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325A - 포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포탄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325A
KR20230082325A KR1020210170135A KR20210170135A KR20230082325A KR 20230082325 A KR20230082325 A KR 20230082325A KR 1020210170135 A KR1020210170135 A KR 1020210170135A KR 20210170135 A KR20210170135 A KR 20210170135A KR 20230082325 A KR20230082325 A KR 20230082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ell
plate
load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21017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325A/ko
Publication of KR2023008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7Ammunition handling dollies or transfer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1Projectiles, bombs, amu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2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pushing or pulling the load from/onto the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4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roll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포탄 이송 장치에 따르면,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시저스부; 상기 시저스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저스부의 상하방향 길이조절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포탄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포강에 인입시키는 인입부; 및 상기 시저스부의 길이조절에 따른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이격높이에 따라, 상기 인입부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고, 포탄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탄 이송 장치{ammunition delivery device}
본 발명은 포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나 자주포와 같은 전투용 장비는 일정한 양의 포탄을 전투용 장비 자체에 또는 전투 장비와 함께 운행되는 탄 적재차량 등에 적재하여 유사시 적재된 포탄을 신속히 인출하여 특정위치, 예컨대 장비의 포구까지 이송시킬 수 있어야 긴급한 접전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탄시험 등을 하는 경우에도, 포탄을 기 설정된 위치에 적재한 후, 필요시에 포탄을 개별적으로 포구까지 이송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포탄을 이송시킴에 따라, 단순반복작업이 이루어지고, 무거운 포탄 무게에 의해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이송된 포탄을 장입시킬 수 있는 안착부까지 안착시키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742589호는, 안착부를 장입시킬 포구까지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그러나, 포탄을 하나씩 이송하여 장입시킴에 따라, 장입시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589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부에 안착된 포탄을 후측에서 자동으로 밀어서 대포의 포강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인입시킬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포탄을 적재부에 적재할 수 있어, 포강에 포탄이 인입되면, 기 적재된 포탄을 안착부에 빠르게 안착시켜, 신속한 장입준비를 할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탄 이송 장치에 따르면,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시저스부; 상기 시저스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저스부의 상하방향 길이조절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포탄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포강에 인입시키는 인입부; 및 상기 시저스부의 길이조절에 따른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이격높이에 따라, 상기 인입부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고, 포탄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입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 후방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부와, 상기 제1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2실린더부 및 상기 제2실린더부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포탄의 후측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포탄의 후측면을 밀어내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의 이격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 및 상기 시저스부의 상하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실린더부의 상하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실린더부의 전후방향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치로 시저스부의 상하길이가 조절되면 상기 높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이격높이를 확인하고, 상기 이격높이에 대응되게 상기 제1실린더부를 제어하여 상하길이를 자동조절한 후, 상기 제3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부를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저스부의 일측에 포탄이 다수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하고, 상기 안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의 길이조절과,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이송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시저스부의 일측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는, 하측면에 상기 제1결합홈과 결합되어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포탄이 적재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포탄이 적재되는 적재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게 상측면에 내입된 제2결합홈 및 상부에 포탄이 적재되는 제1적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은, 하측면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에 제2결합홈과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돌기에 대응되게 상측면에 내입된 제3결합홈 및 상부에 포탄이 적재되는 제2적재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하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3실린더부와 상기 제3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한 제4실린더부 및 상기 제4실린더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 가능한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에 기 설정된 포탄개수가 적재되고, 적재된 각 포탄의 적재위치를 선택 가능한 다수의 제4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3실린더부와 제4실린더부 및 집게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적재위치로 상기 집게부를 위치시키고, 선택된 적재위치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한 다음, 상기 안착부로 이송시켜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포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홈으로 돌출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까지 돌출 및 상기 관통홈으로 내입되도록 상하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5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적재하면, 상기 제5실린더부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까지 돌출시키고, 돌출된 상기 제5실린더부의 상부까지 집게부가 파지한 포탄을 이송시키고, 상기 집게부를 벌려 상기 제5실린더부 상부에 포탄을 위치시키며, 상기 제5실린더부를 하강시켜 포탄이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포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다수 형성된 결합공에 구비되되, 자유자재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탄을 지지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포탄은, 볼의 구름운동으로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안착부에 안착된 포탄을 후측에서 자동으로 밀어서 대포의 포강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인입시킬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수의 포탄을 적재부에 적재할 수 있어, 포강에 포탄이 인입되면, 기 적재된 포탄을 안착부에 빠르게 안착시켜, 신속한 장입준비를 할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의 플레이트와 시저스부를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의 적재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포탄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플레이트(10), 시저스부(20), 안착부(30), 인입부(4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먼저, 플레이트(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시저스부(20), 인입부(40), 적재부(60) 및 이송부(70)가 구비된다.
또한, 플레이트(10)는, 지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측면에 바퀴(11)가 구비된다.
시저스부(20)는, 플레이트(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시저스부(20)는, 후술할 안착부(30)의 길이방향(Y축방향) 양단부와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됨에 따라 안착부(30)를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안착부(30)는, 시저스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시저스부(20)의 상하방향 길이조절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포탄(1)이 안착된다.
이때, 안착부(30)는, 포탄(1)이 안착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안착홈(31)에 다수 형성된 결합공에 구비되되, 자유자재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포탄(1)을 지지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탄(1)은, 볼의 구름운동으로 안착부(30)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안착부(30)는,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어 무한회전이 가능한 체인(35)이 구비된다. 즉, 체인(35)은 안착홈(31)과 안착부(30)의 하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회전함에 따라 안착홈(31)에 안착되는 포탄(1)을 이동시킨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1)에 구비되는 체인(35)의 회전방향은, 후술할 제2실린더부(42)에서 포강을 향하는 방향이다.
체인(35)은 무한회전을 하면서, 안착홈(31)에 안착되는 포탄(1)을 포강으로 인입되게 이동시킨다.
이때, 체인(35)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작동하며, 제어부는 제2실린더부(42)가 팽창하여 포탄(1)을 밀어내는 동시, 또는 밀어냈을 때 구동부를 제어하여 체인(35)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탄(1)이 제2실린더부(42)에 의해 일부 움직임에 따라 체인(35)이 회전하고, 회전하는 속도에 맞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체인(35)의 회전속도는 제2실린더부(42)의 팽창으로 가압부가 이동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여, 신속하게 포탄(1)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인(35)에는 포탄(1)이 밀착될 수 있는 밀착부재가 구비되어, 밀착된 포탄(1)을 원활하게 체인(35)의 밀림없이 이동시킬 수 있다.
인입부(40)는, 플레이트(10)에 구비되어, 안착부(30)에 구비된 포탄(1)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포강에 인입시킨다.
이때, 인입부(40)가 포탄(1)의 후측을 가압하여 전방으로 밀어낼 때, 포탄(1)이 볼의 구름운동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약 45kg의 무게를 갖는 포탄(1)을 용이하게 포강에 인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시저스부(20)의 길이조절에 따른 플레이트(10)로부터 이격된 이격높이에 따라, 인입부(40)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고, 포탄(1)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인입부(40)는, 제1실린더부(41)와 제2실린더부(42) 및 가압부재(43)를 포함한다.
제1실린더부(41)는, 플레이트(10)의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안착부(30)의 길이방향(Y축방향) 후방에 구비된다.
제2실린더부(42)는, 제1실린더부(41)의 상부에 결합되고, 안착부(30)의 길이방향(Y축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압부재(43)는, 제2실린더부(42)의 끝단에 구비되고, 포탄(1)의 후측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포탄(1)의 후측면을 밀어낸다. 이때, 가압부재(43)는 포탄(1)의 후측면에 접촉할 때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높이감지센서, 스위치부(50), 적재부(60) 및 이송부(70)를 더 포함한다.
높이감지센서는, 안착부(30)에 구비되어, 플레이트(10)로부터의 이격높이를 감지한다.
즉, 높이감지센서는, 안착부(30)가 시저스부(20)에 의해 높이조절됨에 따라, 안착부(30)와 플레이트(10) 사이의 이격높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착부(30)는, 대포의 포강 위치, 장소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고, 높이감지센서로부터 안착부(30)가 어느 높이에 있는지 확인됨으로써, 제어부에 제어되는 제1실린더부(41)의 상하길이가 조절되어 가압부재(43)가 포탄(1)의 후측면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할 이송부(70)에 의해 적재부(60)에서 이동되는 포탄(1)을 정확하게 안착부(30)의 후술할 제5실린더부(33) 상부에 위치 및 안착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50)는, 시저스부(20)의 상하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스위치(51)와, 제1실린더부(41)의 상하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2스위치(52) 및 제2실린더부(42)의 전후방향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3스위치(53)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스위치(51)로 시저스부(20)의 상하길이가 조절되면 높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이격높이를 확인하고, 이격높이에 대응되게 제1실린더부(41)를 제어하여 상하길이를 자동조절한 후, 제3스위치(53)의 조작에 따라 제2실린더부(42)를 전후방향(Y축방향)으로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스위치(52)는, 제어부에 의해 제1실린더부(41)가 제어되더라도 관리자에 의해 제1실린더부(41)의 상하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적재부(60)는, 시저스부(20)의 일측에 포탄(1)이 다수 적재된다.
이송부(70)는, 플레이트(10)에 구비되어, 적재부(60)에 적재된 포탄(1)을 파지하고, 안착부(30)로 이송시킨다.
즉, 제어부는, 이송부(70)가 적재부(60)에 적재된 포탄(1)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Z축방향)의 길이조절과, 적재부(60)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부(30)에 이송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10)의 좌우방향(X축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송부(70)를 제어한다.
여기서, 플레이트(10)는, 시저스부(20)의 일측에 제1결합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적재부(60)는, 하측면에 제1결합홈(12)과 결합되어 플레이트(10)에 고정되고, 포탄(1)이 적재되는 고정판(61)과 고정판(61)의 상부에 결합되어 포탄(1)이 적재되는 적재판(6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적재부(60)는, 다수의 포탄(1)을 플레이트(10)에 적재할 수 있고, 이동을 할 수 있어, 훈련 또는 전시 상황에 개별로 포탄(1)을 이송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포탄(1)을 포강에 인입시키면 적재된 포탄(1)을 즉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어 신속한 재장입이 가능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판(61)은, 제1결합홈(12)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62)와, 제1결합돌기(62)에 대응되게 상측면에 내입된 제2결합홈(63) 및 상부에 포탄(1)이 적재되는 제1적재홈(64)을 포함한다.
이때, 제1결합돌기(62)는 고정판(61)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적재판(65)은, 하측면에 고정판(61)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기둥(66)과, 지지기둥(66)의 하부에 제2결합홈(63)과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67)와, 제2결합돌기(67)에 대응되게 상측면에 내입된 제3결합홈(68) 및 상부에 포탄(1)이 적재되는 제2적재홈(69)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기둥(66)은, 고정판(61)에 적재된 포탄(1)과 적재판(65)의 하측면이 닿지 않을 정도 고정판(61)으로부터 적재판(65)을 이격시키면 충분하다.
또한, 적재판(65)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또 다른 적재판(65)의 제2결합돌기(67)와 하부에 기 구비된 적재판(65)의 제3결합홈(68)이 결합되어, 상부로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70)로부터 적재된 포탄(1)이 이송되면 포탄(1)이 적재되지 않은 적재판(65)을 분리시켜 하부에 적재된 포탄(1)을 또 이송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게다가, 적재판(65)은 지지기둥(66)으로부터 하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적재홈(69)에 포탄(1)을 적재시킨 후, 사용자들이 적재판(65)의 양측을 용이하게 잡고 들어올릴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적재와 동시에 포탄(1)이 적재된 적재판(65)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송부(70)는, 플레이트(10)에 구비되어 상하방향(Z축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3실린더부(71)와 제3실린더부(71)의 상부에 결합되어, 플레이트(10)의 좌우방향(X축방향)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한 제4실린더부(72) 및 제4실린더부(72)의 끝단에 결합되고, 적재부(60)에 적재된 포탄(1)을 파지 가능한 집게부(73)를 포함한다.
이때, 집게부(73)는, 양측으로 벌어지고 좁아질 수 있어, 포탄(1)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50)는, 적재부(60)에 기 설정된 포탄(1)개수가 적재되고, 적재된 각 포탄(1)의 적재위치를 선택 가능한 다수의 제4스위치(5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재부(60)에 포탄(1)이 2개가 플레이트(10)부에 적재되고, 그 위에 또 다른 포탄(1) 2개, 그 위에 2개, 총 6개가 적재될 수 있는 경우, 제4스위치(54)는 적재된 포탄(1)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3x2의 배열로 6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6개의 버튼 중, 1행에 위치하는 버튼들은 최 상부에 적재된 포탄(1)을 이송부(70)가 파지하도록 하고, 2행에 위치하는 버튼들은 중간에 적재된 포탄(1)을 이송부(70)가 파지하도록 하며, 3행에 위치하는 버튼들은 고정판(61)에 적재된 포탄(1)을 이송부(70)가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4스위치(5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3실린더부(71)와 제4실린더부(72) 및 집게부(73)를 제어하여, 선택된 적재위치로 집게부(73)를 위치시키고, 선택된 적재위치에 적재된 포탄(1)을 파지한 다음, 안착부(30)로 이송시켜 안착부(30)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안착부(30)는, 이송부(70)의 집게부(73)가 이송시키는 포탄(1)을 안정적으로 받치고, 안착홈(31)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몸체(32) 및 제5실린더부(33)를 포함한다.
몸체(32)는, 포탄(1)이 안착되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안착홈(3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홈이 형성된다.
제5실린더부(33)는, 몸체(32)의 하부에 구비되어 관통홈으로 돌출되되 몸체(32)의 상부까지 돌출 및 관통홈으로 내입되도록 상하방향(Z축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제5실린더부(33)의 상단은 포탄(1)의 외주면을 감싸면 받칠 수 있도록 받침날개(34)가 양측에 형성된다. 즉, 집게부(73)가 제5실린더부(33)의 상부에서 파지한 포탄(1)을 놓으면, 놓여지는 포탄(1)은 받침날개(34)에 감싸지며 제5실린더부(3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5실린더부(33)는, 하강하여 관통홈으로 내입되고, 포탄(1)은 자연스럽게 안착홈(31)에 안착된다.
즉, 제어부는, 이송부(70)가 적재부(60)에 적재된 포탄(1)을 적재하면, 제5실린더부(33)를 제어하여 몸체(32)의 상부까지 돌출시키고, 이송부(70)를 제어하여 제5실린더부(33)의 상부까지 파지한 포탄(1)을 이송시킨 다음, 집게부(73)를 벌려 제5실린더부(33) 상부에 포탄(1)을 위치시키고, 제5실린더부(33)를 하강시켜 포탄(1)이 안착홈(31)에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4스위치(54)를 이용하여, 적재부(60)에 적재된 포탄(1)을 선택적으로 선택하면, 선택된 포탄(1)의 위치로 집게부(73)가 이동되고, 집게부(73)가 포탄(1)을 파지하여 안착부(30)로 이송시킴으로써, 적재부(60)에 적재된 포탄(1)을 안착부(30)에 자동으로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어, 빠른 장입준비를 마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플레이트 11 : 바퀴
12 : 제1결합홈 20 : 시저스부
30 : 안착부 31 : 안착홈
32 : 몸체 33 : 제5실린더부
34 : 받침날개 35 : 체인
40 : 인입부
41 : 제1실린더부 42 : 제2실린더부
43 : 가압부재 50 : 스위치부
51 : 제1스위치 52 : 제2스위치
53 : 제3스위치 54 : 제4스위치
60 : 적재부 61 : 고정판
62 : 제1결합돌기 63 : 제2결합홈
64 : 제1적재홈 65 : 적재판
66 : 지지기둥 67 : 제2결합돌기
68 : 제3결합홈 69 : 제2적재홈
70 : 이송부 71 : 제3실린더부
72 : 제4실린더부 73 : 집게부

Claims (9)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시저스부;
    상기 시저스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저스부의 상하방향 길이조절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포탄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포강에 인입시키는 인입부; 및
    상기 시저스부의 길이조절에 따른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이격높이에 따라, 상기 인입부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고, 포탄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탄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 후방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부와,
    상기 제1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제2실린더부 및
    상기 제2실린더부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포탄의 후측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포탄의 후측면을 밀어내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포탄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의 이격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 및
    상기 시저스부의 상하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실린더부의 상하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실린더부의 전후방향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치로 시저스부의 상하길이가 조절되면 상기 높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이격높이를 확인하고, 상기 이격높이에 대응되게 상기 제1실린더부를 제어하여 상하길이를 자동조절한 후, 상기 제3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부를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저스부의 일측에 포탄이 다수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하고, 상기 안착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의 길이조절과,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이송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송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시저스부의 일측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는, 하측면에 상기 제1결합홈과 결합되어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포탄이 적재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포탄이 적재되는 적재판을 포함하는 포탄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되게 상측면에 내입된 제2결합홈 및 상부에 포탄이 적재되는 제1적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은, 하측면에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하부에 제2결합홈과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돌기에 대응되게 상측면에 내입된 제3결합홈 및 상부에 포탄이 적재되는 제2적재홈을 포함하는 포탄 이송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하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3실린더부와 상기 제3실린더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한 제4실린더부 및 상기 제4실린더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 가능한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에 기 설정된 포탄개수가 적재되고, 적재된 각 포탄의 적재위치를 선택 가능한 다수의 제4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3실린더부와 제4실린더부 및 집게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적재위치로 상기 집게부를 위치시키고, 선택된 적재위치에 적재된 포탄을 파지한 다음, 상기 안착부로 이송시켜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포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홈으로 돌출되되 상기 몸체의 상부까지 돌출 및 상기 관통홈으로 내입되도록 상하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5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적재부에 적재된 포탄을 적재하면, 상기 제5실린더부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까지 돌출시키고, 돌출된 상기 제5실린더부의 상부까지 집게부가 파지한 포탄을 이송시키고, 상기 집게부를 벌려 상기 제5실린더부 상부에 포탄을 위치시키며, 상기 제5실린더부를 하강시켜 포탄이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포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다수 형성된 결합공에 구비되되, 자유자재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포탄을 지지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포탄은, 볼의 구름운동으로 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KR1020210170135A 2021-12-01 2021-12-01 포탄 이송 장치 KR20230082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35A KR20230082325A (ko) 2021-12-01 2021-12-01 포탄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35A KR20230082325A (ko) 2021-12-01 2021-12-01 포탄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25A true KR20230082325A (ko) 2023-06-08

Family

ID=8676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135A KR20230082325A (ko) 2021-12-01 2021-12-01 포탄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3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589B1 (ko) 2015-05-19 2017-06-01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589B1 (ko) 2015-05-19 2017-06-01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3517B1 (en) Vehicle for loading and unloading aircraft
CN1760479B (zh) 工作机及其操作员控制站
US20150335941A1 (en) Treadmill
KR102366311B1 (ko) 드론 컨트롤러
CN107074514A (zh) 用于物料搬运车辆的控制模块和掌托
KR101742589B1 (ko) 포탄 이송 장치
US20050116432A1 (en) Pallet truck
KR102280711B1 (ko) 취출암이 구비된 로봇 절곡기
KR20230082325A (ko) 포탄 이송 장치
JP4937010B2 (ja) 搬送台車の荷台装置
KR102015767B1 (ko) 탄약 공급 장치
US10202136B2 (en) Large panel handling and moving device
KR20120086171A (ko) 축구공 발사체
JP6304752B2 (ja) ワーク保持装置及びワーク保持方法
EP0293422B1 (en) Means and method for loading packaged particulate materials
EP2818381B1 (en) Trolley for the transportation of a load on staircases
JP7183084B2 (ja) 杭圧入システム及び杭圧入施工方法
CN107672643A (zh) 装修玻璃进出电梯用移动车
JP7202926B2 (ja)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及び自動車衝突模擬試験方法
KR102219939B1 (ko) 포탄 이송 장치
KR20140029337A (ko) 골프 타석의 경사 조절장치
DE202014101322U1 (de) Zuführvorrichtung
KR101973114B1 (ko) 거더 내부 용접용 용접 장치
KR102347481B1 (ko) 리벳팅 장치 및 리벳팅 방법
KR101533769B1 (ko) 기울기 조절가능한 자동차 도어의 탈부착용 지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