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491B1 - 기능성 방음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방음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491B1
KR102611491B1 KR1020210176620A KR20210176620A KR102611491B1 KR 102611491 B1 KR102611491 B1 KR 102611491B1 KR 1020210176620 A KR1020210176620 A KR 1020210176620A KR 20210176620 A KR20210176620 A KR 20210176620A KR 102611491 B1 KR102611491 B1 KR 10261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se body
base
inclined surfac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571A (ko
Inventor
강동현
Original Assignee
강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현 filed Critical 강동현
Priority to KR102021017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4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기능성 방음 베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방음 베개는, 사용자의 뒤통수를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 베이스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일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바디; 베이스 바디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타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베이스 바디, 제1 바디 및 제2 바디에 마련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베이스 바디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마련됨과 아울러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와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굴곡지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베이스 바디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마련됨과 아울러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와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굴곡지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귀를 덮어주어 소음을 막아줌과 아울러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방음 베개{FUNCTIONAL SOUNDPROOF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를 덮어주어 소음을 막아줌과 아울러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주는 기능성 방음 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베개는 단순히 머리에 베고 자기 위한 도구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최근의 베개는 허리, 얼굴, 목 등 신체 부분에 따라 피로를 풀고 가장 편안한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부분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라믹이나 옥 등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베개, 한약이나 씨앗 등을 베개 내부에 넣은 베개 등 건강을 위한 베개를 비롯하여 지압, 허리받침, 경추보호용 베개와 같이 목 디스크 또는 요통환자들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베개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인간의 경추(목뼈)는 평상 시 서있을 때 머리의 무게를 잘 지탱하는 완충역할을 하기 위해서 앞쪽으로 자연스런 C자형 곡선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취침할 때도 이와 같은 자세를 유지해주어야만 머리와 경추 및 어깨근육의 이완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이로 인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베개의 높낮이도 매우 중요한데, 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경추의 정상적인 C자형 곡선이 일자형이 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휘어 어깨 결림 증상과 함께 기도 부위가 좁아져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목 부위의 근육이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두통, 눈의 피로, 만성피로가 생기며, 심한 경우에는 허리통증, 목 디스크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너무 낮은 베개를 사용하거나 또는 베개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 머리가 뒤로 젖혀지고 턱이 들려 경추 곡선이 부자연스러워져 심장, 간, 폐로 압력이 전달되면서 심장과 호흡이 가빠지며, 뇌 속으로 혈액순환장애가 올 우려가 있다.
한편 기존의 베개는 밤에 잠을 자다가 목에 담이 심하게 올 우려가 있고, 베개의 형상으로 인해 편안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725호(김혜경) 2018. 02. 0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귀를 덮어주어 소음을 막아줌과 아울러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주는 기능성 방음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뒤통수를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일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타측 옆 얼굴과 마주본느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굴곡지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주는 기능성 방음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경사면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단부가 상기 제2 바디와 근접되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외벽 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1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3 경사면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바디와 근접되도록 경사진 제4 경사면부; 상기 제4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바디의 외벽 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2 라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벤딩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벤딩된 상태를 잡아주는 벤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상기 쿠션 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는 벤딩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가 접하는 영역과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상기 접하는 영역을 각각 보강하는 보강바; 및 상기 제1 바디에 배치되는 벤딩 베이스판과 상기 제2 바디에 배치되는 벤딩 베이스판에 마련되어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벤딩 베이스판의 사이에 소음을 차단하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는 상기 벤딩 베이스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는 상기 보강바 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를 막는 방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베이스 바디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마련됨과 아울러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와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굴곡지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귀를 덮어주어 소음을 막아줌과 아울러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1)는, 사용자의 뒤통수를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10)와, 베이스 바디(1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일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바디(20)와, 베이스 바디(10)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타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바디(30)와,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에 마련되는 쿠션 부재(40)를 구비한다.
베이스 바디(10)는, 사용자의 튀통수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반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의 외피는 면, 폴리에스터, 타이벡, 레쟈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바디(10)의 외피는 전술한 소재 외에 공지된 다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의 베이스 바디(10)의 외피에 적용되는 소재는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의 외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일측 예를 들어 베이스 바디(10)의 좌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20)의 최상단 높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최상단 높이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20)의 부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 보다 크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더 효율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제2 바디(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타측 예를 들어 베이스 바디(10)의 우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최상단 높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최상단 높이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최상단 높이는 제1 바디(20)의 최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몸을 옆으로 할 때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부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 보다 크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더 효율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부피는 제1 바디(20)의 부피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몸을 옆으로 할 때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는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쿠션 부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쿠션 부재(40)는 솜, 깃털, 폴리에스터, 메모리 폼, 라텍스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쿠션 부재(40)는 전술한 재질 외에 공지된 다른 재질로 대체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쿠션 부재(40)를 라텍스로 마련하는 경우 쿠션 부재(40)와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는 한 번의 성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뒤통수를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10)와, 베이스 바디(10)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일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바디(20)와, 베이스 바디(10)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타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바디(30)와,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에 마련되는 쿠션 부재(40)를 포함하고, 제1 바디(20)의 내벽과 제2 바디(30)의 내벽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게 마련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베이스 바디(10)의 상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일측 예를 들어 베이스 바디(10)의 좌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0)의 내벽에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10)의 일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경사면부(21)와, 제1 경사면부(21)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단부가 제2 바디(30)와 근접되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부(22)와, 제2 경사면부(22)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직선부(23)와, 제1 직선부(23)의 단부에서 제1 바디(20)의 외벽 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1 라운딩부(2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면부(22)의 길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부(21)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20)의 최상단 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최상단 높이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20)의 부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 보다 크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더 효율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제2 바디(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타측 예를 들어 베이스 바디(10)의 우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30)의 내벽에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10)의 타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3 경사면부(31)와, 제2 경사면부(22)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단부가 제1 바디(20)와 근접되도록 경사진 제4 경사면부(32)와, 제4 경사면부(32)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 직선부(33)와, 제2 직선부(33)의 단부에서 제2 바디(30)의 외벽 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2 라운딩부(3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경사면부(32)의 길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경사면부(31)의 길이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3 경사면부(31)는 제1 경사면부(21)와, 제4 경사면부(32)는 제2 경사면부(22)와 서로 대응되어 본 실시 예에서 제1 경사면부(21) 내지 제4 경사면부(32)가 이루는 공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 예보다 오각형 형상의 밀폐된 공간을 가질 수 있어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최상단 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최상단 높이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최상단 높이는 제1 바디(20)의 최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몸을 옆으로 할 때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부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 보다 크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더 효율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0)의 부피는 제1 바디(20)의 부피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좌우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몸을 옆으로 할 때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는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쿠션 부재(40)에 벤딩 가이드부(50)를 마련하여 벤딩된 베개의 전체적인 형상을 효율적으로 잡아줌과 아울러 방음 효율을 높인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벤딩 가이드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부재(40)의 내부에 마련되는 벤딩 베이스판(51)과, 베이스 바디(10) 및 제1 바디(20)가 접하는 영역과 베이스 바디(10) 및 제2 바디(30)가 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접하는 영역을 각각 보강하는 보강바(52)와, 제1 바디(20)에 배치되는 벤딩 베이스판(51)과 제2 바디(30)에 배치되는 벤딩 베이스판(51)에 마련되어 쿠션 부재(40)와 벤딩 베이스판(51)의 사이에 소음을 차단하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53)를 포함한다.
벤딩 가이드부(50)의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53)는 벤딩 베이스판(51)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53)는 보강바(52) 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벤딩 베이스판(51)과 쿠션 부재(40)의 사이에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공간부를 마련할 수 있고, 본 실시 예의 외부에서 사용자의 귀로 향하는 소음을 전술한 공간부에 의해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방음 베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에 사용자의 귀를 막아줄 수 있는 방음부(60)를 더 마련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방음부(60)는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가 마주보는 영역의 제1 바디(20) 및 제2 바디(30)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방음부(60)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스펀지를 포함하는 쿠션이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방음부(60)와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를 일체로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와 방음부(60)는 메모리 폼, 스펀지, 라텍스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베이스 바디(10)와 제1 바디(20)와 제2 바디(30)와 방음부(60)를 일체로 마련하는 경우 그 외부를 덮는 외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외피는 면, 폴리에스터, 타이벡, 레쟈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베이스 바디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마련됨과 아울러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와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굴곡지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귀를 덮어주어 소음을 막아줌과 아울러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1b : 기능성 방음 베개
10 : 베이스 바디 20 : 제1 바디
21 : 제1 경사면부 22 : 제2 경사면부
23 : 제1 직선부 24 : 제1 라운딩부
30 : 제2 바디 31 : 제3 경사면부
32 : 제4 경사면부 33 : 제2 직선부
34 : 제2 라운딩부 40 : 쿠션 부재
50 : 벤딩 가이드부 51 : 벤딩 베이스판
52 : 보강바 53 : 공극 가이드바
60 : 방음부

Claims (6)

  1. 사용자의 뒤통수를 지지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일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타측 옆 얼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최상단 높이보다 높게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굴곡지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몸을 옆으로 할 때 같이 회전을 하여 사용자의 목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잡아주고,
    상기 쿠션 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벤딩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벤딩된 상태를 잡아주는 벤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 가이드부는,
    상기 쿠션 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는 벤딩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가 접하는 영역과 상기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상기 접하는 영역을 각각 보강하는 보강바; 및
    상기 제1 바디에 배치되는 벤딩 베이스판과 상기 제2 바디에 배치되는 벤딩 베이스판에 마련되어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벤딩 베이스판의 사이에 소음을 차단하는 공간부를 마련하는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는 상기 벤딩 베이스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공극 가이드바는 상기 보강바 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되는
    기능성 방음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경사면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단부가 상기 제2 바디와 근접되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외벽 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1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3 경사면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단부가 상기 제1 바디와 근접되도록 경사진 제4 경사면부;
    상기 제4 경사면부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1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바디의 외벽 방향으로 굴곡지게 마련되는 제2 라운딩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방음 베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를 막는 방음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방음 베개.
KR1020210176620A 2021-12-10 2021-12-10 기능성 방음 베개 Active KR10261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620A KR102611491B1 (ko) 2021-12-10 2021-12-10 기능성 방음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620A KR102611491B1 (ko) 2021-12-10 2021-12-10 기능성 방음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571A KR20230088571A (ko) 2023-06-20
KR102611491B1 true KR102611491B1 (ko) 2023-12-07

Family

ID=8699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620A Active KR102611491B1 (ko) 2021-12-10 2021-12-10 기능성 방음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67255Y (zh) * 2007-08-09 2008-06-04 李璐 防噪音枕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286A (ja) * 1998-03-16 1999-09-21 Hiroyuki Arakawa コの字型ロ−リング式密着枕
KR200485725Y1 (ko) 2016-02-22 2018-02-19 김혜경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67255Y (zh) * 2007-08-09 2008-06-04 李璐 防噪音枕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571A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8810C (en)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CN206044204U (zh) 颈椎康护枕
US20120186022A1 (en) Pillow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US11412870B2 (en) Ergonomic and orthopaedic pillow for avoiding face wrinkles during sleep
KR102075262B1 (ko) 베개
KR101293259B1 (ko) 사용자 체형 맞춤 베개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KR102611491B1 (ko) 기능성 방음 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CN110448119A (zh) 符合人体工程学的首、颈、肩、心脏减压保护垫
KR102426779B1 (ko) 숙면 및 목과 허리 디스크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JP2019110966A (ja)
KR200308940Y1 (ko) 경추베개
RU60330U1 (ru) Подушка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KR20190002020U (ko) Srp 기능성경추베개
CN206403554U (zh) 一种矫正颈椎预防颈椎疾病提高睡眠质量的枕头
CN215686446U (zh) 一种可呼吸功能保健牡香枕
KR200404139Y1 (ko) 기능성 베개
JP4551100B2 (ja) 改良敷ふとん
KR200498258Y1 (ko) 다층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