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909B1 -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909B1
KR102657909B1 KR1020220003893A KR20220003893A KR102657909B1 KR 102657909 B1 KR102657909 B1 KR 102657909B1 KR 1020220003893 A KR1020220003893 A KR 1020220003893A KR 20220003893 A KR20220003893 A KR 20220003893A KR 102657909 B1 KR102657909 B1 KR 10265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unit
ground
cable
inn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469A (ko
Inventor
안혜리
Original Assignee
태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경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909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2Tethered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B64U2201/202Remote controls using tethers for connecting to ground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부, 지상에서 상기 드론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공급 기능 및 상기 드론부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드론부의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지원부, 상기 지상지원부와 상기 드론부을 서로 연결시켜, 상기 전력 공급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부 및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드론부 간의 연결을 위해 상기 케이블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드론부와 결합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드론부가 분리될 때, 상기 어댑터부에서 낙하산이 펼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은 지상의 통제 시스템을 통해 드론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드론의 작전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GROUND CONTROLLED DRONE SYSTEM}
본 발명은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드론과 지상의 통제 시스템이 유선으로 직접 연결되어 드론을 통제하며, 일정한 상황에서 드론과 지상의 통제 시스템이 분리되도록 하면서 드론의 활동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드론(drone)은 원격탐지장치, 위성 제어장치 등 최첨단 장비를 갖추고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곳이나 위험 지역 등에 투입되어 정보를 수집하거나 특수 임무를 수행하고 있거나 또는 취미활동이나 카메라 영상 촬영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드론은 활용 목적에 따라 대형 비행체부터 초소형 비행체까지 다양한 모델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드론은 소형 비행체로 전시 상황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이고, 직접 전장에 투입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드론은 정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짧은 비행시간으로 인해 정찰 업무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62389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론과 지상 통제 시스템을 유선으로 연결시켜 드론의 작동 시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드론과 지상 통제 시스템 간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위급 상황에서 드론의 정찰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부, 지상에서 상기 드론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공급 기능 및 상기 드론부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드론부의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지원부, 상기 지상지원부와 상기 드론부을 서로 연결시켜, 상기 전력 공급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부 및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드론부 간의 연결을 위해 상기 케이블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드론부와 결합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드론부가 분리될 때, 상기 어댑터부에서 낙하산이 펼쳐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에서, 상기 드론부는, 상기 드론부의 몸체 역할을 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어 있고, 서치라이트 기능과 스피커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와 직접 체결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에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하부 구조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 상기 하부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진동을 상쇄시키는 제1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향 방향이자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구조체의 움직임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충격을 받는 상기 드론부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유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에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케이블부의 상단을 둘러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케이블부와 직접 접촉하는 원형 내측 베이링,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을 둘러싸고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원형 외측 베어링,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복수의 제2 댐퍼부 및 상기 어댑터부의 최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낙하산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드론부가 서로 분리될 때 개방되어 상기 낙하산이 펼쳐지게끔 하는 낙하산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은 지상의 통제 시스템을 통해 드론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드론의 작전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이 분리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드론과 지상 지원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부의 자유 낙하를 보조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케이블부의 구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드론과 지상 지원부 간의 연결로 인해 드론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드론 비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의 드론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의 균형유지장치의 개념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의 어댑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시스템(1)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부(100), 지상에서 상기 드론부(1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공급 기능 및 상기 드론부(1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드론부(100)의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지원부(200), 상기 지상지원부(200)와 상기 드론부(100)을 서로 연결시켜, 상기 전력 공급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부(300) 및 상기 케이블부(300)와 상기 드론부(100) 간의 연결을 위해 상기 케이블부(3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드론부(100)와 결합되는 어댑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400)와 상기 드론부(100)가 분리될 때, 상기 어댑터부(400)에서 낙하산(410)이 펼쳐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시스템(1)은 드론부(100), 지상지원부(200), 케이블부(300) 및 어댑터부(400)를 포함한다.
드론부(100)는 상공을 자유롭게 날라다니는 비행체를 이야기하며, 무전기, 서치라이트, 스피커, EO/IR(전기광학적외선 장비), TMMR(다대역 다기능 무전기 ; Tactical Multiband Multirole Radio) 등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지상지원부(200)는 지상에서 드론부(100)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GCS(이동형 드론 관제 시스템), 보조전원, 전원공급장치, 기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상지원부(200)에서는 드론부(100) 관제 역할, 드론부(100)와의 통신 전송 기능, 드론부(100)에 대한 전력 공급 기능 등의 드론부(100) 운용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드론부(100)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부(300)는 지상지원부(200)와 드론부(100)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케이블부(300)를 통해 지상지원부(200)의 전력공급을 드론부(100)가 받을 수 있다. 케이블부(300)를 통해 통신 기능이나 기타 다른 기능을 드론부(100)에 지원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어댑터부(400)는 케이블부(300)와 드론부(100) 간의 연결을 위해 케이블부(300)의 상단에 배치된다. 어댑터부(400)의 상단에는 낙하산(4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어댑터부(400)와 드론부(100)가 서로 분리될 때 어댑터부(400)에서 낙하산이 펼쳐져, 어댑터부(400)와 케이블부(300)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에서, 상기 드론부(100)는, 상기 드론부(100)의 몸체 역할을 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하부에 결합되어 있고, 서치라이트 기능과 스피커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하부 구조체(120) 및 상기 하부 구조체(120)와 직접 체결되며,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의 드론부(100)는 본체(110), 하부 구조체(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드론부(1) 동체의 중심이며 본체(110)에는 드론부(100)에게 비행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10)에는 각종 센서 및 프로세서가 배치되어 있다. 즉, 본체(110)는 센서부, GPS부, 통신부, 전원공급부,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조체(120)는 본체부(110)의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구조체(120)에는 다리부, 클램프부, 받침구조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는 본체(110)의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리부는 4개의 다리로 형성되며, 드론(1)이 지면에 착륙할 때 본체(110)를 보호하고 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부는 다리부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클램프부는 4개의 다리 각각에 형성되어 4개의 클램프로 형성된다. 클램프부의 클램프는 다리부의 다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클램프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구조체를 포함한다. 클램프부는 본체(110)로부터 다리부의 다리의 길이 대비 1/4 지점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부(100)이 비행할 때 클램프부에 형성되는 판부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공기가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드론부(100)의 비행 안정성을 높여준다. 받침구조체는 판부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판부는 다리부의 4개의 다리가 둘러싸는 사격형 영역에 배치되며, 목표지시부가 드론부(100)에 결합되기 위한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목표지시부는 지상의 목표물을 향한 지시 역할을하며 하부구조체에 결합된다. 목표지시부의 지시 활동은 목표물을 향한 빛을 발산하여 목표물을 지시하는 역할, 목표물을 향한 음향을 발산하여 목표물 근처의 대상에서 목표물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 목표물을 촬영하여 통제소 등에 발송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목표지시부에는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본체(110)의 하부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구조체(120)와 결합됨으로써 하부 구조체(120)와 본체(110)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의 어댑터부(400)는 하부 구조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케이블부(300)가 받는 공기 중의 저항에 따른 힘이 하부 구조체(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부 구조체(120)에서 전달되는 충격힘을 체결부재(130)에서 상쇄시켜야 드론부(100)의 주행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영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에서 체결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31), 상기 하부 구조체(120)를 지지하는 지지판(132) 및 상기 고정판(131)과 상기 지지판(132) 사이의 진동을 상쇄시키는 제1 댐퍼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0)는, 상기 체결부재(130)의 상향 방향이자 상기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구조체(120)의 움직임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충격을 받는 상기 드론부(100)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유지장치(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의 체결부재(130)와 균형유지장치(111)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의 체결부재(130)는 고정판(131), 지지판(132) 및 제1 댐퍼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31)은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판(132)은 하부 구조체(120)를 지지한다. 이때 고정판(131)과 지지판(132) 사이에 제1 댐퍼부(133)가 형성되는데, 제1 댐퍼부(133)는 하부 구조체(1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지지판(132)을 댐핑시키면서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체(110)는 균형유지장치(11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130)의 상향이면서 본체(110)의 내부에는 공기 저항에 따른 케이블부(300)의 움직임에 의해 하부 구조체(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켜 드론부(100)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유지장치(1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에서, 상기 균형유지장치(111)는, 상기 드론부(10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치공간(111a) 및 상기 배치공간(111a)에서 하부 구조체(120)가 가속력을 받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110)의 내부에는 균형유지장치(111)가 포함될 수 있다. 균형유지장치(111)는 하부 구조체(120)가 케이블부(300)의 움직이는 힘에 의해 비행 안정성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케이블부(300)는 공기 저항에 의해 힘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특히 드론부(100)와 지상지원부(111) 간의 고도 차이는 꽤 큰 상황이 많이 발생하므로, 그로 인해 케이블부(300)가 받는 공기 저항 또한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케이블부(300)가 받는 공기 저항에 의한 힘이 도 4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가해져서 하부 구조체(120)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는다면, 배치공간(111a)에 있는 이동부(111b)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 구조체(120)가 받는 가속력을 상쇄시킨다. 또한, 하부구조체(120)가 왼쪽으로 이동하다가 멈추는 경우에는, 가속력이 오른쪽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왼쪽으로 이동했던 이동부(111b)가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오면서 하부 구조체(120)가 받는 가속력을 상쇄시킨다. 배치공간(111a)은 도 4에서와 같이 드론부(10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시스템(1)의 어댑터부(400)는 상기 케이블부(300)의 상단을 둘러싸는 케이스(420), 상기 케이스(420) 내측에서 상기 케이블부(300)와 직접 접촉하는 원형 내측 베이링(430),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을 둘러싸고 상기 케이스(420)에 고정되는 원형 외측 베어링(440),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과 상기 케이스(4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복수의 제2 댐퍼부(450) 및 상기 어댑터부(400)의 최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낙하산(410)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어댑터부(400)와 상기 드론부(100)가 서로 분리될 때 개방되어 상기 낙하산(410)이 펼쳐지게끔 하는 낙하산 덮개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어댑터부(400)는 낙하산(410), 케이스(420), 원형 내측 베어링(430), 원형 외측 베어링(440), 제2 댐퍼부(450) 및 낙하산 덮개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낙하산(410)은 어댑터부(400)가 드론부(100)로부터 분리될 때, 어댑터부(400)와 케이블부(300)를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게끔 어댑터부(400)에서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케이스(420)는 케이블부(300)의 상단을 둘러싸면서, 어댑터부(400)의 내부 구조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원형 내측 베어링(430)은 케이스(420) 내부에서 케이블부(300)를 둘러싸면서 케이블부(300)에 고정된다. 원형 외측 베어링(440)은 원형 내측 베어링(430)을 둘러싸게 되는데, 이때 원형 내측 베어링(430)은 원형 외측 베어링(440)의 구형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케이블부(300)의 움직임에 따라 원형 내측 베어링(420)의 구형 경로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두께는 원형 외측 베어링(44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댐퍼부(450)는 원형 내측 베어링(430)과 원형 외측 베어링(440) 사이에 형성되어,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도 5를 보면,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두께가 원형 외측 베어링(440)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위 아래로 돌출된 원형 내측 베어링(430)부분에 제2 댐퍼부(45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낙하산 덮개부(460)는 어댑터부(400)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낙하산(4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어댑터부(400)와 드론부(100)가 서로 분리될 때 낙하산 덮개부(460)가 개방되면서 낙하산(410)이 펼쳐지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에서, 상기 케이블부(300)의 지름(r) 대비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R)은 1.5배 내지 2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부(300)의 지름 대비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이 1.5배 미만인 경우에는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반경이 지나치게 작아져 케이블부(300)의 케이스(420) 내에서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작아지기 때문에 제2 댐퍼부(450)의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움직임 억제 기능이 발휘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부(300)의 지름 대비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이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반경이 지나치게 커져 케이블부(300)의 케이스(420) 내에서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제2 댐퍼부(450)에서 소화 가능한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움직임을 넘어서 버린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에서,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에서 상기 제2 댐퍼부(450)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댐퍼부(450)와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4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431)는 상기 원형 외측 베어링(440)에 대한 턱 역할을 하여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1)에서,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R) 대비 상기 원형 외측 베어링(440)의 두께(d)는 0.75배 내지 0.8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431) 간에서 상하로 이격된 거리(D)는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R) 대비 0.85배 내지 0.9배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 대비 원형 외측 베어링(440)의 두께가 0.75배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크기가 원형 외측 베어링(440)에 비해 커지기 때문에, 케이블부(300) 움직임에 의한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움직임 또한 커져서 제2 댐퍼부(450)가 견딜 수 있는 움직임의 한계를 넘어서게 된다. 또한,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 대비 원형 외측 베어링(440)의 두께가 0.8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크기가 원형 외측 베어링(4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케이블부(300) 움직임에 의한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움직임이 매우 작아지게 되어 제2 댐퍼부(450)의 원형 내측 베어링(430) 움직임 억제라는 기능이 발휘되지 못한다.
복수의 돌출부(431) 중 상하로 이격된 거리가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 대비 0.85배 미만인 경우에는, 돌출부(431)에 의해 원형 내측 베어링(430)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크게 제한되지 때문에 제2 댐퍼부(450)의 원형 내측 베어링(430) 움직임 억제라는 기능이 발휘되지 못한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431) 중 상하로 이격된 거리가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지름 대비 0.9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형 내측 베어링(430)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커져 제2 댐퍼부(450)에서 소화 가능한 원형 내측 베어링(430)의 움직임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제2 댐퍼부(450)의 댐퍼 기능이 발휘되지 못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100 : 드론부
110 : 본체
111 : 균형유지장치
120 : 하부 구조체
130 : 체결부재
131 : 고정판
132 : 지지판
133 : 제1 댐퍼부
200 : 지상지원부
300 : 케이블부
400 : 어댑터부
410 : 낙하산
420 : 케이스
430 : 원형 내측 베어링
431 : 돌출부
440 : 원형 외측 베어링
450 : 제2 댐퍼부
460 : 낙하산 덮개부

Claims (5)

  1. 비행이 가능한 드론부;
    지상에서 상기 드론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공급 기능 및 상기 드론부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드론부의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지원부;
    상기 지상지원부와 상기 드론부을 서로 연결시켜, 상기 전력 공급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부; 및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드론부 간의 연결을 위해 상기 케이블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드론부와 결합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드론부가 분리될 때, 상기 어댑터부에서 낙하산이 펼쳐지며,
    상기 드론부는,
    상기 드론부의 몸체 역할을 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어 있고, 서치라이트 기능과 스피커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와 직접 체결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케이블부의 상단을 둘러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케이블부와 직접 접촉하는 원형 내측 베어링;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을 둘러싸고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원형 외측 베어링;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내측 베어링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복수의 제2 댐퍼부; 및
    상기 어댑터부의 최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낙하산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드론부가 서로 분리될 때 개방되어 상기 낙하산이 펼쳐지게끔 하는 낙하산 덮개부;를 포함하는,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하부 구조체에 결합되는,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
    상기 하부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진동을 상쇄시키는 제1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향 방향이자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구조체의 움직임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충격을 받는 상기 드론부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유지장치를 포함하는,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5. 삭제
KR1020220003893A 2022-01-11 2022-01-11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KR10265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93A KR102657909B1 (ko) 2022-01-11 2022-01-11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93A KR102657909B1 (ko) 2022-01-11 2022-01-11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469A KR20230108469A (ko) 2023-07-18
KR102657909B1 true KR102657909B1 (ko) 2024-04-17

Family

ID=8742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93A KR102657909B1 (ko) 2022-01-11 2022-01-11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9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515Y1 (ko) 2017-09-25 2018-05-31 정다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장치
WO2018220607A1 (fr) * 2017-05-31 2018-12-06 Elistair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la connexion entre un drone filaire détachable et son fil
KR102075776B1 (ko) * 2018-09-11 2020-02-10 허원기 순찰차 탑재형 방범 드론시스템
KR102405606B1 (ko) 2021-11-30 2022-06-07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분리형 테더링 드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02B1 (ko) * 2016-07-26 2018-08-01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무인항공기 정밀착륙 시스템
KR101962389B1 (ko) 2017-05-24 2019-03-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비행 연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놀이기구
KR102652391B1 (ko) * 2020-04-16 2024-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드론을 조종하는 조종자를 식별하기 위한 드론 조종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0607A1 (fr) * 2017-05-31 2018-12-06 Elistair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la connexion entre un drone filaire détachable et son fil
KR200486515Y1 (ko) 2017-09-25 2018-05-31 정다울 유선 비행체의 전원공급장치
KR102075776B1 (ko) * 2018-09-11 2020-02-10 허원기 순찰차 탑재형 방범 드론시스템
KR102405606B1 (ko) 2021-11-30 2022-06-07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분리형 테더링 드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469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7131B2 (en) Aerial vehicle and a signal line protection assembly thereof
US8276844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launching and landing system
CN109795718B (zh) 包括光学摄影仪器的卫星
EP2939922B1 (en) Multi-task frisbee-umbrella
EP4279395A3 (en) System and method for damping oscillations of a payload
RU2006143656A (ru) Система противоракетной защиты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AU2009200804B2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launching and landing system
WO2013060693A3 (fr) Exosquelette geometrique actif a carenage annulaire pseudo-rhomboedrique pour engin gyropendulaire
WO2011131733A3 (fr) Engin gyropendulaire à propulsion compensatoire et collimation de gradient fluidique, multi-milieux, multimodal, à décollage et atterrissage vertical
US20180323489A1 (en) Truss Reinforced Radome Crown Structure Shock Absorbing And Recoiling Sysytem
CA2343350A1 (en) Autonomous off-board defensive aids system
US11975864B2 (en) Multi sensor support structure
US8355295B1 (en) Underwater mobile sensing/communications node and network of such nodes
US4447025A (en) Carrier for a dropload to be dropped from an aircraft
EP3981687B1 (en) Ballistically-deployed controllable parasail
KR102657909B1 (ko) 지상 통제형 드론 시스템
CN111348208A (zh) 面向机载广域侦察监视应用的反扫稳定一体化多环架平台
KR20220074647A (ko) 충돌 저감 외부 장치를 가지는 자이로볼드론
CN214729761U (zh) 一种无人机强制降落减震机构
KR102002952B1 (ko) 드론용 파손방지장치
CN208344532U (zh) 一种伞降型无人机回收装置
KR200497931Y1 (ko) 다목적 드론
KR101402735B1 (ko) 생체모방형 정찰 로봇의 보호체
Usama et al. First Person View Drone-FPV
RU2456211C1 (ru)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парашютной системой посад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