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680B1 -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 Google Patents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680B1
KR102153680B1 KR1020190027569A KR20190027569A KR102153680B1 KR 102153680 B1 KR102153680 B1 KR 102153680B1 KR 1020190027569 A KR1020190027569 A KR 1020190027569A KR 20190027569 A KR20190027569 A KR 20190027569A KR 102153680 B1 KR102153680 B1 KR 102153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dy portion
fastening member
dron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김용문
Original Assignee
(주)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시스테크
Priority to KR102019002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랜딩 기어인 임무 장비의 접이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장비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 내부가 채워진 상태에서 하단 내부가 빈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상에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체결부재; 및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가 인입되도록 원주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을 감싸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상에서 상대적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제4 홀을 포함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A drones mission equipment with a 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의 랜딩 기어인 임무 장비의 접이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킴으로서 하늘을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이나 자동항법시스템에 의하여 비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드론은 처음에는 군사용 무인항공기로 개발되었으나, 근래에는 기업, 미디어, 개인을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신문, 방송 업계나 영화제작사는 드론을 촬영용 기기로 활용하고 있으며, 배달 업계에서는 몇 년 안에 드론을 실제 배달 서비스에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IT 기업들은 최근 드론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그 중 아마존은 재고 관리와 유통시스템을 자동하는 데 있어서 드론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을 공개한 상태이다. 즉, 택배직원이 했던 일을 드론이 대신하는 유통서비스를 위하여 드론을 개발하는 연구원을 대거 고용한 바 있다.
이외에도 드론은 농업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현재 드론을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하거나, 씨앗을 뿌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동영상 촬영용 짐벌 장치, 사진 촬영용 센서, 라이더(Lidar) 장착용 모듈의 장착을 통해 사진 측량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착륙이나 작업을 위해 랜딩 기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랜딩 기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임무 장비가 장착된다. 또한, 드론 본체에 장착된 임무 장비는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439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1613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드론 본체에 장착되는 임무장비를 간단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드론 본체에 장착되는 임무장비를 신속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드론 본체에 임무장비를 단단히 고정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장비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 내부가 채워진 상태에서 하단 내부가 빈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상에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체결부재; 및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가 인입되도록 원주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을 감싸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상에서 상대적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제4 홀을 포함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장비는 드론 본체에 장착되는 임무장비의 접이식 구조를 제안하며, 특히 제2 막대부재의 이동에 따라 간단하게 접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 막대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제1 체결부재는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므로, 접이식 구조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체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막대부재를 가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체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의 체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론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의하면 드론(10)은 드론 본체(110), 날개부(120) 및 랜딩 기어(130)를 포함하며, 드론 본체(110)는 드론(10) 전체를 지지하며, 드론 본체(110)의 각 일측에는 날개부(120)가 연결된다. 도 1에서는 드론 본체 연결되는 날개부가 4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드론 본체(110) 내부에는 드론의 운항에 필요한 각종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론 본체(110) 내부에는 외부 조종자의 조종 수단과 통신하는 통신 수단, 드론의 운항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본체(110)에는 날개부(120)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120)는 끝단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가 구비되며, 프로펠러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날개부(120)는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드론 본체의 저면에는 랜딩 거어(130)등 임무장비가 형성된다. 랜딩 기어(130)는 드론이 지면에 안착할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랜딩 기어(130)에 다양한 물품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농약 살포를 위한 농약통이 랜딩 기어(13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영상 촬영을 센서가 랜딩 기어(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씨앗 살포를 위한 씨앗통이 랜딩 기어에 장착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드론은 각 물품이 장착된 랜딩 기어(130)를 드론 본체에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써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랜딩 기어는 필요한 경우,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체결부재는 후술할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되며, 제2 체결부재는 제1 체결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된다.
제1 체결부재(200)는 제1 몸체부(202), 제1 돌출부(204), 제1 홀(206) 내지 제3 홀(210)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1 체결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몸체부(202)는 내부의 일부가 빈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 몸체부(202)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으로 형성된다. 제1 몸체부(202) 상단의 직경은 제1 직경을 갖는 반면 제1 몸체부(202) 하단의 직경은 제2 직경을 갖는다. 제2 직경은 제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제1 직경을 갖는 상단은 내부가 채워진 반면, 제2 직경을 갖는 하단은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제1 돌출부(204)는 제1 몸체부(20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돌출부(204)는 제2 직경을 갖는 제1 몸체부(20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두께를 갖는 상태에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제1 돌출부(204)의 하단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된다.
제1 홀(206)은 제1 돌출부(204) 상에 형성된다. 제1 홀(206)의 단면은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2 홀(208)과 제 3홀(210)은 제1 몸체부(202) 상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을 작은 상단에 형성된다. 제2 홀(208)은 제1 홀(206)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몸체부(202)를 관통한다. 이에 비해 제3 홀(210)은 제1 홀(206)이 형성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특히 제1 몸체부(202)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단에서 제2 홀(208)과 만난다.
제2 홀(208)의 단면은 제1 홀(206)의 단면과 동일하게 원형의 형상을 갖는 반면, 제3 홀(210)의 단면은 타원의 형상을 갖는다. 도 2에 의하면, 제3 홀(210)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2개가 형성된다.
제2 홀(208)의 중앙에는 탄성부재가 인입되며, 'ㄴ' 자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재는 제2 홀(208)과 제3 홀(210)에 위치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막대부재의 일측은 제2 홀(208)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3 홀(210)에 위치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막대부재 역시 2개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 역시 일측은 제2 홀(208)에 위치하며, 타측은 다른 제3 홀(210)에 위치한다. 두 개의 제1 막대부재 사이에는 상술한 탄성부재가 위치한다. 제1 막대부재의 일측은 제2 홀(208)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면 탄성부재가 압축되어 제2 홀(208) 내부로 인입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제1 막대부재 사이의 거리는 기존 대비하여 가까워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체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체결부재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제2 체결부재(300)는 제2 몸체부(302), 제2 돌출부(304) 및 제4 홀(306)이 형성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2 체결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몸체부(302)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제2 몸체부는 원주의 일부가 절단되어 이격되어 있다. 즉, 제2 몸체부(302)는 파인 내측에 인입부재가 인입된 상태에서 인입부재가 제2 몸체부(302)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절단된 부분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인다. 이를 위해 절단된 제2 몸체부(302)는 제5 홀(308)이 형성되며, 형성된 제5 홀(308)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 몸체부(302)의 절단된 일측은 제5-1 홀이 형성되며, 절단된 타측에는 제5-2 홀이 형성된다. 제5-1홀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는 반면, 제5-2 홀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나사를 제5-2 홀에서 제5-1 홀 방향으로 인입하며, 이를 통해 제2 몸체부(302)의 절단된 일측과 절단된 타측을 단단히 조이게 된다.
제4 홀(306)은 제2 몸체부(302) 상에 형성되며, 제1 체결부재(200)와 제2 체결부재(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1 홀(206)이 형성된 지점과 동일한 지점에 형성된다. 즉, 제1 체결부재(200)와 제2 체결부재(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2 막대 부재는 제1 홀(206)과 제4 홀(306)에 인입되며, 제1 체결부재(200)는 제2 막대부재를 회전축으로 제2 체결부재(300) 상에서 회전한다. 제1 홀(206)이 형성된 제1 돌출부(204)의 하단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제2 체결부재(300)가 제1 체결부재(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 몸체부(302)는 제1 돌출부(204)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부(204)가 인입되는 부분은 절단되어 있으며, 절단된 부분 사이로 제1 돌출부(204)가 인입되어 제1 체결부재(200)와 제2 체결부재(300)가 체결된다.
제2 돌출부(304)는 제2 몸체부(302)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다. 제2 돌출부(304)는 제1 체결부재(200)와 제2 체결부재(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돌출부(204)의 상단을 감싸게 된다. 제2 돌출부(304)의 외측 직경은 제1 돌출부(204) 하단의 외측 직경과 동일하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돌출부(204) 상단과 하단의 직경의 차이는 제2 돌출부(304)의 두께와 동일하다.
제2 돌출부(304)의 종단은 분리되어 있으며, 특히, 중앙을 기준으로 양 종단은 원둘레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인입된 인입 홈부가 형성되며, 중앙 부분은 제1 체결부재(200)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2 돌출부(304)의 인입된 양 인입 홈부 사이의 거리(b)는 제1 돌출부(204)에 형성된 2개의 제3 홀의 최외측 양 종단 사이의 거리(a)와 동일하다. 이외에도 제2 돌출부의 개방된 부분 사이의 거리는 2개의 제3 홀의 가장 바깥쪽 양 종단 사이의 거리보다는 짧고, 2개의 제3 홀의 가장 안쪽 양 종단 사이의 거리보다는 멀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 돌출부의 개방된 부분의 시점은 제3 홀의 중앙 지점에 위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제1 체결부재의 제1 홀과 제2 체결부재의 제4 홀은 제2 막대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즉, 제2 막대부재는 제1 체결부재의 제1 홀과 제2 체결부재의 제4 홀을 관통한다.
또한, 제1 막대부재는 제2 홀 및 제3 홀에 위치한다. 제1 막대부재는 제2 홀에 일부가 인입된 탄성부재에 의해 2개의 제3 홀 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 위치한다. 제1 막대부재가 2개의 제3 홀 내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멀리 위치하면, 제1 막대부재는 제2 돌출부의 인입된 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는 단단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막대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의하면, 사용자가 강제로 두 개의 제1 막대부재를 가압하여 서로 가까이 이동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체결부재가 제2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제1 막대부재가 서로 가까이 인접하게 되면, 제3 홀 및 제2 돌출부의 인입된 지점에 위치하는 제1 막대부재는 제2 돌출부의 개방된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막대부재가 제2 돌출부의 개방된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체결부재는 제2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막대부재가 제2 돌출부의 개방된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홀을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드론 110: 드론 본체
120: 날개부 130: 랜딩 기어
200: 제1 체결부재 202: 제1 몸체부
204: 제1 돌출부 206: 제1 홀
208: 제2 홀 210: 제3 홀
300: 제2 체결부재 302: 제2 몸체부
304: 제2 돌출부 306: 제4 홀

Claims (5)

  1.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단 내부가 채워진 상태에서 하단 내부가 빈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 상에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체결부재; 및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가 인입되도록 원주의 일부가 절단되어 있는 제2 몸체부, 상기 제2 몸체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을 감싸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상에서 상대적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제4 홀을 포함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부는,
    상단의 외측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단의 외측 직경이 상대적으로 길며,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 상단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홀 및 상기 제1 몸체부 상단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형성된 두 개의 제3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3 홀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장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일측은 상기 제2 홀 상에 위치하며, 타측은 상기 제3 홀 상에 위치하는 'ㄴ' 자 형상을 갖는 두 개의 제1 막대부재; 및
    두 개의 제1 막대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홀에 위치한 제1 막대부재의 일측을 내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 막대부재의 타측이 상기 제3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 홀이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장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제2 돌출부는,
    종단은 분리되어 있으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 종단은 원둘레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인입된 인입 홈부가 형성되며, 두 개의 인입 홈부 사이의 거리는 제3 홀 사이의 최외측 사이의 거리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장비.
  5. 제 4항에 있어서,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홀과 제4 홀에 인입되는 제2 막대부재;
    제2 돌출부의 두께는 제1 몸체부 상단과 하단의 외측 직경의 차이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장비.
KR1020190027569A 2019-03-11 2019-03-11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KR10215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69A KR102153680B1 (ko) 2019-03-11 2019-03-11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569A KR102153680B1 (ko) 2019-03-11 2019-03-11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80B1 true KR102153680B1 (ko) 2020-09-08

Family

ID=7247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569A KR102153680B1 (ko) 2019-03-11 2019-03-11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35B1 (ko) * 2014-09-06 2014-11-04 최종필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KR101527544B1 (ko) * 2015-01-10 2015-06-10 최종필 접이식 무인비행기
KR20170064399A (ko) 2015-12-01 2017-06-09 모터웰 주식회사 프롭가드 겸용형 랜딩스키드를 구비한 멀티콥터형 드론
KR20170121613A (ko) 2016-04-25 2017-11-02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다목적용 탑재체 장착이 용이한 드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35B1 (ko) * 2014-09-06 2014-11-04 최종필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KR101527544B1 (ko) * 2015-01-10 2015-06-10 최종필 접이식 무인비행기
KR20170064399A (ko) 2015-12-01 2017-06-09 모터웰 주식회사 프롭가드 겸용형 랜딩스키드를 구비한 멀티콥터형 드론
KR20170121613A (ko) 2016-04-25 2017-11-02 드림스페이스월드주식회사 다목적용 탑재체 장착이 용이한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9861A1 (en) Airframe
US20200225684A1 (en) Persistent aerial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US11174021B2 (en) Persistent aerial reconnaissance and communication system
EP3688885B1 (en) Persistent aerial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US10836470B2 (en) Lopsided payload carriage gimbal for air and water-borne vehicles
US10843795B2 (en) Folding concentrically mounted propeller blades for drag reduction
JP2012533476A (ja) 再構成可能な航空機
KR101682572B1 (ko) 무인 항공기용 화물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US20130206914A1 (en) Sensor Pod Mount for an Aircraft
DE10259638A1 (de) Servicefahrzeug zur Ausführung von Handlungen an einem Ziel-Raumfahrzeug, Wartungssystem und Verfahren zur Nutzung eines Servicefahrzeugs
JP2017206238A (ja) 航空機翼移動装置
CN108513559B (zh) 机架及多旋翼无人机
US20210129989A1 (en) Unmanned aerial vehicles with stereoscopic imag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090045284A1 (en) Corded Orientation System For Lighter-Than-Air Aircraft
CN106394892A (zh) 无人机
KR102153680B1 (ko) 접이식 구조를 갖는 드론의 임무 장비
KR102162848B1 (ko)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Megnafi et al. Study and assembly of quadrotor uav for the inspection of the cellular networks relays
KR102073012B1 (ko) 드론의 임무장비 교체 장치
US11643207B1 (en) Aircraft for transporting and deploying UAVs
DE10313279B4 (de) Vorrichtung für das Absetzen von aerodynamisch instabilen Flugkörpern aus einem Transportflugzeug
Guenzi et al. Open source, low-cost and modular fixed-wing UAV with BVLOS flight capabilities for geohazards monitoring and surveying
DE102016110477B4 (de) Verfahren zum Positionieren eines insbesondere unbemannten Luftfahrzeuges mit Hilfe einer aktiven statischen Bodenstation sowie Luftfahrzeug und Bodenstatio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210455175U (zh) 防颤抖无人机机翼调节装置
US20090294575A1 (en) Swivel Orientation System For Lighter-Than-Air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