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429B1 -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429B1
KR102185429B1 KR1020200010260A KR20200010260A KR102185429B1 KR 102185429 B1 KR102185429 B1 KR 102185429B1 KR 1020200010260 A KR1020200010260 A KR 1020200010260A KR 20200010260 A KR20200010260 A KR 20200010260A KR 102185429 B1 KR102185429 B1 KR 10218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solar
unit
remov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택
이철송
김성지
한재학
Original Assignee
(주)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은 filed Critical (주)대은
Priority to KR1020200010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폐모듈에 부착된 정션박스를 제거하여 프레임제거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정션박스 및 프레임의 제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해체와 각 구성의 재활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A Disassembling System of Unusable Solar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폐모듈에 부착된 정션박스를 제거하여 프레임제거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정션박스 및 프레임의 제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해체와 각 구성의 재활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고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대체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고, 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산업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 사업이 크게 이슈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각종 건물,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도 태양광 발전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 장치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수명을 다한 태양광 모듈의 처분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은 유리, 알루미늄, 실리콘, 구리, 은 등으로 구성되어 90% 이상이 재활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사용 불가능한 태양광 모듈 대부분이 매립되어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태양광 모듈의 수명을 20 ~ 25년으로 보았을 때,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설치되기 시작한 태양광 모듈들이 조만간 그 수명을 다하게 되며, 폐모듈로 처리되어야 할 태양광 모듈의 숫자는 급격하게 늘어날 것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태양광 폐모듈의 경우 중금속이 포함되어 소각이 불가능해 매립 형태로 처리되고 있으나 매립에는 막대한 공간과 예산이 필요하고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태양광 폐모듈을 재활용하기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태양광 모듈 전체를 파쇄하여 분류하도록 하는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그 과정이 매우 어렵고 오래 걸리며 제대로 분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태양광 폐모듈을 재활용할 경우 90% 이상의 부품들을 재활용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어 태양광 폐모듈을 효과적으로 해체하여 재활용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708호(2013. 06. 10. 공개) "태양광 발전 폐설비 재활용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에 부착된 정션박스를 제거하여 프레임제거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정션박스 및 프레임의 제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해체와 각 구성의 재활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을 회전시키면서 태양광 폐모듈 테두리의 프레임을 파지하여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프레임의 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을 상하측에서 가압한 상태로 프레임을 당겨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원활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상하측에서 가압하면서 조임모듈에 의해 프레임을 조여 당기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정확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제거부에 의해 분리된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회수판으로 밀어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된 프레임의 수거가 쉽게 이루어지고 작업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수판에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태양광 폐모듈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파지제거부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양측에서 정확한 프레임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모듈투입부에 태양광 폐모듈을 올려 놓고 일측의 박스분리부에 대한 태양광 폐모듈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션박스제거부에 대한 태양광 폐모듈의 투입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과 정션박스 사이에 분리날을 삽입하여 정션박스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분리날의 전후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다양한 크기와 정션박스의 다양한 위치에도 정확한 정션박스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은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션박스제거부를 통과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가압·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와, 가압고정된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회전시키는 모듈회전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송부와, 프레임제거부의 각 구성이 고정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가압부재와, 태양광 폐모듈의 하측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을 승강시키는 하부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수단은 태양광 폐모듈을 받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실린더와;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함께 승강되는 지지봉과; 상기 승강구동실린더 및 지지봉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일정 경로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지제거부는 상기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 상측을 눌러 가압하는 상부파지수단과, 상기 태양광 폐모듈 프레임의 하측을 가압하는 하부파지수단과, 상기 상부파지수단 및 하부파지수단을 좌우 양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을 외측으로 분리하는 좌우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지수단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상측에서 누르는 상부누름판과, 상기 상부누름판을 승강시키는 상부누름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파지수단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하측에서 누르는 하부누름부재와; 상기 하부누름부재를 승강시키는 하부승강실린더와; 상기 하부누름부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좌우 양측으로 이동하며, 프레임을 조여 고정시키는 조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임모듈은 상기 하부누름부재의 내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프레임에 걸리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기 상부파지수단 및 하부파지수단이 고정되어 함께 좌우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측 끝단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본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우이동부재가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좌우이동레일과; 상기 좌우이동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바닥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돌출단;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부재의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듈회전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를 지지한 상태로 승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태양광 폐모듈에 흡착되는 복수의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파지제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파지제거부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을 파지제거부로부터 밀어 떨어뜨리는 돌출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회수부는 상기 파지제거부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을 미는 회수판과, 상기 회수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수판은 태양광 폐모듈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제거부는 정션박스제거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과, 태양광 폐모듈의 하부에 부착된 정션박스를 분리시키는 박스분리부와, 박스분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박스분리부 내로 태양광 폐모듈을 투입하는 모듈투입부와, 상기 박스분리부 상에서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박스분리부는태양광 폐모듈과 정션박스 사이에 삽입되어 정션박스를 분리시키며, 전후 방향에 한 쌍이 형성되는 분리모듈과; 태양광 폐모듈을 상측에서 누르는 누름부재와; 상기 분리모듈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모듈은 전후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후이동수단과, 상하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하이동수단과, 상하이동수단의 상단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과 정션박스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날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하이동수단이 고정되는 전후이동브라켓과, 상기 전후이동브라켓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분리날의 상하 방향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하이동실린더와, 상기 전후이동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분리날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모듈은 상기 분리모듈을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을 지지하며, 좌우이동판이 좌우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와; 상기 좌우이동모듈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듈투입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되어 태양광 폐모듈을 지지하는 투입본체와, 상기 투입본체 내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을 박스분리부로 투입시키는 푸쉬판과, 상기 푸쉬판에 삽입되어 회전에 따라 푸쉬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푸쉬판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에 부착된 정션박스를 제거하여 프레임제거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정션박스 및 프레임의 제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해체와 각 구성의 재활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을 회전시키면서 태양광 폐모듈 테두리의 프레임을 파지하여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프레임의 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을 상하측에서 가압한 상태로 프레임을 당겨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원활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상하측에서 가압하면서 조임모듈에 의해 프레임을 조여 당기도록 함으로써 프레임의 정확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제거부에 의해 분리된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회수판으로 밀어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된 프레임의 수거가 쉽게 이루어지고 작업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수판에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태양광 폐모듈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파지제거부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양측에서 정확한 프레임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모듈투입부에 태양광 폐모듈을 올려 놓고 일측의 박스분리부에 대한 태양광 폐모듈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션박스제거부에 대한 태양광 폐모듈의 투입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폐모듈과 정션박스 사이에 분리날을 삽입하여 정션박스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분리날의 전후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의 다양한 크기와 정션박스의 다양한 위치에도 정확한 정션박스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제거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압고정부 및 모듈회전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파지제거부의 내측사시도(a) 및 외측사시도(b)
도 5는 프레임제거부에 태양광 폐모듈이 투입되어 정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태양광폐모듈이 상승되어 프레임제거부가 정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태양광폐모듈의 프레임이 가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8은 조임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모듈회전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돌출회수부에 의해 프레임이 회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1은 파지제거부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의 타측면 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프레임의 제거가 종료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3은 프레임제거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1의 정션박스제거부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모듈투입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박스분리부의 사시도
도 17은 좌우이동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8은 태양광 폐모듈이 모듈투입부에 의해 박스분리부로 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9는 박스분리부에 의해 정션박스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0은 정션박스가 제거된 태양광 폐모듈이 프레임제거부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1은 박스제거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은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한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의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수명을 다한 태양광 폐모듈의 발생 또한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태양광 폐모듈을 매립할 경우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막대한 공간과 예상이 필요하므로 태양광 폐모듈의 재활용 또는 재사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하나의 공정에서 태양광 폐모듈(P)의 일측면에 부착된 정션박스(P1)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프레임(P2)을 제거하도록 하여 태양광 폐모듈(P)의 해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태양광 폐모듈(P)의 각 부품에 대한 재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C,D,E,F 의 방향을 각각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제거부(1)는 태양광 폐모듈(P)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프레임(P2)을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를 통해 정션박스(P1)가 제거된 태양광 폐모듈(P)을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레임(P2)을 당겨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프레임(P2)은 사각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폐모듈(P)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프레임제거부(1)는 태양광 폐모듈(P)을 회전시켜 4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P2) 전체를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제거부(1)는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시킨 프레임(P2)을 바닥으로 떨어뜨려 별도의 공간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로부터 이송된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프레임(P2)을 제거시킨 다음 EVA 시트 등을 제거하는 다음 공정으로 자동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제거부(1)는 지지본체(11), 가압고정부(12), 파지제거부(13), 모듈회전부(14), 돌출회수부(15), 모듈이송부(16), 프레임제거작동부(17), 프레임회수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본체(11)는 바닥에 지지되어 프레임제거부(1)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프레임제거부(1)의 각 구성들이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지지본체(11)의 중심에는 모듈이송부(16)가 고정되어 태양광 폐모듈(P)을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모듈이송부(16)의 양측에는 프레임제거부(1)가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P)의 양측에서 프레임(P2)을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지지본체(11)는 프레임제거부(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프레임(P2)을 잡은 상태에서 프레임제거부(1)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프레임(P2)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태양광 폐모듈(P)의 폭, 방향에 상관없이 프레임(P2)을 잡아 분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고정부(12)는 태양광 폐모듈(P)을 상하측에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상부가압부재(121)와, 태양광 폐모듈(P)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하부승강수단(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승강수단(122)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P)을 상승시켜 상부가압부재(121)에 밀착·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P)을 가압·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가압부재(121)는 모듈이송부(16)의 중심측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P)의 상측에서 태양광 폐모듈(P)을 가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본체(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가압부재(121)는 상기 하부승강수단(122)에 의해 상승하는 태양광 폐모듈(P)이 밀착되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프레임(P2)의 분리가 더욱 수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승강수단(122)은 태양광 폐모듈(P)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태양광 폐모듈(P)의 하측에서 태양광 폐모듈(P)을 밀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승강수단(122)은 상기 모듈이송부(16)에 의해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송되는 태양광 폐모듈(P)이 파지제거부(13)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경우 태양광 폐모듈(P)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부가압부재(12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P)이 가압·고정되도록 하고, 파지제거부(13)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P) 양측의 프레임(P2)을 분리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승강수단(122)은 태양광 폐모듈(P)을 하강시켜 90도 회전시킨 다음 다시 상승시켜 상부가압부재(121)에 밀착되도록 하며, 태양광 폐모듈(P)의 타측면의 프레임(P2)을 파지제거부(13)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태양광 폐모듈(P)을 하강시켜 모듈이송부(16)에 의해 후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승강수단(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22a), 승강구동실린더(122b), 지지봉(122c), 지지부재(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22a)는 상기 태양광 폐모듈(P)을 하측에서 받치도록 하는 구성으로, 좌우 양측에 일정 너비를 가진 한 쌍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상기 모듈회전부(14)가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P)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재(122a)는 하측으로 상기 승강구동실린더(122b)가 연결되어 승강구동실린더(122b)의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태양광 폐모듈(P)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구동실린더(122b)는 상기 받침부재(122a)와 연결되어 받침부재(122a)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그 작동에 따라 승강실린더봉(122b-1)이 상하 방향으로 입출되어 받침부재(122a)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봉(122b-1)은 상기 지지부재(122d)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122c)은 받침부재(122a)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일단이 받침부재(122a)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부재(122d)의 후술할 관통공(122d-1)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122c)은 고정된 지지부재(122d)에 지지되어 일정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를 통해 받침부재(122a)의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122d)는 상기 승강실린더봉(122b-1) 및 지지봉(122c)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본체(1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22d)는 승강실린더봉(122b-1) 및 지지봉(122c)이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공(122d-1)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승강실린더봉(122b-1) 및 지지봉(122c)가 관통공(122d-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정한 경로를 따른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파지제거부(13)는 태양광 폐모듈(P)의 프레임(P2)을 파지하여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모듈이송부(16)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P) 양측의 프레임(P2)을 한번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지제거부(13)는 프레임(P2)을 상하측에서 가압한 상태에서 좌우 외측으로 당겨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프레임(P2)을 조인상태에서 당길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P2)의 제거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제거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지수단(131), 하부파지수단(132), 좌우이동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프레임(P2)을 더욱 강하게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파지수단(131)은 태양광 폐모듈(P)의 프레임(P2)을 상측에서 눌러 가압하는 구성으로, 프레임(P2)을 누르는 상부누름판(131a)과 상부누름판(131a)을 승강시키는 상부누름실린더(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누름판(131a)은 일정 너비를 갖는 판으로 형성되어 프레임(P2)을 상측으로 누르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누름실린더(131b)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누름판(131a)은 프레임(P2)의 제거시 프레임(P2)에 밀착되어 프레임(P2)을 누르도록 하며, 프레임(P2)의 제거 완료 후에는 상승하여 좌우이동수단(133)에 의한 좌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누름실린더(131b)는 상기 상부누름판(131a)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상부누름판(131a)의 상측에서 상부누름판(131a)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누름실린더(131b)는 상기 좌우이동수단(133)의 후술할 지지프레임(133a)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기압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고, 그 작동에 따라 상부누름판(131a)이 프레임(P2)에 밀착되어 가압된 상태에서 프레임(P2)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파지수단(132)은 상기 태양광 폐모듈(P)의 프레임(P2)을 하측에서 눌러 가압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파지수단(13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프레임(P2)을 상하측에서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하부파지수단(132)은 프레임(P2)을 하측에서 가압함과 동시에 내측에서 조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리시키도록 함으로써, 프레임(P2)의 더욱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파지수단(132)은 하부누름부재(132a), 하부승강실린더(132b), 조임모듈(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누름부재(132a)는 프레임(P2)의 하측에 밀착되어 프레임(P2)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누름판(131a)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승강실린더(132b)의 작동에 따라 승강된다. 또한, 상기 하부누름부재(132a)는 내측으로 조임모듈(132c)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프레임(P2)을 내측에서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승강실린더(132b)는 상기 하부누름부재(132a)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누름부재(132a)의 상측으로 지지프레임(133a)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승강실린더(132b)는 그 작동에 따라 하부누름부재(132a)를 프레임(P2)의 하부에 밀착시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P2)의 제거 후에는 하부누름부재(132a)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모듈(132c)은 프레임(P2)을 조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누름판(131a) 및 하부누름부재(132a)가 프레임(P2)에 밀착되어 가압된 상태에서 하측의 프레임(P2)을 내측에서 조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임모듈(132c)은 상기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에 의해 프레임(P2)을 상측에서 가압함과 함께 프레임(P2)을 좌우 방향의 내측에서 조여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당겨 프레임(P2)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P2)의 제거가 더욱 정확하고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임모듈(132c)은 걸림판(132c-1), 조임실린더(132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판(132c-1)은 프레임(P2)의 내측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누름부재(132a)의 내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판(132c-1)은 상기 조임실린더(132c-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판(132c-1)은 하부누름부재(132a)가 프레임(P2)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프레임(P2)의 내측에 지지되어 걸리게 되며, 조임실린더(132c-2)의 작동에 따라 프레임(P2)의 내측에 강하게 밀착되어 프레임(P2)을 조이도록 한다.
상기 조임실린더(132c-2)는 상기 걸림판(132c-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132c-1)의 외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33a)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수단(133)은 상기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에 의해 프레임(P2)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P2)을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이동수단(1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33a), 좌우이동부재(133b), 좌우이동레일(133c), 회전기어(13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33a)은 상기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이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33a)은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이 프레임(P2)을 가압한 상태에서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프레임(P2)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33a)의 전후 방향에는 좌우이동부재(133b)가 형성되어 지지본체(11)에 고정된 좌우이동레일(133c)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133b)는 상기 지지프레임(133a)의 전후 방향 양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이동레일(133c)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의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부재(133b)는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출단(133b-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단(133b-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어(133d)에 맞물려 회전기어(133d)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레일(133c)은 상기 좌우이동부재(133b)가 지지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지지본체(11)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이동레일(133c)은 좌우이동부재(133b)의 안정적인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을 통한 프레임(P2)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기어(133d)는 좌우이동부재(133b)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이동부재(133b)의 돌출단(133b-1)과 맞물리도록 하여 회전기어(133d)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부재(133b)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듈회전부(14)는 태양광 폐모듈(P)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태양광 폐모듈(P)을 90도 회전시키도록 하여 태양광 폐모듈(P)의 4 테두리에 형성된 프레임(P2)을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듈회전부(14)는 태양광 폐모듈(P)의 일방향 양측에서 상기 파지제거부(13)에 의해 프레임(P2)을 제거하도록 한 후, 태양광폐모듈(P)을 90도 회전시키도록 하고, 다시 태양광 폐모듈(P)의 타방향 양측에서 파지제거부(13)에 의한 나머지 프레임(P2)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듈회전부(14)는 태양광 폐모듈(P)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태양광 폐모듈(P)의 중심에 맞추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의 하측으로 하부승강수단(122)의 가운데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듈회전부(14)는 지지판(141), 회전모터(142), 승강판(143), 승강실린더(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1)은 태양광 폐모듈(P)의 하측에서 태양광 폐모듈(P)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태양광 폐모듈(P)의 중심에 맞추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41)은 태양광 폐모듈(P)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흡착모듈(14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흡착모듈(141a)에 의해 지지판(141)이 태양광 폐모듈(P)에 강하게 압착되어 효과적인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흡착모듈(141a)은 태양광 폐모듈(P)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P)과의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142)는 상기 지지판(141)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지지판(141)의 하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지지판(141)의 회전에 따라 태양광 폐모듈(P)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142)는 승강판(143) 상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실린더(144)의 작동에 따라 함께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143)은 승강실린더(144)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회전모터(142)가 상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회전모터(142) 및 지지판(141)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실린더(144)는 상기 승강판(143)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지지판(141)이 승강되어 태양광 폐모듈(P)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141)이 태양광 폐모듈(P)에 밀착되어 태양광 폐모듈(P)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144)는 지지판(141) 만의 상승이 이루어져 태양광 폐모듈(P)이 받침부재(122a)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회수부(15)는 상기 파지제거부(13)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파지제거부(13)에 의해 제거된 프레임(P2)을 내측으로 밀어 떨어뜨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프레임회수부(18)를 통해 프레임(P2)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회수부(15)는 상기 파지제거부(13)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프레임(P2)을 분리한 다음 파지제거부(13), 더욱 정확하게는 하부누름부재(132a) 상에 남아있는 프레임(P2)을 내측으로 밀어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회수부(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판(151), 돌출실린더(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판(151)은 프레임(P2)을 내측으로 밀어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구성으로, 하부누름부재(132a)의 사이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수판(151)은 상기 돌출실린더(152)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 중심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수판(151)은 그 중심에 내측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151a)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거리센서(151a)를 통해 태양광 폐모듈(P)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태양광 폐모듈(P)의 통과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수판(151)은 프레임(P2)을 밀어 회수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부누름부재(132a)의 내측 끝단까지 돌출되어 태양광 폐모듈(P)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이 태양광 폐모듈(P)의 끝단에 맞도록 위치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센서(151a)는 태양광 폐모듈(P)의 초기 이송시 태양광 폐모듈(P)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거리센서(151a)와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태양광 폐모듈(P)의 중심이 맞추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실린더(152)는 상기 회수판(15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프레임(P2)의 회수시 회수판(151)을 내측으로 돌출시켜 하부누름부재(132a) 상에 놓인 회수판(151)을 내측으로 밀어 바닥으로 떨어뜨리도록 한다.
상기 모듈이송부(16)는 태양광 폐모듈(P)을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전후 방향으로 태양광 폐모듈(P)을 이송시키도록 한다. 상기 모듈이송부(16)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에서 정션박스가 제거된 태양광 폐모듈(P)이 후측에서 투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태양광 폐모듈(P)을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제거부(1)에 의한 프레임(P2)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프레임(P2)이 제거된 태양광 폐모듈(P)을 다시 후측으로 이송시켜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이송부(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161)는 태양광 폐모듈(P)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복수의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태양광 폐모듈(P)이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61)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중심에는 상기 하부승강수단(122) 및 모듈회전부(14)가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P)을 고정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레임(P2)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제거작동부(17)는 상기 프레임제거부(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송조절모듈(171), 정렬모듈(172), 승강조절모듈(173), 파지제어모듈(174), 측방이동조절모듈(175), 회전제어모듈(176), 프레임회수조절모듈(17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조절모듈(171)은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모듈이송부(16)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조절모듈(171)은 이송롤러(161)를 회전시켜 태양광 폐모듈(P)을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161)의 전단에서 정션박스제거부(3)로부터 정션박스(P1)가 제거된 태양광 폐모듈(P)이 투입되어 도 5(b)의 위치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이송조절모듈(171)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이 파지제거부(13)의 중심 위치에 멈추도록 하여 태양광 폐모듈(P)의 승하강 및 회전, 프레임(P2)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조절모듈(171)은 거리센서(151a)에 의해 감지되는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거리에 따라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을 멈추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모듈회전부(14)에 별도의 센서를 형성하여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태양광 폐모듈(P)의 전체 길이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의 후술할 센서모듈(342)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데, 상기 거리센서(151a)는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을 감지하여 이송속도에 따라 태양광 폐모듈(P)의 중심이 거리센서(151a)를 지나갈 때 태양광 폐모듈(P)이 이동을 멈출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이송조절모듈(171)은 다양한 방식과 센서를 이용하여 태양광 폐모듈(P)의 중심이 프레임제거부(1)의 전후 방향 중심위치, 즉 모듈회전부(14)의 위치에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렬모듈(172)은 태양광 폐모듈(P)의 좌우 방향 중심을 맞추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실린더(152)를 작동시켜 회수판(151)을 하부누름부재(132a)의 내측 끝단에 위치시키고 양측의 회수판(151)이 태양광 폐모듈(P)에 접촉되도록 하여 태양광 폐모듈(P)의 좌우 방향 중심이 양측 파지제거부(13)의 중심, 즉 모듈회전부(14)의 위치와 일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파지제거부(13)의 좌우 방향 이동은 좌우이동수단(133)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조절모듈(173)은 중심이 맞추어진 태양광 폐모듈(P)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승강수단(122)의 승강구동실린더(122b)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조절모듈(173)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을 상승시키며, 상승시킨 상태에서 프레임(P2)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측 양 방향의 프레임(P2) 분리가 이루어진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을 다시 하강시켜 9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상승시켜 타측 양 방향의 프레임(P2) 분리가 마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P2)의 분리가 완료되면 태양광 폐모듈(P)을 하강시켜 이송롤러(161)에 의해 후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지제어모듈(174)은 상기 승강조절모듈(173)에 의해 상승된 프레임(P2)을 양측에서 파지하여 분리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파지제거부(13)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파지제어모듈(174)은 상부파지수단(131)의 작동을 조절하는 상부누름조절모듈(174a), 하부파지수단(132)의 작동을 조절하는 하부밀착조절모듈(174b), 조임모듈(132c)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임조절모듈(17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누름조절모듈(174a)은 상부파지수단(131)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부누름실린더(131b)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하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누름판(131a)을 하강시켜 프레임(P2)의 상측을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밀착조절모듈(174b)은 하부파지수단(13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하부승강실린더(132b)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누름부재(132a)를 상승시켜 프레임(P2)의 하측에 밀착되어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조임조절모듈(174c)은 상기 조임실린더(132c-2)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부누름판(131a) 및 하부누름부재(132a)가 프레임(P2)에 밀착된 후,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판(132c-1)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P2)의 내측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방이동조절모듈(175)은 상기 좌우이동수단(13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기어(133d)의 작동을 조절하여 파지제거부(1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방이동조절모듈(175)은 상기 조임조절모듈(174c)에 의해 프레임(P2)을 조인 상태에서 파지제거부(13)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P2)이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태양광 폐모듈(P)에 대한 파지제거부(13)의 위치 조절시에도 회전기어(133d)의 작동을 조절하여 태양광 폐모듈(P)이 좌우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제어모듈(176)은 모듈회전부(14)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회전모터(142)를 작동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을 9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회수조절모듈(177)은 파지제거부(13)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P2)을 회수하도록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돌출실린더(152)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회수조절모듈(177)은 프레임(P2)의 제거가 이루어진 후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누름부재(132a) 상에 놓인 프레임(P2)을 회수판(151)에 의해 내측으로 밀어 바닥의 프레임회수부(18)로 프레임(P2)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회수부(18)는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된 프레임(P2)을 수용하여 회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닥에 지지되어 파지제거부(13)의 하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회수부(18)는 돌출회수부(15)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 떨어진 프레임(P2)을 수용할 수 있으며, 프레임회수부(18)를 외부로 인출하여 프레임(P2)의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제거부(1)의 작동에 관해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션박스제거부(3)로부터 정션박스(P1)가 제거된 태양광 폐모듈(P)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제거부(1)로 투입되어 이송롤러(161)에 의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제거부(1)의 전후 방향 중심까지 이동되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판(151)을 하부누름부재(132a)의 내측 끝단으로 돌출시키고 좌우이동수단(133)에 의해 하부누름부재(132a) 및 회수판(15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태양광 폐모듈(P)의 좌우 방향 중심을 맞추도록 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을 상승시켜 상하에서 가압되도록 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제거부(13)의 내측이 태양광 폐모듈(P)에 밀착되도록 회전기어(133d)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누름판(131a)을 하강시키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누름부재(132a)를 상승시켜 프레임(P2)을 가압하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모듈(132c)에 의해 프레임(P2)의 내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수단(133)에 의해 상부파지수단(131) 및 하부파지수단(132)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P2)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폐모듈(P)을 하강시켜 90도 회전시키며, 회전 후 다시 상승시켜 상하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판(151)을 하부누름부재(132a)의 끝단까지 돌출시켜 분리된 프레임(P2)을 내측으로 밀어 프레임회수부(18)로 떨어뜨리도록 한다. 그리고 돌출된 회수판(151)의 거리센서(151a)를 이용하여 태양광 폐모듈(P)과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좌우이동수단(133)에 의해 파지제거부(13)를 이동시키고,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 태양광 폐모듈(P)의 끝단이 파지제거부(13)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앞서와 동일하게 프레임(P2)의 상하측을 가압하고 내측을 조여 분리시키도록 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프레임(P2)을 회수하고 태양광 폐모듈(P)을 하강시켜 이송롤러(161)에 의해 후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는 태양광 폐모듈(P)의 일측면에 부착된 정션박스(P1)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프레임(P2)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정션박스(P1)를 먼저 제거한 다음 프레임제거부(1)에 의해 프레임(P2)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P2)의 쉽고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정션박스(P1)라 함은 태양광 모듈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를 인버터로 보내는 장치로 일정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광 모듈의 일측면에 부착되며, 프레임(P2)과 인접하여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정션박스제거부(3)에 의해 정션박스(P1)가 먼저 제거됨으로써 프레임(P2)의 가압 및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정션박스(P1)의 제거 후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1)로 태양광 폐모듈(P)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한 해체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는 상하 가압을 통한 정션박스(P1)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태양광 폐모듈(P)의 상측에도 일부 구성이 설치되므로 측면에서 태양광 폐모듈(P)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이를 정션박스(P1)의 제거가 가능한 장치로 측면에서 투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는 본체프레임(31), 모듈투입부(32), 박스분리부(33), 모듈이동부(34), 박스제거작동부(35), 박스회수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31)은 정션박스제거부(3)의 기본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바닥에 지지되어 정션박스제거부(3)의 각 구성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모듈투입부(32)는 정션박스제거부(3)에 태양광 폐모듈(P)을 투입하는 구성으로, 박스분리부(33)의 전측에 형성되어 박스분리부(33)로 태양광 폐모듈(P)을 투입하도록 한다. 상기 모듈투입부(32)는 상측이 개방되어 태양광 폐모듈(P)을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모듈투입부(32)에 장착된 태양광 폐모듈(P)은 자동으로 박스분리부(33)로 투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투입부(32)는 투입본체(321), 푸쉬판(322), 회전봉(323), 회전모터(324), 가이드봉(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본체(321)는 태양광 폐모듈(P)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측에서 태양광 폐모듈(P)을 지지하며, 모듈투입부(32)의 각 구성들이 지지된다.
상기 푸쉬판(322)은 태양광 폐모듈(P)을 후측으로 밀어 박스분리부(33)에 투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봉(323) 및 가이드봉(325)이 관통되어 삽입되고 회전봉(323)의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푸쉬판(322)은 회전봉(323) 및 가이드봉(325)이 삽입되는 삽입공(3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봉(323)이 삽입되는 삽입공(322a)에는 회전봉(323)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323)은 상기 푸쉬판(322)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회전에 따라 푸쉬판(32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봉(323)의 나사산은 푸쉬판(322)의 삽입공(322a)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봉(323)의 회전에 따라 푸쉬판(322)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봉(323)의 일단에는 회전모터(324)가 연결되어 회전봉(323)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모터(324)는 상기 회전봉(323)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봉(323)의 회전에 따라 푸쉬판(322)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푸쉬판(322)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P)을 밀어 박스분리부(33)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봉(325)은 푸쉬판(322)에 관통 삽입되어 푸쉬판(322)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회전봉(323)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봉(325)은 푸쉬판(322)이 전후 방향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박스분리부(33)는 태양광 폐모듈(P)의 일측면에 부착된 정션박스(P1)를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태양광 폐모듈(P)을 상하측에서 가압한 상태에서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의 사이로 분리날(331c)을 삽입하여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정션박스(P1)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박스분리부(33)는 좌우 방향의 이동도 가능하도록 하여 정션박스(P1)의 위치 또는 태양광 폐모듈(P)의 크기에 상관없이 정션박스(P1)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박스분리부(33)는 정션박스(P1)를 분리시키는 분리모듈(331)과, 정션박스(P1)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누름부재(332), 분리모듈(33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모듈(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모듈(331)은 정션박스(P1)와 태양광 폐모듈(P) 사이에 분리날(331c)을 삽입하여 정션박스(P1)를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정션박스(P1)의 전측과 후측에서 분리날(331c)을 삽입하여 정션박스(P1)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태양광 폐모듈(P)을 상하측에서 가압시킨 상태에서 정션박스(P1)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션박스(P1)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모듈(331)은 정션박스(P1)의 전측에서 분리날(331c)을 삽입하는 전측분리모듈(331')과, 후측에서 분리날(331c)을 삽입하는 후측분리모듈(3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측분리모듈(331') 및 후측분리모듈(331")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측분리모듈(331') 및 후측분리모듈(331")은 분리모듈(331)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분리모듈(331)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날(331c)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수단(331a)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3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수단(331a)은 분리날(331c)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분리날(331c)이 태양광 폐모듈(P)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이동수단(331a)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상하이동수단(331b)을 지지하는 전후이동브라켓(331a-1)과; 전후이동브라켓(331a-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실린더(331a-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브라켓(331a-1)은 상기 상하이동수단(331b)의 각 구성들을 지지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후이동실린더(331a-2)의 작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수단(331b)의 상단에는 분리날(331c)에 형성되므로, 전후이동브라켓(331a-1)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분리날(331c)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분리날(331c)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실린더(331a-2)는 상기 전후이동브라켓(331a-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기압 실린더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수단(331b)은 분리날(331c)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전후이동브라켓(331a-1)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전후 방향의 이동도 이루어진다. 또한, 상하이동수단(331b)의 상단에는 분리날(331c)이 형성되며, 상하이동수단(331b)의 작동에 따라 분리날(331c)이 상승되어 태양광 폐모듈(P)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이동수단(331a)이 작동에 따라 분리날(331c)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하이동수단(331b)은 상하이동실린더(331b-1)와 상하가이드부재(331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실린더(331b-1)는 분리날(331c)의 하측에 형성되어 분리날(331c)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바닥은 전후이동브라켓(331a-1)에 지지된다.
상기 상하가이드부재(331b-2)는 분리날(331c)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하이동실린더(331b-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단에는 분리날(331c)이 형성되고, 하단은 전후이동브라켓(331a-1)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가이드부재(331b-2)는 분리날(331c)이 상하이동실린더(331b-1) 뿐만 아니라 상하가이드부재(331b-2)에도 지지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분리날(331c)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분리날(331c)이 태양광 폐모듈(P)을 들어올린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분리날(331c)은 태양광 폐모듈(P) 및 정션박스(P1) 사이에 삽입되어 태양광폐모듈(P)로부터 정션박스(P1)를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상하이동수단(331b) 상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날(331c)은 정션박스(P1) 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져 날카로워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쉽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리날(331c)은 상하이동수단(331b)에 의해 상승하여 태양광 폐모듈(P)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도록 하고 누름부재(332)와의 사이에서 태양광 폐모듈(P)이 상하 가압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분리날(331c)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분리날(331c)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재(332)는 모듈이송부(16)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상측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분리날(331c)의 상승에 따라 상승하는 태양광 폐모듈(P)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태양광 폐모듈(P)에 대한 상하 방향의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332)는 태양광 폐모듈(P)을 상하측에서 가압한 상태에서 분리날(331c)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더욱 정확한 분리날(331c)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좌우이동모듈(333)은 분리모듈(33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정션박스(P1)의 위치에 따라 분리모듈(331)을 이동시켜 정확한 위치에서 분리날(331c)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태양광 폐모듈(P)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태양광 폐모듈(P)이라도 정션박스(P1)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이동모듈(333)은 분리모듈(331)의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션박스(P1)의 위치에 상관없이 분리날(331c)을 정션박스(P1)와 태양광 폐모듈(P) 사이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이동모듈(333)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판(333a), 가이드레일(333b), 이동실린더(33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333a)은 상기 분리모듈(331)을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전후이동브라켓(331a-1) 및 전후이동실린더(331a-2)가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좌우이동판(333a)은 상기 이동실린더(333c)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레일(333b)에 지지되어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33b)은 좌우이동판(333a)이 지지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좌우이동판(333a)의 좌우 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고정지지판(333d) 상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실린더(333c)는 좌우이동판(333a)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고정지지판(333d) 외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지지판(333d)은 좌우이동모듈(333)의 각 구성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좌우이동판(333a), 가이드레일(333b), 이동실린더(333c)를 모두 지지하며, 바닥에 지지되거나 본체프레임(31)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모듈이동부(34)는 박스분리부(33) 상에서 태양광 폐모듈(P)을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듈투입부(32)에 의해 투입된 태양광 폐모듈(P)이 박스분리부(33)를 거쳐 프레임제거부(1)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듈이동부(34)는 컨베이어벨트(341)를 통해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센서모듈(342)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P)의 길이를 감지하고 분리날(331c)의 전후 방향 중심에서 정션박스(P1)를 위치시키도록 모듈이동부(34)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모듈(342)은 태양광 폐모듈(P)의 길이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모듈(342a)과 분리날(331c)의 좌우 방향 중심에 형성되는 제2모듈(342b)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342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341)의 후단에 형성되어 모듈투입부(32)로부터 컨베이어벨트(341)로 투입되는 태양광 폐모듈(P)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송 속도와 전후 양 끝단의 위치를 감지하여 후술할 길이산출모듈(351)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P)의 길이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모듈(342b)은 분리날(331c)의 전후 방향 중심 위치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P)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332)의 중심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모듈(342b)은 태양광 폐모듈(P)의 전측 끝단을 감지하고 태양광 폐모듈(P)의 길이와 이송속도, 그리고 정션박스의 위치를 고려하여 태양광 폐모듈(P)의 중심 위치에서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폐모듈(P)의 이송속도는 제2모듈(342b)에 의해 직접 측정되거나 또는 컨베이어벨트(341)의 작동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정션박스의 위치도 별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거나 별도 입력을 통해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박스제거작동부(35)는 정션박스제거부(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길이산출모듈(351), 중심맞춤모듈(352), 실린더구동모듈(3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산출모듈(351)은 태양광 폐모듈(P)의 전후 방향 길이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모듈(342a)에 의해 감지되는 태양광 폐모듈(P)의 양단과 이송속도를 이용하여 길일르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중심맞춤모듈(352)은 전측분리모듈(331') 및 후측분리모듈(331")에 형성된 분리날(331c) 사이의 중심에 정션박스(P1)가 위치하도록 태양광 폐모듈(P)을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컨베이어벨트(341)의 작동을 조절하여 중심을 맞추도록 한다. 상기 중심맞춤모듈(352)은 상기 길이산출모듈(351)에서 산출된 태양광 폐모듈(P)의 전후 방향 길이를 고려하고, 상기 제2모듈(342b)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P)을 감지하는 정보와 이송속도, 정션박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태양광 폐모듈(P)이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구동모듈(353)은 박스분리부(3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후이동실린더(331a-2), 상하이동실린더(331b-1), 이동실린더(333c)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구동모듈(353)은 정션박스(P1)의 좌우 방향 위치에 따라 이동실린더(333c)를 작동하여 분리날(331c)과의 위치를 맞추도록 하고, 상하이동실린더(331b-1)에 의해 분리날(331c)을 상승시켜 태양광 폐모듈(P)이 누름부재(332)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하 가압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날(331c)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박스회수부(36)는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분리된 정션박스(P1)를 수용하여 회수하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날(331c)의 사이 바닥에 형성되어 정션박스(P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제거부(3)로부터 인출하여 정션박스(P1)의 재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의 작동에 관하여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정션박스제거부(3)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투입부(32)에 태양광 폐모듈(P)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모듈투입부(32)의 작동에 따라 태양광 폐모듈(P)이 전측으로 밀려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분리부(33)에 투입된다. 그리고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모듈(333)에 의해 분리날(331c)의 좌우 방향 위치를 맞춘 후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수단(331b)을 작동시켜 분리날(331c)에 의해 태양광 폐모듈(P)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태양광 폐모듈(P)이 누름부재(332) 하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날(331c)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태양광 폐모듈(P)과 정션박스(P1)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P1)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정션박스(P1)의 분리가 완료되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P1)가 분리된 태양광 폐모듈(P)을 프레임제거부(1) 측으로 이송시켜 프레임제거부(1)로 투입되도록 하고,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회수부(36)를 인출하여 정션박스(P1)의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해체시스템에 태양광 폐모듈(P)로부터 EVA시트를 제거하는 시트제거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EVA시트는 태양광 모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부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해체시스템은 태양광 폐모듈(P)의 표면으로부터 EVA시트를 분리하여 태양광 폐모듈(P) 및 EVA시트의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트제거부는 상기 프레임제거부(1)의 전측에 바로 연결되어 프레임제거부(1)로부터 프레임(P2)이 제거되는 태양광 폐모듈(P)이 바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EVA 시트에 대한 전처리를 실시하여 EVA시트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열선 커팅날 등을 태양광 폐모듈(P)에 밀착시켜 EVA시트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프레임제거부
11: 지지본체 12: 가압고정부 121: 상부가압부재
122: 하부승강수단 122a: 받침부재 122b: 승강구동실린더
122b-1: 승강실린더봉 122c: 지지봉 122d: 지지부재
122d-1: 관통공 13: 파지제거부 131: 상부파지수단
131a: 상부누름판 131b: 상부누름실린더 132: 하부파지수단
132a: 하부누름부재 132b: 하부승강실린더 132c: 조임모듈
132c-1: 걸림판 132c-2: 조임실린더 133: 좌우이동수단
133a: 지지프레임 133b: 좌우이동부재 133b-1: 돌출단
133c: 좌우이동레일 133d: 회전기어 14: 모듈회전부
141: 지지판 141a: 흡착모듈 142: 회전모터
143: 승강판 144: 승강실린더 15: 돌출회수부
151: 회수판 151a: 거리센서 152: 돌출실린더
16: 모듈이송부 161: 이송롤러 17: 프레임제거작동부
18: 프레임회수부
3: 정션박스제거부
31: 본체프레임 32: 모듈투입부 321: 투입본체
322: 푸쉬판 322a: 삽입공 323: 회전봉
324: 회전모터 325: 가이드봉 33: 박스분리부
331: 분리모듈 331': 전측분리모듈 331": 후측분리모듈
331a: 전후이동수단 331a-1: 전후이동브라켓 331a-2: 전후이동실린더
331b: 상하이동수단 331b-1: 상하이동실린더 331b-2: 상하가이드부재
331c: 분리날 332: 누름부재 333: 좌우이동모듈
333a: 좌우이동판 333b: 가이드레일 333c: 이동실린더
333d: 고정지지판 34: 모듈이동부 341: 컨베이어벨트
342: 센서모듈 342a: 제1모듈 342b: 제2모듈
35: 박스제거작동부 36: 박스회수부
P: 태양광 폐모듈 P1: 정션박스 P2: 프레임

Claims (17)

  1.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션박스제거부를 통과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가압·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와, 가압고정된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회전시키는 모듈회전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송부와, 프레임제거부의 각 구성이 고정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제거부는,
    상기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 상측을 눌러 가압하는 상부파지수단과, 상기 태양광 폐모듈 프레임의 하측을 가압하는 하부파지수단과, 상기 상부파지수단 및 하부파지수단을 좌우 양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을 외측으로 분리하는 좌우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파지수단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상측에서 누르는 상부누름판과, 상기 상부누름판을 승강시키는 상부누름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파지수단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하측에서 누르는 하부누름부재와; 상기 하부누름부재를 승강시키는 하부승강실린더와; 상기 하부누름부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좌우 양측으로 이동하며, 프레임을 조여 고정시키는 조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임모듈은 상기 하부누름부재의 내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프레임에 걸리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부가압부재와, 태양광 폐모듈의 하측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을 승강시키는 하부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수단은
    태양광 폐모듈을 받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실린더와;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함께 승강되는 지지봉과; 상기 승강구동실린더 및 지지봉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일정 경로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션박스제거부를 통과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가압·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와, 가압고정된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회전시키는 모듈회전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송부와, 프레임제거부의 각 구성이 고정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제거부는, 상기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 상측을 눌러 가압하는 상부파지수단과, 상기 태양광 폐모듈 프레임의 하측을 가압하는 하부파지수단과, 상기 상부파지수단 및 하부파지수단을 좌우 양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을 외측으로 분리하는 좌우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상기 상부파지수단 및 하부파지수단이 고정되어 함께 좌우로 이동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후측 끝단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본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우이동부재가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좌우이동레일과; 상기 좌우이동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바닥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돌출단;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부재의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9.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션박스제거부를 통과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가압·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와, 가압고정된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회전시키는 모듈회전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송부와, 프레임제거부의 각 구성이 고정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회전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를 지지한 상태로 승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태양광 폐모듈에 흡착되는 복수의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11.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션박스제거부를 통과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태양광 폐모듈을 가압·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와, 가압고정된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파지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회전시키는 모듈회전부와,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송부와, 프레임제거부의 각 구성이 고정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파지제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파지제거부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을 파지제거부로부터 밀어 떨어뜨리는 돌출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회수부는,
    상기 파지제거부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을 미는 회수판과, 상기 회수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판은
    태양광 폐모듈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13. 삭제
  14.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션박스제거부를 통과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정션박스제거부는,
    정션박스제거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과, 태양광 폐모듈의 하부에 부착된 정션박스를 분리시키는 박스분리부와, 박스분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박스분리부 내로 태양광 폐모듈을 투입하는 모듈투입부와, 상기 박스분리부 상에서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분리부는,
    태양광 폐모듈과 정션박스 사이에 삽입되어 정션박스를 분리시키며, 전후 방향에 한 쌍이 형성되는 분리모듈과; 태양광 폐모듈을 상측에서 누르는 누름부재와; 상기 분리모듈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모듈은
    전후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후이동수단과, 상하 방향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하이동수단과, 상하이동수단의 상단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과 정션박스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날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하이동수단이 고정되는 전후이동브라켓과, 상기 전후이동브라켓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분리날의 상하 방향이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하이동실린더와, 상기 전후이동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분리날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모듈은
    상기 분리모듈을 지지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을 지지하며, 좌우이동판이 좌우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와; 상기 좌우이동모듈을 지지하는 고정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17. 해체 대상 태양광 폐모듈의 정션박스를 제거하는 정션박스제거부와, 태양광 폐모듈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프레임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제거부는 상기 정션박스제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션박스제거부를 통과하는 태양광 폐모듈이 자동으로 프레임제거부로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정션박스제거부는,
    정션박스제거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과, 태양광 폐모듈의 하부에 부착된 정션박스를 분리시키는 박스분리부와, 박스분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박스분리부 내로 태양광 폐모듈을 투입하는 모듈투입부와, 상기 박스분리부 상에서 태양광 폐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투입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되어 태양광 폐모듈을 지지하는 투입본체와, 상기 투입본체 내에 형성되어 태양광 폐모듈을 박스분리부로 투입시키는 푸쉬판과, 상기 푸쉬판에 삽입되어 회전에 따라 푸쉬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푸쉬판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KR1020200010260A 2020-01-29 2020-01-29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KR102185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60A KR102185429B1 (ko) 2020-01-29 2020-01-29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60A KR102185429B1 (ko) 2020-01-29 2020-01-29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429B1 true KR102185429B1 (ko) 2020-12-01

Family

ID=7379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260A KR102185429B1 (ko) 2020-01-29 2020-01-29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42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684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다이나믹인더스트리 태양광 폐 패널 강화유리 분리장치
KR102364972B1 (ko) * 2021-08-10 2022-02-21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태양광패널분해장치
KR102364971B1 (ko) * 2021-08-10 2022-02-21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태양광모듈 외장해체장치
JP7066231B1 (ja) 2021-04-01 2022-05-13 株式会社チヨダマシナリー 太陽光パネルの解体装置
CN114799832A (zh) * 2022-03-16 2022-07-29 南京师范大学 一种太阳能光伏组件自动拆解装置及方法
KR102426860B1 (ko) * 2021-12-20 2022-07-29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자동화 분리를 위한 이물질 제거 장치
CN115318802A (zh) * 2022-08-24 2022-11-11 黄淮学院 一种环保型光伏组件回收系统
WO2023101414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더블유피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US12107529B2 (en) 2021-08-10 2024-10-01 Won Kwang S&T Co., Ltd. Movable solar module disassembling apparatus and movable solar module disassembl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950A (ko) * 2012-01-06 2013-07-16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전지 폐 모듈의 친환경적 해체 방법
JP2014116363A (ja) * 2012-12-06 2014-06-26 Shinryo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解体装置
KR20150113316A (ko) * 2014-03-27 2015-10-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KR20190035112A (ko) * 2017-09-26 2019-04-03 (주)대은 태양광 폐모듈 자원화 시스템
KR102037120B1 (ko) * 2018-10-17 2019-10-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크기에 따라 가변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950A (ko) * 2012-01-06 2013-07-16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전지 폐 모듈의 친환경적 해체 방법
JP2014116363A (ja) * 2012-12-06 2014-06-26 Shinryo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解体装置
KR20150113316A (ko) * 2014-03-27 2015-10-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KR20190035112A (ko) * 2017-09-26 2019-04-03 (주)대은 태양광 폐모듈 자원화 시스템
KR102037120B1 (ko) * 2018-10-17 2019-10-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크기에 따라 가변 가능한 태양전지모듈 해체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684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다이나믹인더스트리 태양광 폐 패널 강화유리 분리장치
KR102445490B1 (ko) * 2020-06-01 2022-09-20 주식회사 다이나믹인더스트리 태양광 폐 패널 강화유리 분리장치
JP7066231B1 (ja) 2021-04-01 2022-05-13 株式会社チヨダマシナリー 太陽光パネルの解体装置
JP2022158085A (ja) * 2021-04-01 2022-10-14 株式会社チヨダマシナリー 太陽光パネルの解体装置
KR102364971B1 (ko) * 2021-08-10 2022-02-21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태양광모듈 외장해체장치
KR102364972B1 (ko) * 2021-08-10 2022-02-21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태양광패널분해장치
US11491775B1 (en) 2021-08-10 2022-11-08 Won Kwang S&T Co., Ltd. Solar module exterior disassembling apparatus
US11491774B1 (en) 2021-08-10 2022-11-08 Won Kwang S&T Co., Ltd. Solar panel disassembling apparatus
US12107529B2 (en) 2021-08-10 2024-10-01 Won Kwang S&T Co., Ltd. Movable solar module disassembling apparatus and movable solar module disassembling system comprising thereof
WO2023101414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더블유피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KR102426860B1 (ko) * 2021-12-20 2022-07-29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자동화 분리를 위한 이물질 제거 장치
CN114799832A (zh) * 2022-03-16 2022-07-29 南京师范大学 一种太阳能光伏组件自动拆解装置及方法
CN115318802A (zh) * 2022-08-24 2022-11-11 黄淮学院 一种环保型光伏组件回收系统
CN115318802B (zh) * 2022-08-24 2023-11-14 黄淮学院 一种环保型光伏组件回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429B1 (ko) 태양광 폐모듈 해체시스템
KR102091346B1 (ko) 태양광 패널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20220074169A (ko)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CN201895348U (zh) 地板热压机自动上料装置
CN108569510B (zh) 行李筐的输送设备和行李安检系统
CN106862939B (zh) 全自动光伏组件铝边框生产系统
KR102112145B1 (ko) 태양광 폐모듈 프레임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폐모듈 자원화 시스템
KR102070204B1 (ko) 폐태양전지 모듈의 전면유리 분리 장치 및 분리 방법
KR102445490B1 (ko) 태양광 폐 패널 강화유리 분리장치
KR20200142457A (ko) 폐태양광발전모듈 분해 처리장치
CN209815119U (zh) 一种竹砧板加工自动上料装置
CN210778886U (zh) 电池四步切割拆解装置
CN114655744A (zh) 一种片式物料自动循环供料器及自动循环供料方法
CN102372166B (zh) 一种硅太阳能电池自动摞片机
KR102121412B1 (ko)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CN116871424A (zh) 一种光伏板边框上料夹持机构及冲孔装置
KR101471375B1 (ko) 자동 록킹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리프팅 장치
CN217018100U (zh) 板材加工用卷圆机
CN216082362U (zh) 一种用于高速公路车道的硬度检测装置
CN215200487U (zh) 一种键盘弹片自动组装机
CN214521146U (zh) 一种幕墙装饰工程用裁切磨边装置
CN214731909U (zh) 一种偏光片收料装置
CN212264860U (zh) 一种汇流带自动焊接的设备
KR20230080554A (ko) 재활용을 위한 태양광 모듈 자동 해체 장치
CN103386446B (zh) 废料自动导出装置及自动导出废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