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798A - 차량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3798A KR20230073798A KR1020210160555A KR20210160555A KR20230073798A KR 20230073798 A KR20230073798 A KR 20230073798A KR 1020210160555 A KR1020210160555 A KR 1020210160555A KR 20210160555 A KR20210160555 A KR 20210160555A KR 20230073798 A KR20230073798 A KR 202300737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panel
- door
- rotation arm
- vehicle
- door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135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의 도어개구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에 기계적 연동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개구의 하단에서 전진 내지 후진하도록 구성된 스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윙아웃도어의 도어패널과 스텝부재를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스텝유닛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함과 더불어 부품의 단순화, 원가 절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량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객이 승객실 내외로 승하차를 위한 도어 개구를 가진다. 차량도어가 폐쇄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구가 차단되고, 차량도어가 개방됨으로써 탑승객의 승하차가 허용된다. 예컨대, 버스는 그 전방부, 중앙부에 제공된 도어 개구를 가지고, 각 도어 개구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버스의 도어는 스윙아웃도어(swing out door), 슬라이딩도어(sliding door), 폴딩도어(folding)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스윙아웃도어는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에 연결된 로테이션아암과, 로테이션아암을 구동시키는 도어 엑츄에어터와, 도어패널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아암을 포함한다. 제어기가 도어오픈스위치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어기는 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폐쇄신호를 도어 엑츄에이터에 전송하고, 도어 엑츄에이터가 로테이션아암을 회전시킴으로써 도어패널은 도어 개구에서 개폐되고, 가이드아암은 도어패널의 이동궤적을 가이드함으로써 도어패널의 떨림, 회전 궤적 등을 규제함으로써 그 이동궤적의 안전성을 부여한다.
또한, 차량의 실내측 스텝과 지상의 바닥 사이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노약자 등의 승하차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버스, 승합차, 또는 다목적 차량(SUV 등)과 같이 지상고가 높은 차량은 탑승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전동스텝을 포함한다. 전동스텝은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에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승차하도록 도움을 준다. 전동스텝은 스텝부재, 구동모터, 기어열(랙 앤 피니언) 및 가이드레일 등을 포함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기어열 및 가이드레일을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스텝부재가 도어 개구의 하단에서 슬라이딩한다. 이에 스텝부재는 도어 개구의 하단으로부터 차량의 외측을 향해 전진하거나 도어 개구의 하단에서 차량의 내측으로 후진한다. 제어기가 스윙아웃도어의 도어오픈스위치의 신호(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폐쇄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기는 전동스템의 구동모터에 전송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스텝부재를 슬라이딩시키고, 이에 스텝부재는 도어 개구의 하단에서 전후진한다.
기존의 전동스텝은 필요에 따라 고객이 에프터마켓에서 추가적으로 장착되고, 특히 기존의 전동스텝은 별도의 구동모터, 안전장치 등을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전동스텝의 구동모터가 스윙아웃도어의 제어기와 전자제어를 통해 연동됨에 따라 그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대형 버스의 전방 하단의 경우, 전동스텝의 레이아웃과 차량의 전방 어프로치 앵글에 따른 충돌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동스텝의 적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윙아웃도어의 도어패널과 스텝부재를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스텝유닛의 레이아웃을 단순화함과 더불어 부품의 단순화, 원가 절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량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의 도어개구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에 기계적 연동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개구의 하단에서 전진 내지 후진하도록 구성된 스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텝부재가 도어패널에 기계적 연동구조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스테부재는 도어패널의 이동에 연동하여 도어개구의 하단에서 전진 내지 후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동부품들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스텝부재의 이동메커니즘이 매우 단순화될 수 있고, 부품갯수가 감소할 수 있으며, 그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연동구조는 상기 도어패널의 하단 및 상기 스텝부재 사이에 링크작동하도록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패널이 도어개구에 대해 이동할 때, 힘(동력)이 하나 이상의 링크를 통해 스텝부재에 전달함으로써 스텝부재는 도어패널의 이동에 따라 간편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연동구조는 상기 도어패널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스텝부재 사이에서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계적 연동구조가 도어패널 및 스텝부재를 2절링크(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스텝부재가 도어패널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연동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다. 즉, 2절링크가 도어패널에 대한 스텝부재의 안정적인 연동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제1피벗핀을 통해 상기 도어패널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은 제2피벗핀을 통해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스텝부재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도어패널의 이동에 따라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연동하여 피벗함으로써 스텝부재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패널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스텝부재는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하거나 차량의 내부를 향해 후진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은 그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1피벗핀을 통해 상기 도어패널의 고정브라켓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링크의 일단이 도어패널의 고정브라켓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링크의 링크작동이 도어패널의 이동궤적과 간섭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텝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텝부재는 그 양측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각 가이드롤러가 그에 상응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텝부재의 각 가이드롤러가 그에 상응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텝부재의 이동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를 통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스텝부재의 내부에 매립된 감압센서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압센서매트가 탑승객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탑승객의 하차 시에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패널에 연결된 로테이션아암조립체와, 상기 도어패널 및 상기 로테이션아암조립체를 구동하는 도어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아암조립체는 상기 도어패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한 로테이션샤프트와, 상기 로테이션샤프트로부터 도어패널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과, 상기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에 연결된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아암조립체는 상기 도어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로테이션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스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샤프트는 상기 도어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은 상기 로테이션샤프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도어패널을 향해 연장된 상측 로테이션아암과, 상기 로테이션샤프트의 하부로부터 상기 도어패널을 향해 연장된 하측 로테이션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로테이션아암은 상기 하측 로테이션아암과 평행할 수 있고, 상기 상측 로테이션아암 및 상기 하측 로테이션아암은 상기 로테이션샤프트 및 상기 연결봉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상측 로테이션아암 및 상기 하측 로테이션아암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연결봉은 회전지지구조를 통해 상기 도어패널의 실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텝유닛이 기계적 연동구조를 통해 도어패널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도어개구의 하단에서 슬라이딩하는 스텝부재의 작동이 스윙아웃도어의 개폐작동과 기계적으로 연동할 수 있고, 이에 탑승객의 승하차를 쉽게 도와주고, 부품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텝부재가 기계적 연동구조를 통해 도어패널의 이동에 연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구동모터, 기어열 등과 같은 전동부품들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스텝유닛의 레이아웃이 간소화될 수 있고, 부품의 갯수가 간소화될 수 있으며, 그 제조원가가 절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를 차량의 실외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도어패널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스텝유닛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스텝유닛에서 가이드레일이 생략된 것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스텝유닛에서 스텝부재가 생략되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저면사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6(b)은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차량의 내부로 완전히 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가 30°로 스윙할 때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7(b)는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도어개구의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가 70°로 스윙할 때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8(b)는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도어개구의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가 100°로 스윙할 때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9(b)는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도어개구의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완전히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6(b)은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차량의 내부로 완전히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감압센서매트가 스텝부재의 내부에 매립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도어패널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스텝유닛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스텝유닛에서 가이드레일이 생략된 것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의 스텝유닛에서 스텝부재가 생략되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저면사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완전히 폐쇄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6(b)은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차량의 내부로 완전히 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가 30°로 스윙할 때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7(b)는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도어개구의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가 70°로 스윙할 때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8(b)는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도어개구의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가 100°로 스윙할 때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9(b)는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도어개구의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도어패널이 도어개구를 완전히 개방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 6(b)은 스텝유닛의 스텝부재가 차량의 내부로 완전히 전진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에서 감압센서매트가 스텝부재의 내부에 매립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10)는 차량의 도어개구(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도어 개폐장치(10)는 도어개구(2)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패널(11)과, 도어패널(11)에 연결된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와, 도어패널(11) 및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를 구동하는 도어 엑츄에이터(13)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승합차, SUV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의 차체(1)에 도어개구(2)가 제공될 수 있고, 도어패널(11)이 도어개구(2)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패널(11)은 도어개구(2)에서 회전함으로써 완전 폐쇄위치(도 6 참조) 및 완전 개방위치(도 10 참조)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는 도어패널(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한 로테이션샤프트(31)와, 로테이션샤프트(31)로부터 도어패널(11)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32, 33)과,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32, 33)에 연결된 연결봉(34)을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는 도어 엑츄에이터(13)의 작동에 의해 로테이션샤프트(31)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스윙할 수 있고, 이에 도어패널(11)은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에 대응하여 차량의 도어개구(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가 클 경우에 도어패널(11)이 도어개구(2)로부터 이동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고,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가 작을 경우 도어패널(11)이 도어개구(2)로부터 이동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로테이션샤프트(31)는 도어 엑츄에이터(13)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테이션샤프트(31)는 수직방향(도어패널(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로테이션샤프트(31)의 길이방향 축선은 도어패널(11)의 일측가장자리와 평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32, 33)은 로테이션샤프트(31)의 상부로부터 도어패널(11)을 향해 연장된 상측 로테이션아암(32)과, 로테이션샤프트(31)의 하부로부터 도어패널(11)을 향해 연장된 하측 로테이션아암(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로테이션아암(32)은 하측 로테이션아암(33)과 평행할 수 있고, 각 로테이션아암(32, 33)은 로테이션샤프트(31)로부터 도어패널(11)을 향해 일정각도로 벤딩된 형상일 수 있다. 각 로테이션아암(32, 33)은 로테이션샤프트(31) 및 연결봉(34)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연결봉(34)은 수직방향(도어패널(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연결봉(34)의 길이방향 축선은 로테이션샤프트(31)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할 수 있다. 연결봉(34)은 상측 로테이션아암(32) 및 하측 로테이션아암(33)을 연결하도록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연결봉(34)의 양단은 한 쌍의 회전지지구조(34a, 34b)를 통해 도어패널(11)의 실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연결봉(34)의 상단은 상측 회전지지구조(34a)를 통해 도어패널(11)의 실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연결봉(34)의 하단은 하측 회전지지구조(34b)를 통해 도어패널(11)의 실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측 로테이션아암(32)의 일단은 로테이션샤프트(3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측 로테이션아암(32)의 타단은 연결봉(34)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측 로테이션아암(33)의 일단은 로테이션샤프트(3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고, 하측 로테이션아암(32)의 타단은 연결봉(34)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는 상측 로테이션아암(32) 및 하측 로테이션아암(33)을 연결하는 보조 연결봉(3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연결봉(35)은 상측 로테이션아암(32)의 중간부 및 하측 로테이션아암(33)의 중간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보조 연결봉(35)은 연결봉(34) 보다 로테이션샤프트(31)과 근접할 수 있다.
도어 엑츄에이터(13)는 로테이션샤프트(31)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어 엑츄에이터(13)는 공압 또는 유압 등과 같은 유체에 의해 작동하는 유체실린더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도어 엑츄에이터(13)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도어 엑츄에이터(13)는 도어개구(2)와 인접한 차량의 실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도어개구(2)의 하단에 인접한 실내측 발판(3)이 제공될 수 있고, 도어 엑츄에이터(13)가 실내측 발판(3)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내측 발판(3)은 차량의 내부에서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로테이션샤프트(31)가 도어 엑츄에이터(13)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각 로테이션아암(32, 33)은 로테이션샤프트(31)를 중심으로 스윙할 수 있고, 이에 도어패널(11)이 도어개구(2)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도어패널(11)은 완전 폐쇄위치(도 6 참조) 및 완전 개방위치(도 10 참조)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10)는 도어개구(2)의 하단에 제공된 스텝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텝유닛(20)은 도어패널(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특히 스텝유닛(20)은 도어패널(11)의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텝유닛(20)은 실내측 발판(3)의 아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텝유닛(20)은 도어개구(2)의 하단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스텝부재(21)와, 스텝부재(21) 및 도어패널(11)를 연결하는 기계적 연동구조(23, 24)와, 스텝부재(2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부재(21)는 평탄한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텝부재(21)는 도어개구(2)의 하단에 인접한 실내측 발판(3)의 아래에서 차량의 외부 및 내부를 향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텝부재(21)는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 및 도어패널(11)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도어개구(2)의 하부에서 전진 내지 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패널(11)이 도 6(a)와 같이 완전 폐쇄위치에 위치할 경우, 스텝부재(21)는 도 6(b)와 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해 완전히 후진한 완전 후진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패널(11)이 도 10(a)와 같이 완전 개방위치에 위치할 경우, 스텝부재(21)는 도 10(b)와 같이 차량의 외부를 향해 완전히 전진한 완전 전진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텝부재(21)는 그 양측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21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부재(21)의 각 가이드롤러(21a)가 그에 상응한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텝부재(21)의 이동이 한 쌍의 가이드레일(22)를 통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적 연동구조(23, 24)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링크는 도어패널(11) 및 스텝부재(21) 사이에 링크작동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도어패널(11)이 도어 엑츄에이터(13) 및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에 의해 이동할 때 도어패널(11)의 이동력이 하나 이상의 링크를 통해 스텝부재(21)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적 연동구조(23, 24)는 도어패널(11)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23)와, 제1링크(23) 및 스텝부재(21) 사이에서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계적 연동구조가 도어패널(11) 및 스텝부재(21)를 2절링크(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스텝부재(21)가 도어패널(11)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연동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다. 즉, 2절링크가 도어패널(11)에 대한 스텝부재(21)의 안정적인 연동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26)이 도어패널(11)의 하단에 제공될 수 있고, 고정브라켓(26)은 도어패널(1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26)는 그 하부에 제공된 절곡부(26a)를 가질 수 있고, 절곡부(26a)는 고정브라켓(26)으로부터 차량의 내부를 향해 절곡될 수 있으며, 제1링크(23)의 일단은 제1피벗핀(41)을 통해 고정브라켓(26)의 절곡부(26a)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링크(23)의 일단이 도어패널(11)의 고정브라켓(26)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링크(23)의 링크작동이 도어패널(11)의 이동궤적과 간섭됨이 방지될 수 있다.
제1링크(23)의 타단은 제2피벗핀(42)을 통해 제2링크(24)의 일단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링크(24)의 타단은 제3피벗핀(43)을 통해 스텝부재(21)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도어패널(11)이 도어개구(2)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링크(23)가 도어패널(11)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일정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짐으로써 제1링크(23)는 도어패널(11)과 함께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링크(23)는 도어패널(11)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일방향으로 피벗작동함과 동시에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링크(23)가 피벗함에 따라 제2링크(24)는 제1링크(23)의 피벗작동에 연동하여 피벗할 수 있고, 제2링크(24)는 피벗작동함과 동시에 도어패널(11)과 함께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해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패널(11)의 이동에 따라 제1링크(23) 및 제2링크(24)가 연동하여 피벗함으로써 스텝부재(21)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패널(11)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스텝부재(21)는 차량의 외부를 향해 전진하거나 차량의 내부를 향해 후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은 지지프레임(25)을 통해 도어개구(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25)은 도어개구(2)의 하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지지프레임(25)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5)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종멤버(25a, 25b)와, 차량의 폭방향을 연장된 복수의 횡멤버(25c, 25d, 25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종멤버(25a, 25b)는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복수의 횡멤버(25c, 25d, 25e)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종멤버(25a, 25b)는 복수의 횡멤버(25c, 25d, 25e)와 직교하도록 서로간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은 지지프레임(25)의 종멤버(25a, 25b)들과 횡멤버(25c, 25d, 25e)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은 지지프레임(25)을 차체의 하부프레임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1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가 0°에 위치할 때, 도 6(a)와 같이 도어패널(11)은 도어개구(2)를 완전히 폐쇄하는 완전 폐쇄위치에 위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스텝유닛(20)의 스텝부재(21)는 기계적 연동구조(23, 24)를 통해 도어패널(11)의 완전 폐쇄위치에 대응하여 차량의 내부로 완전히 후진할 수 있다.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가 30°로 스윙할 때, 도 7(a)와 같이 도어패널(11)은 도어개구(2)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도어패널(11)이 도어개구(2)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도어개구(2)는 도어패널(11)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도 7(b)과 같이 스텝유닛(20)의 스텝부재(21)는 기계적 연동구조(23, 24)를 통해 도어패널(11)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텝부재(21)는 도어개구(2)의 아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에 대응하도록 차량의 외부를 향해 일정거리로 전진할 수 있다.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가 70°에 위치할 때, 도 8(a)와 같이 도어패널(11)은 도어개구(2)로부터 도 7(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도어패널(11)이 도 7(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도어개구(2)는 도어패널(11)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도 8(b)과 같이 스텝유닛(20)의 스텝부재(21)는 기계적 연동구조(23, 24)를 통해 도어패널(11)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텝부재(21)는 도어개구(2)의 아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에 대응하도록 차량의 외부를 향해 일정거리로 전진할 수 있다.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가 100°에 위치할 때, 도 9(a)와 같이 도어패널(11)은 도어개구(2)로부터 도 8(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도어패널(11)이 도 8(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도어개구(2)는 도어패널(11)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도 9(b)과 같이 스텝유닛(20)의 스텝부재(21)는 기계적 연동구조(23, 24)를 통해 도어패널(11)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텝부재(21)는 도어개구(2)의 아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에 대응하도록 차량의 외부를 향해 일정거리로 전진할 수 있다.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가 130°에 위치할 때, 도 10(a)과 같이 도어패널(11)은 도어개구(2)를 완전히 개방하는 완전 개방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도어개구(2)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도 10(b)과 같이 스텝유닛(20)의 스텝부재(21)는 기계적 연동구조(23, 24)를 통해 도어패널(11)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텝부재(21)는 도어개구(2)의 아래에서 로테이션아암조립체(12)의 스윙각도에 대응하도록 차량의 외부를 향해 완전히 전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 개폐장치(10)는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압센서매트(28)는 스텝부재(21) 위를 탑승객이 있음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감압센서매트(28)는 도어제어기(door control moudule)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어제어기는 도어 엑츄에이터(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탑승객이 스텝부재(21) 위를 밟고 하차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도어닫힘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탑승객이 도어개구(2) 및 도어패널(11) 사이의 틈새에 끼거나 스텝부재(21)로부터 낙하하는 사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감압센서매트(28)가 탑승객의 무게를 압력으로 감지함으로써 스텝부재(21)의 상면에 있는 탑승객이 있음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도어제어기는 탑승객이 스텝부재(21) 위에 있음을 인지하여 도어패널(11)이 폐쇄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체
2: 도어개구
3: 실내측 발판 10: 차량도어 개폐장치
11: 도어패널 12: 로테이션아암조립체
13: 도어 엑츄에이터 20: 스텝유닛
21: 스텝부재 22: 가이드레일
23: 제1링크 24: 제2링크
26: 고정브라켓 31: 로테이션샤프트
32: 상측 로테이션아암 33: 하측 로테이션아암
34: 연결봉 41: 제1피벗부
42: 제2피벗부 43: 제3피벗부
3: 실내측 발판 10: 차량도어 개폐장치
11: 도어패널 12: 로테이션아암조립체
13: 도어 엑츄에이터 20: 스텝유닛
21: 스텝부재 22: 가이드레일
23: 제1링크 24: 제2링크
26: 고정브라켓 31: 로테이션샤프트
32: 상측 로테이션아암 33: 하측 로테이션아암
34: 연결봉 41: 제1피벗부
42: 제2피벗부 43: 제3피벗부
Claims (14)
- 차량의 도어개구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에 기계적 연동구조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도어패널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개구의 하단에서 전진 내지 후진하도록 구성된 스텝부재;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동구조는 상기 도어패널의 하단 및 상기 스텝부재 사이에 링크작동하도록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연동구조는 상기 도어패널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스텝부재 사이에서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은 제1피벗핀을 통해 상기 도어패널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은 제2피벗핀을 통해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스텝부재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은 그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상기 제1피벗핀을 통해 상기 도어패널의 고정브라켓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텝부재는 그 양측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각 가이드롤러가 그에 상응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재의 내부에 매립된 감압센서매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에 연결된 로테이션아암조립체와, 상기 도어패널 및 상기 로테이션아암조립체를 구동하는 도어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아암조립체는 상기 도어패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한 로테이션샤프트와, 상기 로테이션샤프트로부터 도어패널을 향해 연장된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과, 상기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에 연결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아암조립체는 상기 도어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로테이션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스윙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샤프트는 상기 도어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로테이션아암은 상기 로테이션샤프트의 상부로부터 상기 도어패널을 향해 연장된 상측 로테이션아암과, 상기 로테이션샤프트의 하부로부터 상기 도어패널을 향해 연장된 하측 로테이션아암을 포함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측 로테이션아암은 상기 하측 로테이션아암과 평행할 수 있고, 상기 상측 로테이션아암 및 상기 하측 로테이션아암은 상기 로테이션샤프트 및 상기 연결봉에 대해 직교하는 차량도어 개폐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상측 로테이션아암 및 상기 하측 로테이션아암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연결봉은 회전지지구조를 통해 상기 도어패널의 실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555A KR20230073798A (ko) | 2021-11-19 | 2021-11-19 | 차량도어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555A KR20230073798A (ko) | 2021-11-19 | 2021-11-19 | 차량도어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3798A true KR20230073798A (ko) | 2023-05-26 |
Family
ID=8653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0555A KR20230073798A (ko) | 2021-11-19 | 2021-11-19 | 차량도어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73798A (ko) |
-
2021
- 2021-11-19 KR KR1020210160555A patent/KR20230073798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51372B (zh) | 具有悬臂舱操作机构的前舱 | |
JP4618573B2 (ja) | 自動車のドア装置 | |
CN111836752B (zh) | 用于乘用车辆侧门槛的衬饰装置 | |
EP1247675A1 (en) | W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ruck | |
US9752366B2 (en) | Sliding door device for laterally opening a door of a passenger vehicle, and passenger vehicle with sliding door device | |
US20220412137A1 (en) | Door hinge device of vehicle | |
US10760320B2 (en) | Door drive for a motor vehicle door | |
CN114856343A (zh) | 一种侧滑门装置和汽车 | |
US20020060471A1 (en) | Hardtop vehicle roof | |
DE102005021333B4 (de) | Flügeltür | |
KR20230073798A (ko) | 차량도어 개폐장치 | |
EP1943405B1 (en) | Door system and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door system | |
CN116411759A (zh) | 用于车辆的车门铰接装置 | |
AU2020279614B2 (en) | Vehicle door operator system | |
US20220371413A1 (en) | Rear closure assembly for vehicle including liftgate and tailgate moveable by common actuator | |
JP2021070370A (ja) | 車両のステップ装置 | |
KR20210034603A (ko) | 회전 가능한 테이블 요소를 갖는 차량을 위한 조절 가능한 어셈블리 | |
DE202005002959U1 (de) | Steuerungssystem für eine Kraftfahrzeug-Schiebetür | |
CN221718445U (zh) | 后舱屏幕和车辆 | |
CN114961488B (zh) | 一种无轨滑门连杆机构和汽车 | |
CN218558516U (zh) | 旋摆式车门及车辆 | |
CN218934202U (zh) | 车门、车身总成及车辆 | |
CN115723532A (zh) | 被配置为对抗车门移动的布置 | |
RU135692U1 (ru) | Электропривод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CN115596304A (zh) | 一种汽车门铰链机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