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241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241A
KR20230078241A KR1020210165821A KR20210165821A KR20230078241A KR 20230078241 A KR20230078241 A KR 20230078241A KR 1020210165821 A KR1020210165821 A KR 1020210165821A KR 20210165821 A KR20210165821 A KR 20210165821A KR 20230078241 A KR20230078241 A KR 20230078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ale
terminal
connector
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을용
정민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8241A/ko
Priority to US17/715,785 priority patent/US11984682B2/en
Publication of KR20230078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5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wire spring
    • H01R4/4863Coil spr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한 쌍의 암 단자가 삽입된 암 커넥터 및 한 쌍의 상기 암 단자 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암 단자와 접촉되는 수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 단자는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에 의해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 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시 접촉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단자간 접점 결합에 의해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커넥터 장치는 스프링 특성을 가지는 암 단자의 구리 합금과 수 단자의 구리 합금이 접촉이 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그런데, 가혹한 내구조건(충격,진동,열 등) 하에서 암 단자의 구리 합금이 소성변형되어 불안정한 접촉을 형성해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리고, 단자의 공차 관리가 어려워 커넥터 체결시 단자 도금이 쉽게 마모되어 마모된 잔해들이 접촉저항 증가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Fretting 마모).
따라서, 이와 관련된 품질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부품 관련 리콜 비용으로 많은 품질비용이 발생하고 있음.
특히, 고전압 커넥터는 고장시 차량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하게 커넥터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하게 제안되는 구조는 결합 내구를 향상시키는 대신 rework, 커넥터 탈거 등의 경우에 다시 체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028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결합시 접촉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탈거를 용이하게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일 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한 쌍의 암 단자가 삽입된 암 커넥터 및 한 쌍의 상기 암 단자 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암 단자와 접촉되는 수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 단자는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에 의해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 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수 단자의 외주를 둘러싸는 수 단자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가 상기 암 단자의 타 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는 상기 암 단자의 타 단부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암 단자는 산과 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어진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한 쌍의 상기 암 단자 간의 간격은 상기 산과 상기 골의 높이 차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 단자의 폭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산과 상기 골의 높이 차이(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수 단자 가이드의 폭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산과 상기 골의 높이 차이(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수 단자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 단자 가이드까지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산과 상기 골의 간격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상기 산과 상기 골의 간격의 1/4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암 단자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 홀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내측부와 외측부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이탈방지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가 상기 내측부를 밀어서 회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이탈방지 레버는 복원력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내측부가 상기 수 단자 가이드의 후퇴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외측부는 상기 레버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외측부를 조작시 상기 이탈방지 레버의 회전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일 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한 쌍의 암 단자가 삽입된 암 커넥터, 한 쌍의 상기 암 단자 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암 단자와 접촉되는 수 단자 및 상기 수 단자의 외주를 둘러싸는 수 단자 가이드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 홀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의 후퇴를 저지하는 이탈방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암 단자는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 내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가 상기 암 당자의 타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 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수 단자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 단자 가이드까지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암 단자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탈방지 레버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일 단부가 상기 레버 홀의 내측면에 결합된 레버 핀에 결합된 내측부 및 상기 내측부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일 단부가 상기 레버 핀에 결합된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 레버는 상기 레버 핀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되, 상기 하우징 간에 결합된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내구 마모에 의한 접점 손상이 없는 구조로서, Sn 도금의 Fretting 마모 관련 품질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 체결시 수평방향의 힘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점 접촉이 가능하며, 이 암핀에 삽입될 때 Sn 도금을 손상시키며 커넥터가 체결되기 때문에 내구 접촉저항이 증가하여 품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스프링성을 가지는 동 소재를 삭제함으로써 설계 공간의 여유 확보가 가능하다.
기존 구조 대비 접촉이 되는 포인트가 다수 존재하므로, 저항 감소 및 한 Point 에서 접촉저항 증가하여도 다른 접점 Point에서 커버가 가능하다.
그리고, 리워크시, 수/암단자 손상 없이 작업이 가능하며, 체결감 조절이 가능하고 이는 탄성체의 형상 및 탄성계수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암단자와 수단자의 접압력 및 접촉면적 증대되므로, 커넥터의 내구성이 증대한다.
즉, 접촉 Point가 많아서 1-2개의 접점의 접촉저항이 증가되어도 다른 접촉점으로 전기적 신호 전달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일 부분을 별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의 일 부분을 별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커넥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우징(13) 내의 암 단자(11)에 수 단자(20)가 체결되는 구조로서, 체결 후 접촉이 일어나는 구조를 사용하여 Sn 도금의 Fretting 마모, 변형 등에 의한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커넥터 체결시 단자 Sn 도금부가 마모되어 Sn debris가 Contact 부 접촉저항을 증가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변형되어 접촉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수 단자(20) 및 암 단자(11)의 접촉을 위한 공차 관리가 어려운 품질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REWORK 후 단자 변형이 가속화되어(Stress Relaxation과 관련) 다양한 품질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스프링 특성을 가지는 구리 합금을 이용하여 커넥터 암단자/수단자의 구조를 변경하여, 암/수단자 접점부 마모, 변형 방지 및 저 저항 유지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포함하고, 암 커넥터는 하우징(130) 내에 암 단자(110)가 삽입되고, 하우징(130) 측면에 이탈방지 레버(1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수 커넥터는 수 단자(210)와 수 단자 가이드(220)를 포함한다.
하우징(130)은 원통형, 직육면체형 등일 수 있으며, 일 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수 커넥터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암 단자(11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일 단부는 하우징(130)의 개방면에 대향되는 폐쇄면에 인접한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일정 길이(a) 연장되어 마련된다.
암 단자(110)는 구리 합금 소재일 수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며, 사용에 따라 탄성 계수를 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베릴륨동, 인청동, 코르손 합금 등일 수 있으며, 도금이 가능한 금속재료(SUS, Tungsten)일 수 있다.
또한, 소성변형이 적게 되는 재질, Stress Relaxation Characteristic(%)이 낮은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와 같이 산(마루)과 골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판 스프링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산과 골의 높이 차이(h)가 산과 골의 간격(L0) 이하로 마련된다.
그리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한 쌍의 암 단자(110) 간의 간격(b)은 산과 골의 높이 차이(h) 이하가 된다.
또한, 수 단자(210)는 바(bar) 또는 로드(rod) 형태일 수 있으며, 수 단자(210)의 외주를 둘러싸는 형태로 수 단자 가이드(220)가 구성된다.
수 단자(210)는 한 쌍의 암 단자(110) 간의 공간으로 삽입되고, 수 단자(210)의 폭은 삽입 전 산과 골의 높이 차이(h) 이하가 된다.
그래서, 수 단자(210)는 한 쌍의 암 단자(110) 간의 공간으로 삽입되고, 수 단자(210) 둘레의 수 단자 가이드(220)가 암 단자(110)의 타 단부를 가압하면서 삽입되는 구조가 된다.
즉, 수 단자(210)의 폭은 삽입 전 산과 골의 높이 차이(h) 이하이기 때문에 도 4와 같이 삽입 전 암 단자(110)의 산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수 단자 가이드(220)의 폭(Tg)은 산과 골의 높이 차이(h) 이하가 됨으로써, 하우징(130)에 삽입되면서 암 단자(110)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 단자(210)의 끝단으로부터 수 단자 가이드(220)까지의 길이는 변형 전 암 단자(110)의 길이(a)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수 단자(210) 삽입시 수 단자 가이드(220)가 암 단자(11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이탈방지 레버(120)는 암 단자(110)가 배치된 위치를 벗어난 하우징(130)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 홀(131)의 내측면에 레버 핀(123)에 힌지 결합된다.
내측부(121)와 외측부(122)가 일정 경사를 가지며 결합된 형태로, 도시와 같이 수 단자(210) 삽입 전 내측부(121)는 하우징(13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수 단자(210) 삽입시 수 단자 가이드(220)가 내측부(121)를 밀어서 이탈방지 레버(120)가 레버 핀(123)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게 된다.
삽입 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 레버(120)에는 탄성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부(121)와 외측부(122)는 90도에 근사한 각도를 유지함으로써 외측부(122)는 하우징(130)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된 상태가 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삽입 전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의 하우징(130) 내로 삽입되면, 수 단자(210)는 한 쌍의 암 단자(110) 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수 단자 가이드(220)가 이탈방지 레버(120)의 내측부(121)를 밀어서 레버 핀(123)을 기준으로 이탈방지 레버(120)를 회전 동작시킨다.
이후 수 단자(210)가 보다 전진하여 도 6과 같이 완전 체결된다.
즉, 수 단자 가이드(22)가 암 단자(110)의 타 단부를 밀어서 암 단자(110)가 압축되도록 변위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 레버(120)는 탄성 복원되어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내측부(121)가 하우징(130) 내부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수 단자 가이드(220)의 후단을 지지하여 수 단자 가이드(220)의 후퇴 동작을 저지시키게 된다.
또한, 암 단자(110)가 압축됨에 따라 암 단자의(110)의 산들은 수 단자(210)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암 단자(110)의 골들은 하우징(130)의 내측면과 접촉을 이루며, 암 단자(110)의 타 단부는 수 단자 가이드(220)의 전단과 접촉하게 된다.
즉, 최소 10개소 이상의 점 접촉과 2개소 이상의 면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도 6과 같이 암 단자(110)가 압축된 상태에서의 산과 골의 간격(Lp)은 L0/2 이하이면서 L0/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Lp 값이 L0/2 보다 크면 원하는 곡률로 접히지 않아서 접점이 불안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Lp 값이 L0/4 보다 작으면 접점의 유동으로 Fretting 마모 및 접촉저항의 증가를 유발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암 단자(110)가 압축된 상태에서의 암 단자(110)의 길이(ap)는 a/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체결 후, 탈거(rework)를 위해서 이탈방지 레버(120)의 외측부(122)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이탈방지 레버(120)의 하우징(130) 외측으로 노출된 외측부(122)를 회전 동작시켜 수 단자 가이드(220)를 내측부(121)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그러면 암 단자(110)가 탄성 복원되게 됨으로써 도 8과 같이 수 커넥터가 자동 탈거하게 되고, 이탈방지 레버(120)에 가한 외력을 해제하면 이탈방지 레버(120) 또한 원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체결 후 접촉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며, 탈거 또한 용이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암 단자
120 : 이탈방지 레버
121 : 내측부 122 : 외측부
123 : 레버 핀
130 : 하우징
131 : 레버 홀
210 : 수 단자
220 : 수 단자 가이드

Claims (18)

  1. 일 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한 쌍의 암 단자가 삽입된 암 커넥터; 및
    한 쌍의 상기 암 단자 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암 단자와 접촉되는 수 단자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 단자는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에 의해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 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수 단자의 외주를 둘러싸는 수 단자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가 상기 암 단자의 타 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는 상기 암 단자의 타 단부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 단자는 산과 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어진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한 쌍의 상기 암 단자 간의 간격은 상기 산과 상기 골의 높이 차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의 폭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산과 상기 골의 높이 차이(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 가이드의 폭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산과 상기 골의 높이 차이(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 단자 가이드까지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산과 상기 골의 간격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상기 산과 상기 골의 간격의 1/4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암 단자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 홀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내측부와 외측부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며 결합된 이탈방지 레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가 상기 내측부를 밀어서 회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이탈방지 레버는 복원력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내측부가 상기 수 단자 가이드의 후퇴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외측부는 상기 레버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외측부를 조작시 상기 이탈방지 레버의 회전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일 측이 개방된 하우징 내에 한 쌍의 암 단자가 삽입된 암 커넥터;
    한 쌍의 상기 암 단자 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암 단자와 접촉되는 수 단자 및 상기 수 단자의 외주를 둘러싸는 수 단자 가이드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레버 홀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의 후퇴를 저지하는 이탈방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암 단자는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 내 삽입시 상기 수 단자 가이드가 상기 암 당자의 타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 측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 단자 가이드까지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수 단자와 상기 암 단자의 체결시 상기 암 단자의 길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암 단자의 길이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레버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일 단부가 상기 레버 홀의 내측면에 결합된 레버 핀에 결합된 내측부; 및
    상기 내측부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일 단부가 상기 레버 핀에 결합된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 레버는 상기 레버 핀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되, 상기 하우징 간에 결합된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165821A 2021-11-26 2021-11-26 커넥터 조립체 KR20230078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821A KR20230078241A (ko) 2021-11-26 2021-11-26 커넥터 조립체
US17/715,785 US11984682B2 (en) 2021-11-26 2022-04-07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821A KR20230078241A (ko) 2021-11-26 2021-11-26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241A true KR20230078241A (ko) 2023-06-02

Family

ID=8649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821A KR20230078241A (ko) 2021-11-26 2021-11-26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84682B2 (ko)
KR (1) KR202300782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80B1 (ko) 2014-04-02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넥터 단자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526A (en) * 1984-08-31 1987-04-07 Amp Incorporated Limited insertion force contact terminals and connectors
JP2822852B2 (ja) * 1993-06-30 1998-1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5893772A (en) * 1997-08-27 1999-04-13 Pacific Electricord Company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TW399811U (en) * 1999-02-02 2000-07-2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edge connector
TW540890U (en) * 2001-08-24 2003-07-0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JP3894774B2 (ja) * 2001-10-31 2007-03-22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カードならびに電子機器
DE102005012930A1 (de) * 2005-03-15 2006-09-21 Siemens Ag Elektrische Kontaktanordnung mit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Kontaktstück
US7347708B1 (en) * 2006-08-17 2008-03-25 Tzi-Chen Huang Firm-structured plug
CN201038412Y (zh) * 2007-07-09 2008-03-19 维熹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防脱机构的母插
JP4575962B2 (ja) * 2008-01-25 2010-11-04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組付方法
JP2011003386A (ja) * 2009-06-18 2011-01-06 Makita Corp 電気コードのコネクタ
US8998657B1 (en) * 2011-01-14 2015-04-07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High current female electrical contact assembly
JP5567052B2 (ja) 2012-03-12 2014-08-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用接触ばね、並びに、雌端子、雄端子、雌コネクタ、及び、雄コネクタ
JP5739827B2 (ja) 2012-03-12 2015-06-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用接触ばね、並びに、雌端子、雄端子、及び雌コネクタ
TW201413162A (zh) * 2012-09-27 2014-04-01 Justing Tech Taiwan Pte Ltd 發光二極體燈管之連接器
US9054447B1 (en) * 2013-11-14 2015-06-09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ing air heated by an electrical arc during disengagement of contacts to extinguish the electrical arc
US9647397B2 (en) * 2014-07-24 2017-05-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ognosis of connector disconnection with canary-based short terminals
TWI569541B (zh) * 2015-01-30 2017-02-01 勝德國際研發股份有限公司 電源插座
US9559467B1 (en) * 2015-08-17 2017-01-3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US10090614B2 (en) * 2016-10-18 2018-10-02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aled snap-in locking cavity plugs
US10714862B1 (en) * 2019-03-27 2020-07-14 Ningbo Well Electric Appliance Co., Ltd. Electrical socket
US11688966B1 (en) * 2022-01-25 2023-06-27 Yfc-Boneagle Electric Co., Ltd. Electric power connector with latch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80B1 (ko) 2014-04-02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넥터 단자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0638A1 (en) 2023-06-01
US11984682B2 (en)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9303B2 (en) Environmentally sealed connector with blind mating capability
US731659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mbedded canted coil spring
US7278861B2 (en) Connector assembly
US6997751B2 (en) Card connector and contact terminal for the same
CN101567501B (zh) 电气接触器及电子设备
US8070502B2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coupling device for such a connector
JPH06260248A (ja) 低挿入力電気コネクター
US2009001165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ducting terminal used therein
US20180323528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CA2097979C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for a connector
US6309228B2 (en) C-shaped compliant contact
CN1653653A (zh) 用于电连接器的锁扣装置
US20050037664A1 (en) Coaxial connector with torque limiting control
KR20230078241A (ko) 커넥터 조립체
US10819057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resilient contact arm with low insertion force and high normal force
JP4389902B2 (ja) モジュラジャック用爪折れ修復アタッチメント
EP3190666A1 (en) Pin for adapting electrical connectors, and a kit of parts including same
CN212033278U (zh) 连接器
US20200194919A1 (en) Electric terminal housing with a terminal lock
JP4151129B2 (ja) Fpc用コネクタ
JP4619431B2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CN109888527B (zh) 一种带锁插孔的连接器的电缆连接装置
JP3279692B2 (ja) コネクタ端子
JP3112228B2 (ja) ターミナル用の短絡部材
US3292137A (en) Spring latch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