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963B1 -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 Google Patents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963B1
KR102558963B1 KR1020210080652A KR20210080652A KR102558963B1 KR 102558963 B1 KR102558963 B1 KR 102558963B1 KR 1020210080652 A KR1020210080652 A KR 1020210080652A KR 20210080652 A KR20210080652 A KR 20210080652A KR 102558963 B1 KR102558963 B1 KR 10255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rone
unit
light emit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078A (ko
Inventor
안혜리
Original Assignee
태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경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9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7/00Aircraft stabilis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17/02Aircraft stabilis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ravity or inertia-actu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색견을 활용한 수색 작전시 사람이 수색견을 쫓는 것이 아니라 드론이 수색견을 쫓으면서 수색견의 좌표를 상황실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은 수색견에 무전기, 추적장비 및 카메라 장치 등을 탑재하고 드론에는 카메라, 서치라이트 및 스피커 등을 탑재하여, 드론이 수색견을 쫓아 수색 지점에서의 상황을 중계하고 수색견 또는 목표물을 향한 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DRONE TRAKING A TARGET}
본 발명은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목표물을 드론이 추적할 수 있어 사람의 개입 없이 수색 상황을 드론이 통제 가능하도록 하는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경 등이 수색작전을 하거나 정찰을 위해 조명탄과 수색견을 활용한다. 그러나 수색견을 사람이 직접 쫓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수색견이 목표물을 찾은 이후에도 사람이 수색견을 다시 찾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야간 작전시에는 조명탄을 주로 사용하나, 조명탄은 수명주기가 짧고 특정 지역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명탄은 1회용으로 화학물질의 화학 작용으로 일정시간 동안 발광한 뒤 소멸되며 가격이 고가라 지속적인 광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수색작전에서 사람을 대체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수색작전을 통합적으로 지휘할 수 있는 드론 기술이 아직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KR 10-2020-0032918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수색견을 활용한 수색 작전시 사람이 수색견을 쫓는 것이 아니라 드론이 수색견을 쫓으면서 수색견의 좌표를 상황실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색 작전시 수색 지역에 대한 정밀 영상을 확보하여 상황실 등에 제공하고, 서치라이트 등을 활용하여 수색 지역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색 작전시 드론에 스피커 등의 방송장치를 탑재하여 수색 지역에서의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은, 드론의 본체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론이 착륙시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이격시키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둘러싸며 상기 다리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구조체를 포함하는 클램프부, 상기 받침구조체와 결합되어 하면이 지지되는 판부, 상기 판부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구조체 및 상기 중심구조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드론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변구조체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주변구조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상의 목표물을 향한 지시 역할을 하는 목표지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에서, 상기 목표지시부는, 중심에 형성되어 외부로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장치, 상기 음향장치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목표물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장치, 상기 목표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에서, 상기 중심구조체의 내부에는, 상기 목표지시부가 상기 목표물을 지시하기 위해 회전할 때 상기 드론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유지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은, 상기 중심구조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중심 구조체와 상기 목표지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부 및 상기 라이다부에서 측정된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 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발광장치의 광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에서, 상기 균형유지장치는, 상기 목표지시부의 상단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드론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치공간 및 상기 배치공간에서 상기 목표지시부의 상단이 가속력을 받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은 수색견에 무전기, 추적장비 및 카메라 장치 등을 탑재하고 드론에는 카메라, 서치라이트, 통신중계기, 무전기 및 스피커 등을 탑재하여, 드론이 수색견을 쫓아 수색 지점에서의 상황을 중계하고 수색견 또는 목표물을 향한 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계곡등 통신 불가지역에서도 통신중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은 GPS부 또는 비콘부를 통해 목표물을 쫓아 목표물의 좌표를 통신부를 통해 상황실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은 수색견이 멈추어 수색을 실시하면 카메라부의 정밀 영상이 상황실 등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야간에는 서치라이트 및 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영상이 상황실 등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저면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목표지시부의 회전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확대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은, 드론(1)의 본체(100)의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론(1)이 착륙시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00)를 이격시키는 다리부(200), 상기 다리부(200)를 둘러싸며 상기 다리부(20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구조체(310)를 포함하는 클램프부(300), 상기 받침구조체(310)와 결합되어 하면이 지지되는 판부(400), 상기 판부(400)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구조체(510) 및 상기 중심구조체(510)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드론(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변구조체(520)를 포함하는 결합부(500) 및 상기 주변구조체(5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상의 목표물을 향한 지시 역할을 하는 목표지시부(6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은 본체(100), 다리부(200), 클램프부(300), 판부(400), 결합부(500) 및 목표지시부(6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드론(1) 동체의 중심이며 본체(100)에는 드론(1)에게 비행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각종 센서 및 프로세서가 배치되어 있다. 즉, 본체(100)는 센서부, GPS부, 통신부, 전원공급부,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200)는 본체(100)의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을 보면, 다리부(200)는 4개의 다리로 형성되며, 드론(1)이 지면에 착륙할 때 본체(100)를 보호하고 본체(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부(300)는 다리부(200)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클램프부(300)는 4개의 다리 각각에 형성되어 4개의 클램프로 형성된다. 도 4를 보면, 클램프부(300)의 클램프는 다리부(200)의 다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클램프부(3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구조체(310)를 포함한다. 클램프부(300)는 본체(100)로부터 다리부(200)의 다리의 길이 대비 1/4 지점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1)이 비행할 때 클램프부(300)에 형성되는 판부(400)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공기가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드론(1)의 비행 안정성을 높여준다.
받침구조체(310)는 판부(400)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판부(400)는 다리부(200)의 4개의 다리가 둘러싸는 사격형 영역에 배치되며, 목표지시부(600)가 드론(1)에 결합되기 위한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4를 보면, 판부(400)에는 일정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드론(1)의 전체 중량을 줄이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론(1) 비행시 공기가 판부(400)의 홀을 통과해 흐름으로써 판부(400)가 완전히 막혀 있는 것과 비교하여 공기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주어 드론(1) 비행의 안정성을 높혀줄 수 있다.
결합부(500)는 목표지시부(600)와 판부(400)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500)는 중심구조체(510) 및 주변구조체(520)를 포함한다. 중심구조체(510)는 판부(400)의 중심에 결합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중심구조체(510)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주변구조체(520)는 중심구조체(510))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주변구조체(520)는 중심구조체(510)에 일단이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에서는 주변구조체(520)가 'ㄱ'자 형태를 가지면서, 한 쌍의 주변구조체(520)가 서로 대칭되도록 중심구조체(510)에 결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주변구조체(520)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목표지시부(6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목표지시부(600)는 지상의 목표물을 향한 지시 역할을 한다. 목표지시부(600)의 지시 활동은 목표물을 향한 빛을 발산하여 목표물을 지시하는 역할, 목표물을 향한 음향을 발산하여 목표물 근처의 대상에서 목표물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 목표물을 촬영하여 통제소 등에 발송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 등이 될 수 있다. 목표지시부(600)는 주변구조체(5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목표지시부(600)는 구변구조체(52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목표물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목표지시부(600)가 회전하면서 목표물을 추적할 수 있다. 목표지시부(60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목표지시부(600)의 직경은 본체부(100)의 본체 크기(도 1에서의 드론(1)의 상단의 직육면체)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드론(1)의 본체부(100)의 본체 크기보다 목표지시부(60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 비행시 공기 저항이 심하게 발생하여 드론(1)의 비행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에서, 상기 목표지시부(600)는, 중심에 형성되어 외부로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장치(610), 상기 음향장치(6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목표물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장치(620), 상기 목표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장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표지시부(600)는 음향장치(610), 발광장치(620) 및 카메라장치(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음향장치(610)는 목표지시부(600)의 중심에 형성된다. 음향장치(610)는 소리를 발산할 수 있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황실 등에서 송신된 음향신호가 음향장치(610)를 통해 발산될 수 있다. 음향장치(610)는 목표물을 향한 음향을 발산하여, 목표물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목표물의 위치를 지시하거나, 목표물 주변에 있는 수색견 등에게 명령을 하달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발광장치(620)는 음향장치(610)를 원형으로 둘러싼 형태로 형성된다. 발광장치(620)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장치(620)는 목표물을 향한 빛을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광장치(620)는 목표물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목표물의 위치를 지시하거나, 목표물 주변에 있는 수색견 등에게 목표물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카메라장치(630)는 목표지시부(6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카메라장치(630)는 적외선 카메라 및 가시광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간에는 가시광선 카메라를 통해 목표물 주변을 촬영하여 상황실 등에 송신함으로써 수색 상황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야간에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목표물 주변을 촬영하여 상황싱 들에 송신함으로써 시야를 확보하긴 힘든 야간 수색 작전에 큰 도움을 줄 수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형유지장치(511)의 동작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에서, 상기 중심구조체(510)의 내부에는, 상기 목표지시부(600)가 상기 목표물을 지시하기 위해 회전할 때 상기 드론(1)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유지장치(511)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에서, 상기 균형유지장치(511)는, 상기 목표지시부(600)의 상단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드론(1)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치공간(511a) 및 상기 배치공간(511a)에서 상기 목표지시부(600)의 상단이 가속력을 받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심구조체(510)의 내부에는 균형유지장치(511)가 포함될 수 있다. 균형유지장치(511)는 목표지시부(600)가 주변구조체(52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모멘트(M)로 인해 드론(1)의 비행 안정성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목표지시부(60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목표지시부(600)에 가속력이 가해질 수 밖에 없다. 즉, ⅰ) 상황에서 도 5를 기준으로 목표지시부(6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도 6에서 목표지시부(600)가 이동시작시 가속력이 반시계방향으로 가해진다. 그에 따라 드론(1)에는 시계방향으로 모멘트(M)가 발생하여 드론(1)의 비행 안정성을 해치게 된다. 또한, ⅱ ) 상황에서 도 5를 기준으로 목표지시부(6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 멈추게 된다면, 도 6에서 정지시 가속력이 시계방향으로 가해진다. 그에 따라 드론(1)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모멘트(M)가 발생하여 드론(1)의 비행 안정성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형유지장치(511)는 목표지시부(60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모멘트(M)로 인한 비행안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을 보면, 본 발명의 균형유지장치(511)는 배치공간(511a) 및 이동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공간(511a)은 도 6에서와 같이 드론(1)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목표지시부(600)의 상단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동부(511b)는 무게추 역할을 하므로 일정 질량 이상의 원형구로 형성될 수 있다. ⅰ) 상황을 보면,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드론(1)의 전방부가 위로 들리는 모멘트(M)가 발생하므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 이동부(511b)가 드론(1)의 목표지시부(600)의 상단이 가속력을 받는 반대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하여, 드론(1)의 전방부의 무게를 더 무겁게 함으로써 드론(1)의 전방이 위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ⅱ ) 상황을 보면,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드론(1)의 후방부가 위로 들리는 모멘트(M)가 발생하므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 이동부(511b)가 드론(1)의 목표지시부(600)의 상단이 가속력을 받는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이동하여, 드론(1)의 후방부의 무게를 더 무겁게 함으로써 드론(1)의 후방이 위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을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부(7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은, 상기 중심구조체(5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중심 구조체(510)와 상기 목표지시부(6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1)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부(700) 및 상기 라이다부(700)에서 측정된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1) 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발광장치(620)의 광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1)은 라이다부(700)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이다부(700)는 목표물과 드론(1)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라이다부(700)는 중심구조체(5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라이다부70)는 중심 구조체(510)와 목표지시부(600) 사이에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100)에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제어부는 라이다부(700)에 의해 측정된 목표물과 드론(1) 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발광장치(620)의 광 출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드론(1)과 목표물 간의 거리가 가까운데도 불구하고 과할 정도의 밝은 빛을 발광장치(620)가 발하여 전원공급부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드론(1)과 목표물 간의 거리가 멀어서 발광장치(620)에서 발하는 빛으로 목표물을 밝게 비추기 부족한 때에는 발광장치(620)의 광 출력을 증가시켜 목표물을 충분히 밝게 비추도록 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장치(620)의 발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라이다부(700)에 의해 측정된 목표물과 드론(1) 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제어부가 발광장치(620)의 발광 범위를 좁혀 발광장치(620)에서 발산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목표물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한, 목표물과 드론(1) 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제어부가 발광장치(620)의 발광 범위를 넓혀 목표물과 그 주변을 효과적으로 비출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드론
100 : 본체
200 : 다리부
300 : 클램프부
310 : 받침구조체
400 : 판부
500 : 결합부
510 : 중심구조체
511 : 균형 유지 장치
511a : 배치공간
511b : 이동부
520 : 주변구조체
600 : 목표지시부
610 : 음향장치
620 : 발광장치
630 : 카메라 장치
700 : 라이다부

Claims (5)

  1. 드론의 본체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론이 착륙시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이격시키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둘러싸며 상기 다리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구조체를 포함하는 클램프부;
    상기 받침구조체와 결합되어 하면이 지지되는 판부;
    상기 판부의 중심에 결합되는 중심구조체 및 상기 중심구조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드론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변구조체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주변구조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상의 목표물을 향한 지시 역할을 하는 목표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지시부는,
    중심에 형성되어 외부로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장치;
    상기 음향장치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목표물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장치;
    상기 목표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구조체의 내부에는,
    상기 목표지시부가 상기 목표물을 지시하기 위해 회전할 때 상기 드론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유지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중심구조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중심 구조체와 상기 목표지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부; 및
    상기 라이다부에서 측정된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 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발광장치의 광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다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 범위를 넓히고, 상기 라이다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목표물과 상기 드론 간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 범위를 좁히며,
    상기 균형유지장치는,
    상기 목표지시부의 상단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드론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치공간; 및
    상기 배치공간에서 상기 목표지시부의 상단이 가속력을 받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일정 질량 이상의 원형구로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80652A 2021-06-22 2021-06-22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KR10255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52A KR102558963B1 (ko) 2021-06-22 2021-06-22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52A KR102558963B1 (ko) 2021-06-22 2021-06-22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078A KR20220170078A (ko) 2022-12-29
KR102558963B1 true KR102558963B1 (ko) 2023-07-24

Family

ID=8453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652A KR102558963B1 (ko) 2021-06-22 2021-06-22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931Y1 (ko) * 2023-04-12 2024-04-17 태경전자주식회사 다목적 드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21B1 (ko) 2014-02-21 2015-11-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공격용 무인기 날개 불균형 해소를 위한 웨이트밸런스 장치
US20160014309A1 (en) * 2014-07-08 2016-01-14 Flir Systems, Inc. Gimbal system with imbalance compensation
JP2018004367A (ja) * 2016-06-30 2018-01-11 ルーチェサーチ株式会社 無人飛行体
WO2018058191A1 (en) 2016-09-28 2018-04-05 Drone Angler Pty Ltd A line release assembly, a connect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00158822A1 (en) * 2018-09-06 2020-05-21 Airspace System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radar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262B1 (ko) * 2015-08-04 2017-05-2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난자 위치 추적용 무인 비행체
KR20200032918A (ko) 2018-09-19 2020-03-27 태경전자주식회사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521B1 (ko) 2014-02-21 2015-11-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공격용 무인기 날개 불균형 해소를 위한 웨이트밸런스 장치
US20160014309A1 (en) * 2014-07-08 2016-01-14 Flir Systems, Inc. Gimbal system with imbalance compensation
JP2018004367A (ja) * 2016-06-30 2018-01-11 ルーチェサーチ株式会社 無人飛行体
WO2018058191A1 (en) 2016-09-28 2018-04-05 Drone Angler Pty Ltd A line release assembly, a connect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00158822A1 (en) * 2018-09-06 2020-05-21 Airspace Systems, Inc. Unmanned aerial vehicle radar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078A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6395B2 (en) Tethered unmanned aerial system
US7501979B1 (en) Airborne biot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10059462B2 (en) Helicopter hoist systems, devices, and methodologies
ES2289712T3 (es) Sistema de proteccion antimisil de una aeronave.
JP2019206332A (ja) 飛行体及び飛行体の制御方法
KR102558963B1 (ko)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ES2712720T3 (es) Instalación de defensa antidrones para la defensa contra drones externos
JP6539072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飛行ロボット
JP2016171442A (ja) 監視システム及び飛行ロボット
KR102001181B1 (ko) 무허가 드론을 격추시키는 드론
US10753714B2 (en) Non-motorized type flying unit for observation
KR101724049B1 (ko)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CN105573343A (zh) 一种无人机抓捕系统
US20210239434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ollapsible net assembly
US2021024020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rotatable net assembly
CN113926106A (zh) 一种空投式森林灭火弹
KR20190090512A (ko) 택배용 드론의 이착륙장 구조
US20210323666A1 (en) Helicopter lighting system, helicopte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illuminating an environment of a helicopter
KR102306887B1 (ko) 확장이 가능한 큐브형 드론 미로
KR200497931Y1 (ko) 다목적 드론
US1140104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net assembly
CN205405272U (zh) 一种无人机抓捕系统
JP7119652B2 (ja) 飛行システム
KR20230126347A (ko) 목표물을 추적하는 드론
US11981251B2 (en) Autonomous search light system, winch system comprising an autonomous search light system, and aircraft comprising an autonomous search ligh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