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017A -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017A
KR20230077017A KR1020210163463A KR20210163463A KR20230077017A KR 20230077017 A KR20230077017 A KR 20230077017A KR 1020210163463 A KR1020210163463 A KR 1020210163463A KR 20210163463 A KR20210163463 A KR 20210163463A KR 20230077017 A KR20230077017 A KR 2023007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inner body
pack case
side sil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박현경
정지원
김윤
Original Assignee
동해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017A/ko
Publication of KR2023007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는: 어퍼판넬과, 어퍼판넬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로어판넬과, 로어판넬과 어퍼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멤버와, 센터멤버의 외측을 감싸고, 로어판넬 및 어퍼파넬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와, 센터멤버의 외측을 감싸고, 사이드멤버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되며, 로어판넬과 어퍼파넬을 연결하는 한 쌍의 프론트멤버와, 한 쌍의 사이드멤버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재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실 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BATTERY PACK CASE DEVICE}
본 발명은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강성 및 충돌안정성을 확보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배터리 팩 케이스는 내부에 배터리 팩이 장착되며, 배터리 팩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팩 케이스는 어퍼판넬, 로어판넬, 사이드멤버, 프론트멤버, 사이드 실 이너(Side Sill INR)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배터리 팩 케이스는 스틸 구조로 중량이 크므로, 경량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 실 이너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이나, 강성 및 충돌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1930호(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등록일: 2019.04.1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강성 및 충돌안정성을 확보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는: 어퍼판넬; 상기 어퍼판넬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로어판넬; 상기 로어판넬과 상기 어퍼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멤버; 상기 센터멤버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로어판넬 및 상기 어퍼파넬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 상기 센터멤버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사이드멤버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되며, 상기 로어판넬과 상기 어퍼파넬을 연결하는 한 쌍의 프론트멤버; 및 한 쌍의 상기 사이드멤버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재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실 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실 이너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실 이너는, 상기 사이드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 및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 실 이너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실 이너본체는,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상기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에서 상기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강도보강부재; 및 상기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및 상기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한 쌍으로 상기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강도보강부재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강도보강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Y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사이드실 이너를 이루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면서 충격흡수 능력 및 강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외부 충격으로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중량이 절감되면서 부품수가 줄어들어 부품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의 사이드실 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실 이너의 요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의 사이드실 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실 이너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1)는 어퍼판넬(100), 로어판넬(200), 센터멤버(300),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 프론트멤버(500) 및 사이드실 이너(600)를 포함한다. 어퍼판넬(100)은 로어판넬(200)의 상측에(도 1 기준) 배치된다.
로어판넬(200)은 어퍼판넬(100)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로어판넬(200)은 어퍼판넬(100)의 하측에(도 1 기준) 배치된다. 어퍼판넬(100)과 로어판넬(200) 사이에는 후술된 센터멤버(300),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 및 한 쌍의 프론트멤버(500)가 배치된다.
로어판넬(200)은 냉각기능을 가지는 냉각패드(미도시)를 구비한다. 냉각패드는 냉각기능을 가지며, 로어판넬(2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로어판넬(200)에 냉각패드가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강성 및 강도가 향상됨은 물론,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원가가 절감되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센터멤버(300)는 로어판넬(200)과 어퍼판넬(100) 사이에 배치된다. 로어판넬(200)과 어퍼판넬(100) 사이에서 중앙부 부분에 위치되며, 후술된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 및 프론트멤버(500)가 외측을 감싼다.
센터멤버(300)는 제1센터멤버(310)와 제2센터멤버(320)를 포함한다. 제1센터멤버(310)는 로어판넬(200)과 어퍼판넬(100) 사이에 배치되되, X축 방향으로(도 3 기준) 길게 놓여진다.
제2센터멤버(320)는 로어판넬(200)과 어퍼판넬(100) 사이에 배치되되, Y축 방향으로(도 3 기준) 길게 놓여진다. 제2센터멤버(320)는 복수개가 제1센터멤버(310)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센터멤버(310)와 결합된다. 이때, 제1센터멤버(310)와 제2센터멤버(320)가 이루는 공간에는 배터리팩(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는 센터멤버(300)의 외측을 감싸고, 로어판넬(200) 및 어퍼판넬(100)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한다.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는 로어판넬(200)과 어퍼판넬(100) 사이에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도 3 기준) 길게 놓여진다.
한 쌍의 프론트멤버(500)는 센터멤버(300)의 외측을 감싸고, 사이드멤버(400)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되며, 로어판넬(200)과 어퍼판넬(100)을 연결한다. 한 쌍의 프론트멤버(500)는 로어판넬(200)과 어퍼판넬(100) 사이에 배치되고, Y축 방향으로 길게 놓여진다.
어퍼판넬(100), 로어판넬(200), 센터멤버(300),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 프론트멤버(50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어퍼판넬(100), 로어판넬(200), 센터멤버(300),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 프론트멤버(500)는 7000계열 알루미뉼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실 이너(600)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재(623)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624)를 구비한다. 사이드실 이너(60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이드실 이너(600)는 7000계열 알루미뉼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실 이너(600)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에 용접, 접합없이 결합되는 구조로 한 쌍의 사이드멤버(400)에 쉽게 탈부착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1)는 Al-Zn-Mg-(Cu)계 알루미늄합금인 7000계열 알루미뉼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1)는 강도를 확보하면서 중량이 감소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다.
사이드 실 이너(600)는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610)와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를 포함한다.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610)는 사이드멤버(400)와 결합된다.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610)는 판 형상으로 X축 방향으로(도 3 기준) 길게 형성되어 사이드멤버(40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사이드 실 이너(600)의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610)는 너비(W)가 사이드멤버(400)의 너비와 동일하고, 길이(L)가 사이드멤버(40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는 사이드실 이너결합부(610)와 연결되고, 강도보강부재(623)와 충격흡수부재(624)를 구비한다.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는 일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개방된 측면이 사이드실 이너결합부(610)와 일체로 결합된다.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는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 한 쌍의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 강도보강부재(623) 및 충격흡수부재(624)를 포함한다.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는 사이드실 이너결합부(6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는 판 형상으로 사이드실 이너결합부(61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는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610)와 연결된다.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는 판 형상으로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의 양단부에서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610) 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610)와 일체로 결합된다.
강도보강부재(623)는 사이드실 이너결합부(610)에서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 사이에 배치된다. 강도보강부재(623)는 판 형상으로 사이드실 이너결합부(610)의 중앙부(O)에서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 측으로 돌출형성된다(도 5 참조).
충격흡수부재(624)는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 및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사이드실 이너결합부(610)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강도보강부재(623)와 연결된다.
충격흡수부재(624)는 한 쌍으로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의 모서리부(622a)에서 강도보강부재(623)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강도보강부재(623)와 연결된다. 충격흡수부재(624)는 일단부가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의 모서리부(622a)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강도보강부재(623)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충격흡수부재(624)는 타단부가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충격흡수부재(624)와 강도보강부재(623)는 Y자 형상을 이룬다. 충격흡수부재(624)와 강도보강부재(623)가 Y자 형상을 이루므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사이드실 이너(600)를 이루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면서 충격흡수 능력 및 강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이드실 이너(6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사이드실 이너(600)가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사이드실 이너(600)의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에 외력이 가해지며,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는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의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에 외력이 가해지고,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의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1) 및 한 쌍의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622)가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변형된다. 이때, 사이드 실 이너본체(620)의 충격흡수부재(624)가 충격을 흡수하면서 변형된다. 강도보강부재(623)는 충격흡수부재(624)의 보강하여 충격흡수부재(624)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충격흡수부재(624)와 강도보강부재(623)는 Y자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종래의 기술에 비해 사이드실 이너(600)를 이루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면서 충격흡수 능력 및 강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중량이 절감되면서 부품수가 줄어들어 부품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100 : 어퍼판넬
200 : 로어판넬 300 : 센터멤버
310 : 제1센터멤버 320 : 제2센터멤버
400 : 사이드멤버 500 : 프론트멤버
600 : 사이드실 이너 610 :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
620 : 사이드 실 이너본체 621 :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622 :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623 : 강도보강부재
624 : 충격흡수부재

Claims (6)

  1. 어퍼판넬;
    상기 어퍼판넬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로어판넬;
    상기 로어판넬과 상기 어퍼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멤버;
    상기 센터멤버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로어판넬 및 상기 어퍼파넬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
    상기 센터멤버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사이드멤버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되며, 상기 로어판넬과 상기 어퍼파넬을 연결하는 한 쌍의 프론트멤버; 및
    한 쌍의 상기 사이드멤버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부재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실 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 이너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이너는,
    상기 사이드멤버와 결합되는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 및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와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 실 이너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이너본체는,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상기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각각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실 이너결합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에서 상기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강도보강부재; 및
    상기 제1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및 상기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사이드실 이너결합부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한 쌍으로 상기 제2사이드 실 이너본체멤버의 모서리부에서 상기 강도보강부재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강도보강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Y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KR1020210163463A 2021-11-24 2021-11-24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KR20230077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63A KR20230077017A (ko) 2021-11-24 2021-11-24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463A KR20230077017A (ko) 2021-11-24 2021-11-24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017A true KR20230077017A (ko) 2023-06-01

Family

ID=8677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463A KR20230077017A (ko) 2021-11-24 2021-11-24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0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2007B (zh) 车辆下部构造
US9662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crushabl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tructure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JP7238820B2 (ja) 電池パックの車載構造
JP4821664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6526961B2 (ja) バッテリー搭載フレーム構造体
US10632847B2 (en) Vehicle battery pack protective structure and vehicle having the vehicle battery pack protective structure
CN109383637B (zh) 车辆后部构造
JP2018075878A (ja) 車両下部構造
US9821678B2 (en) Battery enclosure having T-shaped guides on the outer surface for stiffeners and impact absorbing elements
JP7048854B2 (ja) セル積層体の保護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7278028B2 (ja) 電池組付構造体
JP5403155B2 (ja) バンパ構造
JP5888955B2 (ja) 電池モジュール搭載用構造体
US10668956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505340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7392584B2 (ja) 車両のバッテリ保護構造
JP6284041B2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KR20160126194A (ko) 복판구조를 갖는 차량용 범퍼 백빔 조립체
US10246133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KR20230077017A (ko) 배터리팩 케이스 장치
US11904709B2 (en) Battery storag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2015026488A (ja) 電池モジュール搭載用構造体
US8191958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15039890A (ja) バッテリ搭載構造
JP7456302B2 (ja) 車両のバッテリ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