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029A -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029A
KR20230076029A KR1020210162839A KR20210162839A KR20230076029A KR 20230076029 A KR20230076029 A KR 20230076029A KR 1020210162839 A KR1020210162839 A KR 1020210162839A KR 20210162839 A KR20210162839 A KR 20210162839A KR 20230076029 A KR20230076029 A KR 2023007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o
control unit
shift
groove
shif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846B1 (ko
Inventor
미즈야 마츠후지
이용기
이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명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명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명파워텍
Priority to KR102021016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8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6Interlo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구동원,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에 이용하는 주행장치 및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는 PTO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에서, PTO 장치는 PTO 출력축, 구동원으로부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 주행장치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제1 동력전달부 및 제2 동력전달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PTO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WORK VEHICLE, PTO DEVICE AND PTO COVER UNIT}
본 발명은 일반 다단식 독립 PTO 와 차속 동조 PTO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에서 변속 과정에서의 인터록을 제공할 수 있는 작업 차량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 차량은 이동을 위한 차량에 인간 생활의 편의를 위한 작업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작업 차량은 엔진과 같은 구동원(driving source)을 이용하여 작업자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운송장치로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서 작업자와 같이 이동하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주행 이외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작업 차량으로서 콤바인이나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작업 차량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건설 현장이나 공장 등에서의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차량이 있을 수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3940195호를 보면, PTO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작업 차량은 엔진, 트랜스미션 및 PTO 장치를 포함하며, 엔진으로부터 동력 중 일부는 주행 바퀴 등으로 전달하여 주행에 이용하며, 다른 일부는 PTO 장치 등으로 전달하여 주행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은 프론트 하우징, 미션 하우징,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며, 내부로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바퀴 등으로 전달하는 주행 동력전달부와 주행 이외의 작업을 위한 PTO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주행 동력전달부로서 정역부, 주변속부, 부변속부를 포함하며, 정역부는 프론트 하우징에 위치하고, 주변속부와 부변속부는 미션 하우징에 위치하며, 미션 하우징의 하부에는 전륜구동케이스가 위치하여 전동축으로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부변속부가 위치한 미션 하우징에는 주차 브레이크를 위한 풀리가 설치되어 추가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단식 독립 PTO와 차속 동조 PTO가 동시에 맞물려 출력이 불가능한 경우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단식 독립 PTO 뿐만 아니라 차속 동조 PTO도 디퍼런셜 하우징 내에 배치할 수 있는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터록 장치를 이용하여 다단식 독립 PTO와 차속 동조 PTO의 부품을 커버에 일체화할 수 있는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터록 장치를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여, 외부에서도 관리할 수가 있으며 인터록의 이탈 등의 고장이 발생하여도 외부에서부터 해제가 가능한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차량은 구동원,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에 이용하는 주행장치 및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는 PTO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TO 장치는 PTO 출력축, 구동원으로부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 주행장치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제1 동력전달부 및 제2 동력전달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PTO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는 다단식 독립 PTO를 위한 클러치, 기어들, 시프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동력전달부는 차속 동조 PTO를 위한 클러치, 기어들, 시프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록 장치에 의해서 제1 동력 전달부와 제2 동력 전달부가 배타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동력 전달부와 제2 동력 전달부가 부주의로 동시에 구동원과 맞물려 정상적인 출력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전자적으로도 제한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록 장치가 제1 동력 전달부의 제1 변속 제어부 및 제2 동력 전달부의 제2 변속 제어부의 작동을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제1 변속 제어부와 제2 변속 제어부를 제어함에 있어서, 중립 위치 개념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속 제어부 및 제2 변속 제어부는 중립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위치를 이동할 수 있을 때, 인터록 장치는 제1 변속 제어부 및 제2 변속 제어부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면 다른 하나가 중립 위치에 있도록, 즉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록 장치는 제1 변속 제어부의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 형성된 제1 홈, 제2 변속 제어부의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서 제1 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 및 제1 변속 제어부 및 제2 변속 제어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홈 및 제2 홈에 위치하는 인터록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 벗어난 경우, 인터록 볼은 제1 홈 및 제2 홈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여 다른 하나가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변속 제어부와 제2 변속 제어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제1 홈과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제2 홈이 마주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속 동조 PTO를 위한 제2 변속 제어부를 디퍼러셜 하우징 내에 배치하고, 제1 변속 제어부와 제2 변속 제어부를 모두 PTO 출력축에서 인접한 위치에서 구현되게 함으로써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PTO 장치는 PTO 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인터록 장치가 커버 내에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PTO 리어 커버에는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인터록 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변속 제어부와 제2 변속 제어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제1 홈과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제2 홈이 마주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원 및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에 이용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에 장착되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PTO 장치는 PTO 출력축, 구동원으로부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 주행장치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제1 동력전달부 및 제2 동력전달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PTO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PTO 출력축, 작업 차량의 구동원으로부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 및 작업 차량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용 PTO 장치의 커버 유닛은 PTO 리어 커버, 제1 동력 전달부의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제2 동력 전달부의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 형성된 제1 홈,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서 제1 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 및 제1 홈과 제2 홈에 위치하는 인터록 볼을 포함하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며, 인터록 장치에 의해서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가 PTO 리어 커버에 결속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 벗어난 경우, 인터록 볼은 제1 홈 및 제2 홈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여 다른 하나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 및 PTO 장치에서는 다단식 독립 PTO와 차속 동조 PTO가 동시에 맞물려 출력이 불가능한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는 디퍼런셜 하우징 내에 차속 동조 PTO를 배치함으로써, 양 방식의 PTO 전환 및 변속을 PTO 출력축에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퍼런셜 하우징의 후방면에 장착되는 PTO 리어 커버에 2 개의 시프트 레일 샤프트와 인터록 장치를 도입하여 PTO 기어, 출력축, 변속 제어부 등을 PTO 리어 커버에 일체화하여 유닛을 형성할 수 있으며, PTO 커버와 PTO 장치를 유닛화하여 디퍼런셜 하우징에 한번에 설치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는 인터록 장치를 PTO 리어 커버에 설치함으로써, PTO 장치를 조립한 후에도 인터록 장치를 외부에서도 관리할 수가 있으며, 인터록의 이탈 등의 내부 고장이 발생하여도 외부에서부터 해제가 가능하여 문제 발생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 차량의 동력 전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작업 차량의 디퍼런셜 하우징 내부 및 PTO 장치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작업 차량의 PTO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작업 차량의 인터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작업 차량의 PTO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차량 및 PTO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작업 차량의 동력 전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작업 차량의 디퍼런셜 하우징 내부 및 PTO 장치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작업 차량의 PTO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작업 차량의 인터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작업 차량의 PTO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차량(100)은 구동원(110), 후륜 또는 제1 구동 휠(120), 전륜 또는 제2 구동 휠(130), 사용자 운전부(200), 트랜스미션(300), 구동 추출 장치(400), 유압 변속 밸브 장치(500), 유압 PTO 밸브 장치(600) 및 PTO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 등의 구동원(110)은 동력을 생성하며, 구동원(110)으로부터의 동력은 트랜스미션(300)을 통해서 변속 또는 제어되어 주행 또는 주행 이외의 작업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300)은 구동원(11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부 또는 일부를 주행을 위한 제1 구동 휠(120) 또는 제2 구동 휠(1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주행 이외의 작업을 위한 동력은 PTO 장치(700)로 전달할 수 있다. PTO 장치(700)로 전달되는 동력은 엔진인 구동원(110)으로부터 변속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으며, 구동원(110)이 최대 또는 최적의 토크를 발생시키는 상태에서 540rpm, 1000rpm 또는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회전속(GSP)으로 회전할 수 있다. PTO 장치(700) 내에서의 변속은 시프트 클러치(730)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PTO 장치(700)는 다단 독립 변속을 위한 제1 동력전달부(730) 및 차속 동조 변속을 위한 제2 동력전달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730)는 정역부(310)의 회전 방향에 무관하게 구동원(110)으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PTO 클러치(720)를 통해 연결된 동력을 P1, P2 로 변속하여 PTO 출력축(7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부(740)는 부변속부(350)의 축과 연결되어 차속과 동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운전부(200)는 운전석(210), 조향 핸들(220), 클러치 페달(230), 전후진 조작부(240), 주변속 조작부(250), 부변속 조작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220) 등을 통해서 작업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후진 조작부(240)를 통해 구동 휠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주변속 조작부(250) 및 부변속 조작부(260)를 통해 변속 단 또는 변속 범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클러치 페달(230)이 핸들(220) 아래의 왼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오른쪽으로는 브레이크 페달이 제공될 수 있고, 운전석(210)의 아래로 주차 브레이크(280)가 제공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밸브와 연결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후술하는 제1 브레이크(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운전부(200)는 노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캐빈(2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후진 조작부(240), 주변속 조작부(250) 또는 부변속 조작부(260)는 유압 변속 밸브 장치(500) 등을 통해서 변속 기어의 조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유압, 전동 또는 수동 등의 조작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300)을 통과한 동력은 제1 디퍼런셜(360)을 통해서 후륜, 즉 제1 구동 휠(120)로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추출 장치(400)를 통해서 전륜 출력축(410)으로 동력을 일부 추출하여 전륜, 즉 제2 구동 휠(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구동 휠(130)이 구동 추출 장치(400)를 통해 제1 구동 휠(120)과 같이 동력을 받으면 작업 차량(100)은 4륜 모드로 주행할 수 있으며, 4륜 모드는 험한 지형이나 논이나 밭 등에서 작업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도로 등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4륜 모드가 아닌 2륜 모드로 주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 추출 장치(400)는 전륜 출력축(410)을 동력을 전달하지 않고, 제2 구동 휠(130)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2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디퍼런셜(360)과 제1 구동 휠(120) 사이에는 제1 브레이크(1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브레이크(140)는 주행에 주로 기여하는 제1 구동 휠(120)의 회전을 억제하여 작업 차량(10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1 브레이크(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페달은 사용자 운전부(2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운전석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은 트랜스미션(300)을 통해서 제1 구동 휠(120), 제2 구동 휠(130) 또는 PTO 장치(700)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300)의 내부에는 정역부(310), 주변속부(320), 부변속부(350), 제1 디퍼런셜(360)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구동원(110)으로부터의 동력은 정역부(310)을 통해서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주변속부(320)는 고속/저속 유압 클러치(330), 1단부터 4단까지의 조절이 가능한 주변속 유압 클러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변속부(350)는 주변속부(320)에 의해 변속된 회전에 변속 구간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클러치를 이용하여 A, B, C 또는 Cr(크리프) 구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속/저속 유압 클러치(330) 및 주변속 유압 클러치(340)는 마찰판을 이용한 유압 클러치로서, 유압 변속 밸브 장치(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부변속부(350)의 시프트 클러치는 전동 또는 유압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미션(300)은 주변속부(320) 및 부변속부(350)에 의해서 24단계 또는 32단계까지 변속이 가능하다.
엔진으로부터의 동력 중 일부는 정역부(310)나 주변속부(320) 등을 거치지 않고, PTO 장치(700)로도 전달될 수 있으며, PTO 장치(700)로 전달된 동력은 유압 PTO 밸브 장치(600)를 통해서 탠덤 펌프 등을 구동할 수 있고, PTO 출력축(71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PTO 장치(700) 내에는 PTO 클러치(720) 및 제1 동력전달부(730)를 통해서 PTO 출력축(7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엔진으로부터의 동력 중 다른 일부는 정역부(310)나 주변속부(320) 등을 거쳐서 PTO 장치(700)로도 전달될 수 있으며, 이렇게 PTO 장치(700)로 전달된 동력은 주행 속도에 비례 또는 대응하는 회전수로 전달될 수 있으며, 모심기 등의 차속에 민감한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차속에 동조하는 동력은 PTO 장치(700) 내에는 제2 동력전달부(740)를 통해서 PTO 출력축(7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부변속부(350)에서 시프트 클러치가 장착된 축에는 외부로 동력을 추출하기 위한 기어가 장착될 수 있으며, 그 단부에는 구동 추출 기어(370)가 제공된다. 구동 추출 기어(370)는 트랜스미션(300)의 하우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구동 추출 기어(370)가 노출되는 영역에 구동 추출 장치(4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 추출 장치(400)는 트랜스미션(30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전륜 출력축(410)을 통해서 제2 구동 휠(130)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추출 장치(400)는 추출 하우징(420), 추출 클러치(430) 및 제2 브레이크(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출 클러치(430)는 트랜스미션(300)에서 전륜 출력축(410)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할 수 있다. 이때 추출 클러치(430)로는 도그 클러치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PTO 장치(700)는 PTO 출력축(710), 구동원(110)으로부터 PTO 출력축(710)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730), 작업 차량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PTO 출력축(71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740) 및 제1 동력전달부(730)와 제2 동력전달부(740)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동력을 PTO 출력축(710)으로 전달하는 인터록 장치(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730)는 다단식 독립 PTO를 위한 PTO 클러치(7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클러치, 기어들, 시프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동력전달부(740)는 차속 동조 PTO를 위한 클러치, 기어들, 시프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동력전달부(730)는 540rpm, 1000rpm를 전달할 수 있는 기어들 및 그 기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변속 제어부(7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동력전달부(740)는 부변속부(350)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들 및 PTO 출력축(710)과 제2 동력전달부(740)를 연결하는 제2 변속 제어부(7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속 제어부(735)와 제2 변속 제어부(745)는 시프트 클러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변속 제어부(735)와 제2 변속 제어부(745)의 시프트 클러치는 각각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 및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의 이동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 및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는 중립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는 일단부가 PTO 리어 커버(308)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중립 위치를 중심으로 P1, P2에 대응하는 기어에 밀착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 역시 일단부가 PTO 리어 커버(308)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중립 위치와 PTO 출력축(710)과 제2 동력전달부(740)를 연결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인터록 장치(750)는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의 단부에 형성된 제1 홈(752),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에서 제1 홈(752)에 마주하도록 형성된 제2 홈(754), 및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와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홈(752) 및 제2 홈(754) 내에 위치하는 인터록 볼(7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 및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홈(752)과 제2 홈(754)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여 그 사이에는 인터록 볼(756)이 위치할 수 있다(a).
(b)와 같이,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가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면, 인터록 볼(756)은 제1 홈(752)에서 벗어나 제2 홈(754)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인터록 볼(756)에 의해서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은 중립 위치를 벗어날 수가 없다.
반대로, (c)와 같이,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가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면, 인터록 볼(756)은 제2 홈(754)에서 벗어나 제1 홈(752)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인터록 볼(756)에 의해서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는 중립 위치를 벗어날 수가 없다.
도 3 및 도 6을 보면, 차속 동조 PTO를 위한 제2 변속 제어부(745)는 디퍼런셜 하우징(30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변속 제어부(735)와 제2 변속 제어부(745)를 모두 PTO 출력축(710)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록 볼(756)을 이용한 인터록 장치(750)의 구현도 가능할 수 있다.
PTO 장치(700)는 디퍼런셜 하우징(306)의 후면을 덮는 PTO 리어 커버(30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록 장치(750)에서 인터록 볼(756)은 PTO 리어 커버(308)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PTO 리어 커버(308)에는 인터록 볼(756)의 위치에 대응하는 접근 가능한 홀(309)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PTO 장치(700)를 조립한 후에도 접근 가능한 홀(309)을 통해서 인터록 장치(750)를 외부에서도 관리할 수가 있으며, 인터록 볼(756)의 이탈 등의 내부 고장이 발생하여도 홀 등을 통해서 외부에서부터 해제가 가능하여 문제 발생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PTO 리어 커버(308)에는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737),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747) 및 인터록 장치(75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PTO 출력축(710)이나 제1 동력전달부(730) 및 제2 동력전달부(74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PTO 기어, 출력축, 변속 제어부 등이 PTO 리어 커버(308)에 일체화된 유닛을 형성할 수 있으며, PTO 리어 커버(308)와 일체화된 유닛을 기중기 등으로 들어 디퍼런셜 하우징(306)에 한번에 설치하는 것은 물론, 분리할 때에도 용이하게 유닛을 전체로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작업 차량 110 : 구동원
140 : 제1 브레이크 200 : 사용자 운전부
300 : 트랜스미션 310 : 정역부
320 : 주변속부 330 : 고속/저속 유압 클러치
340 : 주변속 유압 클러치 350 : 부변속부
400 : 구동 추출 장치 500 : 유압 변속 밸브 장치
600 : 유압 PTO 밸브 장치 700 : PTO 장치
710 : PTO 출력축 720 : PTO 클러치
730 : 제1 동력전달부 735 : 제1 변속 제어부
740 : 제2 동력전달부 745 : 제2 변속 제어부

Claims (13)

  1. 구동원,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에 이용하는 주행장치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는 PTO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PTO 장치는,
    PTO 출력축;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상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PTO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의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동력 전달부의 제2 변속 제어부의 작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변속 제어부는 중립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위치를 이동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변속 제어부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면 다른 하나가 중립 위치에 있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제1 변속 제어부의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 형성된 제1 홈, 상기 제2 변속 제어부의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서 상기 제1 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 및 상기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변속 제어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위치하는 인터록 볼;을 포함하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 벗어난 경우, 상기 인터록 볼은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속 제어부와 상기 제2 변속 제어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상기 제2 홈이 마주하는 위치에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TO 장치는 PTO 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PTO 리어 커버에는 상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인터록 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에 이용하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이외의 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PTO 장치에 있어서,
    PTO 출력축;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상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 동력전달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PTO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인터록 장치;를 포함하는 PTO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의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동력 전달부의 제2 변속 제어부의 작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O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변속 제어부는 중립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위치를 이동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변속 제어부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서 벗어나면 다른 하나가 중립 위치에 있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O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제1 변속 제어부의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 형성된 제1 홈, 상기 제2 변속 제어부의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서 상기 제1 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 및 상기 제1 변속 제어부 및 상기 제2 변속 제어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위치하는 인터록 볼;을 포함하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 벗어난 경우, 상기 인터록 볼은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O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속 제어부와 상기 제2 변속 제어부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의 상기 제2 홈이 마주하는 위치에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O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TO 장치는 PTO 리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PTO 리어 커버에는 상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인터록 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O 장치.
  13. PTO 출력축, 작업 차량의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부, 및 작업 차량의 주행 속도에 종동하여 상기 PTO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용 PTO 장치의 커버 유닛에 있어서,
    PTO 리어 커버;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의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상기 제2 동력 전달부의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 형성된 제1 홈,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에서 상기 제1 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홈, 및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에 위치하는 인터록 볼을 포함하는 인터록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록 장치에 의해서 상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가 상기 PTO 리어 커버에 결속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시프트 레일 샤프트 및 상기 제2 시프트 레일 샤프트 중 하나가 중립 위치에 벗어난 경우, 상기 인터록 볼은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O 커버 유닛.
KR1020210162839A 2021-11-23 2021-11-23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KR102582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39A KR102582846B1 (ko) 2021-11-23 2021-11-23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839A KR102582846B1 (ko) 2021-11-23 2021-11-23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029A true KR20230076029A (ko) 2023-05-31
KR102582846B1 KR102582846B1 (ko) 2023-09-26

Family

ID=8654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839A KR102582846B1 (ko) 2021-11-23 2021-11-23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8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6801A2 (en) * 2000-09-07 2002-03-1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assembly for working vehicles
JP2003094970A (ja) * 2001-09-25 2003-04-0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の動力取出し装置
JP2003276462A (ja) * 2002-03-22 2003-09-30 Aisin Seiki Co Ltd トランスファー用切替装置
US20100186532A1 (en) * 2009-01-29 2010-07-29 Stefina Brian K Gear Shift Inter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6801A2 (en) * 2000-09-07 2002-03-1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assembly for working vehicles
JP2003094970A (ja) * 2001-09-25 2003-04-0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の動力取出し装置
JP2003276462A (ja) * 2002-03-22 2003-09-30 Aisin Seiki Co Ltd トランスファー用切替装置
US20100186532A1 (en) * 2009-01-29 2010-07-29 Stefina Brian K Gear Shift Inter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846B1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8774B1 (en) Working vehicle
JP2014058194A5 (ko)
US5341893A (en) Four wheel drive working vehicle having transmission clutches separately operable for driving right and left rear wheels
EP0924117B1 (en) Four-wheel driven vehicle
KR20230076029A (ko) 작업 차량, pto 장치 및 pto 커버 유니트
JP2005130798A5 (ko)
KR102583451B1 (ko) Pto 유압 제어 밸브 장치
KR102582845B1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용 구동추출장치
KR20230076974A (ko) 작업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변속 방법 및 작업 차량용 트랜스미션
JP3940223B2 (ja) 作業車両の変速操作機構
JP3583064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5016161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773830B2 (ja) 作業車両の非常用走行機構
JP3743318B2 (ja) 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WO2023094958A1 (ko) 작업차량용 트랜스미션
JP6904323B2 (ja) 作業車両
JP4034890B2 (ja) 農用トラクタ
JP4981463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3452036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走行装置の伝動機構
JP2004034724A (ja) 作業機の走行構造
KR20230076975A (ko) 작업차량용 유압밸브장치 및 트랜스미션
KR20230083615A (ko) 작업차량용 트랜스미션
JP3580614B2 (ja) 走行車両の機体停止装置
JP4189144B2 (ja) トラクタのブレーキ装置
JP3541169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