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273A -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 - Google Patents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273A
KR20230082273A KR1020210170035A KR20210170035A KR20230082273A KR 20230082273 A KR20230082273 A KR 20230082273A KR 1020210170035 A KR1020210170035 A KR 1020210170035A KR 20210170035 A KR20210170035 A KR 20210170035A KR 20230082273 A KR20230082273 A KR 2023008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water
rice
cotton cloth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득
Original Assignee
황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득 filed Critical 황명득
Priority to KR102021017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273A/ko
Publication of KR2023008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없이 쌀뜨물이나 늘보리쌀뜨물을 이용해 간단하게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그때마다 필요할 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청국장을 일일이 시장이나 마트에 가서 구입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고, 저장성이나 열악한 보존 및 유통에 신경쓰지 않아도 됨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며,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안전한 질 높은 청국장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 방법은 국내산 대두 메주콩을 준비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하게 세척한 후, 물에 넣고 불리는 대두 메주콩 세척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의 불림 상태를 확인한 후 충분히 불린 상태가 되면 채반에 건져서 물을 빼내고, 대두 메주콩이 익을 때까지 쪄서 익힌 다음, 익은 대두 메주콩을 식혀 준비하는 대두 메주콩 준비단계와; 쌀을 물로 씻어 세척하되, 첫번째 물은 버리고 다시 씻어 쌀뜨물을 받아 준비하는 쌀뜨물 준비단계와; 상기 쌀뜨물을 차갑게 식힌 대두 메주콩에 부어 섞어 준 다음 쌀뜨물을 따라내 쌀뜨물에 포함된 바실러스균을 익힌 대두 메주콩에 접종시키는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에서 별도로 따라낸 쌀뜨물에 면보자기를 담궈 충분히 적신 후 다시 면보자기에서 쌀뜨물의 물기를 짜내 면보자기를 바실러스균의 배양 환경으로 조성하는 면보자기 준비단계와; 상기 면보자기를 펼친 후 면보자기 위에 바실러스균이 접종된 대두 메주콩을 고르게 펴준 다음, 다시 면보자기로 대두 메주콩을 감싼 상태로 24 ~ 25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대두 메주콩 발효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Fast femented bean paste and manufaturing method without rice straw therof}
본 발명은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볏짚없이 쌀뜨물이나 늘보리쌀뜨물을 이용해 간단하게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그때마다 필요할 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청국장을 일일이 시장이나 마트에 가서 구입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고, 저장성이나 열악한 보존 및 유통에 신경쓰지 않아도 됨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며,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안전한 질 높은 청국장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청국장은 콩을 원료로 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간장, 된장, 고추장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상용되어 온 전통 장류 중의 하나이며,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민족에게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및 지방산을 공급시켜 주는 식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 있는 바실러스균(枯草菌)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워 만든 것으로서, 발효과정 중에 바실러스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는 동시에, 원료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하며, 이렇게 발효제조된 청국장은 영양면에서 된장이나 고추장보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높은 양질의 콩 발효식품이다.
이러한 청국장은 항암작용, 비만억제, 고혈압예방, 뇌졸중과 심장병 예방, 혈관질환 예방, 당뇨병 예방, 치매 예방, 골다공증 예방, 간 기능 강화 및 체내 독소 해독, 위 기능 강화, 노화방지, 성기능강화, 면역력 강화, 유방암 및 대장암, 직장암, 췌장암, 폐암, 위암 등 각종 암 예방 등의 효능이 이미 알려져 있고, 각종 에스터, 산, 알콜, 설파이드 등 휘발성 향기 성분과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유리아미노산, 저분자 산성 펩타이드·젖산 및 숙신산 등 의 유기산, GMPㆍCMPㆍ IMP 등의 핵산 성분 등 풍미 성분과 펩타이드류ㆍ캡사이신 및 갈색 색소(brown pigment) 등 항비만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에 우수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세계적인 소스상품으로 발전시키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고 있다.
또한, 청국장은 전통장류 중 유일하게 소금을 첨가하지 않고 고온에서 속성으로 발효시킨 식품이기도 하다. 청국장에는 콩으로부터 유래된 이소플라본, 피트산, 사포닌, 트립신저해제, 토코페롤, 불포화지방산, 식이섬유, 올리고당 등의 각종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물질 및 혈전용해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통상 된장은 발효시켜서 먹기까지 몇 달이 걸리지만 청국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속성 발효담근지 2~3일이면 먹을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며, 콩을 통째로 발효시켜 그대로 먹으므로 영양 손실이 적다. 또한 다른 장과는 달리 만들기가 쉽고 바로 띄워서 먹을 수 있으므로 각 가정에서도 부담 없이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청국장이 바실러스 균주에 의해 발효가 일어나면 대두가 갖고 있던 원래의 유익한 물질과 더불어 대두에 없었던 고분자핵산, 갈변물질, 단백질분해효소(혈전용해제), 끈적끈적한 점액물질(polyglutamic acid) 등의 새로운 물질들이 만들어진다.
또한 대두가 분해되면서 그것을 먹이로 미생물이 증식하고, 각종 항암물질, 항산화물질, 면역증강물질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만들어진다. 청국장을 먹는다는 것은 결국 수백억마리의 청국장발효균주, 각종 효소, 생리 활성물질을 먹는 것과 같다. 청국장에 있는 사포닌은 유해성분의 장점막과 접촉시간을 줄이고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독성을 역하게 하고 청국장을 끈적끈적하게 하는 점액물질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은 항암물질을 운반하고 그 자체가 항암효능을 가지고 있어 항암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2차적으로 비만과 성인병을 없애는데 도움을 주어 최근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한편, 통상 청국장은 대두 메주콩을 삶아 사용하고 볏짚을 이용해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속성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공정이 간단해 일반 가정에서 쉽게 만들 수 있으나, 볏짚이 없어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지 못하고, 이미 만들어진 청국장을 시장이나 마트에서 구입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저장성 및 열악한 보존 및 유통의 부담을 안고 구매해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보다 신선하고 안전한 청국장의 먹거리에 어려움이 있고, 볏짚을 이용한 재래식 청국장의 경우에는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재현성이 좋지 않고, 균일한 품질을 지닌 청국장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4368호(2018.08.01.공고) "청국장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볏짚없이 쌀뜨물이나 늘보리쌀뜨물을 이용해 간단하게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그때마다 필요할 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청국장을 일일이 시장이나 마트에 가서 구입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고, 저장성이나 열악한 보존 및 유통에 신경쓰지 않아도 됨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며,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안전한 질 높은 청국장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의 한 형태는, 국내산 대두 메주콩을 준비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하게 세척한 후, 물에 넣고 불리는 대두 메주콩 세척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의 불림 상태를 확인한 후 충분히 불린 상태가 되면 채반에 건져서 물을 빼내고, 대두 메주콩이 익을 때까지 쪄서 익힌 다음, 익은 대두 메주콩을 식혀 준비하는 대두 메주콩 준비단계와; 쌀을 물로 씻어 세척하되, 첫번째 물은 버리고 다시 씻어 쌀뜨물을 받아 준비하는 쌀뜨물 준비단계와; 상기 쌀뜨물을 차갑게 식힌 대두 메주콩에 부어 섞어 준 다음 쌀뜨물을 따라내 쌀뜨물에 포함된 바실러스균을 익힌 대두 메주콩에 접종시키는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에서 별도로 따라낸 쌀뜨물에 면보자기를 담궈 충분히 적신 후 다시 면보자기에서 쌀뜨물의 물기를 짜내 면보자기를 바실러스균의 배양 환경으로 조성하는 면보자기 준비단계와; 상기 면보자기를 펼친 후 면보자기 위에 바실러스균이 접종된 대두 메주콩을 고르게 펴준 다음, 다시 면보자기로 대두 메주콩을 감싼 상태로 24 ~ 25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대두 메주콩 발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볏짚없이 쌀뜨물이나 늘보리쌀뜨물을 이용해 간단하게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그때마다 필요할 때 만들어 먹을 수 있어, 기존에 청국장을 일일이 시장이나 마트에 가서 구입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고, 더욱이 저장성이나 열악한 보존 및 유통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며,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고,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안전한 질 높은 청국장 먹거리의 제공으로 일반 가정에서 청국장을 안심하고 마음껏 섭취할 수 있어, 청국장에 포함된 사포닌이 유해성분의 장점막과 접촉시간을 줄이고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독성을 역하게 하고, 청국장을 끈적끈적하게 하는 점액물질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은 항암물질을 운반하고 그 자체가 항암효능을 가지고 있어 항암효과가 우수하며, 2차적으로 비만과 성인병을 없애는 청국장의 효능으로 건강을 한층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2는 대두 메주콩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대두 메주콩을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하게 세척하는 사진.
도 4는 깨끗하게 세척한 대두 메주콩을 채반에 받쳐서 물기를 빼주는 사진.
도 5는 세척한 대두 메주콩을 밤새 불리는 사진.
도 6은 밤새 불린 대두 메주콩의 상태를 확인하는 사진.
도 7 및 도 8은 불린 대두 메주콩을 익히고 다시 식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9 내지 도 12는 쌀을 약수물로 씻어 쌀뜨물을 준비하는 사진으로서,
도 9는 준비된 쌀의 사진.
도 10은 첫물을 버리는 사진.
도 11 및 12는 쌀을 약수물로 씻은 후 쌀뜨물을 수득하는 사진.
도 13은 수득한 쌀뜨물을 익힌 대두 메주콩에 넣고 섞어 대두 메주콩에 쌀뜨물의 미생물 바실러스균을 접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4 및 도 15는 채반으로 대두 메주콩의 물기를 빼주는 사진.
도 16 및 도 17은 대두 메주콩에서 별도로 수거한 쌀뜨물에 면보자기를 충분히 담궈 적신 후 다시 짜서 물기를 빼주는 사진.
도 18 및 도 19는 통풍이 잘되는 소쿠리 등과 같은 그릇에 쌀뜨물의 물기를 빼낸 면보자기를 펴서 깔아준 다음 쌀뜨물의 미생물 바실러스균이 접종된 익힌 대두 메주콩을 면보자기에 펼쳐 넣는 사진.
도 20 및 도 21은 도 19의 상태에서 습기가 날라가지 않게 면보자기를 덮고 이불 등으로 감싸 최소 24시간 이상 발효시킨 사진.
도 22는 발효된 후 면보자기를 다시 펼쳤을 때 청국장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두 메주콩 세척단계 - 대두 메주콩 준비단계 - 쌀뜨물 준비단계 -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 - 면보자기 준비단계 - 대두 메주콩 발효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각 단계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 같다.
(대두 메주콩 세척단계)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산 대두 메주콩을 준비한다.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하게 씻어준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깨끗하게 세척한 대두 메주콩을 채반에 받쳐서 물기를 빼준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밤새 불려준다.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주콩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2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부를 넣고, 21 내지 30℃에서 22시간 내지 26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대두 메주콩 준비단계)
이 단계는 먼저 불린 대두 메주콩의 상태를 확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불린 대두 메주콩의 단면을 살펴보았을 때, 대두 메주콩 안에 선이 보이면 덜 불린 것이고, 선이 보이지 않고 단면이 깨끗하면 충분히 불린 것이다. 이렇게 대두 메주콩의 불림 상태를 확인한 후 충분히 불린 상태가 되면 채반에 건져서 물을 빼내게 되는데, 이때 불린 대두는 물에 침지시킨 대두를 건져서 5 내지 15분간 물기를 뺀 것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압력솥 안에 찜기 받침을 넣고 찜기 받침 위에 물기를 빼낸 불린 대두 메주콩을 올려 놓고 압력솥의 불을 약하게 하여 쪄서 익힌는데,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두 메주콩이 으깨어질 수 있는 정도로 물컹하게 충분히 익힌다. 이렇게 압력솥으로 쪄서 익힌 대두 메주콩은 다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게 식힌다.
(쌀뜨물 준비단계)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쌀을 물로 씻는데, 이때 물을 약수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물은 버린다. 그런 다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 3번 씻어 나온 쌀뜨물은 별도로 수거한다. 쌀은 도정 날짜가 짧을수록 쌀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바실러스균을 더 신선하게 얻을 수 있다.
바실러스균은 세균이다. 균으로 잘못 알고 있기도 하나 학문적으로 균은 곰팡이를 말한다. 바실러스균은 특정 세균의 이름이 아니고, 큰 분류균 중 속균이다. 바실러스균 중에 흔히 알려진 균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us cereus)(식중독을 일으키는 균), 바실러스 서브틸라스 균주(Bacilus subtlis), 바실러스균(Bacilus thuringiensis)(곤충병원성균) 등이 있다. 첫번째는 사람한테 직접적인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이고, 두번째는 발효를 일으키는 균으로 주로 메주콩 청구장을 만들때 많이 사용하는 균이며, 세번째는 곤충을 죽이는 바실러스균이다. 친환경농법에 이용되는 균이기도 하다.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
이 단계는 별도로 수거한 쌀뜨물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쪄서 익힌 대두 메주콩에 넣고 섞어 대두 메주콩에 쌀뜨물의 미생물 바실러스균을 접종하는 것으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종한 후에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반으로 대두 메주콩의 물기를 빼준다.
(면보자기 준비단계)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두 메주콩에서 별도로 수거한 쌀뜨물에 면보자기를 충분히 담궈 적신 후 다시 짜서 물기를 빼준다. 이렇게 하면 면보자기를 바실러스균의 배양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대두 메주콩 발효단계)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뜨물의 물기를 빼낸 면보자기를 펴서 깔아준 다음 쌀뜨물의 미생물 바실러스균이 접종된 익힌 대두 메주콩을 잘 띄워지게 면보자기에 얇고 고르게 펼쳐 넣는다. 그런 다음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가 날라가지 않게 면보자기를 덮고 이불 등으로 감싸 최소 24 ~ 25시간 발효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쪄서 익히는 과정에서 멸균된 상기 대두 메주콩을 면보자기 위에 3 ~ 4cm의 두께로 넓게 펼치고 39 내지 49℃의 온도와 습도 70 ~ 80% 내의 환경에서 바실러스균을 활성화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이같이 발효 과정을 통해 자연균인 청국장 균주가 장착됨에 따라 대두가 분해되면서 그것을 먹이로 미생물, 즉 쌀뜨물로 대두 메주콩에 접종한 바실러스스균이 증식된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두 메주콩의 표면에 발효균이 생성되고, 바실러스 균주에 의해 발효가 일어나면 대두가 갖고 있던 원래의 유익한 물질과 더불어 대두에 없었던 고분자핵산, 갈변물질, 단백질분해효소(혈전용해제), 끈적끈적한 점액물질(polyglutamic acid) 등의 새로운 물질들이 만들어지고, 자연균을 기반으로 발효되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 우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일반 쌀 대신 늘보리쌀쌀로 대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쌀뜨물을 이용한 동일한 단계 및 과정을 통해 실시해 본 결과 일반 쌀로 청국장을 제조하는 것과 같이 청국장의 제조가 가능했고, 그 제조 방법은 대두 메주콩 세척단계를 거친 불린 후 대두 메주콩이 익을 때까지 쪄서 익힌 다음, 익은 대두 메주콩을 식혀 준비하는 대두 메주콩 준비단계와; 늘보리쌀을 물로 씻어 세척하되, 첫번째 물은 버리고 2 ~ 3번째 늘보리쌀뜨물을 받아 준비하는 늘보리쌀뜨물 준비단계와; 상기 늘보리쌀뜨물을 차갑게 식힌 대두 메주콩에 부어 섞어 주는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와; 상기 바실러스균 접종단계를 통해 수집한 늘보리쌀뜨물에 면보자기를 담궈 충분히 적신 후 다시 면보자기에서 늘보리쌀뜨물의 물기를 짜내는 면보자기 준비단계와; 상기 면보자기 위에 상기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를 거친 대두 메주콩을 면보자기 위에 넣고 펴준 후, 다시 면보자기로 대두 메주콩을 감싸주고 24 ~ 25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대두 메주콩 발효단계;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쌀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각 단계별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볏짚없이 쌀뜨물이나 늘보리쌀뜨물을 이용해 간단하게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그때마다 필요할 때 만들어 먹을 수 있어, 기존에 청국장을 일일이 시장이나 마트에 가서 구입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고, 더욱이 저장성이나 열악한 보존 및 유통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며,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고,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안전한 질 높은 청국장 먹거리의 제공으로 일반 가정에서 청국장을 안심하고 마음껏 섭취할 수 있어, 청국장에 포함된 사포닌이 유해성분의 장점막과 접촉시간을 줄이고 유해성분을 흡착하여 독성을 억제하고, 청국장을 끈적끈적하게 하는 점액물질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은 항암물질을 운반하고 그 자체가 항암효능을 가지고 있어 항암효과가 우수하며, 2차적으로 비만과 성인병을 없애는 청국장의 효능으로 건강을 한층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국내산 대두 메주콩을 준비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하게 세척한 후, 물에 넣고 불리는 대두 메주콩 세척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의 불림 상태를 확인한 후 충분히 불린 상태가 되면 채반에 건져서 물을 빼내고, 대두 메주콩이 익을 때까지 쪄서 익힌 다음, 익은 대두 메주콩을 식혀 준비하는 대두 메주콩 준비단계와;
    쌀을 물로 씻어 세척하되, 첫번째 물은 버리고 다시 씻어 쌀뜨물을 받아 준비하는 쌀뜨물 준비단계와;
    상기 쌀뜨물을 차갑게 식힌 대두 메주콩에 부어 섞어 준 다음 쌀뜨물을 따라내 쌀뜨물에 포함된 바실러스균을 익힌 대두 메주콩에 접종시키는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에서 별도로 따라낸 쌀뜨물에 면보자기를 담궈 충분히 적신 후 다시 면보자기에서 쌀뜨물의 물기를 짜내 면보자기를 바실러스균의 배양 환경으로 조성하는 면보자기 준비단계와;
    상기 면보자기를 펼친 후 면보자기 위에 바실러스균이 접종된 대두 메주콩을 고르게 펴준 다음, 다시 면보자기로 대두 메주콩을 감싼 상태로 발효시키는 대두 메주콩 발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청국장.
  3. 국내산 대두 메주콩을 준비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깨끗하게 세척한 후, 물을 넣고 불리는 대두 메주콩 세척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의 불림 상태를 확인한 후 충분히 불린 상태가 되면 채반에 건져서 물을 빼내고, 대두 메주콩이 익을 때까지 쪄서 익힌 다음, 익은 대두 메주콩을 식혀 준비하는 대두 메주콩 준비단계와;
    늘보리쌀을 물로 씻어 세척하되, 첫번째 물은 버리고 다시 씻어 늘보리쌀뜨물을 받아 준비하는 늘보리쌀뜨물 준비단계와;
    상기 늘보리쌀뜨물을 차갑게 식힌 대두 메주콩에 부어 섞어 준 다음 늘보리쌀뜨물을 따라내 늘보리쌀뜨물에 포함된 바실러스균을 익힌 대두 메주콩에 접종시키는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와;
    상기 대두 메주콩 바실러스균 접종단계에서 별도로 따라낸 늘보리쌀뜨물에 면보자기를 담궈 충분히 적신 후 다시 면보자기에서 쌀뜨물의 물기를 짜내 면보자기를 바실러스균의 배양 환경으로 조성하는 면보자기 준비단계와;
    상기 면보자기를 펼친 후 면보자기 위에 바실러스균이 접종된 대두 메주콩을 고르게 펴준 다음, 다시 면보자기로 대두 메주콩을 감싸준 상태로 발효시키는 대두 메주콩 발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청국장.


KR1020210170035A 2021-12-01 2021-12-01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 KR20230082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35A KR20230082273A (ko) 2021-12-01 2021-12-01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35A KR20230082273A (ko) 2021-12-01 2021-12-01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73A true KR20230082273A (ko) 2023-06-08

Family

ID=8676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35A KR20230082273A (ko) 2021-12-01 2021-12-01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2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68B1 (ko) 2016-06-03 2018-08-01 주애순 청국장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68B1 (ko) 2016-06-03 2018-08-01 주애순 청국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9210B (zh) 一种香辣豆瓣酱速酿工艺
CN105231363B (zh) 红糟酸豆角的制备方法
KR101748948B1 (ko) 모링가 발효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Ray et al. Oriental fermented functional (probiotic) foods
KR20210051134A (ko) 전두유와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콩치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3965B1 (ko) 모링가 된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1123103B1 (ko) 건강성분을 강화한 발효식품 제조방법
KR20180026001A (ko) 보이차를 이용한 장류 및 그 제조방법
CN106071863A (zh) 一种豆豉的生产制作工艺
KR101803756B1 (ko) 인삼추출물을 함유한 장류의 제조방법
KR102266142B1 (ko) 직화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화 핫도그
KR101753964B1 (ko) 모링가 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53966B1 (ko) 모링가 고추장과 이의 제조방법
KR20230082273A (ko) 볏짚없이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청국장
KR102137763B1 (ko) 냄새 없는 발아콩 청국장 제조방법
KR102289415B1 (ko) 닭가슴살 가공방법 및 그에 의해 가공된 닭가슴살
Selvi et al.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s as sources of protein-rich diet: an overview
KR20050118249A (ko) 수박고추장 을 주제로 한 수박고추장제조 방법
CN112931785A (zh) 一种发酵豆食的制备方法
KR102147322B1 (ko) 조리에 간편한 매운 청국장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69095A (ko) 수비드 공법을 이용한 돼지고기 시금치 죽 제조방법
KR101642106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육수 제조방법
JP2008263904A (ja) 小豆発酵食品
Nowak et al. Functional properties of traditional food products made by mold fermentation
JPWO2006109821A1 (ja) 豆板醤の製造方法および豆板醤利用食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