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674A - 반송 팔레트 - Google Patents

반송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674A
KR20230077674A KR1020220157073A KR20220157073A KR20230077674A KR 20230077674 A KR20230077674 A KR 20230077674A KR 1020220157073 A KR1020220157073 A KR 1020220157073A KR 20220157073 A KR20220157073 A KR 20220157073A KR 20230077674 A KR20230077674 A KR 2023007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piece
loading
state
bas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츠지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1625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78073A/ja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5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6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6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Abstract

본 발명의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팔레트(100)는, 기대(10)와, 기대(10)의 상면에 마련되며, 중간판(220)을 적재하는 적재대(20)와, 적재대(20)의 배면에 마련된 지지부(30)를 구비한다. 기대(10)와, 적재대(20)의 일단부는, 제1 힌지부(51)로 결합되고, 적재대(20)의 배면과, 지지부(30)의 일단부는, 제2 힌지부(52)로 결합된다. 제1 힌지부(51) 및 제2 힌지부(52)의 회동에 의해, 지지부(30)를 기대(10)와 적재대(20)의 배면 사이에 격납한 수평 배치 상태와, 지지부(30)의 타단부가 기대(10)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30)가 적재대(20)를 지지하는 경사 상태를 전환한다.

Description

반송 팔레트{CONVEYING PALLET}
본 발명은, 유리 기판의 연마 장치에 사용되는,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을 반송하는, 반송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기판, 특히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을 연마하는 경우, 유리 기판을 연마 장치의 보유 지지부에서 보유 지지하고, 보유 지지된 유리 기판을, 연마 정반에 압박 접촉시켜 연마하는 연마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연마 장치의 보유 지지부에는, 프레임체, 막체, 중간판, 흡착 시트가 이 순으로 마련되어 있다. 캔버스 등의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은, 반송 팔레트에 수납되어, 예를 들어 부재 메이커로부터, 유리 기판을 연마하는 유리 메이커로 반송된다.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은, 유리 메이커에서 상기 막체가 프레임체에 설치되고, 또한 흡착 시트가 중간판에 설치되어, 연마 장치의 보유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유리 메이커로 반송된 반송 팔레트는, 그 후 유리 메이커로부터 부재 메이커로 반송된다.
일본 특허 제5013200호 공보
그런데, 근년 FPD용의 유리 기판은, 대형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유리 기판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보유 지지부도 또한 대형화되게 된다. 대형 유리 기판용의 막체 및 중간판은, 그 크기 때문에, 수평 배치의 상태로 반송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막체를 설치한 중간판은 세로 배치의 상태로 반송 팔레트에 수납되어, 천장 부분이 해방된 오픈톱 컨테이너에 수용되어, 반송된다.
세로 배치의 상태로 수납한 경우, 막체를 설치한 중간판을 수평 배치의 상태로 빼내는 장치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원활하게 빼낼 수 없어, 반송 팔레트를 경사지게 하는 설비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대형 유리 기판을 연마할 때 이용되는,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을, 세로 배치의 상태로 반송 가능하고, 또한 수평 배치의 상태로 빼낼 수 있는 반송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송 팔레트는,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팔레트이며,
기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중간판을 적재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의 배면에 마련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대와, 상기 적재대의 일단부는, 제1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적재대가 상기 기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대의 배면과,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제2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적재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대와 상기 제2 힌지부가 근접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기대와 상기 적재대의 배면 사이에 격납함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수평 배치 상태로 되고,
상기 기대와 상기 제2 힌지부가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가 상기 기대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적재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경사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반송 팔레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적재대는, 제1 소편과, 제2 소편과, 제3 소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소편의 일단부와, 상기 기대는, 상기 제1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소편이 상기 기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편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소편의 일단부는, 제3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소편이 상기 제1 소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소편의 타단부와, 상기 제3 소편의 일단부는, 제4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제3 소편이 상기 제2 소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편의 적재면과, 상기 제3 소편의 적재면을 근접시켜 마주보게 함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수납 상태로 되고, 상기 제1 소편, 상기 제2 소편, 및 상기 제3 소편의 각 적재면을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사용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반송 팔레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적재대는,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편 및 상기 제3 소편에 걸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빗장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소편은,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소편은,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3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빗장을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소편에 대한 상기 제3 소편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반송 팔레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적재대는,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편 및 상기 제2 소편에 걸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빗장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소편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소편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빗장을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소편에 대한 상기 제2 소편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반송 팔레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적재대는, 상기 막체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간판의 외측에서, 상기 막체를 관통하는 기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반송 팔레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기대의 상면에는,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 배치 상태와 상기 경사 상태 사이의 변형 시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상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반송 팔레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기대의 상면이며, 상기 레일이 없는 위치에 로크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경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를 로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을, 세로 배치의 상태로 반송 가능하고, 또한 수평 배치의 상태로 빼낼 수 있다.
도 1은 반송 팔레트가 반송하는 중간판의 이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의 (a)는 연마 헤드, 프레임체, 중간판, 연마 패드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프레임체와, 막체 및 중간판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팔레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팔레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팔레트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4의 (a)는 적재대의 경사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4의 (b)는 적재대의 수평 배치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의 수평 배치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팔레트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6의 (a)는 적재대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6의 (b)는 적재대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팔레트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개략 측면도이며, 특히 빗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팔레트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개략 측면도이며, 특히 빗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중간판을 적재한 적재대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X 영역 내의 주요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블루 시트로 곤포한 반송 팔레트를 오픈톱 컨테이너에 적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반송 팔레트에 다른 블루 시트를 씌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반송 팔레트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반송 팔레트가 반송하는 중간판(220)의 이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의 (a)는 연마 헤드(200), 프레임체(212), 중간판(220), 연마 패드(300)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프레임체(212)와, 막체(214) 및 중간판(220)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연마 헤드(200), 프레임체(212), 중간판(220), 및 연마 패드(300)는, 유리 기판(240)을 연마하는 연마 장치에 마련된다. 도시하지 않은 연마 장치는, 대형 유리 기판(240)의 편면을 FPD에 필요한 평탄도로 연마하는 연마 장치이다. 유리 기판(240)은, 예를 들어 1변이 3000㎜를 초과하고, 두께 0.4㎜ 내지 1.1㎜이다.
연마 장치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240)이 중간판(220), 배면 패드(230)를 통해 프레임체(212)에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체(212) 및 유리 기판(240)이 연마 헤드(200)에 보유 지지되고, 연마 패드(300)에 소정의 압력으로써 압박된다. 연마 장치가, 연마 패드(300)에 슬러리 S를 공급하면서, 연마 헤드(200)가 회전하여, 유리 기판(240)의 연마가 실시된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체(212)에는, 중간판(220)의 상면에 마련되는 막체(214)가 설치된다. 막체(214)의 하면은, 예를 들어 발포 폴리우레탄제의 흡착 시트가 접착됨과 함께, 이 흡착 시트가, 중간판(220), 배면 패드(230)와 함께, 유리 기판(240)을 자기 흡착함으로써, 유리 기판(240)이 프레임체(212)에 설치된다. 또한, 도 1의 (b)에 있어서는, 막체(214)는 중간판(220)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지 않지만, 막체(214)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 막체(214)가 중간판(220)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도 된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팔레트(100)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반송 팔레트(1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반송 팔레트(100)는, 도 1에 도시한 막체(214)가 설치된 중간판(220)을 반송하기 위한 팔레트이다. 중간판(22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의 판으로 구성되지만, 폴리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수지제의 판으로 구성해도 되고, 그 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막체(214)가 설치된 중간판(220)을, 간단히 중간판(220)이라 칭한다. 반송 팔레트(100)는, 기대(10)와, 기대(10)의 상면에 마련되며, 중간판(220)을 적재하는 적재대(20)와, 적재대(20)의 배면에 마련된 지지부(30)를 구비한다.
기대(10)는, 반송 팔레트(100)를 바닥면에 배치하기 위한 받침대에 상당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대(10)는 복수의 프레임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지만, 판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재대(20)는, 기대(10)의 상면에 마련되며, 중간판(220)을 적재하는 평판상의 부재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적재대(20)는 경사 상태로 되어 있고, 이 경사 상태에 있어서, 적재대(20)의 상면에 적재된 중간판(220)의 하단이, 적재대(20)의 일단부에 마련된 지지판(26)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반송 팔레트는 컨테이너에 탑재되어 반송된다. 그러나, G11 사이즈와 같은 큰 유리판을 연마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간판(220)을 경사 상태로 적재하는 반송 팔레트(100)는 높이가 매우 커서, 천장이 해방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에 탑재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중간판(220)을 적재한 반송 팔레트(100)는, 천장이 해방된 컨테이너인 오픈톱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반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재대(20)의 일 측면에는 빗장(40)이 마련되어 있지만, 빗장(40)의 상세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지지부(30)는, 적재대(20)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고, 경사 상태에 있는 적재대(20)를, 그 배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부(30)는 복수의 프레임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지만, 판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반송 팔레트(100)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4의 (a)는 적재대(20)의 경사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4의 (b)는 적재대(20)의 수평 배치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의 수평 배치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반송 팔레트(100)는, 복수의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적재대(20) 및 지지부(30)가, 반송 팔레트(100)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변형됨으로써, 반송 팔레트(100)의 반송에 드는 비용을 억제함과 함께, 중간판(220)의 취급에 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반송 팔레트(100)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대(10)와, 적재대(20)의 일단부는, 제1 힌지부(51)로 결합되어, 적재대(20)가 기대(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대(20)는, 제1 힌지부(51)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기대(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힌지부(51)는, 기대(10)와 적재대(20)의 일단부를 회동 핀에 의해 접속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고 있다. 기대(10)와 적재대(20)의 상대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제1 힌지부(51)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재대(20)의 배면과, 지지부(30)의 일단부는, 제2 힌지부(52)로 결합되어, 지지부(30)가 적재대(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30)는, 제2 힌지부(52)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적재대(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힌지부(52)는, 적재대(20)의 배면과 지지부(30)의 일단부를 회동 핀에 의해 접속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고 있다. 적재대(20)와 지지부(30)의 상대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제2 힌지부(52)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의 (a)의 경사 상태에 있어서, 제1 힌지부(51)는 개방되어 있고, 기대(10)와 제2 힌지부(52)는 이격되어 있다. 즉, 기대(10)와 적재대(20)에 있어서의 제2 힌지부(52)가 설치된 개소는, 이격되어 있다. 경사 상태에 있어서, 제2 힌지부(52)도 개방되어 있고, 적재대(20)와 지지부(30)는 이격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b)의 수평 배치 상태에 있어서, 제1 힌지부(51)는 폐쇄되어 있고, 기대(10)와 제2 힌지부(52)는 근접하고 있다. 즉, 기대(10)와 적재대(20)에 있어서의 제2 힌지부(52)가 설치된 개소는, 근접하고 있다. 수평 배치 상태에 있어서, 제2 힌지부(52)도 폐쇄되어 있고, 적재대(20)와 지지부(30)는 근접하고 있다.
즉, 적재대(20)가 도 4의 (a)의 경사 상태에 있는 경우, 작업자가, 화살표 B의 폐쇄 방향으로 제2 힌지부(52)를 폐쇄함과 함께 화살표 A의 폐쇄 방향으로 제1 힌지부(51)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적재대(20)가 도 4의 (b)의 수평 배치 상태가 되어, 지지부(30)를 기대(10)와 적재대(20)의 배면 사이에 격납할 수 있다.
한편, 적재대(20)가 도 4의 (b)의 수평 배치 상태에 있는 경우, 작업자가, 화살표 C의 개방 방향으로 제1 힌지부(51)를 개방함과 함께 화살표 D의 개방 방향으로 제2 힌지부(52)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적재대(20)가 도 4의 (a)의 경사 상태가 되고, 지지부(30)의 타단부가 기대(10)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30)가 적재대(20)를 지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반송 팔레트(100)에 대하여, 경사 상태와 수평 배치 상태의 2개의 상태를, 사용 상황에 따라서 전환할 수 있다. 중간판(220)의 반송 시에 있어서는, 반송 팔레트(100)를 경사 상태로 함으로써, 반송 팔레트(100)를 천장이 해방된 컨테이너에 탑재하여, 중간판(220)을 유리 메이커 등으로 반송할 수 있다.
경사 상태로 된 반송 팔레트(100)로부터 중간판(220)을 빼낼려고 하면, 원활한 빼내기가 곤란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힌지부(51) 및 제2 힌지부(52)의 회동에 의해, 반송 팔레트(100)를 수평 배치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팔레트(100)를 경사지게 하기 위한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수평 배치 상태의 반송 팔레트(100)로부터 원활하게 중간판(220)을 빼낼 수 있다.
또한, 반송 팔레트(100)를, 수평 배치 상태와 경사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중간판(220)의 적재 작업 및 적하 작업이 용이해져, 중간판(220)의 취급에 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반송 팔레트(100)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6의 (a)는 적재대(2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6의 (b)는 적재대(2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반송 팔레트(100)는, 도 4 및 도 5의 형태에 더하여, 또 다른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 상태」는, 적재대(20)에 중간판(220)을 적재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전술한 수평 배치 상태 및 경사 상태를 포함하고, 「수납 상태」는, 적재대(20)에 중간판(220)을 적재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도 6의 (a)는 적재대(2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경사 상태를 나타낸다.
적재대(20)는, 제1 소편(21)과, 제2 소편(22)과, 제3 소편(23)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26)의 측에서 보아, 제1 소편(21), 제2 소편(22), 제3 소편(23)이 이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소편(21) 및 제3 소편(23)이 각각 1매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소편(22)은, 3개의 소편의 나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분할된 복수의 판과 이들 판을 연결하는 막대형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각 소편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소편(21)의 일단부와, 기대(10)는, 상술한 제1 힌지부(51)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소편(21)의 타단부와, 제2 소편(22)의 일단부는, 제3 힌지부(53)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소편(22)은, 제3 힌지부(53)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제1 소편(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3 힌지부(53)는, 제1 소편(21)의 타단부와 제2 소편(22)의 일단부를 회동 핀에 의해 접속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고 있다. 제1 소편(21)과 제2 소편(22)의 상대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제3 힌지부(53)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2 소편(22)의 타단부와, 제3 소편(23)의 일단부는, 제4 힌지부(54)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소편(23)은, 제4 힌지부(54)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제2 소편(2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4 힌지부(54)는, 제2 소편(22)의 타단부와 제3 소편(23)의 일단부를 회동 핀에 의해 접속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고 있다. 제2 소편(22)과 제3 소편(23)의 상대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제4 힌지부(54)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의 (a)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제1 힌지부(51), 제2 힌지부(52)에 더하여, 제3 힌지부(53)도 개방되어 있어, 제1 소편(21)의 적재면과 제2 소편(22)의 적재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4 힌지부(54)도 개방되어 있어, 제2 소편(22)의 적재면과 제3 소편(23)의 적재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소편(21), 제2 소편(22), 및 제3 소편(23)의 각 적재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도 6의 (b)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제1 힌지부(51), 제2 힌지부(52)에 더하여, 제3 힌지부(53)도 폐쇄되어 있어, 제1 소편(21)의 적재면과 제2 소편(22)의 적재면이 서로 직교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4 힌지부(54)도 폐쇄되어 있어, 제2 소편(22)의 적재면과 제3 소편(23)의 적재면이 서로 직교한 상태로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소편(21)의 적재면과 제3 소편(23)의 적재면이, 근접하여 마주보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적재대(20)가 도 6의 (a)의 사용 상태에 있는 경우, 작업자가, 화살표 B의 폐쇄 방향으로 제2 힌지부(52)를 폐쇄함과 함께 화살표 A의 폐쇄 방향으로 제1 힌지부(51)를 폐쇄함으로써, 적재대(20)는, 도 4의 (b)에 도시한 수평 배치 상태로 된다. 또한 작업자가, 화살표 E의 폐쇄 방향으로 제3 힌지부(53)를 폐쇄함과 함께 화살표 F의 폐쇄 방향으로 제4 힌지부(54)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적재대(20)가 도 6의 (b)의 수납 상태로 되어, 제1 소편(21)의 적재면과, 제3 소편(23)의 적재면을 마주 보는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적재대(20)가 도 6의 (b)의 수납 상태에 있는 경우, 작업자가, 화살표 G의 개방 방향으로 제3 힌지부(53)를 개방함과 함께 화살표 H의 개방 방향으로 제4 힌지부(54)를 개방함으로써, 적재대(20)는 도 4의 (b)에 도시한 수평 배치 상태로 된다. 또한 작업자가, 화살표 C의 개방 방향으로 제1 힌지부(51)를 개방함과 함께 화살표 D의 개방 방향으로 제2 힌지부(52)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적재대(20)가 도 6의 (a)의 사용 상태가 되어, 제1 소편(21), 제2 소편(22), 및 제3 소편(23)의 각 적재면을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반송 팔레트(100)에 대하여,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의 2개의 상태를, 사용 상황에 따라서 전환할 수 있다. 중간판(220)의 반송 시에 있어서는, 반송 팔레트(100)를 사용 상태로 함으로써, 반송 팔레트(100)를 천장이 해방된 컨테이너에 탑재하여, 중간판(220)을 유리 메이커 등으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장이 해방된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이용 비용이 높다. 그러나, 중간판(220)의 반송 후에는 반송 팔레트(100)를 수납 상태로 함으로써 높이를 억제하여, 반송 팔레트(100)를 천장이 해방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에 탑재하여, 반송 팔레트(100)를 운송회사 등에 반환할 수 있다. 따라서, 반환 시의 비용을 억제하여, 전체의 반송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도 6의 (b)의 수납 상태는, 도 4의 (b)의 수평 배치 상태에 비해, 수평 방향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어, 컨테이너로의 탑재 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반송 팔레트(10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개략 측면도이며, 특히 빗장(4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적재대(20)의 경사 상태를 도시한다. 적재대(20)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제1 소편(21) 및 제3 소편(23)에 걸치는 위치에, 이동 가능한 빗장(40)을 구비한다. 빗장(40)은, 적재대(20)의 적어도 일측면에 마련된 긴 형상의 부재이다.
제1 소편(21)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빗장(40)과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41)를 구비하고, 제3 소편(23)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빗장(40)과 걸림 결합하는 제3 걸림 결합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3 걸림 결합부(43)는, 각각 제1 소편(21) 및 제3 소편(2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3 걸림 결합부(43)는, 예를 들어 빗장(40)이 통과 가능한 구멍을 갖는 탭형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작업자는, 빗장(40)을 슬라이드시켜,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3 걸림 결합부(43)의 구멍을 통과시킴으로써, 빗장(40)을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3 걸림 결합부(43)에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빗장(40)이 제1 소편(21) 및 제3 소편(23)을 구속하여, 제1 소편(21)에 대한 제3 소편(23)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빗장(40)은, 사용 상태에 있어서, 제1 소편(21), 제2 소편(22), 제3 소편(23)의 각 적재면을 동일 평면 상에서 고정할 수 있어, 중간판(220)을 원활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빗장(40)과 제1 걸림 결합부(41) 또는 제3 걸림 결합부(43)의 걸림 결합에 의해, 빗장(40)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 상태여도 빗장(40)의 빠짐 등의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반송 팔레트(10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개략 측면도이며, 특히 빗장(4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적재대(20)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제1 소편(21) 및 제2 소편(22)에 걸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빗장(40)을 구비한다. 빗장(40)은, 적재대(20)의 일측면에 마련된 긴 형상의 부재이다.
제1 소편(21)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빗장(40)과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41)를 구비하고, 제2 소편(22)은, 수납 상태에 있어서, 빗장(40)과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결합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2 걸림 결합부(42)는, 각각 제1 소편(21) 및 제2 소편(2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2 걸림 결합부(42)는, 예를 들어 빗장(40)이 통과 가능한 구멍을 갖는 탭형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작업자는, 빗장(40)을 슬라이드시켜,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2 걸림 결합부(42)의 구멍을 통과시킴으로써, 빗장(40)을 제1 걸림 결합부(41) 및 제2 걸림 결합부(42)에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빗장(40)이 제1 소편(21) 및 제2 소편(22)을 구속하여, 제1 소편(21)에 대한 제2 소편(22)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의 변형이 용이해진다. 즉, 사용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의 변형 시, 제3 힌지부(53) 및 제4 힌지부(54)가 회동할 때, 작업자는, 예를 들어 제3 힌지부(53)의 회동을 억제하면서 제4 힌지부(54)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은 곤란한 경우가 있어,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빗장(40)이 제1 소편(21) 및 제2 소편(22)을 구속함으로써, 작업자는, 용이하게 제4 힌지부(54)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3 걸림 결합부(43)가 도 9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9에 있어서 제3 소편(23)에 제3 걸림 결합부(43)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반송 팔레트(100)에 있어서, 제2 소편(22)에 제2 걸림 결합부(42)를 마련해도 된다.
도 10은 중간판(220)을 적재한 적재대(20)의 상면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 중간판(220)은, 도 1의 것과 달리, 중간판(220)의 외측으로 막체(214)가 비어져 나와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체(214)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간판(220)의 외측에서 막체(214)가 비어져 나온 부분을 갖는다. 이 비어져 나온 부분에는, 미리 기둥(27)이 관통 가능한 구멍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도 2,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대(20)는, 그 에지부에 핀형의 기둥(27)을 복수 갖고 있다. 기둥(27)은 적재대(20)에 떼어내기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만, 완전 고정이어도 된다. 그리고, 중간판(220)을 적재대(20)에 적재하였을 때, 기둥(27)은, 중간판(220)의 외측에서, 막체(214)의 구멍을 관통한다. 이에 의해, 기둥(27)은 막체(214)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X 영역 내의 주요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지지부(30)의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인 하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3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기대(10)의 상면에는, 레일(1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배치 상태와 경사 상태 사이의 변형 시에 있어서, 롤러(32)가 레일(12) 상을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지지부(30)의 이동이 원활해져, 작업자는, 반송 팔레트(100)의 변형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대(10)의 상면이며, 레일(12)이 없는 위치에는 로크 기구(14)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14)는, 경사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30)의 타단부에 걸림 결합하여 지지부(30)를 로크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로크 기구(14)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막대형 부재를 갖고 있다. 지지부(30)의 타단부는, 로크 기구(14)의 막대형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가, 막대형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막대형 부재가 지지부(30)의 관통 구멍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지지부(30)의 타단부가, 경사 상태에 있어서, 로크 기구(14)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기대(10)에 안정적으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여, 반송 팔레트(100)의 경사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중간판(220)의 반송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먼저, 반송 팔레트(100)의 적재대(20)를, 도 4의 (b) 및 도 5에 도시한 수평 배치 상태로 하여, 중간판(220)을 적재대(20)에 적재한다. 작업자는, 중간판(220)에 비닐 시트를 덮은 후, 적재대(20)의 기둥(27)을, 중간판(220)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온 막체(214)에 미리 마련된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중간판(220)을 위치 결정한다. 작업자는, 수평 배치 상태의 적재대(20)에 있어서, 기둥(27)을 구멍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원활하게 중간판(220)을 적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반송 팔레트(100)의 적재대(20)를, 도 2 내지 도 4의 (a), 도 6의 (a), 및 도 8의 경사 상태로 변형하고, 블루 시트로 곤포하여, 컨테이너에 실어 수송한다. 컨테이너의 목적지로의 도착 후, 작업자는 반송 팔레트(100)를 컨테이너로부터 내려, 블루 시트를 벗겨낸다. 작업자는, 다시 적재대(20)를 수평 배치 상태로 하여, 중간판(220)을 빼낸다. 작업자는, 수평 배치 상태의 적재대(20)로부터, 원활하게 중간판(220)을 빼낼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중간판(220)이 없는 적재대(20)를 절첩하여, 도 6의 (b) 및 도 7에 도시한 수납 상태로 변형한다.
도 12는 블루 시트(420)로 곤포한 반송 팔레트(100)를 오픈톱 컨테이너(400)에 적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사 상태의 반송 팔레트(100)의 정상부가, 오픈톱 컨테이너(4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반송 시에 반송 팔레트(100)가 어긋나지 않도록, 컨테이너(400)의 저면에 배치된 고정 프레임(430)이 반송 팔레트(100)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있다. 경사 상태의 반송 팔레트(100)는 높이 방향의 치수가 커서, 천장이 해방된 오픈톱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반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오픈톱 컨테이너는, 일반적인 천장이 있는 컨테이너에 비해 이용 요금이 높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또한 오픈톱 컨테이너(400)를 덮도록 블루 시트(450)를 마련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씌워지는 블루 시트(450)는, 반송 팔레트(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 6의 (b) 및 도 7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반송 팔레트(100)는 수평 방향으로도 높이 방향으로도 사이즈가 작아져, 서로 적층할 수도 있고, 적층한 상태에서, 통상의 컨테이너에 실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중간판(220)을 내린 후, 복수대의 반송 팔레트(100)를 적층하여, 하나의 컨테이너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 팔레트(100)를 운송회사 등에 반송하는 귀로에 요하는 수송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수치, 형태, 수, 배치 개소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이며,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은, 2021년 11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1-191512호 및 2022년 10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2-162554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0: 기대
12: 레일
14: 로크 기구
20: 적재대
21: 제1 소편
22: 제2 소편
23: 제3 소편
27: 기둥
30: 지지부
32: 롤러
40: 빗장
41: 제1 걸림 결합부
42: 제2 걸림 결합부
43: 제3 걸림 결합부
51: 제1 힌지부
52: 제2 힌지부
53: 제3 힌지부
54: 제4 힌지부
100: 반송 팔레트
200: 연마 헤드
212: 프레임체
214: 막체
220: 중간판
300: 연마 패드

Claims (7)

  1. 막체가 설치된 중간판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팔레트이며,
    기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중간판을 적재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의 배면에 마련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대와, 상기 적재대의 일단부는, 제1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적재대가 상기 기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대의 배면과,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는, 제2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적재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대와 상기 제2 힌지부가 근접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기대와 상기 적재대의 배면 사이에 격납됨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수평 배치 상태로 되고,
    상기 기대와 상기 제2 힌지부가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가 상기 기대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적재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경사 상태로 되는, 반송 팔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제1 소편과, 제2 소편과, 제3 소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소편의 일단부와, 상기 기대는, 상기 제1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소편이 상기 기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편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소편의 일단부는, 제3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소편이 상기 제1 소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소편의 타단부와, 상기 제3 소편의 일단부는, 제4 힌지부로 결합되며, 상기 제3 소편이 상기 제2 소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편의 적재면과, 상기 제3 소편의 적재면을 근접시켜 마주 보게 함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수납 상태로 되고,
    상기 제1 소편, 상기 제2 소편, 및 상기 제3 소편의 각 적재면을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대가 사용 상태로 되는, 반송 팔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편 및 상기 제3 소편에 걸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빗장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소편은,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소편은, 상기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3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빗장을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3 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소편에 대한 상기 제3 소편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반송 팔레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소편 및 상기 제2 소편에 걸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빗장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소편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소편은, 상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빗장과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빗장을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소편에 대한 상기 제2 소편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반송 팔레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상기 막체의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간판의 외측에서, 상기 막체를 관통하는 기둥을 갖는, 반송 팔레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기대의 상면에는,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 배치 상태와 상기 경사 상태 사이의 변형 시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상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반송 팔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의 상면이며, 상기 레일이 없는 위치에 로크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경사 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걸림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를 로크하는, 반송 팔레트.
KR1020220157073A 2021-11-25 2022-11-22 반송 팔레트 KR20230077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91512 2021-11-25
JPJP-P-2021-191512 2021-11-25
JP2022162554A JP2023078073A (ja) 2021-11-25 2022-10-07 搬送パレット
JPJP-P-2022-162554 2022-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674A true KR20230077674A (ko) 2023-06-01

Family

ID=8641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073A KR20230077674A (ko) 2021-11-25 2022-11-22 반송 팔레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7674A (ko)
CN (1) CN1161613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00B1 (ko) 1970-03-13 1975-05-17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00B1 (ko) 1970-03-13 1975-05-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61311A (zh)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5699B (zh) 玻璃板捆包用集裝架以及玻璃板捆包體
KR101350253B1 (ko) 기판 반송 설비
KR20190002483U (ko) 곤포체 및 곤포 용기
JP2010143599A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JP2007153395A (ja) 大型板状体梱包箱
JP2006168748A (ja) ガラス搬送用枠体
KR20090033322A (ko) 판상체의 수납 방법 및 수납 장치
KR20230077674A (ko) 반송 팔레트
JP5163860B2 (ja) 基板搬送装置
JP4222007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6347753A (ja) 搬送システム
TWI510416B (zh) The load-bearing device of the plate-like body and the transportation vehicle
JP2023078073A (ja) 搬送パレット
KR101267003B1 (ko)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TW202114921A (zh) 玻璃板搬送容器
KR20070079003A (ko) 포토마스크 기판 수용유닛, 포토마스크 기판 이송방법,포토마스크 제품 제조방법 및 포토마스크 노광/전사방법
KR101267002B1 (ko)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용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
JP2005170682A (ja) ディスプレイ用基板の取り出し機構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基板の取り出し方法
JP5083555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3244332U (ja) 板状体の収納容器
JPWO2008129603A1 (ja) 基板搬送システム
JP3243756U (ja) ガラス板の収納容器
KR20030038498A (ko) 판상물 운반용기
JP3200355U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JP7417861B2 (ja) 梱包体および梱包体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