 깊이가 깊다.
도23d 는 도22 의 23-23단면도로서, 제4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4)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484)는, 일측에 형성된 제1 홈(484a)과 제1 홈(484a)보다 직경이 작은 제3 홈(484c)이 형성되고, 제1 홈(484a)과 제3 홈(484c) 사이에는 복수의 제2 홈(484b)이 형성되며, 제2 홈(484b)은, 제3 홈(484c)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작고, 제1 홈(484a)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크다.
제4 실시예에 의한 매트리스(484)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침대는, 매트리스(484)의 외곽에 배치되고, 제3 홈(484c)과 가장 멀고, 제1 홈(484a)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측벽을 포함한다.
도25a 는 도22 의 평면도에 반려동물이 누운 위치를 음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25b 는 도25a 의 25b-25b단면도에 반려동물의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표시한 것이다.
도25a 및 도25b 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의 매트리스(483, 484)는, 측벽과 가까운 곳의 지지력이 낮아 반려동물이 측벽 가까이에 누을 경우 움푹 패인 형태가 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이 측벽 가까이에 밀착되어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느낌을 갖게 된다.
도26 은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600)의 평면도이다.
도2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의한 침대는, 도15 의 제1 실시예에 다른 매트리스(483, 484)를 적용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침대(600)는, 제1 홈(483a)과, 제2 홈과, 제3 홈이 각각 'L' 형상의 경로를 그리며 존재하고, 매트리스(483, 484)의 외곽에는 'L' 형상의 측벽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매트리스(483, 484)에 의하면, 측벽과 후방 벽과 가까운 곳의 깊이가 가장 깊게 되어 반려동물이 측벽 가까이에 더욱 밀착되므로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느낌을 갖게 된다.
매트리스(483, 484)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침대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좌측 앞다리와 우측 앞다리에 의해 감싸지는 앞다리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앞다리 지지벽은,
    횡 방향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완골과 맞닿는 상완골 지지벽; 및
    일측은 상기 상완골 지지벽과 연결되고 타측은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전후방향 중심선을 향해 기울어져 요골과 맞닿는 요골 지지벽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다리 지지벽은, 'L' 형태로 절곡된 반려동물용 쿠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반원통 형태로 만곡 형성된 반려동물용 쿠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경추를 지지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추 지지부; 및
    상기 경추 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복장뼈(sternum)를 지지하는 복장뼈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완골 지지벽은,
    일측은 상기 복장뼈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중심선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반려동물용 쿠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장뼈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해 함몰되어 'c' 형태로 만곡된 홈을 형성하는 반려동물용 쿠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완골 지지벽과 상기 요골 지지벽은 'L' 형태로 만곡 연결된 반려동물용 쿠션.
  9.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앞다리에 의해 감싸지는 앞다리 지지벽;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앞다리 지지벽의 하측에 형성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앞다리 지지벽은,
    횡 방향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완골과 맞닿는 상완골 지지벽; 및
    일측은 상기 상완골 지지벽과 연결되고 타측은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전후방향 중심선을 향해 기울어져 요골과 맞닿는 요골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앞다리 지지벽의 둘레에 앞다리를 수용하는 홈인 앞다리 지지부가 형성된 반려동물용 쿠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좌우 단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앞다리 지지벽과 상기 좌우 단부 사이에 상기 앞다리 지지부를 형성하는 반려동물용 쿠션.
  11. 펫(pet)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3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좌측면과 상기 제3 지지부의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앞다리에 의해 감싸지는 앞다리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앞다리 지지벽은,
    횡 방향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완골과 맞닿는 상완골 지지벽; 및
    일측은 상기 상완골 지지벽과 연결되고 타측은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전후방향 중심선을 향해 기울어져 요골과 맞닿는 요골 지지벽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쿠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반원통 형태로 만곡 형성된 반려동물용 쿠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전후방향 중심선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형태인 반려동물용 쿠션.
KR1020210051735A 2021-04-21 2021-04-21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KR10261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35A KR102617859B1 (ko) 2021-04-21 2021-04-21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PCT/KR2022/005537 WO2022225276A1 (ko) 2021-04-21 2022-04-18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35A KR102617859B1 (ko) 2021-04-21 2021-04-21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92A KR20220145092A (ko) 2022-10-28
KR102617859B1 true KR102617859B1 (ko) 2023-12-27

Family

ID=8372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735A KR102617859B1 (ko) 2021-04-21 2021-04-21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7859B1 (ko)
WO (1) WO2022225276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553A (ja) 2004-05-14 2005-11-24 Iris Ohyama Inc ペット用の寝床
JP2006081422A (ja) 2004-09-14 2006-03-30 Tetsuya Ito 愛玩動物用ベッド
CN2909999Y (zh) * 2006-06-06 2007-06-13 蔡陈淑霞 休息用枕
KR101474820B1 (ko) 2013-08-16 2014-12-19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JP2017158493A (ja) 2016-03-10 2017-09-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ペット用クッション
JP2019071809A (ja) 2017-10-13 2019-05-16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四足動物用クッション
KR102075262B1 (ko) 2018-08-16 2020-02-07 이형경 베개
KR102086010B1 (ko) * 2018-09-03 2020-04-23 노광수 애완동물용 기능성 침구
JP2020099360A (ja) 2016-06-08 2020-07-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ベッド
KR102169030B1 (ko) 2019-08-09 2020-10-23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수면용 통풍베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47B1 (ko) * 2008-08-04 2011-03-14 (주)마디공학 티형 지지구가 내장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1780277B1 (ko) * 2015-10-06 2017-10-10 주식회사 티앤아이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2284813B1 (ko) * 2015-10-06 2021-08-02 주식회사 티앤아이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2079421B1 (ko) * 2016-03-07 2020-04-07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553A (ja) 2004-05-14 2005-11-24 Iris Ohyama Inc ペット用の寝床
JP2006081422A (ja) 2004-09-14 2006-03-30 Tetsuya Ito 愛玩動物用ベッド
CN2909999Y (zh) * 2006-06-06 2007-06-13 蔡陈淑霞 休息用枕
KR101474820B1 (ko) 2013-08-16 2014-12-19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JP2017158493A (ja) 2016-03-10 2017-09-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ペット用クッション
JP2020099360A (ja) 2016-06-08 2020-07-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ベッド
JP2019071809A (ja) 2017-10-13 2019-05-16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四足動物用クッション
KR102075262B1 (ko) 2018-08-16 2020-02-07 이형경 베개
KR102086010B1 (ko) * 2018-09-03 2020-04-23 노광수 애완동물용 기능성 침구
KR102169030B1 (ko) 2019-08-09 2020-10-23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수면용 통풍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276A1 (ko) 2022-10-27
KR20220145092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4261A (en) Head and neck cushion
EP1874203B1 (en) Intervertebral device for spinal stabilization
US4489676A (en) Canine cervical jacket
US6968585B2 (en) Antidecubitus heel pad
US82347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pinal alignment
US20130025058A1 (en) Respiratory tract widening tool and respiratory tract widening unit provided therewith
JPS61265110A (ja) 身体に合わせた形状のマツトレス及び身体支持具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US20200060917A1 (en) Orthopedic device and method for lower limb elevation and stabilization
KR102617859B1 (ko) 반려동물용 다목적 쿠션
KR102617855B1 (ko)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102617861B1 (ko) 숙면을 위한 반려동물용 침대
KR102617858B1 (ko) 척추보호를 위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쿠션
KR102617863B1 (ko) 체압분산을 위한 반려동물용 매트리스
US6851385B1 (en) Pet bed having orthopedic properties
US20170119167A1 (en) Spinal Support Pillow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US20150351804A1 (en) Bilateral contoured rod and methods of use
JPH10117916A (ja) 姿勢調整寝具
Haussler Functional anatomy and clinical biomechanics of the equine cervical spine
WO2022225278A1 (ko) 관절 보호를 위한 반려 동물용 기능성 쿠션
Richmond et al. Animal models of motor systems: cautionary tales from studies of head movement
KR20100133337A (ko) 높이조절코어가 구비된 베개
KR20230153646A (ko) 척추지지를 위한 코어 삽입형 매트리스
US20230225526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Sle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