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605A -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605A
KR20230072605A KR1020210159020A KR20210159020A KR20230072605A KR 20230072605 A KR20230072605 A KR 20230072605A KR 1020210159020 A KR1020210159020 A KR 1020210159020A KR 20210159020 A KR20210159020 A KR 20210159020A KR 20230072605 A KR20230072605 A KR 2023007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score
activity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행섭
Original Assignee
정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행섭 filed Critical 정행섭
Priority to KR102021015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605A/ko
Publication of KR2023007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배분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 중 미리 정한 비율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하는 단계,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 및 업로드 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를 콘텐츠제작자에게 각각 적립하는 단계, 이용자의 활동 별로 분류하여 각 활동에 따른 활동 점수를 이용자에게 각각 적립하는 단계, 상기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눈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상기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개별 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PROFIT DISTRIBUTION SYSTEM FOR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각종 콘텐츠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미리 정한 비율로 배분함으로써 경제적 공생을 도모할 수 있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털, 오픈마켓, 소셜 미디어, 인터넷 쇼핑몰 등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콘텐츠 안에 광고를 매칭(삽입)하고 이용자가 방문하여 해당 광고를 시청하거나 클릭할 때마다 혹은 노출당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방식으로 광고 수익이 발생하면, 이를 콘텐츠의 노출 및 클릭한 횟수, 인기도 또는 광고 시간 등에 따라 해당 콘텐츠제작자(판매자)에게 배분하고 있다.
예컨대, 특정 콘텐츠를 이용자가 확인하는 조회수 당 일정 금액을 책정하고, 그 조회수를 기준으로 하여 콘텐츠제작자에게 정해진 금액을 지급한다.
그런데 이는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가 단순히 광고 수익 중 일부를 콘텐츠제작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이므로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의 거래 중개에 따른 수수료 수익이나 협찬 등 기타 영업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은 콘텐츠제작자에게 전혀 배분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광고가 매칭되기 어려운 콘텍스트를 가진 콘텐츠(정보 및 창작물)는 이용자들이 좋아하는 서비스 가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콘텐츠제작자에게 수익을 적정하게 배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콘텐츠제작자는 자신의 배분액을 늘리기 위해서 사람이나 자동화된 스크립트,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이른바 부정 클릭(Fraud Click) 행위를 남발할 수 있고, 이 경우 온라인 플랫폼(인터넷 사이트) 운영자와 검색광고사업자가 광고 수익을 분배하기 때문에 부정 클릭을 방치하여 광고주가 광고비를 더 많이 지급하면서도 광고 효과는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웹툰 작가 보상이나 우수 블로거 보상 제도 등 서비스 기여에 따라 광고와는 무관하게 콘텐츠제작자에게 보상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콘텐츠 관리에 따른 수익의 총량이 얼마나 되는지 또 얼마나 배분할 수 있는지 모호한 한계가 있다.
한편,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에게는 거래 중개에 따른 수수료 수익과 광고 수익이 있다. 즉, 광고와 서드 파티(third party)를 이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수익 구조이다.
이러한 온라인 플랫폼은 이용자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 그 이용자를 기반으로 다양한 수익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수익 모델은 크게 자체 수익 모델, 광고료 수익 모델, 수수료(중개료) 수익 모델, 로열티 수익 모델, 비수익 모델로 나눌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참여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해야만 작동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에게 수익 배분이 공정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만약,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가 수익을 많이 챙기고 협력자와 제공자에게 적절한 수익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온라인 플랫폼은 기반이 매우 취약하여 아무리 잘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자연히 소멸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2001-0113258 A(2001.12.28) KR 10-2308697 B1(2021.09.28) KR 10-0696286 B1(2007.03.12) KR 10-2021-0121593 A(2021.10.08) KR 10-2020-0082200 A(2020.07.08) KR 10-2020-0123664 A(2020.10.3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각종 콘텐츠로 등부터 얻어지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미리 정한 비율로 배분함으로써 경제적 공생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콘텐츠 등으로 생기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미리 정한 비율로 배분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A)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 중 미리 정한 비율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하는 단계, (B)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 및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를 당해 콘텐츠제작자에게 적립하는 단계, (C) 이용자의 활동 별로 분류하여 각 활동에 따른 활동 점수를 당해 이용자에게 적립하는 단계, (D) 상기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눈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상기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개별 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콘텐츠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미리 정한 비율로 공정하게 배분하여 상호 간에 공생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생태계와 선순환 구조를 이루면서 상생하여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A) 단계는, 이익금의 10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B) 단계에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는,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활동 점수의 10의 1에 해당하는 점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C) 단계에서 이용자의 활동 점수는, 일정 기간 동안 방문 횟수 및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클릭 횟수, 댓글 달기, 이용 시간, 추천, 퍼 나르기, 광고 시청, 구독, 인기도의 구분에 따라 차등으로 부여되는 점수와, 쇼핑 서비스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한 금액의 일부를 합산하여 얻어진 하나의 종합 점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C) 단계에서 이용자의 활동 점수 구분 항목 중 방문 횟수를 카운트할 때,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로그인 기록(log)을 분석하여 방문 횟수가 미리 규정한 횟수 이상이면, 그 규정 위반 횟수에 따라 가산제외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당해 이용자의 활동 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D) 단계는, 상기 콘텐츠제작자 및 상기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해 실명 확인한 지정 계좌로 비례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을 정산하는 이익금 정산부, 정산된 이익금 중 미리 정한 비율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하는 분배금 결정부,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 및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를 당해 콘텐츠제작자에게 적립하는 제작자 실적부, 이용자의 활동 별로 분류하여 각 활동에 따른 활동 점수를 당해 이용자에게 적립하는 이용자 실적부 및 상기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눈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상기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개별 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배분하는 분배금 지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콘텐츠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미리 정한 비율로 공정하게 배분하여 상호 간에 공생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생태계와 선순환 구조를 이루면서 상생하여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분배금 결정부는, 이익금의 10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제작자 실적부는,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활동 점수의 10의 1에 해당하는 점수를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로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실적부는, 일정 기간 동안 방문 횟수 및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클릭 횟수, 댓글 달기, 이용 시간, 추천, 퍼 나르기, 광고 시청, 구독, 인기도의 구분에 따라 차등으로 부여되는 점수와, 쇼핑 서비스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한 금액의 일부를 합산하여 얻어진 하나의 종합 점수를 이용자의 활동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이용자 실적부는, 이용자의 활동 점수 구분 항목 중 방문 횟수를 카운트할 때,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로그인 기록(log)을 분석하여 방문 횟수가 미리 규정한 횟수 이상이면, 그 규정 위반 횟수에 따라 가산제외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당해 이용자의 활동 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비례분배금 지급부는,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해 실명 확인한 지정 계좌로 비례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콘텐츠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미리 정한 비율로 공정하게 배분함으로써 상호 간에 공생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생태계와 선순환 구조를 이루면서 상생하여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제작자들 및 이용자들의 활동과 평가에 비례하여 이익을 나누어 가지게 되는 구조여서 콘텐츠제작자와 이용자 간 네트워크 효과를 최대한 이끌어 내어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가치와 시너지가 창출되고, 이를 통해 모두가 윈윈(win-win)하는 생태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아울러 회원으로 가입한 이용자에게만 이익금을 배분하기 때문에 일반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더 높은 수준의 타깃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서버의 프로세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듈"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고, 또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고, 또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고, 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으며, 또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콘텐츠(contents)"란 기사, 소설, 시, 애니메이션, 웹툰, 음악, 댄스 영상, 만화, 사진 등의 문화적 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매체에 체화된 무형의 결과물을 말한다. 예를 들어, 부호ㆍ문자ㆍ도형ㆍ색채ㆍ음성ㆍ음향ㆍ이미지 및 영상 등(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한다)의 자료 또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일례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결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제작자"란 온라인 플랫폼에 콘텐츠를 제작하여 올리고 정보를 제공하는 자를 말하고, "콘텐츠사업자"란 콘텐츠의 제작ㆍ유통 등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를 말하며, "이용자"란 콘텐츠사업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하는 자를 말한다.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이란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이다. 즉, 각종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환경을 뜻하는 것으로, 서비스나 콘텐츠가 구현되는 환경 또는 기반,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말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반에서 콘텐츠를 공유, 전송 및 유통하는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일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100)와 복수의 제작자 단말(200)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300)을 포함하고 있다.
서버(100)는 콘텐츠의 게시 및 광고의 표출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고, 콘텐츠 업로드, 이용자의 활동 및 평가 등에 따라 부여되는 개별 점수에 비례하여 각 콘텐츠제작자와 이용자에게 분배금을 배분한다.
즉, 서버(100)는 복수의 제작자 단말(200)들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300)들을 대상으로 광고나 쇼핑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복수의 제작자 단말(200)들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30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제작자 단말(200)들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300)들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제작자 단말(200)들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300)들 각각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광고나 쇼핑 등의 서비스를 복수의 이용자 단말(300)들로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제작자 단말(200)들 및 복수의 이용자 단말(300)들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콘텐츠를 제작하여 올리고 정보를 제공한다.
이용자 단말(300)은 서버(100)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활동과 평가를 등록한다.
여기서 제작자 단말(200) 및 이용자 단말(300)은 모바일 기기나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예로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톱(desktop) PC, 랩탑(laptop) PC, 넷북(netbook)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사전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버(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통신모듈(130) 및 입출력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110)는 복수의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로그 데이터, 복수의 콘텐츠제작자가 등록한 콘텐츠, 콘텐츠에 대한 이익 분배 기준을 포함하는 이익 분배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을 분배하는 데에 이용되는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을 분배하는 데에 이용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110)는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광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회원으로 가입된 콘텐츠제작자와 이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운영체제의 코드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10) 또는 통신모듈(130)에 의해 프로세서(1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서버(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20)는 콘텐츠제작자가 창작 및 생성한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고, 통신모듈(13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콘텐츠의 사용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의 이익 분배 기준을 설정한 이익 분배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버(100)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제작자 단말(200)들 및 이용자 단말(300)들과 서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작자 단말(200) 또는 이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가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모듈(130)과 네트워크를 거쳐 제작자 단말(200) 또는 이용자 단말(300)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어 제작자 단말(200) 또는 이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나 메모리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별도의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30)은 무선 랜(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FD(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red La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3G, 4G, 및 5G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130)은 칩셋(chipset) 형태의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입출력부(14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제작자 단말(200)로부터 콘텐츠, 정보 등을 수신하고, 별도의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물 등을 수신한다.
그리고 입출력부(140)는 콘텐츠, 정보 등의 입출력에 따른 처리 현황과 프로세서의 처리 상황을 디스플레이 및 통신모듈(130)을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서버의 프로세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로세서(120)는 이익금 정산부(121), 분배금 결정부(122), 제작자 실적부(123), 이용자 실적부(124), 비례분배금 지급부(125)를 포함하고 있다.
이익금 정산부(121)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예를 들어, 일별이나 주별 또는 월별)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을 정산한다.
여기서 이익금은 자체 수익 모델, 광고료 수익 모델, 거래 수수료(중개료) 수익 모델, 로열티 수익 모델, 비수익 모델, 구독형 수익 모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창출되는 일정 기간의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공제한 차액일 수 있다.
분배금 결정부(122)는 정산된 이익금 중 미리 정한 비율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분배금 결정부(122)는 이익금의 10의 9에 해당하는 금액(10%)을 분배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작자 실적부(123)는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 및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를 당해 콘텐츠제작자에게 적립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는 건당 10점을 부여할 수 있고,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는 미리 정한 기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활동 점수의 10의 1에 해당하는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용자 실적부(124)는 회원가입과 로그인한 이용자의 활동 별로 분류하여 각 활동에 따른 활동 점수를 당해 이용자에게 적립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의 활동 점수는, 일정 기간 동안 인터넷 플랫폼의 방문 횟수 및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클릭 횟수, 댓글 달기, 이용 시간, 추천, 퍼 나르기, 광고 시청, 구독, 인기도의 구분 항목에 따라 차등으로 부여되는 점수(1~5점)와, 쇼핑 서비스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금액의 일부(일례로 제품 공급에 대한 결제금액의 1%당 1점으로 환산)를 합산하여 얻어진 하나의 종합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 실적부(124)는 이용자의 활동 점수 구분 항목 중 방문 횟수를 카운트할 때,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로그인 기록(log)을 분석하여 방문 횟수가 미리 규정한 횟수 이상이면, 그 규정 위반 횟수에 따라 가산제외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당해 이용자의 활동 점수에 반영함으로써 이용자가 고의로 일정 기간 동안 인터넷 플랫폼의 방문을 많이 하는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비례분배금 지급부(125)는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눈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개별 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배분한다.
여기서 비례분배금 지급부(125)는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해 지정된 계좌로 비례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 중 미리 정한 비율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한다(S101).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이익금 정산부(121)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일례로 일별이나 주별 또는 월별)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공제한 차액을 이익금으로 정산하고, 분배금 결정부(122)는 정산된 이익금의 10의 9에 해당하는 금액(10%)을 분배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 및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를 당해 콘텐츠제작자에게 적립한다(S103).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제작자 실적부(123)는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는 건당 10점을 부여할 수 있고,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는 미리 정한 기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활동 점수의 10의 1에 해당하는 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원가입과 로그인한 이용자의 활동 별로 분류하여 각 활동에 따른 활동 점수를 당해 이용자에게 적립한다(S105).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이용자 실적부(124)는 일정 기간 동안(일별, 주별, 월별) 인터넷 플랫폼의 방문 횟수 및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클릭 횟수, 댓글 달기, 이용 시간, 추천, 퍼 나르기, 광고 시청, 구독, 인기도의 구분 항목에 따라 차등으로 부여되는 점수와, 쇼핑 구매 금액의 일부를 합산하여 얻어진 하나의 종합 점수로 이용자의 활동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 실적부(124)는 이용자의 활동 점수 구분 항목 중 방문 횟수를 카운트할 때,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로그인 기록(log)을 분석하여 방문 횟수가 미리 규정한 횟수 이상이면, 그 규정 위반 횟수에 따라 가산제외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당해 이용자의 활동 점수에 반영함으로써 이용자가 고의로 일정 기간 동안 인터넷 플랫폼의 방문을 많이 하는 부정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가령, 이용자 실적부(124)는 이용자의 활동 점수 구분 항목 중 방문 횟수에 따라 이용자에게 적립하는 활동 점수를 1회당 1점으로 설정하고, 이용자의 24시간 동안 규정된 방문 횟수를 3회 이하로 설정한 상태에서 특정 이용자의 로그인 기록이 5회 이상일 경우, 그 설정 횟수보다 추가된 횟수, 즉 2회에 해당하는 -2점의 가산제외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활동 점수 5점에 반영하여 감산된 3점만을 적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누어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배분한다(S107).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비례분배금 지급부(125)는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해 실명 확인한 지정 계좌로 비례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비례분배금 지급부(125)의 비례분배금 산출 과정은,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즉, 비례분배금은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눈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또는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개별 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별로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가령, 제작자 단말(200)들을 통해 제1 콘텐츠제작자가 업로드한 제1 콘텐츠의 창작 점수가 10점이고, 제2 콘텐츠제작자가 업로드한 제2 콘텐츠의 창작 점수가 10점 및 제2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들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가 5점이고, 이용자 단말(300)들을 통해 제1 이용자가 제1 및 제2 콘텐츠 관련된 조회, 추천, 퍼 나르기, 구독, 기타 등의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부여받은 총 활동 점수가 90점이고, 제2 이용자가 제1 및 제2 콘텐츠 관련된 조회, 추천, 퍼 나르기, 구독, 기타 등의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부여받은 총 활동 점수가 50점이며, 결정된 분배금이 800,000원인 경우 모든 개별 점수는 175점이므로, 상기의 수학식에 의해 제1 콘텐츠제작자에게는 (800,000/165)×10≒48,480원, 제2 콘텐츠제작자에게는 (800,000/165)×10≒72,720원, 제1 이용자에게는 (800,000/165)×90≒436,360원, 제2 이용자에게는 (800,000/165)×50≒242,420원의 비례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은 콘텐츠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금을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콘텐츠사업자)와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공정하게 배분함으로써 상호 간에 공생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생태계와 선순환 구조를 이루면서 상생하여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다.
즉, 콘텐츠제작자들 및 이용자들의 활동과 평가에 비례하여 이익을 나누어 가지게 되는 구조여서 콘텐츠제작자와 이용자 간 네트워크 효과를 최대한 이끌어 내어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가치와 시너지 창출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달라진다.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의 조합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불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콤팩트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상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121: 이익금 정산부
122: 분배금 결정부 123: 제작자 실적부
124: 이용자 실적부 125: 비례분배금 지급부
130: 통신모듈 140: 입출력부
200: 제작자 단말 300: 이용자 단말

Claims (10)

  1. 다음의 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
    (A)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 중 미리 정한 비율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하는 단계;
    (B)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 및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를 당해 콘텐츠제작자에게 적립하는 단계;
    (C) 이용자의 활동 별로 분류하여 각 활동에 따른 활동 점수를 당해 이용자에게 적립하는 단계;
    (D) 상기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눈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상기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개별 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배분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익금의 10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분배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는,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활동 점수의 10의 1에 해당하는 점수이고,
    상기 (C) 단계에서 이용자의 활동 점수는, 일정 기간 동안 방문 횟수 및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클릭 횟수, 댓글 달기, 이용 시간, 추천, 퍼 나르기, 광고 시청, 구독, 인기도의 구분에 따라 차등으로 부여되는 점수와, 쇼핑 서비스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한 금액의 일부를 합산하여 얻어진 하나의 종합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이용자의 활동 점수 구분 항목 중 방문 횟수를 카운트할 때,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로그인 기록(log)을 분석하여 방문 횟수가 미리 규정한 횟수 이상이면, 그 규정 위반 횟수에 따라 가산제외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당해 이용자의 활동 점수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콘텐츠제작자 및 상기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해 실명 확인한 지정 계좌로 상기 비례분배금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방법.
  6.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익 모델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을 정산하는 이익금 정산부;
    정산된 이익금 중 미리 정한 비율을 차감하고 나머지 금액을 분배금으로 결정하는 분배금 결정부;
    콘텐츠제작자의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창작 점수 및 업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를 당해 콘텐츠제작자에게 적립하는 제작자 실적부;
    이용자의 활동 별로 분류하여 각 활동에 따른 활동 점수를 당해 이용자에게 적립하는 이용자 실적부; 및
    상기 분배금을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가 적립한 개별 점수를 모두 합산한 총점으로 나눈 개별 점수당 단가를 산출하고, 상기 분배금의 총액에 대해서 각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개별 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에 개별 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배분하는 비례분배금 지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금 결정부는, 상기 이익금의 10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분배금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자 실적부는,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활동 점수의 10의 1에 해당하는 점수를 이용자의 활동에 따른 평가 점수로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실적부는, 일정 기간 동안 방문 횟수 및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 클릭 횟수, 댓글 달기, 이용 시간, 추천, 퍼 나르기, 광고 시청, 구독, 인기도의 구분에 따라 차등으로 부여되는 점수와, 쇼핑 서비스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한 금액의 일부를 합산하여 얻어진 하나의 종합 점수를 이용자의 활동 점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실적부는, 이용자의 활동 점수 구분 항목 중 방문 횟수를 카운트할 때,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이용자의 로그인 기록(log)을 분석하여 방문 횟수가 미리 규정한 횟수 이상이면, 그 규정 위반 횟수에 따라 가산제외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당해 이용자의 활동 점수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례분배금 지급부는, 콘텐츠제작자 및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해 실명 확인한 지정 계좌로 비례분배금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KR1020210159020A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72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20A KR20230072605A (ko)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20A KR20230072605A (ko)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605A true KR20230072605A (ko) 2023-05-25

Family

ID=8654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020A KR20230072605A (ko)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60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258A (ko) 2000-06-19 2001-12-28 이교용 디지털 콘텐츠 유료로 제공하는 개인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수익 분배 방법 및 관리 시스템
KR100696286B1 (ko) 2006-07-06 2007-03-19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광고료 수익분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20-07-08 황재윤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KR20200123664A (ko)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투플렌 광고 수익금 배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08697B1 (ko) 2020-01-09 2021-10-05 주식회사 261하우스 리뷰 콘텐츠 수익 분배 시스템
KR20210121593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수익을 공유하는 방법 및 게임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258A (ko) 2000-06-19 2001-12-28 이교용 디지털 콘텐츠 유료로 제공하는 개인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수익 분배 방법 및 관리 시스템
KR100696286B1 (ko) 2006-07-06 2007-03-19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광고료 수익분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20-07-08 황재윤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KR20200123664A (ko)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투플렌 광고 수익금 배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08697B1 (ko) 2020-01-09 2021-10-05 주식회사 261하우스 리뷰 콘텐츠 수익 분배 시스템
KR20210121593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의 수익을 공유하는 방법 및 게임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403B2 (en) Application of dynamic tokens
US20130185198A1 (en) Incremental Content Purchase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20147988A1 (en) Creating a smart contract on a blockchain ledger
CN111612551A (zh) 商家进行用户数据引流的方法及系统
CN101438309A (zh) 用于在线广告的分布式体系结构
CN111667300A (zh) 基于区块链智能合约的广告自动化交易与投放方法及系统
EP30914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ed content presentation based on search query analysis
JP2014029705A (ja) 柔軟な収入分配および参照報奨金システム
US201403168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ndorsements
Joo et al. Design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like Blockchain, for advertising markets
KR20210118509A (ko) 포인터 환원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중개 및 유통시스템
KR20130043843A (ko) 다단계 배당 구조에 기반한 온라인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6788063B2 (ja) 利用者を通じてコンテンツに対する報酬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Dempsey et al. Revenue models and pricing strategies in the B2B SaaS Market
Suryanarayana et al. Information design in affiliate marketing
KR20210086551A (ko)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KR20190113075A (ko) 스토리 창작 기여에 따른 리워드 분배 시스템
KR102321495B1 (k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의 활동 보상과 광고 거래를 실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30110B1 (ko) 개인 계정의 가상 부동산화를 이용한 권리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72605A (ko)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586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저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224064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においてユーザーの活動補償と広告取引を実行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201853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customer-provided information within social media applications
Buxton et al. The Internet as a small business e-commerce ecosystem
KR102523298B1 (ko) 개인계정의 가상부동산화를 이용한 권리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