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554A -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554A
KR20230080554A KR1020210167870A KR20210167870A KR20230080554A KR 20230080554 A KR20230080554 A KR 20230080554A KR 1020210167870 A KR1020210167870 A KR 1020210167870A KR 20210167870 A KR20210167870 A KR 20210167870A KR 20230080554 A KR20230080554 A KR 2023008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conveyor belt
frame
cell plate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건민
이상로
박광우
양철주
문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피
Priority to KR102021016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554A/ko
Priority to PCT/KR2022/019200 priority patent/WO2023101414A1/ko
Publication of KR2023008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5Electronic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5Electronic waste
    • B09B2101/16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장치는, 컨베이어 벨트(20)에 의해 이송되는 태양광 모듈(10)에서 정션박스, 종방향 프레임, 횡방향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제거되되 태양광 모듈의 셀 플레이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이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를 구비하고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를 높이방향 및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상기 태양광 모듈(10)로부터 정션박스(14)를 제거하는 정션박스 해체유닛(100)과,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태양광 모듈(10)을 일정 높이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를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션박스(14)가 제거된 태양광 모듈(10)에서 종방향 프레임(16)을 제거하는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 및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를 구비하고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션박스(14) 및 종방향 프레임(16)이 제거된 태양광 모듈(10)에서 횡방향 프레임(18)을 제거하는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disassembling of photovoltaic module for recycling}
본 발명은 재활용을 위해 폐 태양광 모듈을 자동으로 해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설비의 핵심을 이루는 태양광 모듈의 수명은 평균 대략 25년으로서 전세계적으로 폐기되는 태양광 모듈의 처리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2000년 이전에 생산, 설치되어 수명(15∼20년)이 다한 태양광 모듈은 산업용 폐기물로 발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처리 기준이나 폐기물 회수 장치가 없어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국내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태양광 모듈의 소비가 늘었고 또한 앞으로도 그린뉴딜 정책으로 태양광 모듈의 소비가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폐 태양광 모듈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폐 태양광 모듈을 재활용하는 기술에 대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태양광 모듈은 일반적으로 커버유리, EVA 접착제, 태양전지 셀, EVA 접착체층, 백시트 순으로 적층된 셀 플레이트와, 이를 외부충격이나 악천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셀 플레이트 외측면에 결합되는 견고한 알루미늄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셀 플레이트의 일측면(후면)에는 셀 플레이트의 태양전지 셀에서 모아진 전력을 외부로 보내기 위해 정션박스가 부착된다.
폐 태양광 모듈의 재활용 공정은 보통 셀 플레이트로부터 알루미늄 프레임과 정션박스를 해체하는 물리적 공정과, 셀 플레이트의 커버유리를 분리하고 태양전지 셀로부터 소재를 분리하는 물리적/화학적 공정으로 구분된다. 분리된 알루미늄 프레임은 바로 재활용으로 활용되고, 분리된 커버유리로부터는 저철분 유리를 회수하고, 분리된 소재로부터 실리콘, 은, 구리와 같은 유기물을 회수하게 된다.
이렇게 폐 태양광 모듈을 재활용 하기 위해서는 셀 플레이트와, 알루미늄 프레임 및 정션박스를 분리해야 하는 공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일반적으로이와 같은 작업은 보통 수작업에 이루어지고 있어 생산성이 낮다. 또한 알루미늄 프레임을 분리하는 기술은 소개되고 있으나 정션박스를 분리하는 기술은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재활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셀 플레이트에 손상 특히 커버유리가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5049호(2020.07.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첫째, 셀 플레이트로부터 알루미늄 프레임과 정션박스를 자동으로 제거하고, 둘째 셀 플레이트 특히 커버유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는, 셀 플레이트(12)와,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정션박스(14)와,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상하측단에 부착되는 종방향 프레임(16) 및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좌우측단에 부착되는 횡방향 프레임(18)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10)을 자동으로 해체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의 구성은,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20); 상기 컨베이어 벨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30);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를 높이방향 및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상기 태양광 모듈(10)로부터 정션박스(14)를 제거하는 정션박스 해체유닛(100); 상기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정션박스 해체유닛(100)의 후류에 위치하며,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일정 높이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를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션박스(14)가 제거된 태양광 모듈(10)에서 종방향 프레임(16)을 제거한 후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20)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 상기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의 후류에 위치하며,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션박스(14) 및 종방향 프레임(16)이 제거된 태양광 모듈(10)에서 횡방향 프레임(18)을 제거한 후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20)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 상기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의 후류 상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0) 부근에 설치되어 컨베어어 벨트(20)를 거친 태양광 모듈(10)에서 정션박스와 종방향 프레임 및 횡방향 프레임이 제거된 셀 플레이트(12)가 이송되는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 및, 상기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에 이송된 셀 플레이트(12)가 적재되는 수거 파렛(9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모듈에서 정션박스, 종방향 프레임, 횡방향 프레임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분리된 셀 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태양광 모듈의 분리 작업에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 작업시 셀 플레이트가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재활용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해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정션박스 해체유닛의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10)은 셀 플레이트(12)와,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정션박스(14)와,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상하측단에 부착되는 종방향 프레임(16) 및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좌우측단에 부착되는 횡방향 프레임(18)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는 태양광 모듈(10)로부터 먼저 정션박스(14)를 제거하고, 그 후 종방향 프레임(16)과 횡방향 프레임(18)을 순차적으로 분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는 태양광 모듈(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20)와, 컨베이어 벨트(20)를 구동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50)와, 각종 정지 센서들의 신호를 받아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50)를 제어하고 또한 후술할 각종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40)와, 컨베이어 벨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30)와, 태양광 모듈에서 정션박스를 분리하기 위한 정션박스 해체유닛(100)과, 태양광 모듈에서 종방향 프레임을 분리하기 위한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과, 태양광 모듈에서 횡방향 프레임을 분리하기 위한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정션박스 해체유닛(100),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 및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하기로 한다.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는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의 후류 상의 컨베이어 벨트(20) 부근에 설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0)를 거치면서 정션박스와 종방향 프레임 및 횡방향 프레임이 제거된 셀 플레이트(12)는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에 이송된다.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는 지지대(70)에 의해 지지된다.
수거 파렛(90)은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60) 부근에 설치되어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60)에 이송된 셀 플레이트(12)가 적재된다.
여기서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는 셀 플레이트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일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를 통과한 상기 셀 플레이트(12)는 수거 파렛(90)에 중력에 의해 미끄러지듯이 안착되어 적재되며, 따라서 커버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정션박스 해체유닛(100)은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를 구비하는데, 이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를 높이방향 및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태양광 모듈(10)로부터 정션박스(14)를 제거하게 된다.
도 3a는 정션박스 해체유닛의 정면도, 도 3b는 정션박스 해체유닛의 평면도, 도 3c는 정션박스 해체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정션박스 해체유닛(100)은 제1 지지대(110)와, 제1 가로지지대(120)와, 정션박스 제거 유압기(140) 및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대(110)는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수직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로 이루어진 'ㄱ'자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제1 지지대(110)의 상부 수평지지대에는 상하 수평방향을 따라 제1 수평이동레일(112)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하 수평방향'이라 함은 직사각형의 태양광 모듈을 평면에서 볼 때 상하부 즉 위아래 수평방향(종방향)을 의미하며. '좌우 수평방향'이라 함은 직사각형의 태양광 모듈을 평면에서 볼 때 좌우 수평방향(횡방향)을 의미한다.
제1 가로지지대(120)는 상기 제1 수평이동레일(112)을 따라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정션박스 위치 감지센서(130)가 설치된다.
정션박스 제거 유압기(140)는 제1 가로지지대(120)에 지지되게 설치되는데,구체적으로 제1 가로지지대(120)가 유압기 수직이동 실린더(160)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므로 이와 연동하여 높이방향으로 수직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정션박스 제거 유압기(140)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 실린더(142)를 구비한다.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는 정션박스 제거 유압기(140)의 단부 즉 수평이동 실린더(142)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정션박스 제거 유압기(14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셀 플레이트(12)에 부착된 정션박스(14)를 제거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은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정션박스 해체유닛(100)의 후류에 위치하며,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를 구비하고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된다.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은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태양광 모듈(10)을 일정 높이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를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태양광 모듈(10)에서 종방향 프레임(16)을 제거한 후,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컨베이어 벨트(20)로 다시 하강시키도록 한다.
도 4a는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정면도, 도 4b는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평면도, 도 4c는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은 제2 지지대(210)와, 상면 프레임 고정판(240)이 설치되는 제2 가로지지대(220)와, 하면 프레임 고정 유압기(250)와, 종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260) 및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를 포함한다.
제2 지지대(210)는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 수평방향을 따라 제2 수평이동레일(212)이 설치된다.
제2 가로지지대(220)는 제2 수평이동레일(212)을 따라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패널크기 감지센서(230)를 구비한다.
상면 프레임 고정판(240)은 제2 지지대(210)에 설치된다.
하면 프레임 고정 유압기(250)는 스탠드(30)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태양광 모듈(10)의 횡방향 프레임(18)의 저면을 높이 방향으로 밀어 올려 횡방향 프레임(18)의 상면이 상기 상면 프레임 고정판(240)에 가압되도록 한다.
종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260)는 제2 가로지지대(220)에 설치되며,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 실린더(262)를 구비한다.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는 종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260)의 단부 즉 수평이동 실린더(262)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종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26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여 셀 플레이트(12)에 부착된 종방향 프레임(16)을 제거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은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의 후류에 위치하며,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를 구비하고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된다.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은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션박스(14) 및 종방향 프레임(16)이 제거된 태양광 모듈(10)에서 횡방향 프레임(18)을 제거한 후, 태양광 모듈(10)을 컨베이어 벨트(20)로 다시 하강시키도록 한다.
도 5a는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정면도, 도 5b는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평면도, 도 5c는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은 제3 지지대(310)와, 상편 플레이트 고정판(320)과, 하면 플레이트 고정 유압기(330)와, 횡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340) 및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를 포함한다.
제3 지지대(310)는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된다.
상면 플레이트 고정판(320)은 제3 지지대(310)에 설치되는데, 그 단부는 태양광 모듈(10)의 셀 플레이트에 직접 접촉하므로 연질의 실리콘 플레이트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 플레이트 고정 유압기(330)는 스탠드(30)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태양광 모듈(10)의 셀 플레이트(12)의 저면을 높이 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상면이 상면 플레이트 고정판(320)에 가압되도록 한다. 하면 플레이트 고정 유압기(330)의 단부 역시 셀 플레이트에 직접 접촉하므로 연질의 실리콘 플레이트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340)는 제3 지지대(310)에 설치되며,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 실린더(342)를 구비한다.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는 횡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340)의 단부 즉 수평이동 실린더(342)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횡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340)의 동작에 의해 좌우 수평이동하여 상기 상면 플레이트 고정판(320) 및 하면 플레이트 고정 유압기(330)에 의해 지지된 태양광 모듈(10)의 횡방향 프레임(18)을 제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태양광 모듈 12. 셀 플레이트
14. 정션박스 16. 종방향 프레임
18. 횡방향 프레임 20. 컨베이어 벨트
30. 스탠드 60.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
100. 정션박스 해체유닛 110. 제1 지지대
120. 제1 가로지지대 140. 정션박스 제거 유압기
150.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 200.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
210. 제2 지지대 220. 제2 가로지지대
240. 상면 프레임 고정팜 250. 하면 프레임 고정 유압기
260. 종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 270.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
300.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 310. 제3 지지대
320. 상면 플레이트 고정판 330. 하면 플레이트 고정 유압기
340. 횡방향 프레임 제거 유압기 350.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

Claims (1)

  1. 셀 플레이트(12)와,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정션박스(14)와,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상하측단에 부착되는 종방향 프레임(16) 및 상기 셀 플레이트(12)의 좌우측단에 부착되는 횡방향 프레임(18)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10)을 자동으로 해체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20);
    상기 컨베이어 벨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30);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션박스 제거 나이프(150)를 높이방향 및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상기 태양광 모듈(10)로부터 정션박스(14)를 제거하는 정션박스 해체유닛(100);
    상기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정션박스 해체유닛(100)의 후류에 위치하며,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에 지지된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일정 높이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상기 종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270)를 상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션박스(14)가 제거된 태양광 모듈(10)에서 종방향 프레임(16)을 제거한 후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20)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
    상기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종방향 프레임 해체유닛(200)의 후류에 위치하며,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30)에 지지되도록 스탠드(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횡방향 프레임 제거 나이프(35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정션박스(14) 및 종방향 프레임(16)이 제거된 태양광 모듈(10)에서 횡방향 프레임(18)을 제거한 후 상기 태양광 모듈(10)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20)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
    상기 태양광 모듈(10)의 이동 경로상 상기 횡방향 프레임 해체유닛(300)의 후류 상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0) 부근에 설치되어 컨베어어 벨트(20)를 거친 태양광 모듈(10)에서 정션박스와 종방향 프레임 및 횡방향 프레임이 제거된 셀 플레이트(12)가 이송되는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 및,
    상기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셀 플레이트 이송 컨베이어 벨트(60)에 이송된 셀 플레이트(12)가 적재되는 수거 파렛(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KR1020210167870A 2021-11-30 2021-11-30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KR20230080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70A KR20230080554A (ko) 2021-11-30 2021-11-30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PCT/KR2022/019200 WO2023101414A1 (ko) 2021-11-30 2022-11-30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870A KR20230080554A (ko) 2021-11-30 2021-11-30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554A true KR20230080554A (ko) 2023-06-07

Family

ID=8661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870A KR20230080554A (ko) 2021-11-30 2021-11-30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0554A (ko)
WO (1) WO202310141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049A (ko) 2019-01-04 2020-07-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폐 태양광 패널에서 알루미늄 프레임의 분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7625B2 (ja) * 2017-10-11 2019-08-28 株式会社エヌ・ピー・シー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リサイクル装置
KR102037120B1 (ko) * 2018-10-17 2019-10-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크기에 따라 가변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KR20200128944A (ko) * 2019-05-07 2020-11-17 최제학 태양전지 모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KR102185429B1 (ko) * 2020-01-29 2020-12-01 (주)대은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KR102283519B1 (ko) * 2020-08-17 2021-07-29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태양광 폐모듈 건식 재활용을 위한 파쇄 및 회수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049A (ko) 2019-01-04 2020-07-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폐 태양광 패널에서 알루미늄 프레임의 분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14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346B1 (ko) 태양광 패널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2185429B1 (ko)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KR20220074169A (ko)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CN108569510B (zh) 行李筐的输送设备和行李安检系统
CN106862939B (zh) 全自动光伏组件铝边框生产系统
KR102351390B1 (ko) 태양광 모듈 부분 박리장치
CN205085617U (zh) 一种防护盖自动拆装设备
KR102445490B1 (ko) 태양광 폐 패널 강화유리 분리장치
CN107879108A (zh) 金属板材搬运装置
CN116727544B (zh) 一种引线框架制造用冲压模具
CN103552863A (zh) 一种板材翻转机构
CN215156372U (zh) 一种自动撕膜机
KR20230080554A (ko)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CN212126693U (zh) 一种瓷砖输送用转向装置
KR20200001568U (ko) 폐 태양광 패널에서 알루미늄 프레임의 분리장치 및 방법
CN111907852A (zh) 一种端盖贴标装置
KR102419208B1 (ko) 디스플레이용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CN213379533U (zh) 一种铝合金加工装置
CN202439737U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周转车
CN207973238U (zh) 物料框自动分离装置
CN215466182U (zh) 可提高板材利用率的分拣装置
CN214690377U (zh) 一种晶圆输送下料机构
CN213304083U (zh) 一种全自动撕金机
CN115318802B (zh) 一种环保型光伏组件回收系统
CN216937221U (zh) 一种整流桥整形除胶除尘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