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921A -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921A
KR20230075921A KR1020210162609A KR20210162609A KR20230075921A KR 20230075921 A KR20230075921 A KR 20230075921A KR 1020210162609 A KR1020210162609 A KR 1020210162609A KR 20210162609 A KR20210162609 A KR 20210162609A KR 20230075921 A KR20230075921 A KR 20230075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landing
drone
unit
lan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536B1 (ko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6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36B1/ko
Priority to US17/991,338 priority patent/US20230159184A1/en
Publication of KR2023007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Arresting gear; Liquid 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Anchoring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60/00Undercarriages
    • B64U60/50Undercarriages with landin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90Launching from or landing on platforms
    • B64U70/92Portable platforms
    • B64U70/93Portable platforms for use on a land or nautical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90Launching from or landing on platforms
    • B64U70/95Means for guiding the landing UAV towards the platform, e.g. ligh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90Launching from or landing on platforms
    • B64U70/97Means for guiding the UAV to a specific location on the platform, e.g. platform structures preventing landing off-cent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6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08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킹부; 드론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열려 있으며,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된 착륙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부는,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도킹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Docking landing system for drone}
본 발명은 수직이착륙형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하부에 뿔 또는 뿔대 형상의 착륙부를 구비하고,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에 드론의 착륙부를 안착시켜 정렬시킴에 따라 드론을 안정적으로 이착륙 시킬 수 있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는 1970년대 초반에 등장하여 군사용 무인 항공기로 개발되었다. 초창기의 드론은 공군의 미사일 폭격 연습 대상으로 사용되었으나, 그 용도가 점차 확장되었다. 현재 수직이착륙형 드론은 군사용 뿐 아니라, 개인, 미디어, 기업을 위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드론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수직 이착륙을 하는 드론을 이착륙시키기 위해 착륙장소 또는 착륙대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드론의 사용 용도, 운용지역 등이 다양화 됨에 따라 지상 이외에 차량, 선박, 구조물의 상부 또는 측면 등 다양한 지점에 드론의 착륙대를 설치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지점에 드론의 착륙대를 설치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론(10)을 착륙시키기 위한 착륙대(착륙패드)(20)의 면적(21)은 드론의 면적(11)과 성능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착륙대(20)의 면적(21)은 드론의 면적(11) 보다는 커야 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착륙대(20)의 설치를 위해서는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착륙대의 면적(21)보다 넓은 착륙 접근 면적(22)을 확보해야 하며, 주변 장애물의 영향 없이 착륙대(20)에 드론(10)을 접근시키기 위해 착륙 접근 최소 공간(23)을 확보해야 한다.
이와 같이 드론(10)을 이착륙시키기 위한 착륙대(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착륙대(20) 설치에 필요한 면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선박과 같이 외부 움직임이 있는 곳에 착륙대를 설치하게 되면, 외부 움직임에 의해 드론이 착륙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론을 고박(고정)시키거나 정렬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박(고정) 장치 또는 정렬 장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하부에 뿔 또는 뿔대 형상의 착륙부를 구비하고,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에 드론의 착륙부를 안착시켜 정렬시킴에 따라 드론을 안정적으로 이착륙 시킬 수 있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드론을 도킹시키는 착륙 시스템으로,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킹부; 드론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열려 있으며,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된 착륙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부는,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도킹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도킹부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륙부는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열려 있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도킹부의 하부면의 크기와, 상기 착륙부의 하부에서 열려 있는 하부면의 크기는 동일 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도킹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연결부는, 지정된 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 하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는 연결 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조인트의 외측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 조인트와 상기 도킹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착륙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착륙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착륙대는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착륙대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도킹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착륙대에 대하여 상, 하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도킹부의 상부에는, 상기 드론으로 유도 신호를 송신하는 착륙 유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의 상기 도킹부의 외측에는, 상기 도킹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끝단에 상향 경사가 형성된 이탈방지 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도킹부의 하부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킹부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도킹부의 하부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킹부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드론의 하부에 뿔 또는 뿔대 형상의 착륙부를 구비하고,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에 드론의 착륙부를 안착시켜 정렬시킴에 따라 드론을 안정적으로 이착륙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를 통해 드론을 이착륙시키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를 통해 착륙대에 도킹부를 연결함에 따라 착륙 시스템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도킹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드론을 이착륙시킴에 따라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에 뿔 또는 뿔대 형상의 착륙부를 안착시킴에 따라 착륙 완료 후에 추가 장치 없이 드론을 고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차량 또는 선박과 같이 움직임이 있는 곳에서 착륙 시스템의 수평 유지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드론을 착륙시키기 위해 필요한 착륙대의 면적, 착륙 접근 면적, 착륙 접근 최소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의 착륙부가 도킹부에 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의 착륙부가 도킹부에 안착되어 정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부의 측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가능한 착륙대에 도킹부가 설치되고, 도킹부로 드론이 착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가능한 착륙대에 도킹부가 설치되고, 도킹부에서 드론이 이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드론의 하부에 뿔 또는 뿔대 형상의 착륙부를 구비하고,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에 드론의 착륙부를 안착시켜 정렬시킴에 따라 드론을 안정적으로 이착륙 시킬 수 있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은 수직 이착륙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비행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드론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도킹부(110)와 착륙부(1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킹부(110)는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킹부(110)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도킹부(110)는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륙부(120)는 드론(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킹부(110)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열려 있으면서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드론(10)을 착륙시키기 위해 상기 착륙부(120)는 상기 도킹부(110)의 상부로 접근하게 된다.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의 상부로 접근하게 되면, 열려 있는 상기 착륙부(120)의 하부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가 끼워지면서, 상기 도킹부(110)가 상기 착륙부(120)의 내부 빈 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착륙부(120)는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착륙부(120)는 상기 도킹부(110)에 끼워지도록 상기 도킹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착륙부(120)와 상기 도킹부(11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도킹부(110)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착륙부(120)는 상기 도킹부(110)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열려 있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착륙부(120)와 상기 도킹부(110)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도킹부(110)에 상기 착륙부(12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에 안착됨에 따라 드론(10)의 착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킹부(110)의 하부면의 크기는 상기 착륙부(120)의 하부에서 열려 있는 하부면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도킹부(110)의 하부면의 크기와 상기 착륙부(120)의 하부에서 열려 있는 하부면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면, 드론(10)이 상기 도킹부(110)의 상부에서 착륙할 때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의 측면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에 의해 정렬됨에 따라 드론(10)의 착륙이 완료된 후에 드론(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드론(10)을 고박(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도킹부(110)에 연결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가 후술할 착륙대(14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는 지정된 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부(131)와 상기 고정부(131)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이동부(132)를 통해 상, 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이동부(132)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131)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132)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를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함에 따라, 상기 도킹부(11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킹부(110)의 높이를 변경함에 따라 드론(10)이 이착륙되는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주변 장애물이 드론(10)의 이착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32)는 연결 조인트(133)와 연결대(134)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조인트(133)는 상기 이동부(13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대(134)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 조인트(133)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조인트(133)는 상기 이동부(132)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연결대(134)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연결대(134)는 상기 연결 조인트(133)와 상기 도킹부(110)를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킹부(110)와 상기 착륙부(120)가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연결대(134)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조인트(133)와 상기 연결대(134)를 통해 상기 이동부(132)와 상기 도킹부(110)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이동부(132)와 상기 도킹부(11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도킹부(110)가 상기 이동부(132)의 이동에 따라 상, 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킹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드론(10)으로 유도 신호를 송신하는 착륙 유도 센서(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륙 유도 센서(150)는 상기 드론(10)으로 유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드론(10)은 상기 착륙 유도 센서(150)에서 발생하는 유도 신호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의 상부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론(10)은 상기 착륙 유도 센서(150)에서 발생하는 유도 신호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의 상부 위치를 인식함에 따라 상기 착륙부(120)를 상기 도킹부(110)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륙 유도 센서(150)에서 발생하는 유도 신호는 상기 드론(10)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라면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부(110)가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착륙 유도 센서(150)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킹부(1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킹부(110)의 외측에는, 상기 도킹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끝단에 상향 경사가 형성된 이탈방지 턱(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 턱(160)은 상기 도킹부(110)의 외측에서 평평한 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다가, 끝단에서 상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 턱(160)은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에 안착될 때, 상기 착륙부(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착륙부(120)를 정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륙부(120)가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도킹부(110)에 안착되면,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이탈방지 턱(160)에 구비된 상향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에 안착될 때, 상기 착륙부(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되는 착륙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륙대(140)는 상기 도킹부(110)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착륙대(140)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륙대(140)에 상기 연결부(130)를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도킹부(110)를 상기 착륙대(14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륙대(140)는 바퀴(141)가 구비된 차량이나 선박과 같이 이동 가능한 물체일 수 있다.
상기 착륙대(140)는 차량, 선박과 같이 이동가능한 물체의 일지점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착륙대(140)에 상기 연결부(130)를 결합시킴에 따라 차량, 선박과 같이 이동 가능한 물체에 상기 도킹부(11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연결부(130)와 연결되면서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고정부(131)는 상기 착륙대(140)에 고정설치 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이동부(132)가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도킹부(110)를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드론(10)을 이착륙 시킬 수 있게 된다.
차량, 선박과 같이 이동 가능한 지점에 상기 착륙대(140)가 구비된 경우, 드론(10)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착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론(10)을 착륙시키 위해,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킹부(110)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드론(10)의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에 착륙될 수 있다.
상기 착륙부(120)가 상기 도킹부(110)에 안착되면,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를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하부로 이동시킨 이후, 드론(10)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론(10)을 이륙시키기 위해,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킹부(110)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드론(10)이 이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기 도킹부(110)를 상, 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드론(10)을 이착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를 상기 착륙대(140)에 설치함에 따라 드론(10)을 고박(고정)시키거나 정렬시키는 별도의 추가장치 없이도 안정적으로 드론(10)을 이착륙 시킬 수 있다.
차량, 선박과 같이 외부 움직임이 있는 곳에 착륙대를 설치하게 되면, 외부 움직임에 의해 드론이 착륙대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 선박 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착륙대에는 드론을 고박(고정)시키거나 정렬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박(고정) 장치 또는 정렬 장치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킹부(110)와 상기 착륙부(120)를 통해 드론(10)을 착륙시킴에 따라 외부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드론(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별도의 고박(고정) 장치 또는 정렬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드론(10)을 이착륙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착륙대(140)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한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를 상기 착륙대(140)에 설치함에 따라,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드론(10)의 이착륙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착륙대(140)에 상기 도킹부(110)를 설치함에 따라 드론(1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도 상기 착륙대(140)에 상기 도킹부(11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을 소형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상기 도킹부(110)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작동기(170)와 제2작동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기(170)는 상기 도킹부(110)의 하부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171)을 중심으로 상기 도킹부(110)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2작동기(180)는 상기 도킹부(110)의 하부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축(181)을 중심으로 상기 도킹부(110)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축(171)과 상기 제2축(181)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제1작동기(170)와 상기 제2작동기(180)를 통해 롤(Roll) 방향과 피치(Pitch) 방향으로 기울기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착륙대(140)에 상기 도킹부(11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착륙대(140)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상기 도킹부(110)가 기울어지면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작동기(170)와 상기 제2작동기(180)는 상기 도킹부(11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상기 도킹부(110)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착륙대(140)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제1작동기(170)와 상기 제2작동기(180)를 통해 상기 도킹부(110)의 기울기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도킹부(110)를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작동기(170)와 상기 제2작동기(180)에는 자이로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작동기(170)와 상기 제2작동기(180)에 상기 자이로 센서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도킹부(110)의 외부에 경사가 형성되어도 상기 도킹부(110)는 수평이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기울기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드론의 하부에 뿔 또는 뿔대 형상의 착륙부를 구비하고,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에 드론의 착륙부를 안착시켜 정렬시킴에 따라 드론을 안정적으로 이착륙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를 통해 드론을 이착륙시키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를 통해 착륙대에 도킹부를 설치함에 따라 착륙 시스템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도킹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드론을 이착륙시킴에 따라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은 뿔 또는 뿔대 형상의 도킹부에 뿔 또는 뿔대 형상의 착륙부를 안착시킴에 따라 착륙 완료 후에 추가 장치 없이 드론을 고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차량 또는 선박과 같이 움직임이 있는 곳에서 착륙 시스템의 수평 유지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드론 110...도킹부
120...착륙부 130...연결부
131...고정부 132...이동부
133...연결 조인트 134...연결대
140...착륙대 141...바퀴
150...착륙 유도 센서 160...이탈방지 턱
170...제1작동기 171...제1축
180...제2작동기 181...제2축

Claims (13)

  1. 드론을 도킹시키는 착륙 시스템에 있어서,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킹부;
    드론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열려 있으며,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된 착륙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륙부는, 다각뿔, 다각뿔대, 원뿔, 원뿔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도킹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륙부는 상기 도킹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열려 있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의 하부면의 크기와, 상기 착륙부의 하부에서 열려 있는 하부면의 크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도킹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지정된 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상, 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는 연결 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조인트의 외측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 조인트와 상기 도킹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착륙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대에는 복수 개의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착륙대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착륙대에 대하여 상, 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도킹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착륙대에 대하여 상, 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의 상부에는,
    상기 드론으로 유도 신호를 송신하는 착륙 유도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의 외측에는,
    상기 도킹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끝단에 상향 경사가 형성된 이탈방지 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의 하부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킹부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의 하부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킹부의 기울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2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KR1020210162609A 2021-11-23 2021-11-23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KR10262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09A KR102621536B1 (ko) 2021-11-23 2021-11-23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US17/991,338 US20230159184A1 (en) 2021-11-23 2022-11-21 Drone docking/lan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09A KR102621536B1 (ko) 2021-11-23 2021-11-23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921A true KR20230075921A (ko) 2023-05-31
KR102621536B1 KR102621536B1 (ko) 2024-01-05

Family

ID=8638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609A KR102621536B1 (ko) 2021-11-23 2021-11-23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59184A1 (ko)
KR (1) KR1026215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9000A1 (en) * 2016-02-10 2017-08-17 Qualcomm Incorporated Structures for wirelessly charging a multicopter
US20170297445A1 (en) * 2016-04-19 2017-10-19 Shenzhen Flyeah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Cone Shaped Docking Mechanism Provides Rigid Connection Between 2 UAVs and Serves as Charging Port to Provide Real Time Charging Power in the air as well as Serves as Ground UAV Charging Stations
US20180196418A1 (en) * 2015-07-27 2018-07-12 Xworks Corporation Method for unattended operations using autonomous or remotely operated vehicles
US20190122172A1 (en) * 2016-04-29 2019-04-2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for parcel delivery and pickup via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69240B1 (ko) * 2018-10-23 2020-01-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함상 드론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함상 드론 착륙 제어방법
KR102184020B1 (ko) * 2019-04-07 2020-11-30 주식회사 두드론 능동 유도형 도킹스테이션
KR20210073631A (ko) * 2019-12-10 2021-06-21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무인 비행기용 착륙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7445B2 (en) * 2013-09-09 2017-02-21 Olaeris, Inc. Vehicle replenishme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6418A1 (en) * 2015-07-27 2018-07-12 Xworks Corporation Method for unattended operations using autonomous or remotely operated vehicles
WO2017139000A1 (en) * 2016-02-10 2017-08-17 Qualcomm Incorporated Structures for wirelessly charging a multicopter
US20170297445A1 (en) * 2016-04-19 2017-10-19 Shenzhen Flyeah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Cone Shaped Docking Mechanism Provides Rigid Connection Between 2 UAVs and Serves as Charging Port to Provide Real Time Charging Power in the air as well as Serves as Ground UAV Charging Stations
US20190122172A1 (en) * 2016-04-29 2019-04-2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for parcel delivery and pickup via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69240B1 (ko) * 2018-10-23 2020-01-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함상 드론 착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함상 드론 착륙 제어방법
KR102184020B1 (ko) * 2019-04-07 2020-11-30 주식회사 두드론 능동 유도형 도킹스테이션
KR20210073631A (ko) * 2019-12-10 2021-06-21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무인 비행기용 착륙 제어장치
KR102300172B1 (ko) * 2019-12-10 2021-09-10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무인 비행기용 착륙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9184A1 (en) 2023-05-25
KR102621536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62414B2 (en) Utiliz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platform which is equipped with a turntable assembly
US11780565B2 (en) Rotary wing aircraft
CN108367806B (zh) 具有可调瞄准组件的无人空中飞行器
US201400465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erial unit
US8172173B2 (en) Covert sensor emplacement using autorotational delivery mechanism
US8590829B2 (en) System, floating unit and method for elevating payloads
US11518542B2 (en) Landing structur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7203552A1 (ja) 無人航空機
EP3409592B1 (en) Shock-absorbing structure, pan-tilt assembly using sam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0612493B2 (en) Orientable rocket-motor system
CN106005459A (zh) 一种无人飞行器
JP2017094881A (ja) マルチコプター離着陸用ベース
CN111634430A (zh) 一种无人机光学防抖摄像机
EP3981687B1 (en) Ballistically-deployed controllable parasail
KR20190116748A (ko)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KR102621536B1 (ko) 드론 도킹 착륙 시스템
KR102601680B1 (ko) 유인 수직이착륙기용 저충격 착륙시스템
KR102604812B1 (ko) 정밀 착륙 드론 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드론 정밀 착륙 시스템
KR102643162B1 (ko) 한손 조종용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드론 충전 스테이션
KR101757368B1 (ko) 양방향 비행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SG1820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landing of aerial vehicles
KR102153680B1 (ko)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KR102544347B1 (ko) 추적 장치 및 추적 방법
KR102657909B1 (ko)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KR102427780B1 (ko) 무인기의 공중착륙 방법 및 무인기 공중착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