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003B1 -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003B1
KR101267003B1 KR1020130029892A KR20130029892A KR101267003B1 KR 101267003 B1 KR101267003 B1 KR 101267003B1 KR 1020130029892 A KR1020130029892 A KR 1020130029892A KR 20130029892 A KR20130029892 A KR 20130029892A KR 101267003 B1 KR101267003 B1 KR 10126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tilting
glass
box
stack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정성진
임남규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13002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2Application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65G49/069Means for avoiding damage to stacked plate glass, e.g. by interposing paper or powder spacers in the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서 글라스 패널을 그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이송하여 선별적으로 상기 규격에 따른 각각의 적재 박스(B)의 패널 삽입홈(C)에 안착시켜 삽입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글라스 패널의 진공 흡착 및 공압 부상이 가능하며, 틸팅 방식에 의하여 글라스 패널 자체의 자중에 의한 낙하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글라스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글라스 패널의 진공 흡착 및 공압 부상이 가능하며, 틸팅 방식에 의하여 글라스 패널 자체의 자중에 의해 적절한 힘을 가지고 다양한 규격과 크기를 가지는 글라스 패널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적재 박스로 선별하여 삽입하여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Glass pannel Sorting System with Tilting Plaform}
본 발명은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글라스 패널(P)을 그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이송하여 선별적으로 상기 규격에 따른 각각의 적재 박스(B)의 패널 삽입홈(C)에 안착시켜 삽입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적재 하여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
각각의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인출하여 하나의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
상기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으로 인출되어 상기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
상기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를 통하여 상기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제 3 이송위치(c)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글라스 패널(P)에 표시된 상기 글래스 패널의 규격을 포함하는 특성을 표시하는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적재할 적재 위치(e1,e2,e3,e4)를 결정하는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제 3 이송위치(c)로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4 이송 위치(d)까지 이송하는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에서 결정된 상기 적재 위치(e1,e2,e3,e4)에 설치된 각각의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에 장착된 각각의 적재 박스(B)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이송하여 적재하는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는,
지지 테이블(21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이동 테이블(230)을 탑재 위치로부터 각각의 적재 위치로 분류하여 선별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분류 구동 수단(220);
상기 이동 테이블(230) 상에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에 설치된 틸팅 회전축(241)을 통하여 설치되며, 틸팅 구동 수단(250)을 통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하향되어 틸팅되는 틸팅 플랫폼(240);
상기 틸팅 플랫폼(240) 상에 삽입 구동 수단(262)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동되거나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삽입 구동 블럭(260);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에 2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 패널(P)의 하면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거나 공압에 의해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면 지지 가이드(270);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에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양측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지지 가이드(2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TV 모니터, PDP, 노트북 등에 활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LCD)는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 중 하나로 한 쌍의 유리기판(평면유리) 사이에 채워지는 액체와 고체의 중간상인 액정의 전기-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구조를 지닌다. 제조현장에서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유리기판들은 외부의 충격을 견디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자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유리기판 보관용 상자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내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단면의 요홈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을 수직으로 지지하여 수납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상자에서 보다 많은 수의 유리기판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요홈의 간격을 좁혀야 하지만 두께가 얇아져 지지 강도상의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4362호 에 의하면 『복수매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대략 직립으로 병렬 배치시켜서 수납하는 유리 기판용 반송 상자이며, 상기 반송 상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체, 측면을 형성하는 외벽판 및 천정면부를 형성하는 덮개체, 또는 유리 기판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보유 지지 패드를 복수개 갖고, (중략)보유 지지 패드가 유리 기판 단부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공개된다. 이는 강도상으로 견실하기는 하지만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수평적재가 곤란하여 적층에 따른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 2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9479호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에는 각각의 기판을 보호지와 함께 수평상태로 적층하는 상자에 있어서: 외면에 밴드홈과 요철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긴밀하게 수용되고, 저면공과 코너홈을 구비하는 본체보호부재; 상기 본체의 개방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밴드홈과 요철부를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내면에 긴밀하게 수용되는 덮개보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보호부재와 덮개보호부재는 각각 본체와 덮개에 비하여 경도가 낮은 연질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본체와 덮개 사이에 적재 가능한 중간본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유리 기판 또는 글라스 패널 보관용 또는 적재용 박스는 근래들어 PP 레진에 흑연분말 등의 대전방지제를 0.3-1.5wt% 첨가하여 발포한 EPP 성형품으로 제조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프롬 포트(From-port)로부터 공급되는 유리 기판 또는 글라스 패널을 그 규격 또는 특성에 따라 선별하여 분류하여, 상기 보관용 또는 적재용 박스와 같은 투포트(To-Port)로 선별 이송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용 장치 시스템에 관한 기존 발명으로는 하기 특허문헌 3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2141호의 "글라스 분류 장비 및 분류 방법"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용 장치 시스템에서는 글라스 패널을 상기 보관용 또는 적재용 박스에 선별 이송하는 데 상업용 로봇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이 경우 파손되기 쉬운 상기 글라스 패널을 안전하게 파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산업용 로봇을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별 이송과정에서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흡착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글라스 패널을 이송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 또는 흡착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송 방법은 일반적인 이송(즉, 위치를 이동하는 이송)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홈(C)에 각각의 글라스 패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삽입홈(C)은 일반적으로 상기 글라스 패널의 두께에 맞추어 형성되며, 다수 개의 상기 글라스 패널을 적층하여 적재하므로 상기 삽입홈(C)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작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 또는 흡착 시스템은 삽입 공정을 수행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또한, 상기 적재 박스 자체의 변형 또는 상기 삽입 홈(C)에 버(burr)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상기 글라스 패널이 효율적으로 삽입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적절한 힘이 가해져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글라스 패널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글라스 패널이 상기 삽입홈에는 효율적으로 삽입될 수는 있되, 상기 글라스 패널의 파손이 발생해서는 안되는 정도여야 하므로, 적절한 범위의 힘을 가하는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대단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44362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9479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2141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글라스 패널의 진공 흡착 및 공압 부상이 가능하며, 틸팅 방식에 의하여 글라스 패널 자체의 자중에 의해 적절한 힘을 가지고 다양한 규격과 크기를 가지는 글라스 패널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적재 박스로 선별하여 삽입하여 적재하는 것이 가능한 글라스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라스 패널(P)을 그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이송하여 선별적으로 상기 규격에 따른 각각의 적재 박스(B)의 패널 삽입홈(C)에 안착시켜 삽입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적재 하여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
각각의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인출하여 하나의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
상기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으로 인출되어 상기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
상기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를 통하여 상기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제 3 이송위치(c)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글라스 패널(P)에 표시된 상기 글래스 패널의 규격을 포함하는 특성을 표시하는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적재할 적재 위치(e1,e2,e3,e4)를 결정하는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제 3 이송위치(c)로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4 이송 위치(d)까지 이송하는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에서 결정된 상기 적재 위치(e1,e2,e3,e4)에 설치된 각각의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에 장착된 각각의 적재 박스(B)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이송하여 적재하는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는,
지지 테이블(21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이동 테이블(230)을 탑재 위치로부터 각각의 적재 위치로 분류하여 선별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분류 구동 수단(220);
상기 이동 테이블(230) 상에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에 설치된 틸팅 회전축(241)을 통하여 설치되며, 틸팅 구동 수단(250)을 통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하향되어 틸팅되는 틸팅 플랫폼(240);
상기 틸팅 플랫폼(240) 상에 삽입 구동 수단(262)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동되거나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삽입 구동 블럭(260);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에 2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 패널(P)의 하면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거나 공압에 의해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면 지지 가이드(270);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에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양측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지지 가이드(2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는,
적재 박스 상하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적재 박스 상하 구동 수단(3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
상기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박스(B)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푸는 작동이 가능한 적재 박스 고정 수단(331)이 설치되는 적재박스 고정 가이드(330);
상기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박스(B)가 이동하는 경우 지지하는 적재 박스 롤러(332);
상기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박스(B)를 틸팅하는 적재 박스 틸팅 수단(3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에는 진공 또는 공압을 인가할 수 있는 에어 홀(27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글라스 패널(P)의 규격에 따라 상기 각각의 측면 지지 가이드(28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지지 가이드 간격 조절 수단(282);
상기 측면 지지 가이드(280)에 다수개 배열되어 설치되어,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측면을 지지하며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롤러(28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딩 구동 수단(250)은,
상기 이동 테이블(230)에 설치되는 공압 실린더(251);
상기 공압 실린더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는 틸팅 롤러(252);
상기 틸팅 플랫폼(240)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압 실린더(251)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틸팅 롤러(252)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틸팅 플랫폼(240)이 밀어올려질 수 있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구조체(25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의 상기 적재 박스(B) 방향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글라스 패널(P)이 상기 적재 박스(B)의 삽입 홈(C)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패널 안착 감지 센서(272);
상기 틸팅 플랫폼(240)의 틸팅 여부를 감지하는 틸팅 감지 센서(25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글라스 패널의 진공 흡착 및 공압 부상이 가능하며, 틸팅 방식에 의하여 글라스 패널 자체의 자중에 의해 적절한 힘을 가지고 다양한 규격과 크기를 가지는 글라스 패널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적재 박스로 선별하여 삽입하여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라스 패널 탑재용 EPP Box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기존 발명에 의한 글라스 패널의 분류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장치의 대략적인 전체 구성 상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장치의 대략적인 전체 구성 측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의 틸팅된 상태에서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의 수평인 상태에서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의 수평인 상태에서의 하면 지지 가이드와 측면 지지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장치의 적재 박스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장치의 적재 박스 구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라스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의 틸팅 삽입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글라스 패널을 그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이송하여 선별적으로 상기 규격에 따른 각각의 적재 박스(B)의 패널 삽입홈(C)에 안착시켜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크게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 및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종의 프롬 포트(Fpom-port)의 기능을 가지며,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적재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은 공급하는 상기 글라스 패널의 종류/ 규격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된 각각의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인출하여 하나의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다른 위치에 설치된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인출하더라도, 동일한 하나의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후 인출 구동 수단(112)에 의하여 전후로 구동되며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으로부터 탑재하는 인출 탑재부(111)와, 가이드 레일(114) 상에서 상기 인출 탑재부(111)를 상기 이송 시작 위치(a)까지 구동시키는 좌우 이송 구동 수단(11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으로 인출되어 상기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P)을 흡착고정하는 흡착부(121)와, 상기 흡착부(121)를 상하로 구동하여 흡착 및 탈착시에는 상기 흡착부(121)를 흡착/탈착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이송시에는 상기 흡착부(121)를 상승시킨 상태로 구동하는 상하 구동부(122)와, 수평 이동 가이드(124)에 의해 유도되면서 상기 흡착부(121)를 상기 이송 시작 위치(a)와 상기 제 2 이송 위치(b) 사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를 통하여 상기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제 3 이송위치(c)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구성하는 이송 콘베이어의 구성 및 작동에 관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실시되고 있는 수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다음으로,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글라스 패널(P)에 표시된 상기 글래스 패널의 규격을 포함하는 특성을 표시하는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적재할 적재 위치(e1,e2,e3,e4)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은, 상기 글라스 패널(P)에 표시된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의 종류에 따라 바코드 인식기, 큐알코드 인식기, RF 코드 인식기 등 다양한 종류의 인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적재 위치(e1,e2,e3,e4)를 결정하고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제 3 이송위치(C)로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4 이송 위치(d)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P)을 흡착고정하는 제 2흡착부(151)와, 상기 제 2 흡착부(151)를 상하로 구동하여 흡착 및 탈착시에는 상기 제 2 흡착부(151)를 흡착/탈착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이송시에는 상기 제 2 흡착부(151)를 상승시킨 상태로 구동하는 제 2 상하 구동부(152)와, 제 2 수평 이동 가이드(154)에 의해 유도되면서 상기 제 2 흡착부(151)를 상기 제 3 이송 위치(c)와 상기 제 4 이송 위치(d) 사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수평 이동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에서 결정된 상기 적재 위치(e1,e2,e3,e4)에 설치된 각각의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에 장착된 각각의 적재 박스(B)의 패널 삽입홈(C)에 안착시켜 삽입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지지 테이블(210), 좌우 분류 구동 수단(220), 이동 테이블(230), 틸팅 플랫폼(240), 틸팅 구동 수단(250), 삽입 구동 블럭(260), 지지 가이드(270) 및 측면 지지 가이드(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 테이블(2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 테이블(210)은 상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를 지지하는 구조체의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지지 테이블(210)은 상기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랙 또는 프레임과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좌우 분류 구동 수단(2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좌우 분류 구동 수단(220)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지지 테이블(21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상기 이동 테이블(230)을 탑재 위치(d)로부터 각각의 적재 위치(e1~e4)로 분류하여 선별적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탑재 위치(d)는 상기 글라스 패널이 상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에 탑재되는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에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로부터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전달받아 탑재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적재 위치(e1~e4)는 상기한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에서 결정된 상기 적재 위치를 말한다.
다음으로, 틸팅 플랫폼(2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틸팅 플랫폼(24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이동 테이블(230) 상에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에 설치된 틸팅 회전축(241)을 통하여 설치되며, 틸팅 구동 수단(250)을 통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하향되어 틸팅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경우, 상기 틸딩 구동 수단(250)은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일 실시예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틸딩 구동 수단(250)은, 상기 이동 테이블(230)에 설치되는 공압 실린더(251)와, 상기 공압 실린더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는 틸팅 롤러(252)와, 상기 틸팅 플랫폼(240)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압 실린더(251)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틸팅 롤러(252)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틸팅 플랫폼(240)이 밀어올려질 수 있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구조체(2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틸팅 플랫폼(240)이 수평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공압 실린더(251)가 수축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틸팅 롤러(252)는 상기 경사구조체(253)의 경사면 상측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 후, 틸팅 작동을 위하여 상기 공압 실린더(251)가 작동하는 경우 도 6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상기 틸팅 롤러(252)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구조체(253)를 밀어올리게 되고, 그 일 측이 상기 틸팅 회전축(2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에 설치된 상기 경사구조체(253)가 밀어올려지는 작동에 의해 상기 틸팅 플랫폼(240)이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하향되어 틸팅되게 된다.
다음으로, 삽입 구동 블럭(2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은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틸팅 플랫폼(240) 상에 삽입 구동 수단(262)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동되거나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 구동 수단(262)은 공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서보 모터를 사용하거나, 스텝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모터와 볼 스크류를 조합한 구성을 사용하는 등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하면 지지 가이드(27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에 2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 패널(P)의 하면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거나 공압에 의해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 또는 공압을 인가할 수 있는 에어 홀(27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에는, 상기 글라스 패널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흡착 이송을 위하여 진공이 인가되고, 상기 글라스 패널(P)을 틸팅하여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적재 박스(B)의 삽입홈(C)에 삽입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공압이 인가되어, 상기 글라스 패널(P)이 부상하여 거의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측면 지지 가이드(28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측면 지지 가이드(280)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양측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 경우,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글라스 패널(P)에 응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양 측면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글라스 패널(P)의 규격에 따라 상기 각각의 측면 지지 가이드(28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지지 가이드 간격 조절 수단(28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틸팅된 상태에서 기 글라스 패널(P)이 부상한 상태로 미끄러져 내리며 상기 삽입홈(C)에 삽입되는 동안 가능한 한 마찰력을 적게 받으며 가이드 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측면 지지 가이드(280)에는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측면을 지지하며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롤러(281)가 다수개 배열되어 설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틸팅에 의한 삽입 과정 중 상기 적재 박스(B)의 상기 삽입홈(C) 말단까지 상기 글라스 패널(P)이 제대로 삽입되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의 상기 적재 박스(B) 방향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글라스 패널(P)이 상기 적재 박스(B)의 삽입 홈(C)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패널 안착 감지 센서(27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틸팅 플랫폼(240)의 틸팅 여부를 감지하는 틸팅 감지 센서(2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적재 위치(e1,e2,e3,e4)에 각각 설치되며, 적재 박스(B)를 이송받아 상기 적재 박스(B)를틸팅(tilting)시킨 위치에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적재한 후, 적재가 완료된 상기 적재 박스(B)를 다시 이송하여 회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를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재 박스 상하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적재 박스 상하 구동 수단(3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과, 상기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박스(B)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푸는 작동이 가능한 적재 박스 고정 수단(331)이 설치되는 적재박스 고정 가이드(330)와, 상기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박스(B)가 이동하는 경우 지지하는 적재 박스 롤러(332)와, 상기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박스(B)를 틸팅하는 적재 박스 틸팅 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의 작동 중, 특히 특징적인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와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용 의 틸팅 삽입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저, 적재 박스(P)가 도 11의 a 단계에서 화살표 ①로 나타낸 것과 같이 이송되어 와서 상기 적재 박스 고정 가이드(330)까지 이송되면, 적재박스 고정 수단(331)이 작동하여 상기 적재 박스(P)를 상기 적재 박스 고정 가이드(330)에 고정시킨다. 그 후, 도 11의 a 단계에서 화살표 ②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적재 박스 상하 구동 수단(320)에 의해 적재에 적합한 높이로 이동한다. 그 다음으로, 적재 박스 틸팅 수단(340)에 의해 도 11의 a 단계에서 화살표 ③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적재를 위한 틸팅위치로 틸팅된다.
이 경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의 하면 지지 가이드(270)는 이송된 패널(P)을 진공흡착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 후, 도 11의 b 단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틸딩 구동 수단(250)에 의해 틸팅 플랫폼(240)이 적재 박스(P) 방향을 항하여 틸팅된다. 이 경우, 상기 패널(P)은 하면 지지 가이드(270)에 진공흡착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11의 c단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 구동 수단(262)에 의하여 삽입 구동 블럭(260)이 전진하면서, 상기 패널(P)이 고정된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가 상기 적재 박스(B)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의 상면의 연장면이 상기 삽입홈(C)의 하측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재 박스(B)의 높이가 적재 박스 상하 구동 수단(320)에 의해 조절된다.
그 후, 도 11의 d단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면 지지 가이드(270)가 진공 흡착을 해제하고, 공압을 불어올리며 상기 패널(P)을 부양시키면, 상기 패널(P)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C)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면 대단히 효율적으로 삽입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P: 글라스 패널
B: 적재 박스 C: 패널 삽입홈
100: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
110: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
111: 인출 탑재부 112: 전후 인출 구동 수단
113: 좌우 이송 구동 수단 114: 가이드 레일
120: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
121: 흡착부 122: 상하 구동부
123: 수평 이동부 124: 수평 이동 가이드
130: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
140: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
150: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
151: 제 2 흡착부 152: 제 2 상하 구동부
153: 제 2 수평 이동부 154: 제 2 수평 이동 가이드
200: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
210: 지지 테이블 211: 가이드 레일
220: 좌우 분류 구동 수단
230: 이동 테이블
240: 틸팅 플랫폼 241: 틸팅 회전축
250: 틸딩 구동 수단 251: 공압 실린더
252: 롤러 253: 경사구조체
254: 틸팅 감지 센서
260: 삽입 구동 블럭 261: 삽입 구동가이드 레일
262: 삽입 구동 수단
270: 하면 지지 가이드 271: 에어홀
272: 패널 안착 감지 센서
280: 측면 지지 가이드 281: 가이드 롤러
282: 지지 가이드 간격 조절 수단:
300: 적재 박스 구동 장치
310: 적재 박스 상하 가이드 레일
320: 적재 박스 상하 구동 수단
321: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
330: 적재박스 고정 가이드 331: 적재 박스 고정 수단
332: 적재 박스 롤러 333: 전면 고정구
332: 적재 박스 틸팅 회전축
340: 적재 박스 틸팅 수단

Claims (5)

  1. 글라스 패널(P)을 그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이송하여 선별적으로 상기 규격에 따른 각각의 적재 박스(B)의 패널 삽입홈(C)에 안착시켜 삽입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적재 하여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
    각각의 상기 글래스 패널 공급수단(100)으로부터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인출하여 하나의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
    상기 글라스 패널 인출 수단(110)으로 인출되어 상기 이송 시작 위치(a)까지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
    상기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20)를 통하여 상기 제 2 이송 위치(b)까지 이송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제 3 이송위치(c)까지 이송하는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글라스 패널(P)에 표시된 상기 글래스 패널의 규격을 포함하는 특성을 표시하는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적재할 적재 위치(e1,e2,e3,e4)를 결정하는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
    상기 글라스 패널 이송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제 3 이송위치(c)로 이송된 상기 글래스 패널(P)을 진공 흡착하여 제 4 이송 위치(d)까지 이송하는 제 2 글라스 패널 흡착 이송 장치(150);
    상기 글라스 패널 식별 코드 인식 수단(140)에서 결정된 상기 적재 위치(e1,e2,e3,e4)에 설치된 각각의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에 장착된 각각의 적재 박스(B)로 상기 글라스 패널(P)을 이송하여 적재하는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200)는,
    지지 테이블(21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11)을 따라 이동 테이블(230)을 탑재 위치로부터 각각의 적재 위치로 분류하여 선별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분류 구동 수단(220);
    상기 이동 테이블(230) 상에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에 설치된 틸팅 회전축(241)을 통하여 설치되며, 틸팅 구동 수단(250)을 통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하향되어 틸팅되는 틸팅 플랫폼(240);
    상기 틸팅 플랫폼(240) 상에 삽입 구동 수단(262)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박스(B)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동되거나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삽입 구동 블럭(260);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에 2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 패널(P)의 하면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거나 공압에 의해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면 지지 가이드(270);
    상기 삽입 구동 블럭(260)에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양측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측면 지지 가이드(2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박스 구동 장치(300)는,
    적재 박스 상하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적재 박스 상하 구동 수단(3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
    상기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 박스(B)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푸는 작동이 가능한 적재 박스 고정 수단(331)이 설치되는 적재박스 고정 가이드(330);
    상기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박스(B)가 이동하는 경우 지지하는 적재 박스 롤러(332);
    상기 적재박스 상하구동 플랫폼(321)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박스(B)를 틸팅하는 적재 박스 틸팅 수단(3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에는 진공 또는 공압을 인가할 수 있는 에어 홀(27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글라스 패널(P)의 규격에 따라 상기 각각의 측면 지지 가이드(28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지지 가이드 간격 조절 수단(282);
    상기 측면 지지 가이드(280)에 다수개 배열되어 설치되어, 상기 글라스 패널(P)의 측면을 지지하며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롤러(28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4.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틸딩 구동 수단(250)은,
    상기 이동 테이블(230)에 설치되는 공압 실린더(251);
    상기 공압 실린더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는 틸팅 롤러(252);
    상기 틸팅 플랫폼(240)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압 실린더(251)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틸팅 롤러(252)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틸팅 플랫폼(240)이 밀어올려질 수 있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구조체(25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지지 가이드(270)의 상기 적재 박스(B) 방향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글라스 패널(P)이 상기 적재 박스(B)의 삽입 홈(C)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패널 안착 감지 센서(272);
    상기 틸팅 플랫폼(240)의 틸팅 여부를 감지하는 틸팅 감지 센서(25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KR1020130029892A 2013-03-20 2013-03-20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KR10126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92A KR101267003B1 (ko) 2013-03-20 2013-03-20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92A KR101267003B1 (ko) 2013-03-20 2013-03-20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003B1 true KR101267003B1 (ko) 2013-05-30

Family

ID=4866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892A KR101267003B1 (ko) 2013-03-20 2013-03-20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0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6554A (zh) * 2014-08-28 2014-12-03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文件排序归类的装置
KR20170012870A (ko) * 2016-08-12 2017-02-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KR20200000077U (ko) * 2019-12-19 2020-01-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6554A (zh) * 2014-08-28 2014-12-03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文件排序归类的装置
KR20170012870A (ko) * 2016-08-12 2017-02-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KR102105616B1 (ko) * 2016-08-12 2020-04-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KR20200000077U (ko) * 2019-12-19 2020-01-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KR200494355Y1 (ko) 2019-12-19 2021-09-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적재 키트 및 적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479B2 (en) Transport device
KR101350252B1 (ko) 물품 수납 설비
CN106005860A (zh) 一种快速自动存取货物的堆垛机
KR101267003B1 (ko)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 시스템
CN103213768A (zh) 液晶面板搬送治具
CN217072673U (zh) 一种家具板材用高精度开料锯
JP4614807B2 (ja) 容器溝へのガラス板の挿入方法および装置
US20140003903A1 (en) Package stacking apparatus
TW200930648A (en)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KR101267002B1 (ko)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용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
KR101108566B1 (ko) 스토커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 시스템
KR101412962B1 (ko) 가이드를 구비하는 글라스 패널 분류 이송용 흡착 이송 틸팅 플랫폼 구조체
JP2000238904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815630B1 (ko) 판상물의 적재시스템
KR101051283B1 (ko) 덤퍼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 시스템
KR20170021447A (ko)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KR102037725B1 (ko) 물류 이송 시스템
KR20210043363A (ko) 트레이 병합 기능을 갖는 스토커
CN219636543U (zh) 一种纸箱承接装置
WO2006064925A1 (ja) 板材収納方法および装置
KR100877463B1 (ko) 박스 보관 및 반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32340B2 (ja) 物品搬送設備
TWI776412B (zh) 物件容器的移載裝置
CN217263225U (zh) x-ray在线检测机的双工位全自动上料装置
CN210823940U (zh) 一种铁皮上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