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182A - 식별 장치, 식별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식별 장치, 식별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182A
KR20230074182A KR1020237012807A KR20237012807A KR20230074182A KR 20230074182 A KR20230074182 A KR 20230074182A KR 1020237012807 A KR1020237012807 A KR 1020237012807A KR 20237012807 A KR20237012807 A KR 20237012807A KR 20230074182 A KR20230074182 A KR 2023007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stored
identificatio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324B1 (ko
Inventor
다이치로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식별 장치(400)는,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여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의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후판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한다. 식별 장치(400)는,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당해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한다.

Description

식별 장치, 식별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식별 장치, 식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물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0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20-18178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것들의 내용을 모두 여기에 원용한다.
후판 등의 철강 제품의 표면에는, 현품 관리 등을 위해 각종 정보가, 스텐실이나 라벨 등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은 제조물에 표시되는 정보를 식별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크레인기 상에 화면 표시한 제품에 관한 제품 번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마스킹한 후, 크레인 조작자가 눈으로 보아 제품의 제조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한 제품 번호를 음성 또는 문자 입력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크레인 조작자가 눈으로 보아 제품의 제조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일부가, 긁힘이나 오염 등에 의해 식별 불가능 또는 곤란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크레인 조작자가, 제품의 제조 번호를 인식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크레인 조작자가 제품의 근방에 없으면, 제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식별할 수 없다.
따라서, 제조물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당해 정보의 식별 정밀도를 향상시킬 것이 요망된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2 내지 6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대조처의 문자열을 기억해 두고, 대조원 화상으로부터 대조원의 문자열을 인식하고, 대조원의 문자열과 대조처의 문자열을 대조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대조원 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인식의 처리와 상기 대조의 처리를 복수회 실행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종류가 다른 복수의 물품에 대하여, 물품마다 각 물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정보를 미리 대응지은 물품 정보를 기억해 둔다. 그리고, 복수의 대조 대상 물품을 촬상한 화상과 물품 정보의 대조를 행한다. 이 대조의 결과, 대조 대상 물품에 대하여 추출된 복수의 물품 후보로 이루어지는 물품 후보군이, 복수의 대조 대상 물품에 대하여 추출된 경우에, 물품 후보군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품 후보를 군 단위로 대조한다. 이 대조에 있어서의 대조 조건은, 물품 후보군이 추출된 대조 대상 물품의 수와, 복수의 물품 후보군에 포함되는 각 물품 후보수가 서로 일치한다고 하는 조건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물품마다 물품에 관련되는 소정의 종류의 수치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가 물품 정보에 대응지어져 있고, 물품 후보마다 속성 정보를 추출하여 대조한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복수의 물품에 대하여, 각 물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정보와, 각 물품의 외관의 일부분의 위치 정보 및 당해 일부분에 포함되는 각 물품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 특징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해 둔다. 그리고, 대조 대상 물품을 촬상한 화상과, 각 물품의 전체 화상 정보의 대조를 행한다. 당해 대조에 있어서 복수의 물품의 후보가 추출된 경우, 당해 복수의 물품의 후보의 부분 특징 정보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와, 부분 특징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대조 대상 물품의 화상의 일부를 비교한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복수의 물품에 대하여, 각 물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정보와, 각 물품의 외관의 일부분의 위치 정보 및 당해 일부분에 포함되는 각 물품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 특징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해 둔다. 그리고, 대조 대상 물품을 촬상한 화상 내에 있어서의 문자 정보가, 부분 특징 정보에 포함되는 속성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와 일치하고, 또한 대조 대상 물품을 촬상한 화상 내에 있어서의 문자 정보의 화상 내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가, 부분 특징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물품을 대상 물품 후보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대상 물품 후보 중에서, 부분 특징 정보에 미리 설정된 속성 정보의 종류를 포함하는 속성 한정 대상 물품 후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속성 한정 대상 물품 후보의 전체 화상 정보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전체 대조를 행한다.
특허문헌 6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물품마다 각 물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전체 화상 정보와, 복수의 대조 대상 물품을 촬상한 화상의 대조를 행한다. 이 대조의 결과, 복수의 물품 후보가 추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물품 후보의 부분 특징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 및 속성 정보와, 촬상한 화상에 포함되는 대조 대상 물품 내의 정보를 대조한다.
일본 특허 제6003918호 공보 일본 특허 제6505937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69987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69988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69989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9114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대조원의 문자열과 대조처의 문자열이 모두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올바르게 대조된 것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촬상 화상을 대조원 화상으로 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마찬가지로,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벗겨짐, 찢어짐, 긁힘, 및/또는 오염 등에 의해, 소기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당해 정보의 대조 결과는 NG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3 내지 6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촬상 화상으로부터 올바르게 추출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3 내지 6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물품을 식별하는 경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벗겨짐, 찢어짐, 긁힘, 및/또는 오염 등에 의해, 소기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당해 물품을 식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특허문헌 2 내지 6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소기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물품을 식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내지 6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촬상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물품을 식별할 때, 당해 물품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를 올바르게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해 물품을 식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촬상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물품을 식별할 때, 당해 물품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를 올바르게 추출할 수 없더라도, 당해 물품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별 장치는, 물품을 식별하는 식별 장치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인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1 또는 2 이상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와,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정보인 제1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기억 정보의 1개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제1 정보인 제1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부와, 상기 대조부에 의한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갖고, 상기 대조부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별 방법은, 물품을 식별하는 식별 방법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인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1 또는 2 이상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정보인 제1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기억 정보의 1개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보인 제1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공정과, 상기 대조 공정에 의한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하는 특정 공정을 갖고, 상기 대조 공정은, 상기 제1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인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1 또는 2 이상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정보인 제1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기억 정보의 1개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보인 제1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공정과, 상기 대조 공정에 의한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하는 특정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대조 공정은, 상기 제1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 및 표시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 및 표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복수의 후판을 적층된 양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 내용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 내용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라벨에 의한 표시 내용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식별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관리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원래의 후판과, 절단 후의 후판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스텐실 및 각인의 물품 내 위치와,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라벨의 물품 내 위치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는 정보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는 정보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관리 테이블을 작성 및 갱신할 때의 식별 장치의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후판을 식별할 때의 식별 장치의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식별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길이, 위치, 크기, 간격 등, 비교 대상이 동일한 것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 외에,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것(예를 들어, 설계 시에 정해지는 공차의 범위 내에서 다른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철소에서 제조된 각종 후판(예를 들어 후강판)에 대하여, 열처리나 절단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는 공장에 있어서, 당해 후판이 당해 후판의 수요가에게 출하되기 전에 당해 후판을 식별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철소에서 제조된 후판은 수송선에 선적된다. 그 후 수송선은, 공장의 근방의 안벽에 착안한다. 후판은, 수송선으로부터 양하되어, 수송 차량(트럭 등)에 적하된다. 수송 차량에 의해 수송된 후판은, 공장에 입하되면, 공장 내의 저장소에 놓인다. 저장소에 놓인 후판은, 열처리나 절단(가스 절단) 등의 처리가 실시된 후, 저장소에 놓인다. 그 후, 후판은, 공장으로부터 수요가에게 출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철소에서 후판이 제조된 후부터, 공장에 있어서 수요가에게 후판이 출하되기 전까지의 동안의 임의의 타이밍에, 당해 후판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 및 표시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x축, y축, z축은, 도 1과,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의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a는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 및 표시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에 있어서, 표시 영역(101)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이다. 표시 영역(102)은,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이다. 표시 영역(101, 102)은, 후판의 판면에 존재한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파선은 가상선이며, 실제로는 표시되지 않는다. 라벨(사이드 라벨)(103)은, 후판의 측면(판 두께 부분)에 첩부된다.
도 1b는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 및 표시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에 있어서, 표시 영역(111)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이다. 표시 영역(112)은,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이다. 표시 영역(111, 112)은, 후판의 판면에 존재한다. 라벨(113)은, 후판의 측면(판 두께 부분)에 첩부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01, 111),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102, 112), 및 라벨(103, 113)에 의한 표시 영역의 배치는,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 등에 따라 다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예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각인에 의한 표시, 및 라벨(103, 113)에 의한 표시 중 적어도 1개에 기초하여, 현품 관리(각 후판의 위치의 관리)가 행해진다.
또한,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 및 표시 형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과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이 이격되어 있거나, 각인에 의한 표시가 없거나 해도 된다.
도 1c는 복수의 후판이 적층된 양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 복수의 후판 중 아래에 위치하는 후판에 대해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및 각인에 의한 표시를 시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라벨(123, 133)에 의한 표시에 기초하여, 현품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c에서는, 후판의 판면이, 후판이 놓이는 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복수의 후판을 겹쳐 두는 경우를 예시한다. 단, 후판을 겹쳐 두는 방법은,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후판의 판면이, 후판이 놓이는 면과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가 되도록 복수의 후판을 겹쳐 두는 경우도 있다.
도 2a는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 내용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 내용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예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는, 마크(201, 211),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수요가 코드(206, 216), 주문 번호(207, 217), 및 식별용 정보(208, 218)가 포함된다. 각인에 의한 표시에는, ID(209, 219)가 포함된다.
마크(201, 211)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를 나타내는 마크이다. 수요가명(202, 212)은, 후판의 수요가(구입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규격(203, 213)은, 후판의 규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이즈(204, 214)는, 후판의 사이즈(두께×폭×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ID(205, 215, 209, 219)는, 후판을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예에서는, 판 번호(후판의 식별 번호)이다. 따라서, 동일한 ID가 다른 후판에 부여되는 일은 없다. 수요가 코드(206, 216)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가 수요가로부터 후판에 대하여 부여하는 것이 지정된 정보이다. 주문 번호(207, 217)는, 수요가로부터의 후판의 주문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의 일부이다.
마크(201, 211),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209, 219), 수요가 코드(206, 216), 및 주문 번호(207, 217)는, 후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ID(205, 215, 209, 219) 이외의 정보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및 각인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정보 이외의 정보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 및 각인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각인에 의한 표시로서, 스텐실에 의한 표시 항목과 동등한 표시 항목(예를 들어, 마크, 수요가명, 규격, 사이즈, 수요가 코드, 주문 정보, 식별용 정보 중 적어도 1개)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크(201, 211),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수요가 코드(206, 216), 및 주문 번호(207, 217)에 더하여, 식별용 정보(208, 218)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식별용 정보(208, 218)는, 후술하는 식별 장치(400)에 의한 후판(후판의 ID)의 식별을 위한 전용의 정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용 정보(208, 218)로서,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높은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높은 정보로서, 예를 들어 A, B, D, E, F, G, H, K, M, N, S, W, X, Y, Z, 2, 3, 4, 5, 6, 8을 들 수 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별용 정보는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높은 정보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제2 변형예>>를 참조). 또한, 식별용 정보(208, 218)의 내용은, 후판마다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마크(201, 211)의 위치가 다르고, 또한, 수요가명(202, 212)의 크기가 다른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요가에 따라 수요가 코드(206, 216)의 자릿수가 다르거나,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에 따라 규격(203, 213)의 표기 방법이 다르거나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주문 번호(207, 217)는, 수요가에 따라 부여되는 경우와 부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의 내용, 위치 및 크기는,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 및 수요가 등에 따라 다르다. 단, 동일한 후판에 대한 동일한 표시 항목이 의미하는 내용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각인에 의한 표시에서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205, 215)와, 각인에 의해 표시되는 ID(209, 219)는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마크(201, 211),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209, 219), 수요가 코드(206, 216), 주문 번호(207, 217), 및 식별용 정보(208, 218)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또한, 마크(201, 211),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209, 219), 수요가 코드(206, 216), 주문 번호(207, 217), 및 식별용 정보(208, 218)는,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이다.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란, 사람이 당해 정보를 본 경우에 당해 정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바코드 및 2차원 코드와 같이, 정보의 작성 및 판독에, 기계에 의한 인코드 및 디코드가 필요로 되는 정보는,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가 아니다. 구체적으로, 마크(201, 211),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209, 219), 수요가 코드(206, 216), 주문 번호(207, 217), 및 식별용 정보(208, 218)는, 판독에 기계에 의한 디코드가 불필요한 정보로서,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1개를 포함하고, 판독에 기계에 의한 디코드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3은 라벨에 의한 표시 내용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는, 규격(301), ID(302), 사이즈(303), 납기(304), 수요가 코드(305), 및 식별용 정보(306)가 포함된다. 납기(304)는, 후판의 납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규격(301), ID(302), 사이즈(303), 수요가 코드(305), 식별용 정보(306)는, 각각,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209, 219), 수요가 코드(206, 216), 식별용 정보(208, 218)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ID(302) 이외의 정보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정보 이외의 정보가,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라벨에 의한 표시의 내용, 위치, 및 크기도,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와 마찬가지로,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 및 수요가 등에 따라 다르다.
단, 동일한 후판에 대한 동일한 표시 항목이 의미하는 내용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각인에 의한 표시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서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와, 도 3에 도시한 라벨에 의한 표시가 동일한 후판에 대하여 행해지는 경우,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205, 215)와, 각인에 의해 표시되는 ID(209, 219)와, 라벨에 의해 표시되는 ID(302)는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규격(203, 213)과, 라벨에 표시되는 규격(301)은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사이즈(303), 수요가 코드(305)에 대해서도, 각각, 사이즈(204, 214), 수요가 코드(206, 216)와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규격(203, 213), ID(205, 215, 209, 219), 사이즈(204, 214), 수요가 코드(206, 216), 및 식별용 정보(208, 218)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규격(301), ID(302), 사이즈(303), 수요가 코드(305), 및 식별용 정보(306)도,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또한, 후판의 납기(304)도,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또한, 규격(301), ID(302), 사이즈(303), 납기(304), 수요가 코드(305), 및, 식별용 정보(306)는,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이다.
마크(201, 211),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수요가 코드(206, 216), 및 주문 번호(207, 217)가 후판에 부여된 후에, 식별용 정보(208, 218)가 별도로 후판에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식별용 정보(208, 218)는, 스텐실에 의해 후판에 부여되어도, 스텐실 이외의 방법(예를 들어 수기)으로 후판에 부여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은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후판(후판의 ID)을, 식별 장치(400)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인식한다. 도 4는 식별 장치(400)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식별 장치(400)의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CPU, ROM, RAM, HDD 및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전용의 하드웨어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5는 식별 장치(400)에 의해 관리되는 관리 테이블(5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식별 장치(400)의 기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전에, 관리 테이블(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 테이블(500)에는, 식별 장치(400)가 후판(후판의 ID)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가 기억 정보로서 기억된다.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는 기억 정보에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단,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는 기억 정보의 일부는, 유통 등에 있어서도 활용할 수 있는 정보여도 된다. 여기서,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란 후판의 제조 메이커가 설정 또는 취득한 정보이다.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에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의 종업원인 오퍼레이터가 당해 정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 의해 작성되어,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된 정보이다.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열에 있어서의 정보가 동일한 후판에 대한 정보로 된다(동일한 No. 아래의 난은, 동일한 후판에 대한 정보가 기억되는 난으로 된다).
도 5에 있어서, 현품 표시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각인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의 각 표시 항목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 비현품 표시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각인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의 각 표시 항목에 관한 정보 이외의 정보가 기억된다.
관리 테이블(500)의 현품 표시의 난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현품 표시의 난에 있어서, 스텐실의 난에는, 스텐실에 관한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스텐실의 난의 ID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205, 215)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와, 당해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205, 215)의 구성 요소란, 문자, 숫자, 기호, 마크 등, 표시 항목을 구성하는 개개의 정보를 가리킨다. 또한,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억 정보는, 식별 장치(400)(기억부(403)) 또는 식별 장치(4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에 있어서, 당해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스텐실의 난의 수요가명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수요가명(202, 212)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스텐실의 난의 사이즈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사이즈(204, 214)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스텐실의 난의 규격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규격(203, 213)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스텐실의 난의 수요가 코드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수요가 코드(206, 216)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스텐실의 난의 주문 번호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주문 번호(207, 217)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스텐실의 난의 식별용 정보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식별용 정보(208, 218)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이상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 외에,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표시 항목으로서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표시 항목의 내용도,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된다. 도 5의 스텐실의 난의 식별용 정보의 난의 아래의 「…」은, 이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시 항목 자체는 추가 및/또는 삭제되어도 된다.
현품 표시의 난에 있어서, 각인의 난에는, 각인에 관한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각인의 난의 ID의 난에는, 각인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209, 219)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와, 당해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억 정보는, 식별 장치(400)(기억부(403)) 또는 식별 장치(4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에, 당해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와 관련지어져 있어도 된다.
이상의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 외에, 각인에 의한 표시의 표시 항목으로서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표시 항목의 내용도,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된다. 도 5의 각인의 난의 ID의 난의 아래의 「…」은, 이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시 항목 자체는 추가 및/또는 삭제되어도 된다.
현품 표시의 난에 있어서, 라벨의 난에는, 라벨에 관한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라벨의 난의 ID의 난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302)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와, 당해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억 정보는, 식별 장치(400)(기억부(403)) 또는 식별 장치(4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에 있어서, 당해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라벨의 난의 사이즈의 난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사이즈(303)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라벨의 난의 규격의 난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규격(301)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라벨의 난의 납기의 난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납기(304)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라벨의 난의 수요가 코드의 난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수요가 코드(305)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라벨의 난의 식별용 정보의 난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식별용 정보(306)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이상의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 외에, 라벨에 의한 표시의 표시 항목으로서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표시 항목의 내용도, 기억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된다. 도 5의 라벨의 난의 수요가 코드의 난의 아래의 「…」은, 이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시 항목 자체는 추가 및/또는 삭제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난에 기억되는 기억 정보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내 위치의 난에는, 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원점(기준)으로 한 경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물품 내 위치의 난의 스텐실의 난에는, 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원점(기준)으로 한 경우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물품 내 위치의 난의 각인의 난에는, 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원점(기준)으로 한 경우의,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물품 내 위치의 난의 라벨의 난에는, 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원점(기준)으로 한 경우의, 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중량의 난에는, 후판의 중량을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사이즈의 난에는, 후판의 사이즈(예를 들어, 두께×폭×길이)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현품 표시의 난의 사이즈의 난에 기억되는 사이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되는 사이즈(204, 214, 303)와의 대조를 위해 사용된다. 이에 반해, 비현품 표시의 난의 사이즈의 난에 기억되는 사이즈는, 후판의 중량 등의 측정값과의 대조를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비현품 표시의 난의 사이즈의 난에 기억되는 사이즈와 실제 치수의 비교가 실시되는 경우도 있다.
저장소 위치의 난에는, 후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현품 관리를 행함으로써 파악되는 후판의 위치나, 재하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사용하여 파악되는 후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저장소 위치의 난에 기억된다.
등록 시각의 난에는, 후판이 현재의 저장소 위치에 놓인 일시(날짜와 시각으로부터 정해지는 타이밍)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친(親) ID의 난에는, 원래의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공장에 있어서 후판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원래의 후판이란, 절단 전의 후판을 가리킨다. 따라서, 친 ID의 난에, 원래의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당해 친 ID의 난과 동일한 열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는,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기억 정보로 된다.
도 6은 원래의 후판과, 절단 후의 후판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후판(600)이 절단되어, 후판(610, 620, 630, 640)이 제조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후판(610, 620, 630, 640)의 절단 전 또는 절단 후에, 각각의 후판(610, 620, 630, 640)에 대하여 표시가 실시된다. 도 6에서는, 후판(610, 620, 630, 640)에 대한 표시 영역(611, 621, 631, 641)을 나타낸다. 표시 영역(611, 621, 631, 641)에는, 후판(610, 620, 630, 640)의 ID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표시 영역(611, 621, 631, 641)에는,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한 표시가 행해진다.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더하여, 각인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 중 적어도 한쪽이 행해져도 된다. 또한, 표시 영역(611, 621, 631, 641)에 있어서의 표시는, 수기에 의한 표시여도 된다. 이와 같이 후판(610, 620, 630, 640)이 제조된 경우,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당해 후판(610, 620, 630, 640)에 대한 현품 표시의 난에는, 표시 영역(611, 621, 631, 641)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당해 후판(610, 620, 630, 640)에 대한 친 ID의 난에는, 후판(600)의 ID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단 후의 후판의 정보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새로운 열(No.)로서 관리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현품 표시 및 비현품 표시의 난에,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정보가 기억된다.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절단 전 또는 절단 후에 실시된 표시의 촬상 화상을, 후술하는 화상 취득부(411)가 취득하여, 촬상 화상을, 후술하는 인식부(412)가 인식함으로써 취득된다.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정보는, 반드시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는, 제조 조건으로부터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정보를 특정하고, 식별 장치(4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특정 정보를, 식별 장치(400)에 입력해도 된다. 또한, 양자를 조합함으로써,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정보가 취득되어도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후판(610)이 절단되어 또 다른 복수의 후판이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당해 다른 복수의 후판에 대한 친 ID의 난에는, 후판(61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후판(610)에 대한 친 ID의 난에는, 후판(600)의 ID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친 ID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더듬어 감으로써, 각 후판의 변천을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어떤 후판에 대하여, 친 ID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더듬어 감으로써 얻어지는 후판의 나열을, 당해 후판의 절단판 계열이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후판(610)의 절단판 계열은, 후판(600, 610)이 된다. 또한, 각 후판의 친 ID의 난에는, 예를 들어 그 절단판 계열을 알 수 있도록, 가장 최근의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정보뿐만 아니라, 그 절단 계열에 속하는 모든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어느 ID도 제조 메이커에 있어서 정의된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후판(610, 620, 630, 640)의 표시 영역(611, 621, 631, 641)에 추가하여 표시되는 당해 후판(610, 620, 630, 640)의 ID 정보와, 당해 ID의 친 ID의 정보를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시킴으로써, 후판(610, 620, 630, 640)의 정보와, 원래의 후판(600)의 정보의 연관을 취할 수 있다. 후판(610, 620, 630, 640)에 추가되는 정보는, 후판의 식별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각 후판(ID)의 변천을 행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또한, 비현품 표시의 난의 항목에 대하여, 당해 항목의 정보가 취득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당해 항목의 난에 정보가 기억 정보로서 기억되고, 당해 항목의 정보가 취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항목의 난에 정보는 기억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등록 시각이 앞인 후판이, 등록 시각이 후인 후판보다도 먼저 이동하는 일은 없다(즉, 판의 겹침이 있는 경우, 아래에 있는 판이 갑자기 없어지는 일은 없다). 후판이 새로운 저장소로 이동되면, 그 저장소 위치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저장소 위치의 난에 기억되고, 그 저장소 위치에 놓인 일시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등록 시각의 난에 기억된다.
화상 ID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01, 111)과,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102, 112)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의 ID와, 라벨(103, 113)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의 ID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기억된다. 식별 장치(400)(기억부(403)) 또는 식별 장치(4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에는, 당해 ID에 관련지어져, 당해 ID로 특정되는 촬상 화상과, 당해 촬상 화상으로부터 문자 인식 처리 등에 의해 인식된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기억 정보가 미리 기억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억되는 촬상 화상은, 후술하는 화상 취득부(411)에 의해 취득되는 촬상 화상과 대조되는 것이므로, 촬상 조건이 가급적으로 양호한 상태에서 촬상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01, 111),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102, 112), 및 라벨(103, 113)에 의한 표시 영역의 표시 내용을 가급적으로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고, 또한, 후판의 표면의 오손이 가급적으로 적고, 또한, 촬상 시의 조명 조건이 촬상에 가급적으로 적합한 상태에서, 촬상 화상이 촬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관리 테이블(500)의 현품 표시의 난에 기억되는 내용과,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의 난에 기억되는 내용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스텐실 및 각인의 물품 내 위치와,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도 1a에 도시한 표시 위치 및 도 2a에 도시한 내용으로,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7에서는, 직육면체의 후판의 8개의 정점 중, 도 1a에 도시한 정점(104)을 원점으로 하고, 당해 정점(104)으로부터, 후판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x축의 양의 방향, 후판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y축의 양의 방향으로 하는 x-y 좌표로, 스텐실 및 각인의 물품 내 위치와,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 중, x축의 최댓값, x축의 최솟값, y축의 최댓값, 및 y축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외접 직사각형(701)의 4개의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의 x-y 좌표를,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로 한다. 도 7에서는, 외접 직사각형(701)의 2개의 정점(701a, 701b)의 x-y 좌표 (Ws10, Ls10), (Ws11, Ls11)이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외접 직사각형은, 물품 내 위치를 표현하는 좌표축(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x축 및 y축)에 평행인 직사각형인 것으로 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문자, 숫자, 기호, 마크)의 무게 중심(또는 도심)의 위치의 x-y 좌표를, 당해 구성 요소의 위치로 한다. 도 7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205)의 구성 요소인 5, 6, 3, 4, 9, 7, -, 0, 1의 x축 좌표가, 각각, Ws1, Ws2, Ws3, Ws4, Ws5, Ws6, Ws7, Ws8, Ws9이며, y축 좌표가, 모두 Ls1인 것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각 표시 항목의 각 구성 요소의 위치가 x-y 좌표로 표시된다.
각인에 의한 표시에 대해서도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마찬가지로,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 중, x축의 최댓값, x축의 최솟값, y축의 최댓값, 및 y축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외접 직사각형(711)의 4개의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711a, 711b)의 x-y 좌표를,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로 한다. 또한,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무게 중심(또는 도심)의 위치의 x-y 좌표를, 당해 구성 요소의 위치로 한다.
도 8은 라벨의 물품 내 위치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도 1a에 도시한 표시 위치 및 도 3에 도시한 표시 내용으로, 라벨에 의한 표시가 행해져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8에서는, 직육면체의 후판의 8개의 정점 중, 도 1a에 도시한 정점(105)을 원점으로 하고, 당해 정점(105)으로부터, 후판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x축의 양의 방향, 후판의 판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z축의 양의 방향으로 하는 x-z 좌표로, 라벨의 물품 내 위치와, 라벨에 의한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벨이 직사각 형상인 것으로 한다. 라벨의 4개의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의 x-z 좌표를, 라벨의 물품 내 위치로 한다. 또한, 라벨에 의한 표시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무게 중심(또는 도심)의 위치의 x-z 좌표를, 당해 구성 요소의 위치로 한다. 도 8에서는, 라벨의 2개의 정점(801a, 801b)의 x-z 좌표가, 라벨의 물품 내 위치인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현품 표시의 난의 스텐실의 난의 ID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205, 215)의 구성 요소의 내용, 위치 및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현품 표시의 난의 스텐실의 난의 ID의 난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205)의 구성 요소의 내용으로서, 「5」, 「6」, 「3」, 「4」, 「9」, 「7」, 「-」, 「0」, 「1」이 기억된다. 또한, 현품 표시의 난의 스텐실의 난의 ID의 난에는, 당해 구성 요소의 위치로서, (Ws1, Ls1), (Ws2, Ls1), (Ws3, Ls1), (Ws4, Ls1), (Ws5, Ls1), (Ws6, Ls1), (Ws7, Ls1), (Ws8, Ls1), (Ws9, Ls1)이 기억된다.
도 9a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205, 215)의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으로서, 식별 대상 제외 구분, 크기, 도트수, 및 식별 한계 화소수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식별 대상 제외 구분은, 식별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일부의 구성 요소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며, Y는, 식별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N은, 식별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것을 나타낸다. 식별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대조부(413)에서 대조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구성 요소이다. 이 경우, 인식부(412)에서 인식된 구성 요소가, 대조부(413)에 있어서 대조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단, 식별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구성 요소는, 이와 같은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식별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인식부(412)에서 인식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구성 요소여도 된다.
크기는, 구성 요소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L은, 구성 요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나타내고, M은, 구성 요소의 크기가 중간 정도인 것을 나타내고, S는, 구성 요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나타낸다. 도트수는,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도트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트수가 D5란 구성 요소의 내용 「5」를 구성하는 도트의 수를 나타낸다. 식별 한계 화소수는, 촬상 화상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화소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식별 한계 화소수가 N5란 구성 요소의 내용 「5」를 식별 가능한 화소수의 범위를 나타낸다. 촬상 화상에 있어서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화소수가 식별 한계 화소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당해 구성 요소는 후술하는 대조부(413)에 있어서의 대조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식별 대상 제외 구분 등의 정보는, 구성 요소의 속성 정보이며,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관여한 당사자가 아닌 자는 알 수 없는 정보이다. 이들 식별 대상 제외 구분 등의 정보는, 후판의 식별을 위해 사용하는 기억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된다. 이들 후판의 식별을 위해 이용되는 식별 대상 제외 구분 등의 정보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10의 흐름도에 있어서 추가·정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식별 대상 제외 구분이 Y인 것과, 식별 한계 화소수 이상인 것이, 인식의 정확성에 대한 조건의 일 예이다. 또한, 식별 대상 제외 구분이 Y인 구성 요소와, 촬상 화상의 화소수가 식별 한계 화소수의 범위 내인 구성 요소가, 인식의 정확성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의 일 예이다. 도 9a에 도시한 예에서는, 식별 대상 제외 구분이 Y인 구성 요소(5, 6, 3, 4, -) 중, 촬상 화상의 화소수가 식별 한계 화소수의 난의 값(N5, N6, N3, N4, N-)의 범위 내인 구성 요소가, 인식의 정확성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이다.
현품 표시의 난의 그 밖의 표시 항목의 난에도, 스텐실의 난의 ID의 난과 마찬가지로, 당해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내용, 위치, 및 구성 요소의 그 밖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인의 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스텐실의 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마찬가지로, x-y 좌표이다. 이에 반해, 라벨의 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y 좌표가 아니라, x-z 좌표가 된다.
또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의 난의 스텐실의 난에는,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Ws10, Ls10), (Ws11, Ls11)이 기억된다.
물품 내 위치의 난의 각인의 난 및 라벨의 난에도, 물품 내 위치의 난의 스텐실의 난과 마찬가지로, 각인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라벨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각각 기억된다. 이 때문에, 스텐실에 의한 표시, 각인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 중 1개 또는 2개에 있어서 문자 등의 구성 요소가 결락된 경우라도, 나머지의 표시에 의해 후판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인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마찬가지로, x-y 좌표이다. 이에 반해, 라벨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y 좌표가 아니라, x-z 좌표가 된다.
관리 테이블(500)을 신규로 작성 또는 갱신할 때,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는, 식별 장치(4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관리 테이블(500)의 각 난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식별 장치(400)에 입력해도 된다. 또한, 식별 장치(400)는, 공장의 조업을 관리하는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관리 테이블(500)의 각 난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수신해도 된다.
관리 테이블(500)의 현품 표시의 난에 기억되는 정보와,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 중량, 사이즈, 및 친 ID의 난에 기억되는 정보는,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진 후에 정해지는 경우도 있고,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지기 전에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당해 난에 기억해야 할 정보가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지기 전에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식별 장치(400)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당해 난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테이블(500)의 각 난에 기억한다.
한편, 비현품 표시의 난의 저장소 위치, 등록 시각, 및 화상 ID의 난에 기억되는 정보는,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지기 전에 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400)는, 예를 들어 당해 난에 기억해야 할 정보가 얻어진 타이밍에, 당해 난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테이블(500)의 각 난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식별 장치(400)의 기능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관리 테이블(500)을 작성 및 갱신할 때의 식별 장치(400)의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후판을 식별할 때의 식별 장치(400)의 처리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식별 장치(400)의 기능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0의 스텝 S1001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401)는,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해야 할 정보가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10의 스텝 S1001에서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는 정보에는, 후판을 식별하기 위해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해야 할 정보 모두가 포함되고, 도 11의 흐름도를 실행하기 전에 얻어지는 정보, 도 11의 흐름도의 실행 중에 얻어지는 정보, 및 도 11의 흐름도를 실행한 후에 얻어지는 정보 모두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현품 표시의 난에 기억되는 정보와, 비현품 표시의 물품 내 위치·중량·사이즈의 난의 정보는, 도 11의 흐름도를 실행하기 전에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들 정보는, 도 11의 흐름도의 실행이 개시된 후에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식별용 정보(208, 218, 306)는, 당해 식별용 정보(208, 218, 306)가 얻어진 후의 타이밍이면 어느 타이밍에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비현품 표시의 난의 저장소 위치, 등록 시각, 화상 ID, 친 ID의 난의 정보는, 당해 정보가 얻어진 후에 식별 장치(400)에 입력된다. 또한, 친 ID의 난에 정보가 기억되는 경우에는, 당해 정보는, 절단 후의 후판의 정보가 되므로, 도 5의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새로운 열(No.)이 추가되고, 해당하는 정보가 당해 열에 기억된다.
이상과 같이 도 10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는, 도 11의 흐름도가 실행 중이라도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1001의 판정의 결과,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해야 할 정보가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10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해야 할 정보가 식별 장치(400)에 입력된 경우, 스텝 S1002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002에 있어서, 갱신부(402)는, 스텝 S1001에서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었다고 판정된 정보를, 기억부(403)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500)의 해당하는 난에 기억 정보로서 기억한다. 해당하는 난에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1001에서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었다고 판정된 정보는, 관리 테이블(500)에 신규로 등록된다. 한편, 해당하는 난에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스텝 S1001에서 식별 장치(400)에 입력되었다고 판정된 정보는, 당해 난에 있어서 갱신된다. 이때, 갱신부(402)는, 해당하는 난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남겨 두어도 삭제해도 된다. 그리고, 도 10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의 기억 정보의 갱신은, 도 10의 흐름도뿐만 아니라, 도 11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에 있어서도 실행된다(도 11의 스텝 S1110을 참조).
도 11의 스텝 S1101에 있어서, 화상 취득부(411)는,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1101에 있어서, 제1 촬상 화상과, 제2 촬상 화상이 취득된다. 제1 촬상 화상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01, 111)과,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102, 112)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이다. 제2 촬상 화상은, 라벨(103, 113)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이다.
스텝 S1101에서 취득되는 촬상 화상은, 예를 들어 공장 내에 설치된 촬상 장치,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촬상 장치, 또는 무인 항공기(드론)에 마련된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촬상된다. 또한,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촬상 장치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 장치(태블릿 단말기나 스마트폰 등)여도 된다. 또한, 공장 내에 설치된 촬상 장치가 소기의 영역을 촬상할 수 없는 경우, 스텝 S1101의 처리에 앞서서, 오퍼레이터(작업원)에 의해, 촬상 장치의 위치 및 촬상 조건(화각 등)이 조정된다.
다음으로, 스텝 S1102에 있어서, 인식부(412)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으로부터, 후판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인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정보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와,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정보가 제1 정보의 일 예이다. 또한, 제1 정보는, 물품(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후판)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이다.
따라서, 인식부(412)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제1 촬상 화상 또는 제2 촬상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 정보로서, 스텐실 및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 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인식한다.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내용을 인식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공지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사용한 기술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NN(Neural Network) 등의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사용한 기술이나, AI와 OCR을 조합한 기술(소위 AI OCR)을 사용하여, 스텝 S1102의 처리를 실현해도 된다. NN은, 예를 들어 NN의 입력층에 촬상 화상을 입력하면, NN의 출력층으로부터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식부(412)는,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내용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구성 요소가, 미리 정해져 있는, 문자, 숫자, 기호, 및 마크 중 어느 것도 아니라고 인식된 경우), 당해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인식할 수 없는 것을 인식 결과로 한다. 또한, 인식부(412)는, 인식 결과의 신뢰도를 산출해도 된다.
인식부(412)는, 인식된 구성 요소의 내용에 의해, 표시의 포맷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서는, 마크(201)가 좌측 상단에 있고, 계속되는 문자열인 수요가명(202)의 문자 사이즈는 다른 문자와 동일한 크기이다. 한편, 도 2b에서는, 마크(211)가 우측 상단이며 1행째의 문자열인 수요가명(212)의 문자 사이즈는 다른 문자의 절반 정도이다. 인식부(412)는, 이와 같은 특징을 사용하여, 취할 수 있는 포맷 중으로부터 표시의 포맷을 특정할 수 있어, 표시 항목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1101의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화상 취득부(411)에 있어서 촬상 화상이 취득되지 않는 경우, 스텝 S1101, S1102의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스텝 S1103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텝 S1102에서 인식된 표시 정보를, 인식 정보라고도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1102에서 인식된 표시 정보가 제1 인식 정보의 일 예이다.
다음으로, 스텝 S1103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401)는, 후판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비표시 정보를 취득하여 인식한다. 비표시 정보는, 도 5에 도시한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각 난 및 화상 ID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대조되는 정보이다. 이하에, 비표시 정보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텝 S1103에서 인식된 비표시 정보를, 인식 정보라고도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표시 정보가 제2 정보의 일 예이다. 또한, 제2 정보는, 물품(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판)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정보이다. 또한, 스텝 S1103에서 인식된 비표시 정보가 제2 인식 정보의 일 예이다.
<<물품 내 위치의 인식 정보>>
먼저, 정보 취득부(401)는, 표시 항목의 위치를 도출한다. 정보 취득부(401)가 표시 항목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먼저, 정보 취득부(401)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에지 검출 처리를 행하여, 후판의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후판의 영역을 특정한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401)는, 특정한 영역이, 후판의 판면 부분과 후판의 측면(판 두께) 부분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를 들어 특정한 영역의 종횡비에 기초하여 실현된다. 이 판정의 결과, 특정한 영역이, 후판의 판면 부분인 경우, 정보 취득부(401)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이 제1 촬상 화상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특정한 영역이, 후판의 측면(판 두께) 부분인 경우, 정보 취득부(401)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이 제2 촬상 화상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401)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이 제1 촬상 화상인 경우,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을 검출한다.
정보 취득부(401)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의 후판의 8개의 정점 중,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과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의 위치 관계로서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을 도출한다.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과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의 위치 관계로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정보가 식별 장치(4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즉,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당해 구성 요소의 정상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 경우에,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동일 면에 있어서,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좌측 하단측에 있는 정점이,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이라고 하는 정보가 식별 장치(4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정보 취득부(401)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 및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로서,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를 도출한다.
또한, 식별 장치(400)는, 예를 들어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휘도값과, 서로 인접하는 구성 요소의 거리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와,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식별 장치(400)는, 예를 들어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와,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 중 어느 것인지를, 이하와 같이 하여 판정해도 된다. 즉, 식별 장치(400)는, 이상과 같이 하여 인식한 구성 요소의 위치가,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의 난의 스텐실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직사각형 영역과,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의 난의 각인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직사각형 영역의 어느 직사각형 영역 중 어느 직사각형 영역에 가까운지를, 후판마다(관리 테이블(500)의 열마다) 특정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식별 장치(400)는, 이상과 같이 하여 인식한 구성 요소의 위치가,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의 난의 스텐실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직사각형 영역에 가까운 경우,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인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이상과 같이 하여 인식한 구성 요소의 위치가,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의 난의 각인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직사각형 영역에 가까운 경우, 식별 장치(400)는,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01, 111)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촬상과, 각인에 의한 표시 영역(102, 112)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촬상이 제각기 행해지는 경우,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와,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 중 어느 것인지의 판정은 불필요하다.
정보 취득부(401)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이 제2 촬상 화상인 경우, 제2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을 검출한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401)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로서, 제2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를 도출한다.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도,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출된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401)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 중, x축의 최댓값, x축의 최솟값, y축의 최댓값, 및 y축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외접 직사각형의 위치를 도출한다. 정보 취득부(401)는, 도출한 외접 직사각형의 4개의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의 x-y 좌표를,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의 인식 정보로 한다.
또한, 정보 취득부(401)는, 각인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 중, x축의 최댓값, x축의 최솟값, y축의 최댓값 및 y축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외접 직사각형의 위치를 도출한다. 정보 취득부(401)는, 도출한 외접 직사각형의 4개의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의 x-y 좌표를, 각인의 물품 내 위치의 인식 정보로 한다. 또한, 정보 취득부(401)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 중, x축의 최댓값, x축의 최솟값, z축의 최댓값, 및 z축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외접 직사각형의 위치를 도출한다. 정보 취득부(401)는, 도출한 외접 직사각형의 4개의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의 x-z 좌표를, 라벨의 물품 내 위치의 인식 정보로 한다.
<<중량의 인식 정보>>
정보 취득부(401)는, 후판의 ID 및 당해 ID의 후판의 중량의 실측값을, 후판의 중량의 인식 정보로서 취득한다.
<<사이즈의 인식 정보>>
정보 취득부(401)는, 후판의 ID 및 당해 ID의 후판의 사이즈의 실측값을, 후판의 사이즈의 인식 정보로서 취득한다.
<<저장소 위치의 인식 정보>>
정보 취득부(401)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제1 촬상 화상 또는 제2 촬상 화상)을 촬상한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소 위치의 인식 정보로서 취득한다.
<<친 ID의 인식 정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후판(600)이 절단되어 다른 후판(610 내지 640)이 제조되는 경우, 절단 후의 후판(610 내지 640)의 친 ID는, 원래의 후판(600)의 ID인 것이 가공 조건으로부터 자동적으로 특정된다. 잉크젯이나 레이저 마킹 등으로, 절단 후의 후판(610 내지 640)의 ID를 포함하는 표시가 표시 영역(611 내지 641)에 이루어진다. ID를 포함하는 표시는 수기에 의한 표시여도 된다. 또한, 정보 취득부(401)는, 표시 영역(611 내지 641)의 촬상 화상을 화상 취득부(411)가 취득하여, 촬상 화상을 인식부(412)가 인식함으로써 원래의 후판(600)과 마찬가지로 후판(610 내지 640)의 ID 등을 취득해도 된다. 후판(610 내지 640)의 ID 등과, 원래의 후판(600)의 ID인 친 ID의 관련짓기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원래의 후판(600)에 대한 표시가 절단 후의 후판(610, 620)에 남는 경우가 있다. 정보 취득부(401)는, 이와 같은 원래의 후판(600)에 대한 표시에 포함되는 ID를, 친 ID의 인식 정보로서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ID는, 예를 들어 스텝 S1102에서 인식된 구성 요소 중,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난의 물품 내 위치의 난(스텐실의 난 및 각인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직사각형 영역 중 어느 직사각형 영역에도 포함되지 않는 구성 요소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화상 ID의 인식 정보>>
정보 취득부(401)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제1 촬상 화상 또는 제2 촬상 화상)의 ID를 화상 ID의 인식 정보로서 취득한다. 정보 취득부(401)는, 예를 들어 화상 취득부(411)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에 부가된 ID를 당해 촬상 화상의 화상 ID의 인식 정보로서 취득한다.
스텝 S1103에 있어서 인식된 비표시 정보(인식 정보)는, 후술하는 스텝 S1106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각 난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와 대조된다. 또한,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제1 촬상 화상 및 제2 촬상 화상)은, 후술하는 스텝 S1106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관리 테이블(500)의 화상 ID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ID 중, 당해 촬상 화상과 함께 취득되는 ID와 동일한 ID와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촬상 화상과 대조된다.
스텝 S1103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1104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스텝 S1103의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정보 취득부(401)에 있어서 비표시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 스텝 S1103의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스텝 S1104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104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대조 대상 중 미선택의 대조 대상을 1개 선택한다. 스텝 S1104에서 선택되는 대조 대상은, 도 5에 도시한 관리 테이블(500)의 각 난(각 항목)의 정보이다. 최초로 선택되는 대조 대상은, 현품 표시의 난의 정보로 한다. 또한, 최초로 선택되는 대조 대상은, 1개의 후판마다 정해져 있는 정보(각각의 후판에 고유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가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와 일치하고 있으면, 당해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는, 당해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No.)의 후판의 정보인 것이, 그 밖의 인식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실의 난의 ID(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가, 최초로 선택되는 대조 대상인 경우를 예시한다. 단, 반드시 이와 같이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인의 난의 ID 또는 라벨의 난의 ID가, 최초로 선택되는 대조 대상이어도 된다. 또한, 대조 대상의 선택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테이블(500)의 위의 난으로부터 순서대로 대조 대상이 1개씩 선택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대조 대상이 표시 정보인 경우>>
다음으로, 스텝 S1105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한다.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는, 도 9a에 도시한 식별 대상 제외 구분 및 식별 한계 화소수에 의해 대조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의 정보 등이다.
또한, 인식의 정확성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의 일 예인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는, 도 9a에 도시한 식별 대상 제외 구분 및 식별 한계 화소수에 의해 대조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의 정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식별 대상 제외 구분 및 식별 한계 화소수와는 별도로, 1, 7, 9, 0, C, I, L, O, P, Q, R, T, U, V 등,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낮다고 되어 있는 구성 요소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낮다고 되어 있는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가,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로 된다. 식별 대상 제외 구분 및 식별 한계 화소수에 의해 대조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와,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낮다고 되어 있는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의 양쪽이,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대조부(413)는, 스텝 S1102의 처리에 있어서 인식할 수 없었던 구성 요소도,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가 아닌 것으로서 취급해도 된다.
다음으로,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당해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를 대조한다.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는, 관리 테이블(500)의 각 열(No.1, 2, 3 …)로부터 1개씩 선택된다. 즉,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대조되는 기억 정보는, 관리 테이블(500)의 각 열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의 각각이다. 이와 같이,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는, 어느 스텝 S1106에 있어서도, 동일한 물품(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판)에 대한 인식 정보이다. 이에 반해,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는,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판)에 대한 기억 정보이다.
또한, 스텝 S1105에서 정확성이 보증된 정보가 취득된 경우, 대조부(413)는,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만을,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와 대조한다.
대조부(413)는, 관리 테이블(500)의 열(No.) 중,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일치하는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추출하고, 추출한 열을 나타내는 정보를 특정부(414)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대조부(413)는,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당해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는, 스텝 S1102 또는 S1103의 처리에서 인식된 정보이다.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는,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이다.
대조 대상이 ID인 경우, 일치란,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의 구성 요소와,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나열순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단, 대조 대상이 ID의 일부인 경우에는, 그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의 구성 요소와,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나열순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부분이 있으면,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a에 도시한 예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ID의 구성 요소의 내용은, 5, 6, 3, 4, 9, 7, -, 0, 1이며, 나열순은, 좌측으로부터, 5, 6, 3, 4, 9, 7, -, 0, 1의 순이다. 이와 같은 정보가, 관리 테이블(500)의 스텐실의 난의 ID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0, 1, 7, 9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를 예로 들어, 대조 대상이 ID의 전부인 경우(ID의 전부의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경우)와, 대조 대상이 ID의 일부인 경우(ID의 일부만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경우)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조 대상이 ID의 전부인 경우에는, 5, 6, 3, 4, 9, 7, -, 0, 1이 좌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나열되어 있는 정보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ID의 인식 정보인 경우에,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ID의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가 일치하게 된다. 이들 구성 요소의 일부가 빠져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가 나열되어 있는 경우에도,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ID의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의, 내용 및 나열순은 일치하고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한다. 그 밖의 표시 정보 및 비표시 정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의 일치 또는 불일치가 판정된다.
대조 대상이 ID의 일부인 경우, 현품 표시의 난의 스텐실의 난의 ID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구성 요소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내용은, 5, 6, 3, 4, -이며, 나열순은, 좌측으로부터, 5, 6, 3, 4, -의 순이다. 따라서,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ID의 인식 정보에 있어서, 5, 6, 3, 4, -가 좌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나열되어 있고, 또한, 4와 - 사이에 2개의 구성 요소가 존재하고, 또한, -의 우측에 2개의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는 경우에,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ID의 일부의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가 일치하게 된다.
또한, 인식부(412)는, 스텝 S1102의 처리에서 인식을 할 수 없는 구성 요소, 및, 인식의 결과의 신뢰도가 역치 이하인 구성 요소(예를 들어, "0", "1", "7", "9")를, 블랭크로 하여, 스텝 S1102에 있어서 인식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블랭크가 대조의 대상외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대조부(413)는, 구성 요소의 나열순으로 구성 요소마다의 대조를 실행할 수 있다. 출력부(415)가 구성 요소마다의 대조의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대조가 올바르게 행해졌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ID가 9자릿수인 것이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부(415)가 구성 요소마다의 대조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어느 구성 요소가 일치하고, 어느 구성 요소가 일치하지 않았는지를 오퍼레이터에게 파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가 존재해야 할 영역의 크기, 또는,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의 수는, 예를 들어 관리 테이블(500)의 스텐실의 난의 사이즈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관리 테이블(500)의 라벨의 난의 사이즈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대조 대상이 표시 정보인 경우>>의 항에서 설명한 내용은, 대조 대상이 ID 이외의 표시 정보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테이블(500)의 현품 표시의 각 난(각 항목)의 기억 정보가 제1 기억 정보의 일 예이다. 또한,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각 난(각 항목)의 기억 정보가 제2 기억 정보의 일 예이다.
스텝 S1104에 있어서 선택된 대조 대상이,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각 난(각 항목)의 정보 및 관리 테이블(500)의 화상 ID의 난의 정보인 경우에는,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의 취득은 실행되지 않는다(스텝 S1105의 처리는 생략된다). 이 경우,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모두와, 당해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 모두를 대조한다. 단, 스텝 S1104에 있어서 선택된 대조 대상이,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각 난의 정보 및 관리 테이블(500)의 화상 ID의 난의 정보에 대해서도,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는, 각 난의 정보의 값으로서 상정되는 범위 내의 값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는, 스텝 S1104에 있어서 선택된 대조 대상이,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각 난(의 정보 및 관리 테이블(500)의 화상 ID의 난의 정보인 경우에도,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의 취득은 실행된다.
<<대조 대상이 저장소 위치인 경우>>
저장소 위치의 인식 정보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제1 촬상 화상 또는 제2 촬상 화상)을 촬상한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저장소 위치의 기억 정보는, 후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따라서, 대조부(413)는, 비현품 표시의 난의 저장소 위치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후판의 위치와,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을 촬상한 촬상 장치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역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조부(413)는, 당해 거리가 역치 이하인 경우에, 저장소 위치의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는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저장소 위치의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는 일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식별 장치(400)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촬상 장치의 위치가 바뀔 수 있는 경우, 식별 장치(400)는, 촬상 장치 또는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 처리 단말기가 갖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여 검출된 위치 정보를 촬상 장치의 위치로서 취득하여 갱신해도 된다. 또한, 무인 항공기(드론)에 마련된 촬상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식별 장치(400)는, 예를 들어 무인 항공기에 마련된 GPS를 사용하여 검출된 위치 정보를 촬상 장치의 위치로서 취득해도 된다.
<<대조 대상이 등록 시각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대조 대상이 등록 시각인 경우에는, 등록 시각의 인식 정보는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등록 시각의 대조가 실행된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후판이 적층되는 경우, x-y 좌표의 위치가 동일한 후판 중 경과 시간이 가장 짧은 후판이 가장 위에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01, 111)의 촬상이 가능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대조부(413)는,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이 제1 촬상 화상인 경우(즉, 당해 촬상 화상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01, 111)을 포함하는 경우), 이하의 대조를 실행한다. 즉, 대조부(413)는, 스텝 S1106이 개시되는 시점에서 특정되어 있는 후판의 후보 중, 비현품 표시의 난의 저장소 위치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x-y 좌표)가 동일한 복수의 후판의 후보에 대한 비현품 표시의 난의 등록 시각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시각끼리를 대조한다. 이와 같이 하면, 등록 시각이 가장 늦은 후판이,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에서 촬상되어 있는 후판이라고 특정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비현품 표시의 난의 저장소 위치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x-y 좌표)가 동일한 복수의 후판의 후보 중, 등록 시각이 가장 늦은 후판의 후보 이외는, 후판의 후보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후판의 후보의 특정 방법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스텝 S1107의 처리의 설명 시에 나타낸다.
<<대조 대상이 촬상 화상인 경우>>
대조부(413)는, 스텝 S1103에서 취득된 화상 ID의 인식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ID와 동일한 ID를 관리 테이블(500)의 화상 ID의 난으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ID에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대조부(413)는, 이와 같이 하여 취득한 촬상 화상과,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촬상 화상을 대조한다. 예를 들어, 대조부(413)는, 각각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1 혹은 2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점으로서 공통되는 특징점이 있는지 여부, 또는 어느 정도의 비율로 특징점이 공통되어 있는지(근사한지)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촬상 화상의 일치, 불일치를 판별한다. 이와 같은 판별은, 공지의 얼굴 인증, 지문 인증 등의 화상 식별 처리 기술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대조 대상이 비현품 표시의 난의 정보인 경우, 일치란,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가 나타내는 의미와,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가 나타내는 의미가 동일한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중량의 인식 정보가 10000g이며, 중량의 기억 정보가 10kg인 경우, 중량의 인식 정보가 나타내는 의미와, 중량의 기억 정보가 나타내는 의미는 동일하여, 중량의 인식 정보와, 중량의 기억 정보는 일치하게 된다. 대조부(413)는, 예를 들어 중량의 인식 정보가 나타내는 단위를, 중량의 기억 정보가 나타내는 단위로 환산하는 환산식을 사용함으로써, 중량의 인식 정보와 중량의 기억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실행되는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관리 테이블(500)의 열(No.) 중,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일치하는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나타내는 정보를 특정부(414)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텝 S1107에 있어서, 특정부(414)는,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07의 판정 결과,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스텝 S1108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108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08의 판정의 결과,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101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그리고, 스텝 S1101 내지 S1107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이와 같이, 스텝 S1101 내지 S1108의 처리는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하에 스텝 S1107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텝 S1107의 판정의 결과,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특정부(414)는,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열(No.)을,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로서 특정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 S1108의 처리가 실행된다.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판정된다.
특정부(414)는, 본 스텝의 직전의 스텝 S1106에 있어서 출력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열의 수가 1개인 경우,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 특정되는 후판은, 당해 열에 대응하는 후판이다.
또한, 특정부(414)는, 과거의 복수회의 스텝 S1106에 있어서 동일한 열을 특정하는 정보가 2회 이상의 소정의 횟수 출력된 경우에,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1회의 스텝 S1106에 있어서 출력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열의 수는, 1이어도 2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 특정되는 후판은, 당해 열에 대응하는 후판이다.
또한,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특정부(414)는, 관리 테이블(500)의 열(No.) 중,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일부만이 일치하는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로서 특정하여 기억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관리 테이블(500)의 열(No.) 중,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일부만이 일치하는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나타내는 정보를 특정부(414)에 출력한다.
또한, 특정부(414)는,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를 압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특정부(414)는,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열(No.) 중,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열의 총수에 대한 비율이 역치 이상인 열만을,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로 해도 된다. 또한, 열의 총수의 계수 시에, 동일한 No.의 열이 복수 있는 경우, 당해 열의 수는 1로 한다. 또한, 특정부(414)는,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로서 본 스텝의 개시 시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열(No.) 중, 본 스텝의 직전의 스텝 S1106(최신의 스텝 S1106)에 있어서 출력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열과 동일한 열 이외의 열을,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로부터 제외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를 특정하는 방법의 2개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107의 판정 결과,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스텝 S1108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108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대조부(413)는, 관리 테이블(500)의 모든 난(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였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대조부(413)는, 관리 테이블(500)의 모든 난(항목) 중, 대조 대상으로서 미리 설정된 1 또는 2 이상의 난을 선택한 경우에,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였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대조부(413)는, 후판의 저장소 위치에 따라, 대조 대상을 한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제 대조는, 각 공정의 저장소 위치에 있어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대조부(413)는, 스텐실, 각인, 및 라벨에 의해 표시되는 ID 중 적어도 1개를 대조 대상으로 한 경우이며, 후판이 1개로 특정되지 않은 경우(스텝 S1107에서 "아니오"가 되는 경우)에, 관리 테이블(500)의 저장소 위치만을 대조 대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공장으로부터 출하 후의 후판을 특정하는 경우, 대조부(413)는, 관리 테이블(500)의 저장소 위치 등의 비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보다도 먼저 대조 대상으로서 선택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108의 판정의 결과,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101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그리고, 스텝 S1101 내지 S1107의 처리가 다시 실행된다. 또한, 스텝 S1108의 판정의 결과,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실행되는 최초의 처리는, 스텝 S1101의 처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모든 선택 대상의 인식 정보를 얻기 위해 스텝 S1001, S1003에서 취득할 필요가 있는 정보(촬상 화상 및 비표시 정보)를 스텝 S1001, S1003에서 한 번에 취득하는 경우, 스텝 S1108의 판정의 결과,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실행되는 최초의 처리는, 스텝 S1104여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104에서는, 대조 대상이 1개 선택된다. 따라서, 1개의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와, 당해 1개의 대조 대상의 기억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적어도 1개의 식별해야 할 후판의 후보가 특정된다.
스텝 S1107의 판정의 결과, 관리 테이블(5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된 경우, 스텝 S1109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109에 있어서, 출력부(415)는, 물품 특정 정보를 출력한다. 물품 특정 정보에는, 예를 들어 스텝 S1107에서 특정되었다고 판정된 후판의 정보(예를 들어 ID)가 포함된다. 출력의 형태는, 예를 들어 컴퓨터 디스플레이로의 표시, 식별 장치(4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억 매체로의 기억, 및 식별 장치(400)의 외부 장치로의 송신 중, 적어도 1개이다.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출력부(415)에 의해 출력된 후판의 정보(예를 들어 ID)를 확인할 수도 있도록 해도 된다. 오퍼레이터는, 출력부(415)에 의해 출력된 후판의 정보가, 현물의 정보와 다른 정보인지 여부를, 촬상 화상 등에 기초하여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 출력부(415)에 의해 출력된 후판의 정보가, 현물의 정보와 다른 정보인 경우, 오퍼레이터는, 식별 장치(4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실제의 후판의 표시 정보를 식별 장치(400)에 입력한다. 인식부(412)에 있어서 AI를 사용하여 문자 인식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식별 장치(400)는, 입력된 후판의 표시 정보를 정답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AI의 학습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인식부(412)에 있어서의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S1109의 처리는, 예를 들어 식별 장치(400)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본 스텝에서 출력된 후판의 정보(예를 들어 ID)를 확인한 것에 대응하는 조작을 오퍼레이터가 행하였을 때, 또는, 스텝 S1109의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종료한다.
다음으로, 스텝 S1110에 있어서, 갱신부(402)는, 관리 테이블(500)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갱신부(402)는, 스텝 S1107에 있어서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의 대조 대상이 현품 표시의 난의 정보인 경우에, 관리 테이블(500)의 화상 ID의 난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1107에 있어서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의 대조 대상이 현품 표시의 난의 스텐실 또는 각인의 난의 정보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갱신부(402)는, 관리 테이블(500)의 열(No.) 중, 스텝 S1107에 있어서 특정된 후판에 대응하는 열의 화상 ID의 기억 정보를,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의 ID로 갱신한다. 또한, 갱신부(402)는, 당해 화상 ID에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촬상 화상을 당해 제1 촬상 화상으로 갱신한다. 또한, 갱신부(402)는, 당해 화상 ID에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당해 제1 촬상 화상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로 갱신한다. 당해 제1 촬상 화상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스텝 S1102의 처리의 결과로부터 특정된다.
또한, 스텝 S1107에 있어서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의 대조 대상이 현품 표시의 난의 라벨의 난의 정보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갱신부(402)는, 관리 테이블(500)의 열(No.) 중, 스텝 S1107에 있어서 특정된 후판에 대응하는 열의 화상 ID의 기억 정보를, 스텝 S1101에서 취득된 제2 촬상 화상의 ID로 갱신한다. 또한, 갱신부(402)는, 당해 화상 ID에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촬상 화상을 당해 제2 촬상 화상으로 갱신한다. 또한, 갱신부(402)는, 당해 화상 ID에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당해 제2 촬상 화상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로 갱신한다. 당해 제2 촬상 화상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스텝 S1102의 처리의 결과로부터 특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면, 그 후의 스텝 S1101에 있어서 취득되는 촬상 화상과 대조하는 촬상 화상을, 실제의 표시에 가까운 촬상 화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테이블(500)의 갱신의 난은, 화상 ID의 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텝 S1107에 있어서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의 대조 대상이 중량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갱신부(402)는, 관리 테이블(500)의 열(No.) 중, 스텝 S1107에 있어서 특정된 후판에 대응하는 열의 중량의 기억 정보를, 스텝 S1103에서 취득된 중량의 측정값으로 갱신해도 된다.
스텝 S1110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11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스텝 S1110의 처리에 있어서 갱신해야 할 정보가 없는 경우, 스텝 S1110의 처리는 생략된다.
스텝 S1108의 판정의 결과,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111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모든 대조 대상을 선택해도, 스텝 S1107에 있어서 1개의 후판만이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스텝 S1111에 있어서, 출력부(415)는, 물품 후보 정보를 출력한다. 물품 후보 정보에는, 예를 들어 스텝 S1111이 개시되는 시점에서 특정부(414)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후판의 후보의 정보(예를 들어 ID)가 포함된다. 출력의 형태는, 예를 들어 컴퓨터 디스플레이로의 표시, 식별 장치(4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억 매체로의 기억, 및 식별 장치(400)의 외부 장치로의 송신 중, 적어도 1개이다. 오퍼레이터(작업원)는, 출력부(415)에 의해 출력된 후판의 후보의 정보(예를 들어 ID)를 확인하고, 후판을 특정한다. 후판의 복수의 후보의 정보를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함으로써, 후판을 특정할 때의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스텝 S1111의 처리가 종료되면, 도 11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는 종료된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장치(400)는, 후판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표시 정보를 인식한다. 식별 장치(400)는, 당해 인식한 정보인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여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한다. 식별 장치(400)는, 당해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후판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한다. 이때, 식별 장치(400)는,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한다. 따라서, 후판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촬상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후판을 식별할 때, 당해 후판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 모두를 올바르게 추출할 수 없더라도, 당해 후판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당해 인식 정보(기억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는, 동일한 물품(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동일한 후판)에 대한 정보이다. 따라서, 도 11의 반복 처리에서 실행되는 스텝 S1102, S1103, S1106에서는, 동일한 물품(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동일한 후판)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당해 인식 정보(기억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인식 정보)에 대해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의 각각에, 당해 인식 정보(기억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인식 정보) 중 1개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없다. 당해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란, 당해 인식 정보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포함하지만, 당해 인식 정보의 구성 요소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는 정보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제조자측에 있어서 기지로 하고 있는 표시 정보(구성 요소)라도, 당해 표시 정보의 인식이 올바르게 행해지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표시가 선명하고, 표시에 긁힘이나 오염이 없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시에 긁힘이나 오염이 있는 경우라도, 표시 정보는 올바르게 인식되었다라는 오류를 포함하는 정보가 된다. 따라서,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가 소기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올바르게 표시 정보를 인식할 수 없다. 즉,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물품에 표시 정보가 올바르게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오인식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대조 대상을 구성하는 모든 표시 정보가 올바르게 대조되지 않으면, 대조는 실패하였다고 판정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인식 정보와 기억 정보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당해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후판의 후보를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 있어서 후판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가 소기의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대조가 실패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당해 후판의 식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장치(400)는, 인식 정보 중 정확성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와, 기억 정보 중 당해 정확성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대조한다. 따라서, 모든 인식 정보를 대조하면 대조가 실패로 되는 경우라도, 후판의 식별을 가급적으로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장치(400)는, 후판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비표시 정보와, 당해 비표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한다. 따라서, 후판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를 올바르게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 후판에 나타내어져 있지 않은 정보를 활용하여 후판을 식별할 수 있다. 후판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비표시 정보의 바람직한 예로서, 물품 내 위치와, 후판의 중량과, 후판의 사이즈와, 저장소 위치와, 등록 시각 중 적어도 1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장치(400)는, 취득한 촬상 화상과, 관리 테이블(500)의 화상 ID의 난에 기억되어 있는 ID 중, 당해 촬상 화상의 ID와 동일한 ID에 관련지어져 기억되어 있는 촬상 화상을 종합한다. 따라서, 후판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를 올바르게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 후판의 촬상 화상을 활용하여 후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장치(400)는, 대조에 실패한 표시 정보와는 다른 표시 정보의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한다. 따라서, 후판에 나타내어져 있는 정보를 올바르게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 후판에 표시되어 있는 다른 정보를 활용하여 후판을 식별할 수 있다.
<변형예>
<<제1 변형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209, 219), 수요가 코드(206, 216), 주문 번호(207, 217), 식별용 정보(208, 218), 규격(301), ID(302), 사이즈(303), 납기(304), 및 수요가 코드(305)를,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로 하면, 식별 장치(400)에 의한 현품 관리뿐만 아니라, 오퍼레이터(작업원)에 의한 현품 관리도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요가명(202, 212), 규격(203, 213), 사이즈(204, 214), ID(205, 215, 209, 219), 수요가 코드(206, 216), 주문 번호(207, 217), 식별용 정보(208, 218), 규격(301), ID(302), 사이즈(303), 납기(304), 및 수요가 코드(305) 중 적어도 1개를, 바코드나 2차원 코드와 같이, 사람이 식별 가능하지 않은 정보로 변환(인코드)된 정보로 해도 된다.
<<제2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높은 정보를 사용하여 식별용 정보(208, 218)를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식별용 정보는,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높은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람이 식별용 정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사칙 연산 및 함수 등의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식별용 정보의 구성 요소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후판의 ID의 구성 요소가 숫자를 포함하는 경우, 후판의 ID를 구성하는 각 자릿수의 숫자와, 당해 숫자와 동일한 자릿수의 숫자를 가산한 값이, 소정값의 배수 중 최소의 값이 되도록, 식별용 정보를 구성하는 숫자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205, 215)는, 「563497-01」이다. 소정값을 5로 하는 경우, 식별용 정보는 「042113-54」가 된다 (5+0=5, 6+4=10, 3+2=5, 4+1=5, 9+1=10, 7+3=10, 0+5=5, 1+4=5).
또한, 후판의 ID의 끝자리의 구성 요소가 숫자인 경우, 당해 숫자의 보수(십진법에 있어서의 기수의 보수)를 구성 요소에 포함하는 정보를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205, 215)는, 「563497-01」이다. 따라서, 9(1+9=10)를 포함하는 정보를 식별용 정보로 한다. 예를 들어, 후판의 ID의 끝자리의 다음의 자릿수에, 이와 같은 보수를 추가한 정보를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이 외에, 후판의 ID의 끝자리의 숫자를 소정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의 값을 구성 요소에 포함하는 정보를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205, 215)는, 「563497-01」이다. 따라서, 소정값을 5로 하는 경우, 1(1÷5의 나머지는 1)을 포함하는 정보를 식별용 정보로 한다. 예를 들어, 후판의 ID의 끝자리의 다음의 자릿수에, 이와 같은 나머지의 값을 추가한 정보를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또한,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높은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식별용 정보의 구성 요소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후판의 ID의 구성 요소 중,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낮은 구성 요소를, 식별률이 높은 구성 요소로 변경한 것을,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1, 7, 9, 0, C, I, L, O, P, Q, R, T, U, V를, 문자 인식 처리에 의한 식별률이 높은 문자, 숫자, 또는 기호로 치환해도 된다.
이 외에, 식별용 정보를, 다른 정보와 다른 형태로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식별용 정보의, 색, 문자의 종류, 문자의 사이즈, 및 문자의 도트수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정보와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는 것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식별용 정보를 근접 촬영함으로써, 식별용 정보의 촬상 화소수를 다른 정보의 촬상 화소수와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후판의 ID와 색이 다른 정보를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또한, 후판의 ID의 문자의 종류를 변경한 것을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후판의 ID가 숫자인 경우, 당해 숫자를 알파벳으로 변경한 것을 식별용 정보로 해도 된다.
<<제3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a, 도 2b,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205)와, 각인에 의해 표시되는 ID(209)와, 라벨에 의해 표시되는 ID(302)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ID의 표현 및 기재 내용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ID에 있어서 "하이픈"이 없는 형식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들 ID(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 각인에 의해 표시되는 ID, 라벨에 의해 표시되는 ID)가 동일한 후판에 대한 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시킨다. ID 이외의 표시 항목에 대해서도, 동일한 표시 항목의 표현 및 기재 내용이, 스텐실에 의한 표시, 각인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에서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스텐실 및 라벨의 양쪽에 규격이 표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라벨에는 규격의 약칭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서 수요자 코드의 자릿수가 다른 경우가 있지만, 수요자 코드는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고 있다. 또한, 사이즈에 대해서도, 치수의 모든 자릿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그것들 다른 표현 및 기재 내용이 동등한 의미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테이블(500)에 기억시킨다.
<<제4 변형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비표시 정보를 사용하면, 후판의 식별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판의 식별 시에, 반드시 비표시 정보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관리 테이블(500)의 비현품 표시의 각 난은 불필요함과 함께, 도 11의 스텝 S1103의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제5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장에 있어서 수요가에게 후판이 출하되기 전까지의 동안의 임의의 타이밍에, 당해 후판을 식별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후판의 식별은, 후판의 출하 후에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후판의 식별을 위해 후판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는, 후판이 수요가에 대하여 출하된 후에 부여되어도 된다.
<<제6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S1104에 있어서 선택된 대조 대상이, 관리 테이블(500)의 현품 표시의 각 난(각 항목)의 정보인 경우에는, 스텝 S1106에 있어서, 스텝 S1104에서 선택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만을 사용하여 대조가 실행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의 수가 소정수 미만인 경우, 스텝 S1104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의 수와,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정보의 수의 합이 상기 소정수가 되도록,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로부터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정보를 추출한다. 대조부(413)는,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가 보증되어 있는 정보와, 당해 추출한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정보를 사용하여 대조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수로서 10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의 수가 6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의 수와,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정보의 수의 합이 10이 되도록,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로부터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4개 추출된다. 또한,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의 수가 10 이상인 경우, 당해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 모두(즉, 10 이상의 정보)를 사용하여 대조가 행해진다.
또한,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관리 테이블(500)의 현품 표시의 각 난(각 항목)의 정보에 대해서는, 동일한 항목의 정보(대조 대상)를 연속하여 2회 선택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 대조부(413)는, 대조 대상 중 미선택의 대조 대상을 1개 선택한다. 그 후,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당해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모두를 사용하여 대조를 실행한다. 그 후, 스텝 S1107 및 스텝 S1108에 있어서 "아니오"로 판정된 경우, 스텝 S1104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전회의 스텝 S1104에서 선택한 대조 대상과 동일한 대조 대상을 선택한다. 그 후, 스텝 S1106에 있어서, 대조부(413)는, 당해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만을 사용하여 대조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대조부(413)가,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만을 사용하여 대조를 실행하는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대조부(413)는, 대조 대상의 인식 정보 중, 당해 인식 정보의 일부의 정보(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정확성이 보증되어 있는 정보)만을 사용한 대조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면 된다.
<<제7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테이블(500)이 식별 장치(400)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관리 테이블(500)은 식별 장치(400)의 외부에 있어도 된다.
<<제8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이 후판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물품은, 후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물품은, 후판 이외의 제조물이어도 된다. 물품은, 제조자 등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제조물이어도 된다. 제조물은, 예를 들어 슬래브, 빌릿, 박판 코일, 또는 강관이어도 된다. 또한, 제조물 이외의 물품이어도 된다. 물품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여도 된다.
<<그 밖의 변형예>>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상기 프로그램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적용할 수 있다.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하드웨어>
식별 장치(400)의 하드웨어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식별 장치(400)는, CPU(1201), 주기억 장치(1202), 보조 기억 장치(1203), 통신 회로(1204), 신호 처리 회로(1205), 화상 처리 회로(1206), I/F 회로(1207), 유저 인터페이스(1208), 디스플레이(1209), 및 버스(1210)를 갖는다.
CPU(1201)는, 식별 장치(400)의 전체를 통괄 제어한다. CPU(1201)는, 주기억 장치(1202)를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하여, 보조 기억 장치(12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주기억 장치(120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보조 기억 장치(1203)는, CPU(12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외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 회로(1204)는, 식별 장치(400)의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통신 회로(1204)는, 식별 장치(400)의 외부와 무선 통신을 행해도 유선 통신을 행해도 된다.
신호 처리 회로(1205)는, 통신 회로(1204)에서 수신된 신호나, CPU(120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입력된 신호에 대해,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 회로(1206)는, CPU(120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입력된 신호에 대해,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 화상 처리가 행해진 신호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9)에 출력된다.
유저 인터페이스(1208)는, 오퍼레이터가 식별 장치(400)에 대하여 지시를 행하는 부분이다. 유저 인터페이스(1208)는, 예를 들어 버튼, 스위치 및 다이얼 등을 갖는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208)는, 디스플레이(1209)를 사용한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어도 된다.
디스플레이(1209)는, 화상 처리 회로(1206)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I/F 회로(1207)는, I/F 회로(1207)에 접속되는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도 12에서는, I/F 회로(1207)에 접속되는 장치로서, 유저 인터페이스(1208) 및 디스플레이(1209)를 나타낸다. 그러나, I/F 회로(1207)에 접속되는 장치는,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반형 기억 매체가 I/F 회로(1207)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208)의 적어도 일부 및 디스플레이(1209)는, 식별 장치(400)의 외부에 있어도 된다.
출력부(415)는, 예를 들어 통신 회로(1204) 및 신호 처리 회로(1205)와, 화상 처리 회로(1206), I/F 회로(1207), 및 디스플레이(1209)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CPU(1201), 주기억 장치(1202), 보조 기억 장치(1203), 신호 처리 회로(1205), 화상 처리 회로(1206), 및 I/F 회로(1207)는, 버스(1210)에 접속된다. 이들 구성 요소간의 통신은, 버스(1210)를 통해 행해진다. 또한, 식별 장치(400)의 하드웨어는, 전술한 식별 장치(400)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도 12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물품을 식별하는 것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물품을 식별하는 식별 장치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인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1 또는 2 이상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부와,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정보인 제1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기억 정보의 1개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제1 정보인 제1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부와,
    상기 대조부에 의한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갖고,
    상기 대조부는, 상기 제1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부는, 상기 제1 인식 정보 중, 인식의 정확성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와, 상기 제1 기억 정보 중, 상기 인식의 정확성에 대한 조건을 충족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정보인 제2 정보를 제2 인식 정보로서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갖고,
    상기 제2 정보인 제2 기억 정보가, 기억 정보로서 상기 제1 기억 정보와 관련지어져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상기 대조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제2 인식 정보와, 상기 제2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물품의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위치인 물품 내 위치와, 상기 물품의 중량과, 상기 물품의 사이즈와, 상기 물품이 놓여 있는 위치인 저장소 위치와, 상기 물품이 현재의 위치에 놓인 시각인 등록 시각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이, 기억 정보로서 상기 제1 기억 정보와 관련지어져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상기 대조부는, 상기 화상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과, 상기 기억 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는 촬상 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복수 있고,
    상기 대조부는,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정보 중, 미대조의 상기 제1 정보인 제1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기억 정보의 1개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미대조의 제1 정보인 제1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장치.
  7. 물품을 식별하는 식별 방법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인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1 또는 2 이상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정보인 제1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기억 정보의 1개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보인 제1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공정과,
    상기 대조 공정에 의한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하는 특정 공정을 갖고,
    상기 대조 공정은, 상기 제1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방법.
  8.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인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1 또는 2 이상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공정과,
    상기 인식 공정에 의해 인식된 상기 제1 정보인 제1 인식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기억 정보의 1개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 정보인 제1 기억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공정과,
    상기 대조 공정에 의한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적어도 1개의 후보를 특정하는 특정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상기 대조 공정은, 상기 제1 인식 정보와 일부가 다른 인식 정보와, 당해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기억 매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대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237012807A 2020-10-29 2021-10-27 식별 장치, 식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43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1789 2020-10-29
JPJP-P-2020-181789 2020-10-29
PCT/JP2021/039642 WO2022092147A1 (ja) 2020-10-29 2021-10-27 識別装置、識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182A true KR20230074182A (ko) 2023-05-26
KR102643324B1 KR102643324B1 (ko) 2024-03-07

Family

ID=8138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807A KR102643324B1 (ko) 2020-10-29 2021-10-27 식별 장치, 식별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35183B2 (ko)
KR (1) KR102643324B1 (ko)
CN (1) CN116547702A (ko)
WO (1) WO2022092147A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987U (ja) 1981-11-04 1983-05-12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式機器
JPS5869989U (ja) 1981-11-06 198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パネルの保持装置
JPS5869988U (ja) 1981-11-06 198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器キヤビネツト
JPS5891143U (ja) 1981-12-15 1983-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イ−ゼルエンジンの背圧検出用ポ−ト
JPS603918U (ja) 1983-06-17 1985-01-12 ソニー株式会社 多チヤンネル薄膜磁気ヘツド
JPH06505937A (ja) 1990-12-03 1994-07-07 パン アトランティア(ユーケー)ピーエルシー 車の屋根に荷物を担持するための荷物担持装置
JP2004334288A (ja) * 2003-04-30 2004-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刻印文字認識装置及び認識方法
KR20080006422A (ko) * 2006-07-12 2008-01-16 히다찌 컴퓨터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장표 인식 장치 및 장표 인식 프로그램
JP2014044479A (ja) * 2012-08-24 2014-03-13 Fujifilm Corp 物品照合装置および物品照合方法並びに物品照合プログラム
KR20150116821A (ko) * 2013-02-13 2015-10-16 가부시키가이샤 파인덱스 문자인식 시스템, 문자인식 프로그램 및 문자인식방법
JP2017138975A (ja) * 2016-02-04 2017-08-10 アスクル株式会社 電子商取引装置、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
KR20170133262A (ko) * 2016-05-25 2017-12-05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물체 인식 장치, 물체 인식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73517B (zh) * 2007-08-22 2011-03-16 北京万集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车牌识别方法及系统
CN101930725A (zh) * 2009-12-09 2010-12-29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字符显示方法和装置
CN107329977B (zh) * 2017-05-27 2019-08-16 银江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概率分布的假牌车二次筛选方法
CN111767908A (zh) * 2019-04-02 2020-10-13 顺丰科技有限公司 字符检测方法、装置、检测设备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9987U (ja) 1981-11-04 1983-05-12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式機器
JPS5869989U (ja) 1981-11-06 198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パネルの保持装置
JPS5869988U (ja) 1981-11-06 198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器キヤビネツト
JPS5891143U (ja) 1981-12-15 1983-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イ−ゼルエンジンの背圧検出用ポ−ト
JPS603918U (ja) 1983-06-17 1985-01-12 ソニー株式会社 多チヤンネル薄膜磁気ヘツド
JPH06505937A (ja) 1990-12-03 1994-07-07 パン アトランティア(ユーケー)ピーエルシー 車の屋根に荷物を担持するための荷物担持装置
JP2004334288A (ja) * 2003-04-30 2004-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刻印文字認識装置及び認識方法
KR20080006422A (ko) * 2006-07-12 2008-01-16 히다찌 컴퓨터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장표 인식 장치 및 장표 인식 프로그램
JP2014044479A (ja) * 2012-08-24 2014-03-13 Fujifilm Corp 物品照合装置および物品照合方法並びに物品照合プログラム
KR20150116821A (ko) * 2013-02-13 2015-10-16 가부시키가이샤 파인덱스 문자인식 시스템, 문자인식 프로그램 및 문자인식방법
JP2017138975A (ja) * 2016-02-04 2017-08-10 アスクル株式会社 電子商取引装置、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
KR20170133262A (ko) * 2016-05-25 2017-12-05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물체 인식 장치, 물체 인식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092147A1 (ko) 2022-05-05
CN116547702A (zh) 2023-08-04
KR102643324B1 (ko) 2024-03-07
JP7235183B2 (ja) 2023-03-08
WO2022092147A1 (ja)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9169B1 (en) Code recognition device
US20120070086A1 (en)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569532B2 (ja) 管理システム、リスト作成装置、リスト作成方法、管理方法及び管理用プログラム
US2012010678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nalysing goods packages
JP5879725B2 (ja) 板金工程作業支援システム
JP6458239B1 (ja) 画像認識システム
JP6831951B2 (ja) 画像認識システム
EP3561729B1 (en) Method for detecting and recognising long-range high-density visual markers
KR102643324B1 (ko) 식별 장치, 식별 방법 및 프로그램
JP744950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9185684A (ja) 陳列状況判定システム
JP2008247574A (ja) 出荷時照合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95542B1 (ko) 트래킹 장치, 트래킹 방법, 트래킹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CN113139394A (zh) 读码方法、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11918231A (zh) 一种行李移动智能网格网络管理方法
JP2017007815A (ja) 検品方法および検品システム
CN115146751B (zh) 一种物料跟踪方法及mes系统
JP6941331B2 (ja) 画像認識システム
JPH09218014A (ja) 物品認識装置
JP2022122201A (ja) ピッキング作業支援システム
JP2008065573A (ja) 注文カードのocr読み取り結果自動訂正システム
JP2022028843A (ja) キャビネット選定システム
JP588837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57151B2 (ja) ヘッダシート及びヘッダシート処理方法
JP2023143387A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