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410A -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410A
KR20210111410A KR1020200026277A KR20200026277A KR20210111410A KR 20210111410 A KR20210111410 A KR 20210111410A KR 1020200026277 A KR1020200026277 A KR 1020200026277A KR 20200026277 A KR20200026277 A KR 20200026277A KR 20210111410 A KR20210111410 A KR 20210111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vertebrae
support
functional pillow
neck
cor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680B1 (ko
Inventor
유지호
Original Assignee
유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호 filed Critical 유지호
Priority to KR102020002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를 보호하면서 그 구조에 의해 지속적인 취침 사용 시 거북목 및 일자목을 교정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을 받치도록 역 "U" 자 형상의 목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경추받침부와, 상기 경추받침부의 양단으로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는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일측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부가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포켓부에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지지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 위치되어 상기 쿠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FOR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에 대한 것으로, 경추를 보호하면서 그 구조에 의해 지속적인 취침 사용 시 거북목 및 일자목을 교정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척추의 맨 윗부분에 위치한 경추는 약 10㎏ 정도의 무게를 갖는 머리를 지탱하고 신체 상부의 하중을 분산시켜, 인체의 직립구조를 무리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정상 커브 각이 약 63°가량을 유지하는 느슨한 반원형(C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C자 곡선이 있는 경추는 잘못된 생활습관과 외상으로 인해 경추의 C자 곡선이 변형되면 목디스크가 생길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목 디스크는 경추 사이의 디스크가 삐져나오거나, 뼈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목으로 지나가는 경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뒷목 통증부터 저림, 감각 둔화 등의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질환을 자각하기가 쉽지 않아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으며 중증으로 발전할 경우 중추신경 마비로 인한 호흡곤란, 전신마비 등 치명적인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경추 변형의 대표적인 예는, 거북목으로 이는 목디스크의 주요한 원인이자, 목디스크와 가장 많이 혼동하는 질환이며 머리의 하중이 목으로 집중되어 경추의 디스크의 노화를 가속시켜 목디스크를 유발하게 된다.
이는 최근 컴퓨터를 이용하는 작업이 많아짐에 따라 모니터를 볼 때 턱을 앞으로 빼는 잘못된 습관이 반복되거나, 목을 곧게 편 자세로 장시간 이상 서 있는 등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나타나는 잘못된 자세에 기인 된다.
경추의 C자 곡선은 스프링처럼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거북목이 되면 충격 완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외부 충격이 척추와 머리로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경추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 역시 지속적인 압박을 받게 되어 납작하게 찌그러지게 되므로 거북목을 방치한다면 목디스크가 생기거나, 경추에 퇴행성 질환이 생길 위험이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의 사용 증가에 따라 20대 경추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싱용신안등록번호 20-0482254호(공고일 2017년01월17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749697호(공고일 2017년06월2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거북목을 교정할 수 있는 경추받침부와 경추받침부의 양단으로 삽입 위치되어 최적의 수면을 도와주는 쿠션부를 설치함으로써, 수면 자세에 따라 쿠션부와 경추받침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이에 따라 거부감없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거북목의 교정을 돕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목을 받치도록 역 "U" 자 형상의 목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경추받침부와, 상기 경추받침부의 양단으로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는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일측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부가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포켓부에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지지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 위치되어 상기 쿠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추받침부에는 중앙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후두부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추받침부에는 지압용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쿠션부는 상기 경추받침부에 사용자가 바르게 누웠을 때,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얼굴 폭만큼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몸 방향을 향하는 상기 경추받침부의 일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면은 완만한 경사곡면을 가지는 경추지지부가 탈,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취침 시 경추받침부를 이용함으로써, 경추 및 경추 사이의 디스크와 목 근육에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주어 거북목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둘째, 딱딱하여 수면 내내 사용이 어렵고, 수면 자세를 다르게 하고 싶을 때에는 경추받침부의 양단에 설치된 쿠션부를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베개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셋째, 경추받침부에 탈착 가능한 경추지지부를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추의 곡선이 그대로 유지되어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는, 크게 목을 받치는 경추받침부(100)와, 경추받침부(100)의 양단으로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쿠션부(110)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경추받침부(100)에 탈, 장착되는 경추지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경추받침부(100)는, 취침시 사용자의 목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볼록한 역 "U" 자 형상으로 목재가 바람직하나,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즉, 경추받침부(100)는 목침과 같은 형태를 가지면서 지속적인 사용 시 거북목 교정을 도울 수 있다.
그리고 경추받침부(100)에는 볼록한 중앙으로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어 후두부수용홈(1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두부수용홈(102)은 하중이 분산되면서 후두부가 자연스럽게 위치되도록 사용자의 몸을 향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경추받침부(100)의 표면에는 지압용돌기(10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압용돌기(104)는 수면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반원으로 돌출된 돌기로 경추받침부(100)의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추받침부(100)의 양단으로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쿠션부(110)는, 딱딱한 재질의 경추받침부(100)를 밤새 베고 수면을 취하기에 힘들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설치되어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베개를 밸 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rm)으로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이는 고탄성 스폰지의 기능으로 일반 베개와 달리 적당한 탄성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딱딱하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푹 꺼지는 듯한 느낌을 제공하지 않게 되는 일반 베개와 차별화된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이외에도 인체의 체온과 압력에 부드럽게 반응하면서 그 형상이 변화하고 천천히 완벽복원되도록 메모리폼(Memory Foam)이나 라텍스와 같은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마주하는 한 쌍의 쿠션부(110)에는 경추받침부(100)의 측면 형상과 유사한 역 "U"자형 삽입홈(112)이 내측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홈(112)이 형성된 경추받침부(100)의 상부측에서 경추받침부(100)를 향하는 일면이나 타측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부(114)가 적층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114)는 도 4에서와 같이 일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타측은 막혀 있는 형태로 쿠션부(110)의 폭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부(114)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이격되어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포켓부(114)에는 지지부재(116)가 선택적으로 삽입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배게 높이 취향에 따라 지지부재(116)의 삽입 개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116)는 삽입홈(112)의 폭 보다는 다소 크거나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탄성을 가지며 머리의 하중에 따라 어느 정도 휨이 발생할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더욱이 지지부재(116)는 향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쿠션부(110)는 경추받침부(100)에 사용자가 바르게 누웠을 때,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얼굴 폭만큼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U" 자 형상의 경추받침부(100)의 일면 중, 사용자의 몸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 결합공(106)이 일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106)은 경추받침부(100)의 중앙 위치에서 하부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되, 형상은 한정하지는 않으나,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공(106)에 경추지지부(120)가 탈, 장착 설치될 수 있다.
경추지지부(120)는 경추받침부(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이면 가능하고, 사용자의 체형이나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른 경사도와 높이를 갖는 상태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추지지부(120)는 바닥면은 평편하고, 경추받침부(100)를 향하는 일면이 높고 타측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곡면을 가지면서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경추받침부(100)에 접하는 일면의 폭이 경추받침부(100)의 전체길이에서 1/2 또는 1/3 정도의 면적 이였다가 중심부를 향하여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부연하여, 경추지지부(120)의 중심부를 따라 대략 폭 3cm~5cm 정도에 깊이 1.2cm~1.4cm, 길이는 대략 2/3 정도 지점으로 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은 거북목이나 일자목 증상의 경우 돌출되거나 좌, 우로 틀어져 있는 흉추1,2,3번의 위치와 경추기립근을 바로잡아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경추받침부(100)에 접하는 일면의 경추지지부(120)에는 결합공(106)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결합걸이(122)가 설치되며, 결합걸이(122)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공(106)에 삽입 후, 결합공(106)의 두께를 포함하여 후크와 같이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의 작용은,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경추받침부(100)의 양측으로 쿠션부(110)를 삽입 위치시키게 되며, 삽입홈(112)을 통해 이루어지며, 삽입 정도는 사용자의 얼굴 폭에 맞추어 이루어 경추받침부(100)가 노출될 정도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다른 실시예와 같이 경추지지부(120)가 추가로 설치 가능하며, 설치는 결합걸이(122)를 결합공(106)에 삽입시키면 자연스럽게 후크 형태로 걸려서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쿠션부(110)의 사이에서 노출된 경추받침부(100)를 향하여 바르게 눕게 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후두부는 후두부수용홈(102)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머리가 한 쌍의 쿠션부(110) 사이에서 움직임이 최소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 되어지고, 경추지지부(120)에 의해 경추의 곡선이 그대로 유지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세로 수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거북목 교정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면 중 옆으로 눕거나 자세를 바꾸고 싶으면, 잠시나마 머리를 쿠션부(110)에 위치시켜서 안락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베개 높이 취향에 따라 다수개의 포켓부(114)에 선택적으로 지지부재(116)를 위치시키는 높이 조절로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취침 시 경추받침부를 이용함으로써, 경추 및 경추 사이의 디스크와 목 근육에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주어 거북목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딱딱하여 수면 내내 사용이 어렵고, 수면 자세를 다르게 하고 싶을 때에는 경추받침부의 양단에 설치된 쿠션부를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베개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 경추받침부에 탈착 가능한 경추지지부를 선택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경추의 곡선이 그대로 유지되어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경추받침부 102 : 후두부수용홈
104 : 지압용돌기 106 : 결합공
110 : 쿠션부 112 : 삽입홈
114 : 포켓부 116 : 지지부재
120 : 경추지지부 122 : 결합걸이
112 : 결합부 120 : 젖꼭지부
122 : 젖꼭지 124 : 기저부
126 : 플랜지 130 : 체결캡
132 : 패킹

Claims (5)

  1. 목을 받치도록 역 "U" 자 형상의 목재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경추받침부와,
    상기 경추받침부의 양단으로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는,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일측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부가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포켓부에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지지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 위치되어 상기 쿠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에는,
    중앙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후두부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받침부에는,
    지압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쿠션부는,
    상기 경추받침부에 사용자가 바르게 누웠을 때,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얼굴 폭만큼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몸 방향을 향하는 상기 경추받침부의 일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면은 완만한 경사곡면을 가지는 경추지지부가 탈,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KR1020200026277A 2020-03-03 2020-03-03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KR10240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77A KR102405680B1 (ko) 2020-03-03 2020-03-03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77A KR102405680B1 (ko) 2020-03-03 2020-03-03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410A true KR20210111410A (ko) 2021-09-13
KR102405680B1 KR102405680B1 (ko) 2022-06-07

Family

ID=7779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277A KR102405680B1 (ko) 2020-03-03 2020-03-03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734A (ko) 2021-12-06 2023-06-13 티티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59B1 (ko) * 2004-09-23 2007-01-09 김종현 팔베개
KR100982080B1 (ko) * 2008-06-24 2010-09-13 김대영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0482254Y1 (ko) 2015-07-22 2017-01-17 김혜경 충전부재 교체식 경추보호,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 및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1749697B1 (ko) 2016-03-15 2017-06-21 박성하 경추교정베개
KR101820357B1 (ko) * 2015-09-14 2018-01-19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안마베개
KR101996180B1 (ko) * 2018-08-03 2019-07-03 김정국 높낮이 조절 베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859B1 (ko) * 2004-09-23 2007-01-09 김종현 팔베개
KR100982080B1 (ko) * 2008-06-24 2010-09-13 김대영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0482254Y1 (ko) 2015-07-22 2017-01-17 김혜경 충전부재 교체식 경추보호,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 및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1820357B1 (ko) * 2015-09-14 2018-01-19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안마베개
KR101749697B1 (ko) 2016-03-15 2017-06-21 박성하 경추교정베개
KR101996180B1 (ko) * 2018-08-03 2019-07-03 김정국 높낮이 조절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734A (ko) 2021-12-06 2023-06-13 티티전자 주식회사 적층식 높이 조절 스마트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680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985B2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KR101912076B1 (ko) 기능성 숙면 베개
KR101590068B1 (ko) 자세 교정용 기능성 취침구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2382157B1 (ko) 경추교정 운동기구
KR20150009457A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KR102405680B1 (ko) 거북목 교정용 기능성 베개
KR100982116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머리받침베개
JP2011167325A (ja) 頚椎矯正用枕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102300566B1 (ko) 베개
KR100293245B1 (ko) 인체공학베개
KR101453941B1 (ko) 건강 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KR20180077894A (ko) 다기능 베개 조립체
KR100984623B1 (ko) 경추 받침 맞춤형 베개
KR200308940Y1 (ko) 경추베개
KR20180050772A (ko)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KR102599666B1 (ko) 거북목 교정장치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