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939B1 - 포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포탄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939B1
KR102219939B1 KR1020190109137A KR20190109137A KR102219939B1 KR 102219939 B1 KR102219939 B1 KR 102219939B1 KR 1020190109137 A KR1020190109137 A KR 1020190109137A KR 20190109137 A KR20190109137 A KR 20190109137A KR 102219939 B1 KR102219939 B1 KR 10221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support
transfer
groove
rea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조
Original Assignee
김경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조 filed Critical 김경조
Priority to KR102019010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7Ammunition handling dollies or transfer c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탄을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탄을 용이하게 포강에 인입시킬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포탄을 지지하는 이송 지지대, 상기 이송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퀴를 갖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이송 지지대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지지대는 상기 포탄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과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기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후방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탄 이송 장치{SHELL TRAN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탄을 적재하고 이송할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곡사포, 자주포 등의 화포를 이용하는 포탄시험은, 고폭 화약이 충진된 활성 포탄과 석고가 충진된 비활성 포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포탄 중량은 약 45kg으로, 시험요원은 사격시험 시 포탄을 어깨에 직접 메고 화포의 포구까지 이동한 후 메고 온 포탄을 장전시킨다.
시험요원의 이러한 반복적인 중량물 취급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과 아울러, 시험과정에서의 안전 상의 문제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또한, 포탄을 이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포탄을 화포 내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포탄을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탄을 용이하게 포강에 인입시킬 수 있는 포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포탄을 지지하는 이송 지지대, 상기 이송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퀴를 갖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이송 지지대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지지대는 상기 포탄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과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기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후방 가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 실린더 내에 설치되되 상기 가압 실린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포탄을 밀어내는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후방 가압부의 하부에서 상기 후방 가압부를 지지하며,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하부 지지에 의하여 상기 이송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는 정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지지대에는 상기 정지 홈에 끼워지되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안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지지대는 일 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포탄을 지지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 막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유압 펌프 또는 공압 펌프와 연결된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사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는 종단면이 호형으로 만곡된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조절 홈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름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롤러와 구동 롤러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의 상면이 상기 포탄의 하단과 맞닿아 상기 무한궤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포탄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는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 측면에는 구형의 종단면을 갖는 복수의 연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타측 측면에는 구형의 종단면을 갖는 복수의 연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상기 연결 돌기가 이웃하는 지지판의 상기 연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들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지지대는 포탄을 지지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후방 가압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포탄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 더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후방 가압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는 함께 상기 포탄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 홈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가 삽입되는 이탈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가 상기 이탈 홈에 삽입될 때,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포탄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 홈과 상기 지지 홈의 바닥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면에는 마찰력의 증가시키는 마찰 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승강부재를 구비하여 포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 가압부와 하부 지지부에 의하여 포탄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와 이송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반경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길이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반경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가 포탄을 밀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와 이송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100)는 이송 지지대(110), 승강부재(120), 하부 프레임(13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30)은 승강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130)은 하부 지지판(131)과 하부 지지판(131)에 설치된 복수의 바퀴(132)와 하부 지지판(131)에 고정된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판(131)은 직사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지지판(131) 상에 승강부재(120)가 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지지판(131)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퀴(132)는 하부 지지판(131)의 하부에 고정되며, 하부 지지판(131)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하부 지지판(131)은 아래로 돌출된 기둥을 포함하고, 바퀴(132)는 기둥을 매개로 하부 지지판(131)에 고정될 수 있다.
바퀴(132)에는 바퀴(13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부재(136)가 설치될 수 있다. 브레이크 부재(136)는 바퀴(132)와 연결 설치되며 브레이크 부재(136)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바퀴(132)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하부 지지판(131)에 대하여 세워져 설치되며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부(140)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포탄 이송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부 지지판(131)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138)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38)의 하단은 뾰족한 침상으로 이루어지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고정부재(138)는 지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38)가 지면에 삽입되면 포탄(10)이 이동할 때 하부 지지판(131)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12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이송 지지대(1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재(12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승강 실린더(121)와 승강 실린더(12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123)과 피스톤(123)의 상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사 조절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실린더(121)는 유압 펌프 또는 공압 펌프와 연결되어 피스톤(123)을 이동시킨다. 피스톤(123)은 실린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경사 조절부재(125)를 매개로 이송 지지대(110)를 승강시킨다. 피스톤(123)의 상부에는 종단면이 호형으로 만곡된 조절 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경사 조절부재(125)의 하단에는 조절 홈(123a)에 삽입되어 조절 홈(123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름 돌기(125a)가 형성된다. 구름 돌기(125a)는 호형의 종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구름 돌기(125a)가 조절 홈(123a)에 대하여 미끄러지면서 회동 운동할 수 있다.
경사 조절부재(125)는 회전을 위한 액츄에이터와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조절부재(125)는 포탄(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데, 포탄 이송 장치(100)가 경사면을 이동할 때 포탄(10)이 기울어지면 경사 조절부재(125)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측정하여 포탄(10)의 길이방향이 중력에 수직인 방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조절부재(125)는 포탄(10)이 포강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포탄(10)의 길이방향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손잡이부(14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거나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명령이 입력되면 이송 지지대(110)를 승하강시키고 이송 지지대(11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반경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송 지지대(110)는 포탄(10)을 지지하며, 포탄(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지지대(1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며, 이송 지지대(110)의 상면에는 포탄(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포탄(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112a)이 형성된다. 지지 홈(112a)은 직사각형의 종단면을 갖는 하부 홈과 하부 홈의 상단에 연결되며 호형의 종단면을 갖는 상부 홈을 포함한다.
이송 지지대(110)는 바디부(112)와 바디부(112) 상에 설치되어 포탄(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115), 포탄(10)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후방 가압부(113), 후방 가압부(113)의 이동을 제어하는 안전부재(114), 바디부(1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탄(10)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11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2)는 일 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포탄(10)을 지지하며 바디부(112)의 상단에 지지 홈(112a)이 형성된다. 바디부(112)의 상부에 하부 지지부(115)가 장착된다. 지지 롤러(116)는 바디부(112)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후방 가압부(113)에서 이송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바디부(112)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포탄(10)이 장착된 상태에서 포탄(10)의 앞쪽은 지지 롤러(116)에 의하여 지지되고, 포탄(10)의 뒤쪽은 후방 가압부(11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후방 가압부(113)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포탄을 밀어낸다, 후방 가압부(113)는 포탄(10)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가압 실린더(113a)와 가압 실린더(113a) 내부에 삽입되며 가압 실린더(113a)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113b)을 포함한다. 가압판(113b)은 이동하면서 포탄을 밀어낼 수 있다. 가압판(113b)에서 포탄(10)과 맞닿는 부분에는 포탄(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 패드(113c)가 설치된다. 탄성 패드(113c)는 발포 성형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실린더(113a)에는 유체 공급관이 연결 설치되는데, 가압 실린더(113a)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가압판(113b)이 전진하면서 포탄(10)을 밀어낼 수 있으며, 가압 실린더(113a) 내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가압판(113b)이 후진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15)는 지지 홈(112a)에 삽입되며 지지 홈(112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하부 지지부(115)는 후방 가압부(113)의 하부에서 후방 가압부(113)를 지지하며, 후방 가압부(113)는 하부 지지부(115)에 의하여 이송 지지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15)는 오목한 상면을 갖는 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오목한 상면에는 후방 가압부(113)가 고정된다. 하부 지지부(115)의 하면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115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 지지부(115)는 바디부(1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115)의 하면에는 안전부재(114)가 삽입되는 정지 홈(115c)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15)의 측면에는 하부 지지부(115)의 이동을 위한 외부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가압 막대(115b)가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112)의 측면에는 가압 막대(115b)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112b)이 형성되고, 가이드 홀(112b)은 바디부(112)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막대(115b)는 가이드 홀(112b)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 홀(11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막대(115b)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거나 다른 유압 장치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으며, 하부 지지부(115)는 가압 막대(115b)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바디부(112)에는 정지 홈(115c)에 끼워지는 안전부재(114)가 설치되며, 안전부재(114)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져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전부재(114)가 정지 홈(115c)에 삽입되면 하부 지지부(115)가 이동하지 못하며, 안전부재(114)가 정지 홈(115c)에서 이탈하면 하부 지지부(115)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제어기(150)에서 포탄(10)을 포신(180)에 삽입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안전부재(114)가 하강하여 후방 가압부(113)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외력에 의하여 하부 하부 지지부(115)가 이동하면 후방 가압부(113)와 함께 포탄(10)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포신 내로 삽입되며, 최종적으로 후방 가압부(113)의 가압판(113b)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포탄(10)이 후방 가압부(113)에서 분리될 수 있다. 가압판(113b)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하부 지지부(115)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부 지지부(115)는 가압된 상태가 유지된다. 포탄(10)이 후방 가압부(113)에서 분리된 후에는 작업자에 의하여 포탄(10)이 가압되어 포신(180) 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포탄(1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는 승강부재(120)가 다시 하부로 하강하고, 포탄 이송 장치(100)가 이동하여 다시 포탄 이송 장치(100)에 포탄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부재(120)에 의하여 포탄(1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지지부(115), 후방 가압부(113)에 의하여 포탄(10)이 포강(181)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길이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이송 지지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210)는 포탄(10)을 지지하며, 포탄(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지지대(210)는 바디부(212)와 바디부(212) 상에 설치되어 포탄(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15), 포탄(10)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후방 가압부(213), 하부 지지부(215)를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218)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2)는 지지 홈(212a)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디부(212)의 상부에 포탄(10)이 설치된다. 또한, 바디부(212)에는 하부 지지부(215)가 삽입 설치되는 안착 홈(212c)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212c)은 지지 홈(212a)의 바닥에서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디부(212)의 선단에는 포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17)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21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 홈(212a)의 앞쪽에서 지지 홈(212a)의 바닥보다 더 돌출되어 포탄(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 가압부(213)는 포탄(10)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포탄을 밀어낸다. 후방 가압부(213)는 하부 지지부(215)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며, 후방 가압부(213)의 하단은 지지 홈(212a)과 맞닿는다. 후방 가압부(213)는 가압 실린더(213a)와 가압 실린더(213a) 내부에 삽입되며 가압 실린더(213a)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213b)을 포함한다. 가압판(213b)에서 포탄(10)과 맞닿는 부분에는 포탄(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 패드(213c)가 설치된다.
가압 실린더(213a)에는 유체 공급관이 연결 설치되는데, 가압 실린더(213a)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가압판(213b)이 전진하면서 포탄(10)을 밀어낼 수 있으며, 가압 실린더(213a) 내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가압판(213b)이 후진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215)는 안착 홈(212c)에 삽입되며 캐터필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지지부(215)는 후방 가압부(213)보다 더 전방에 위치한다. 하부 지지부(215)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롤러(215a)와 구동 롤러(215a)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무한궤도(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롤러(215a)는 길이방향 양단이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 롤러(215a)에는 모터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무한궤도(230)는 복수의 지지판(231)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지지판(231)의 일측 측면에는 구형의 종단면을 갖는 복수의 연결 홈(233)이 형성되고, 지지판(231)의 타측 측면에는 구형의 종단면을 갖는 복수의 연결 돌기(2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231)의 연결 돌기(232)가 이웃하는 지지판(231)의 연결 홈(233)에 삽입되어 지지판들(231)이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판들(231)은 상호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들(231)은 강도와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소정 각도로 휘어질 수도 있다.
무한궤도(230)의 상면은 포탄(10)의 하단과 맞닿을 수 있으며, 무한궤도(230)가 이동함에 따라서 포탄(1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무한궤도(230)에는 무한궤도(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막대(215b)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212)의 측면에는 가압 막대(215b)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212b)이 형성되고, 가이드 홀(212b)은 바디부(212)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막대(215b)는 가이드 홀(212b)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 홀(21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막대(215b)에는 가압 막대(215b)를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218)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구동 실린더(218)는 가압 막대(215b)를 밀거나 당겨서 무한궤도(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한궤도(230)는 구동 실린더(218)에 의하여 이동하거나 구동 롤러(215a)에 연결된 모터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에 포탄(10)을 포신(280)에 삽입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토퍼(217)가 하강한 후에 후방 가압부(213)의 가압판(213b)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탄(10)이 후방 가압부(213)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후방 가압부에서 분리되고, 무한궤도(230)가 이동하면서 포탄(10)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포탄(10)이 포신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캐터필러 형태의 하부 지지부(215)가 설치되어 포탄(10)이 보다 용이하게 포신(280)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를 반경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가 포탄을 밀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는 이송 지지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탄 이송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송 지지대(310)는 포탄(10)을 지지하며, 포탄(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지지대(3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며, 이송 지지대(310)의 상면에는 포탄(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포탄(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312a)이 형성된다.
이송 지지대(310)는 바디부(312)와 바디부(312) 상에 설치되어 포탄(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315), 포탄(10)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후방 가압부(313), 및 바디부(3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탄(10)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31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2)는 지지 홈(312a)을 갖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바디부(312)의 상부에 하부 지지부(315) 및 후방 가압부(313)가 장착된다. 지지 롤러(316)는 바디부(312)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하부 지지부(315)에서 이격되어 바디부(312)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포탄(10)이 장착된 상태에서 포탄(10)의 앞쪽은 지지 롤러(316)에 의하여 지지되고, 포탄(10)의 뒤쪽은 하부 지지부(315) 및 후방 가압부(31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후방 가압부(313)는 포탄(10)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포탄을 밀어낸다. 후방 가압부(313)는 하부 지지부(315)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며 지지 홈(312a)의 바닥에 고정된다.
후방 가압부(313)는 가압 실린더(313a)와 가압 실린더(313a) 내부에 삽입되며 가압 실린더(313a)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313b)을 포함한다. 가압판(313b)에서 포탄(10)과 맞닿는 부분에는 포탄(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 패드(313c)가 설치된다.
가압 실린더(313a)에는 유체 공급관이 연결 설치되는데, 가압 실린더(313a)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가압판(313b)이 전진하면서 포탄(10)을 밀어낼 수 있으며, 가압 실린더(313a) 내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가압판(313b)이 후진할 수 있다. 후방 가압부(313)는 바디부(312)에 고정되며 이동하지 않는다.
하부 지지부(315)는 지지 홈(312a)에 삽입되며 지지 홈(312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하부 지지부(315)는 후방 가압부(313) 보다 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315)는 오목한 상면을 갖는 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오목한 상면에는 포탄이 거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315)의 하단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315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 지지부(315)는 바디부(3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315)의 상면에는 마찰 패드(315c)가 설치될 수 있다. 마찰 패드(315c)는 포탄(10)의 하단과 맞닿아 포탄(10)이 하부 지지부(31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마찰 패드(315c)는 가요성을 갖는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찰 패드(315c)에는 마찰력 증가를 위한 미세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 패드(315c)는 반복 접착력을 갖는 젤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찰 패드(315c)는 미세 돌기를 갖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312)의 측면에는 가압 막대(315b)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312b)이 형성되고, 가이드 홀(312b)은 바디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막대(315b)는 가이드 홀(312b)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 홀(31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막대(315b)에는 가압 막대(315b)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실린더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312)의 바닥에는 하부 지지부(315)가 삽입되는 이탈 홈(321)이 형성되며, 이탈 홈(321)은 지지 홈(312a)의 바닥에서 아래로 함몰 형성된다. 또한 이탈 홈(321)과 지지 홈(312a)의 바닥 사이에는 경사면(323)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323)이 형성되면 하부 지지부(315)가 용이하게 이탈 홈(3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탈 홈(321)은 하부 지지부(315)를 삽입하여 하부 지지부(315)와 포탄(10)이 분리되도록 한다.
제어부에서 포탄(10)을 포신(380)에 삽입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후방 가압부(313)의 가압판(313b)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포탄(10)이 후방 가압부(313)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후방 가압부(313)에서 분리되고, 하부 지지부(315)가 이동하면서 포탄(10)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하부 지지부(315)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사면을 따라 이탈 홈(321)에 삽입되며 하부 지지부(315)의 상면은 포탄(10)의 하면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마찰 패드(315c)는 포탄(10)의 하단에서 분리되어 포탄(10)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포탄(10)을 밀어서 포신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이동시에 후방 가압부(313)에 의하여 포탄(10)이 이동하므로 정지 마찰력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으며, 하부 지지부(315)가 이탈 홈(321)에 삽입된 후에는 포탄(10)이 지지 롤러(316)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포탄(10)이 용이하게 포신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포탄 이송 장치(100)
110: 이송 지지대
112, 212, 312: 바디부
113, 213, 313: 후방 가압부
114: 안전부재
115, 215, 315: 하부 지지부
116, 316: 지지 롤러
120: 승강부재
121: 승강 실린더
123: 피스톤
125: 경사 조절부재
130: 하부 프레임
131: 하부 지지판
132: 바퀴
136: 브레이크 부재
138: 고정부재
140: 손잡이부
150: 제어기
217: 스토퍼

Claims (10)

  1. 포탄을 지지하는 이송 지지대;
    상기 이송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퀴를 갖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이송 지지대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지지대는 상기 포탄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과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기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후방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가압 실린더와 상기 가압 실린더 내에 설치되되 상기 가압 실린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포탄을 밀어내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후방 가압부의 하부에서 상기 후방 가압부를 지지하며,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의하여 상기 이송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는 정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지지대에는 상기 정지 홈에 끼워지되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안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지지대는 일 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포탄을 지지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 막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6. 포탄을 지지하는 이송 지지대;
    상기 이송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퀴를 갖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이송 지지대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지지대는 상기 포탄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과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기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후방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유압 펌프 또는 공압 펌프와 연결된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 실린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사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는 종단면이 호형으로 만곡된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조절 홈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름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롤러와 구동 롤러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의 상면이 상기 포탄의 하단과 맞닿아 상기 무한궤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포탄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8. 포탄을 지지하는 이송 지지대;
    상기 이송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퀴를 갖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이송 지지대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지지대는 상기 포탄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과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기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후방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롤러와 구동 롤러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무한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의 상면이 상기 포탄의 하단과 맞닿아 상기 무한궤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포탄이 이동하며,
    상기 무한궤도는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 측면에는 구형의 종단면을 갖는 복수의 연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타측 측면에는 구형의 종단면을 갖는 복수의 연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상기 연결 돌기가 이웃하는 지지판의 상기 연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들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9. 포탄을 지지하는 이송 지지대;
    상기 이송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퀴를 갖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이송 지지대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지지대는 상기 포탄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홈과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포탄의 후단을 삽입하여 지지하며 상기 포탄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후방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지지대는 포탄을 지지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후방 가압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포탄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가압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후방 가압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는 함께 상기 포탄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 홈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가 삽입되는 이탈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가 상기 이탈 홈에 삽입될 때,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포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홈과 상기 지지 홈의 바닥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의 상면에는 마찰력의 증가시키는 마찰 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탄 이송 장치.
KR1020190109137A 2019-09-03 2019-09-03 포탄 이송 장치 KR10221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137A KR102219939B1 (ko) 2019-09-03 2019-09-03 포탄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137A KR102219939B1 (ko) 2019-09-03 2019-09-03 포탄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939B1 true KR102219939B1 (ko) 2021-02-25

Family

ID=7473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137A KR102219939B1 (ko) 2019-09-03 2019-09-03 포탄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290A1 (ko) * 2021-05-27 2022-12-01 국방과학연구소 고정식 총포용 자율 이송 기반의 무인 탄약 장전 시스템 및 그것을 구성하는 자동장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669B1 (en) * 1999-09-23 2004-08-10 Bofors Defence Aktiebolag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ading artillery pieces by means of flick ramming
KR20080071823A (ko) * 2007-01-31 2008-08-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사체 급속 장전장치
KR20160136147A (ko) * 2015-05-19 2016-11-29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669B1 (en) * 1999-09-23 2004-08-10 Bofors Defence Aktiebolag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ading artillery pieces by means of flick ramming
KR20080071823A (ko) * 2007-01-31 2008-08-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사체 급속 장전장치
KR20160136147A (ko) * 2015-05-19 2016-11-29 국방과학연구소 포탄 이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290A1 (ko) * 2021-05-27 2022-12-01 국방과학연구소 고정식 총포용 자율 이송 기반의 무인 탄약 장전 시스템 및 그것을 구성하는 자동장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7764B (zh) 一种导弹支撑台及使用该导弹支撑台的筒弹对接工装
KR102219939B1 (ko) 포탄 이송 장치
US5807057A (en) Transport vehicle for taking up and taking down containers and the like onto or from a loading platform thereof
KR101592292B1 (ko)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2010030771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チルト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KR20140067467A (ko) 이송대차
JP5963183B1 (ja) ベルトコンベヤー装置
KR101742589B1 (ko) 포탄 이송 장치
US20090127001A1 (en) Pipehandler
US3606952A (en) Ordnance loading system
KR102015767B1 (ko) 탄약 공급 장치
JP7183084B2 (ja) 杭圧入システム及び杭圧入施工方法
US10589939B2 (en) Telescopic conveyor support assembly
PL186244B1 (pl) Hydrauliczna obudowa krocząca
US2859890A (en) Mobile mechanical handling device
KR101861061B1 (ko) 트럭크레인의 원스톱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KR20180001290U (ko) 지게차
JP6331872B2 (ja) シュート装置及びばら物充填装置
JPH11147607A (ja) 伸縮可能な移動ベルトコンベアー
JP2004034865A (ja) 重量物搬送台車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3125209A (en) Stacker conveyor and method of conveying
KR102153124B1 (ko)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JP2008214891A (ja) 重量物移送台及び重量物搬送システム
KR102369377B1 (ko) 친환경 지게차
CN215515657U (zh) 一种物料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