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659A -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659A
KR20230073659A KR1020210160273A KR20210160273A KR20230073659A KR 20230073659 A KR20230073659 A KR 20230073659A KR 1020210160273 A KR1020210160273 A KR 1020210160273A KR 20210160273 A KR20210160273 A KR 20210160273A KR 20230073659 A KR20230073659 A KR 2023007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aluminate
based binder
binder composition
weight
clin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354B1 (ko
Inventor
김동필
최우석
서병돌
Original Assignee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3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38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e.g. mixing with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38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e.g. mixing with fuel
    • C04B7/42Active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burning process
    • C04B7/421Inorganic materials
    • C04B7/424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7Cooling ; Waste heat manag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8Clink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39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65Heat conduc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90Electrical properties
    • C04B2111/94Electrically conduct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of calcium aluminate bin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주책, 도로, 다리, 초고층 빌딩, 댐 등 도처에서 다양한 구조물의 시공에 필요한 것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콘크리드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힘들 정도로 그 활용도가 상당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중 발열 콘크리트는 전기 전도성의 향상에 따라, 주거 또는 생산시설의 바닥 및 벽체, 폭설이나 결빙시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공항의 활주로, 도로의 결빙 지역, 교량, 철도의 분기 시설지, 온실, 농산물의 건조시설 등 난방용 건설 및 건축 설비물 등 다양한 온도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4478호는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마사토 골재 30~40 중량%를 준비하는 마사토 골재 준비단계(S100);
콘크리트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황토 3~7 중량%, 석회석 미분말 3~6 중량%, 시멘트 10~20 중량%, 슬래그 미분말 5~7 중량% 및 물 20~40 중량%로 된 부재료를 준비하는 부재료 준비단계(S200);
콘크리트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그래핀 용액 0.1~6 중량%를 준비하는 그래핀 용액 준비단계(S300);
콘크리트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광물 접합물질 3~7 중량%를 준비하는 광물 접합물질 준비단계(S400); 및
마사토 골재, 황토, 석회석 미분말, 시멘트, 슬래그 미분말, 물, 그래핀 용액 및 광물 접합물질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500);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그래핀 용액 준비단계(S300)는, 그래핀 용액은 황산(H2SO4) 50mL를 90℃까지 열중탕기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과황화 칼륨(K2S2O8) 10g과 오산화인 10g을 넣어준 후, 다 녹을 때까지 교반하고, 교반된 혼합액을 80℃가 되도록 냉각시킨다. 여기에 흑연(Graphite) 12g을 넣고 4~5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가열을 멈추고 2L의 증류수로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희석시킨다. 희석된 용액을 0.2㎛의 나일론 필터를 이용하여 흑연을 걸러내어 용액만 추출하며, 추출된 용액을 0℃의 항온조에 2L 비커를 넣어 준비하고 460mL의 황산을 비커에 넣고 전처리를 거친 그래핀을 비커에 넣고 교반한다. 비커에 상기 혼합물 및 과망간산칼륨(KMnO4) 60g을 넣고 완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비커를 꺼내어 35℃의 항온조에 넣고 2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다시 항온조에서 40~5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증류수 920mL를 20~30mL로 나누어 넣어주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2.8L의 물을 넣어 3시간동안 교반하며 희석하여 준다. 그 후 상기 희석물 100 중량%에 대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20~30 중량%를 넣어준 후, 염산(HCl)과 증류수가 1:2의 부피비로 혼합된 염산 수옹액을 첨가하여 얻어진 pH 5~7에 해당하는 그래핀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함유한 전도성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그래핀을 이용하여 전도성을 부여하고자 한 것이나, 상기 그래핀의 경우 분산이 용이하지 않아 페이스트에 전도성 단절 구간이 형성되기 쉬워 적은 에너지로 우수한 발열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불어, 대부분의 발열 콘크리트 기술에서는 전도성 물질로 흑연 섬유, 탄소 섬유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섬유는 시멘트 재료와의 혼합 성능이 부족하여 시멘트 경화체 내부에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여 발열 성능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4478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알루민산 칼슘(CaO-Al2O3)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이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멘트 첨가제로서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첨가제로서,
알루민산 칼슘(CaO-Al2O3)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산화알루미늄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 및 산화칼슘 공급원은 30 내지 7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2)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상기 혼합물을 20MPa 내지 40MPa로 가압하여 클링커를 성형하는 단계; 및
(4)상기 클링커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의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은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단절 구간을 제어하여 발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는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여 동절기 눈의 결빙 등을 융해할 수 있으며, 적은 에너지로 높은 발열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조된 클링커의 사진이다.
도 2는 탈탄산, 소성 및 환원 소성의 시간 및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XRD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구체예는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에 대하여, "내지"의 표현은 범위의 상한과 하한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한 또는 하한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함 여부를 구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미만", "초과", "이하" 또는 "이상"의 표현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첨가제로서, 알루민산 칼슘(CaO-Al2O3)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 및 산화칼슘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클링커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소성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 공급원은 40 내지 60 중량% 및 산화알루미늄 공급원은 40 내지 60 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클링커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소성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칼슘 공급원 또는 산화알루미늄 공급원이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생성량이 부족하게 되고, 7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생성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전도성이 약해질 수 있다.
상기 산화칼슘(CaO) 공급원은 석회석, 생석회, 소석회 및 폐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석회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칼슘 공급원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칼슘(CaO)은 45 내지 5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산화칼슘이 4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생성량이 적어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 효과가 미미하며, 5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조성물 사용시 지나치게 빠르게 경화되어 시공 작업의 진행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산화칼슘(CaO)은 일반적인 화학조성 상 나타나는 CaO의 함량이 아니라, 별도로 분리되어 CaO 상태로 존재하는 free-CaO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광물의 화학조성에서는 CaSO4 같이 CaO가 다른 성분과 화합물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도 모두 CaO 성분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의 산화칼슘(CaO)은 free-CaO로서 CaSO4 같이 CaO와 다른 성분이 화합물 상태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CaO를 의미한다.
상기 산화알루미늄(Al2O3) 공급원은 보크사이트, 수산화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드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알루미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알루미늄 공급원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은 4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산화알루미늄이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생성량이 적어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 효과가 미미하며, 7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미반응 산화알루미늄이 잔류하여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생성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1)산화알루미늄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 및 산화칼슘 공급원은 30 내지 7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2)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상기 혼합물을 20MPa 내지 40MPa로 가압하여 클링커를 성형하는 단계; 및
(4)상기 탈탄산된 클링커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단계는 산화알루미늄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 및 산화칼슘 공급원은 30 내지 7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산화알루미늄 공급원 및 산화칼슘 공급원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2)단계는 상기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혼합물의 제조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교반을 통해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3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3)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20 내지 40MPa로 가압하여 클링커(clinker)를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가압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MPa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가압이 20MPa 미만이면 산화칼슘 공급원 및 산화알루미늄 공급원이 최밀 충진이 안되어 이후 소성 단계에서 소성을 시키더라도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생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이 40MPa를 초과하면 지나친 가압으로 인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3)단계와 (4)단계 사이에 상기를 탈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탄산은 5 내지 20℃/분의 속도로 온도를 800 내지 1200℃까지 승온시킨 후, 상기 온도를 0.5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하여 클링커를 탈탄산시키는 단계이다.
만약, 상기 온도를 0.5 시간 미만으로 유지하게 되면 탈탄산이 약하여 제조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에 불순물이 다량 포함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3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하게 되면 더 이상 반응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탈탄산은 10℃/분의 속도로 온도를 900℃까지 승온시킨 후, 상기 온도를 1시간 동안 유지하여 클링커를 탈탄산시킬 수 있다.
상기 (4)단계는 상기 클링커를 소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소성은 5 내지 20℃/분의 속도로 온도를 1200 내지 1700℃까지 승온시킨 후, 상기 온도를 0.5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하여 탈탄산된 클링커를 소성시키는 단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를 1 내지 2.5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온도를 0.5 시간 미만으로 유지하게 되면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생성량이 미미하며, 3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하게 되면 더 이상 반응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소성은 10℃/분의 속도로 온도를 1400℃까지 승온시킨 후, 상기 온도를 0.5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하여 탈탄산된 클링커를 소성시킬 수 있다.
상기 (4)단계 이후에 상기 소성된 클링커를 환원 소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 소성은 5 내지 20℃/분의 속도로 온도를 1000 내지 1500℃까지 승온시킨 후, 상기 온도를 0.5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하여 소성된 클링커를 환원 소성시키는 단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를 1 내지 2.5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헬륨 가스를 주입하면서 소성된 클링커를 환원 소성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질소 가스를 주입시킬 수 있다.
상기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또는 헬륨 가스의 주입은 상기 (4)단계에서 제조된 소성된 클링커에 포함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를 환원 소성하여 칼슘 이온과 알루미늄 이온 사이의 격자를 넓혀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온도를 0.5 시간 미만으로 유지하게 되면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전기 전도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3시간을 초과하여 유지하게 되면 더 이상 반응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환원 소성은 10℃/분의 속도로 온도를 1200℃까지 승온시킨 후, 상기 온도를 0.5 내지 3시간 동안 유지하여 소성된 클링커를 환원 소성시킬 수 있다.
상기 (4)단계 이후 소성된 클링커를 환원 소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소성된 클링커를 700 내지 100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소성된 클링커를 900℃의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환원 소성 이후, 환원 소성된 클링커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300 내지 50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40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로 냉각시키는 동안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300 내지 500℃의 온도로 냉각시킨 이후, 냉각된 클링커를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냉각 방법은 자연 냉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연 냉각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이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은 시멘트 첨가제로서,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은 시멘트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은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는 우수한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는 적은 에너지만으로도 우수한 발열 효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동절기 결빙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제조
산화칼슘(CaO) 함량이 51 중량%인 석회석 62g 및 산화알루미늄(Al2O3) 함량이 59 중량%인 수산화알루미늄 38g을 고르게 분체 혼합한 후, 물 28g을 투입하여 300rpm으로 3분 동안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MPa로 가압하여 도 1과 같이 클링커를 제조하였다.
상기 클링커를 소성로에서 10℃/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900℃에서 1시간동안 유지하여 탈탄산을 진행하였다.
그 후 탈탄산된 클링커를 10℃/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14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소성 후 900℃까지 냉각시킨 후, 질소 가스(N2)를 주입하면서 다시 10℃/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1200℃에서 2시간 동안 환원 소성하였다.
그 후 지속적으로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400℃까지 냉각시키고, 다시 서서히 자연 냉각하여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성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의 성분을 X-회절 분석(X-ray Diffractometer, XRD(Rigaku, D/Max-2500V, Japan))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으며,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Scan range; 5~80°, Acc.
Vol.; 40kV 200mA,
Scan Speed; 2°/min,
Target; Cu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는 알루민산 칼슘의 생성이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첨가제로서,
    알루민산 칼슘(CaO-Al2O3)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 및 산화칼슘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클링커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소성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칼슘 공급원은 석회석, 생석회, 소석회 및 폐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칼슘 공급원은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칼슘(CaO)을 45 내지 5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공급원은 보크사이트, 수산화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드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공급원은 총 중량에 대하여 산화알루미늄을 4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7. (1)산화알루미늄 공급원 30 내지 70 중량% 및 산화칼슘 공급원은 30 내지 7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2)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상기 혼합물을 20MPa 내지 40MPa로 가압하여 클링커를 성형하는 단계; 및
    (4)상기 클링커를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와 (4)단계 사이에 상기 클링커를 탈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 이후에 상기 소성된 클링커를 환원 소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5 내지 20℃/분의 속도로 1200 내지 1700℃의 온도로 승온시킨 후, 0.5 내지 3시간 동안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 이후 소성된 클링커를 환원 소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소성된 클링커를 700 내지 100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항의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열 및 전기 전도성 시멘트 조성물.
KR1020210160273A 2021-11-19 2021-11-19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5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73A KR102557354B1 (ko) 2021-11-19 2021-11-19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73A KR102557354B1 (ko) 2021-11-19 2021-11-19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59A true KR20230073659A (ko) 2023-05-26
KR102557354B1 KR102557354B1 (ko) 2023-07-19

Family

ID=8653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73A KR102557354B1 (ko) 2021-11-19 2021-11-19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3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225B2 (ko) * 1986-05-07 1991-06-10 Mitsubishi Materiaru Kk
JPH0553742B2 (ko) * 1988-05-26 1993-08-10 Osaka Cement
JPH11130499A (ja) * 1997-10-31 1999-05-18 Taiheiyo Cement Corp 吹付材用セメント組成物とその吹付施工方法
JP2005194119A (ja) * 2004-01-05 2005-07-21 Taiko Rozai Kk プレミックス材の湿式吹付け施工方法
KR20090103585A (ko) * 2008-03-28 2009-10-0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화물 소성법에 의한 알루민산칼슘계 클링커의 제조방법
KR101654478B1 (ko) 2015-09-03 2016-09-05 김승묵 그래핀을 함유한 전도성 발열콘크리트 및 그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225B2 (ko) * 1986-05-07 1991-06-10 Mitsubishi Materiaru Kk
JPH0553742B2 (ko) * 1988-05-26 1993-08-10 Osaka Cement
JPH11130499A (ja) * 1997-10-31 1999-05-18 Taiheiyo Cement Corp 吹付材用セメント組成物とその吹付施工方法
JP2005194119A (ja) * 2004-01-05 2005-07-21 Taiko Rozai Kk プレミックス材の湿式吹付け施工方法
KR20090103585A (ko) * 2008-03-28 2009-10-0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화물 소성법에 의한 알루민산칼슘계 클링커의 제조방법
KR101654478B1 (ko) 2015-09-03 2016-09-05 김승묵 그래핀을 함유한 전도성 발열콘크리트 및 그 발열콘크리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354B1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3293B (zh) 一种微膨胀高镁中热水泥及其生产方法与应用
JP6332988B2 (ja) 耐火モルタル
KR102148007B1 (ko) 수축 저감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N106396707B (zh) 一种超高温抗结皮浇注料
CN105347707A (zh) 抗侵蚀低钙硅酸盐水泥及其制备方法
WO2017016062A1 (zh) 一种低钙硅酸盐水泥及其制备与硬化方法
CN102515582B (zh) 一种低热微膨胀水泥
CN104176959A (zh) 一种铁系磷酸盐水泥
CN113650132A (zh) 一种适用于负温环境下的人工岩石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437625A (zh) 一种白色硫铝酸盐水泥及其生产方法
CN112645623A (zh) 白色硫铝酸钙型膨胀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590201A (zh) 一种高抗氯离子道路水泥及其制备方法
CN103265189A (zh) 一种改善钢渣安定性、保持高胶凝活性的方法
KR102557354B1 (ko) 알루민산 칼슘계 결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7399B1 (ko) 수화물 소성법에 의한 알루민산칼슘계 클링커의 제조방법
CN108774016B (zh) 用于混凝土的双源膨胀剂及其制备方法
CN115368037B (zh) 一种耐热混凝土胶凝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CN110143770B (zh) 一种现排炉渣三元复合无机胶凝材料的制备方法
KR101515756B1 (ko) 시멘트용 인산 무수석고
US20110023755A1 (en) Granular composition comprising an anhydrite iii hydraulic binder and an alumina-based granular material
CN111807739A (zh) 一种快凝水镁石-磷酸盐基胶凝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582635A (zh) 一种全固废透水砖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7000501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mposition a base de sulfo-aluminate de calcium
KR101277910B1 (ko) 마그네슘 열환원 슬래그를 이용한 결합제
KR101101748B1 (ko) 클링커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