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200A -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200A
KR20200082200A KR1020180172557A KR20180172557A KR20200082200A KR 20200082200 A KR20200082200 A KR 20200082200A KR 1020180172557 A KR1020180172557 A KR 1020180172557A KR 20180172557 A KR20180172557 A KR 20180172557A KR 20200082200 A KR20200082200 A KR 20200082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viding
content
advertisement
category
provid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윤
Original Assignee
황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윤 filed Critical 황재윤
Priority to KR102018017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200A/ko
Publication of KR2020008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내 콘텐츠 카테고리별로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동영상, 블로그 글이나 웹툰 등의 이미지, 프로그램, 음악 파일 등의 정보 제공 콘텐츠를 랜덤하게 제공하되,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증가분에 비례하여 컨텐츠 제공자들에게 광고비를 분배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업로드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에 따른 비용을 지불받을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연동하여 광고비를 추가 지불받을 수 있게 되면서 더 많은 수익 창출을 위해 양질의 정보 제공 콘텐츠를 발굴하여 업로드하고,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입장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양질의 정보 제공 콘텐츠를 통해 더 많은 구독자를 확보하고 그 확보된 구독자에 비례하여 더 많은 광고 유치를 통해 수익 창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Ads revenue distribution method using information contents platform}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예; 유튜브, 네이버/다음 블로그, 인스타그램, 구글크롬케스트, 애플TV, 카카오TV, 넷플릭스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예; 동영상, 블로그 글이나 이미지, 프로그램, 음악 파일 등)에 포함되는 광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내 콘텐츠 제공자의 콘텐츠 조회수(view)에 연동하여 광고 등록시, 그 광고의 조회수 증가에 비례하여 콘텐츠 제공자에게 광고비를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PC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정보 제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하는 유튜브, 네이버/다음 블로그, 구글크롬케스트, 애플TV, 카카오TV, 넷플릭스 등과 같은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은 유무선 통신망의 확대와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수요층이 대폭 늘어나면서 콘텐츠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광고매체로 성장하고 있고 콘텐츠 시장 점유율도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한편, 정보 제공 콘텐츠 시장의 환경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각종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는 다양한 수익과 연결되는 중요한 판단 지표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튜버라 불리는 콘텐츠 제공자가 유튜브에 동영상을 업로드한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채널 구독 신청을 하거나 또는 정보 제공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유튜브 서버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view)에 따라 일정금액의 비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콘텐츠 제공자는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양질의 정보 제공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업로드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콘텐츠 제공자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내에서 정보 제공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가 많을수록 수익도 함께 증가하는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예로, 기존의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에서는 특정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조회할 때, 그 조회에 따른 1뷰(view)당 금액(예; 1원)을 책정하는 것으로, 10만뷰이면 10만원을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하는 것이다.
한편, 1뷰당 일정 금액을 책정하고 그 조회수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금액을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시,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자는 좋은 콘텐츠로 인해 많은 독자들이 생기는 것을 감안하여 광고를 받음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은 사이트에 올라 오는 광고로 인한 수입이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자가 가지는 것이지 콘텐츠 제공자에게 들어온 광고비를 직접 나누어주는 것이 아니며, 즉,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에 광고가 많이 올라와도 광고비로 돈을 버는 것은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자이고, 좋은 콘텐츠를 생성해서 제공한 콘텐츠 제공자들은 그냥 조회수당 정해진 금액만을 받을 뿐이다.
즉, 기존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를 랜덤으로 조회수가 상당히 높은 정보 제공 콘텐츠 중간에 수회 끼워 넣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콘텐츠 제공자들은 광고가 적게 올라 오더라도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에 따른 정해진 금액을 받을 수 있지만,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자가 유치하는 광고비 수익을 전혀 분배받을 수는 없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 상당 기간 정보 제공 콘텐츠 를 노출시켜 조회수를 높여야만 수익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6140호(공고일 2015.07.14.)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5693호(공개일 2015.12.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8045호(공개일 2017.07.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내 콘텐츠 카테고리별로 정보 제공 콘텐츠를 랜덤하게 제공하되,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증가분에 비례하여 컨텐츠 제공자들에게 광고비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은, (a)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내의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콘텐츠 제공자가 정보 제공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업로드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가 이용자들에 의해 조회될 때, 그 조회수에 따라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광고비(Qm)가 책정된 광고를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광고비(Qm)가 책정된 광고가 등록시, 그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각 분야별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카운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에 비례하여 상기 (b)단계로부터 책정된 광고비(Qm)에서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할 개별 광고비(Qn)를 각각 산출하고 이를 콘텐츠 제공자에게 각각 분배 지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b)단계에서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등록되는 광고의 광고비(Qm)는 각 분야별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들의 전체 조회수에 비례하여 책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카운트는, 분야별 카테고리에 관련한 광고가 분배 제공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광고 재생 시점과 광고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제공 콘텐츠들의 조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개별 광고비(Qn) 산출은, 각 분야별 카테고리에 관련한 광고가 분배 제공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광고 재생 시점과 광고 종료 시점 사이에서 분야별 각 카테고리내 각 정보 제공 콘텐츠들의 조회수 증가분에 대한 합을 분모로 설정하고, 광고의 재생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 사이에서 분야별 각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들 중에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증가분을 분자로 설정하면서, 상기 분모와 분자의 연산식에 상기 총 광고비(Qm)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단계에는,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개별 광고비(Qn)가 분배 지불된 상태에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불량 게시물로 이의 신청 접수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불량 게시물인지를 확인하는 투표를 일정기간동안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투표 결과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불량 게시물로 투표되면, 불량 게시물을 업로드한 특정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된 개별 광고비(Qn)를 환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단계에는, 불량 게시물을 업로드한 특정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된 개별 광고비(Qn)가 환수 처리시, 그 환수 처리된 개별 광고비(Qn)는 불량 게시물에 대한 이의 신청 접수자 또는 불량 게시물을 걸러내는데 기여한 참여자에게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내 콘텐츠 카테고리별로 광고 영상이나 이미지를 랜덤하게 제공하되,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증가분에 비례하여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광고비를 분배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업로드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에 따른 비용을 지불받을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연동하여 광고비를 추가 지불받을 수 있게 되면서 더 많은 수익 창출을 위해 양질의 정보 제공 콘텐츠를 발굴하여 업로드하고,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입장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업로드되는 양질의 정보 제공 콘텐츠를 통해 더 많은 구독자를 확보하고 그 확보된 구독자에 비례하여 더 많은 광고 유치를 통해 수익 창출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콘텐츠 제공자에 지급될 개별 광고비(Qn)를 산출하는 상태의 보인 도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러한 시스템 구성도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내에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를 구성하여둔 것이고, 이에따라 콘텐츠 제공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상기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해당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예; 동영상, 블로그 글이나 웹툰 등의 이미지, 프로그램, 음악 파일 등)를 업로드하게 됨으로써, 콘텐츠 이용자 단말(300)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에서 관리하는 각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를 검색한 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광고 서버(400)를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에 비례하여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내에 광고를 분배 등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 단말(200)과 콘텐츠 이용자 단말(3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등은 물론 유,무선의 인터넷망 접속이 가능한 단말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축으로부터 실행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은 (a)단계 내지 (d)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기본적으로 콘텐츠 제공자가 단말(200)을 통해 각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업로드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를 이용자들이 단말(300)을 통해 조회할 때 그 조회수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한편, 운영서버(100)에서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분배 등록하는 광고의 광고비를 일정비율로 분배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a)단계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내의 분야별 카테고리(C1(예; 영화), C2(예; 엔터테인먼트), C3(예; 부동산), C4(예; 백과사전),…,Cn(예; 만화))에 각각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 단말(200)을 통해 업로드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의 (b)단계로서, 상기 (a)단계로부터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각각 업로드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가 이용자들의 단말(300)에 의해 의해 조회될 때, 그 조회수에 따라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광고서버(400)로부터 제공받는 광고를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각각 등록하고 그 등록된 광고의 광고비(Qm)를 책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예로, 하나의 카테고리(C1)내 정보 제공 콘텐츠 조회가 100회이고, 다른 하나의 카테로기(C3)내 정보 제공 콘텐츠 조회가 500회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테고리(C1, C3)에 각각 광고를 등록하여두지만, 그 광고의 광고비는 조회수에 비례하여 책정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카테고리(C3)내에 등록되는 광고비는 다른 카테고리(C1)내에 등록된 광고의 광고비보다 약 5배 정보 차이가 나며, 이는 정보 제공 콘텐츠에 비례하여 광고비를 책정하기 때문이다.
다음의 (c)단계로서, 상기 (b)단계로부터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각각 광고비(Qm)가 책정된 광고가 등록시, 그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각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내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를 카운트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카운트는 각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관련한 광고가 분배 제공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광고 재생 시점과 광고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제공 콘텐츠들의 조회수를 카운트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d)단계로서,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상기 (c)단계로부터 카운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에 비례하여 상기 (b)단계로부터 책정된 광고비(Qm)에서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할 개별 광고비(Qn)를 각각 산출하고 이를 콘텐츠 제공자에게 각각 분배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별 광고비(Qn) 산출은, 상기 (c)단계로부터 각 분야별 카테고리(C1, C2, C3, C4,…,Cn)에 관련한 광고가 분배 제공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광고 재생 시점과 광고 종료 시점 사이에서 분야별 각 카테고리(C1, C2, C3, C4,…,Cn)내 각 정보 제공 콘텐츠들의 조회수 증가분에 대한 합(Tn+Tn+1)을 분모로 하고, 광고의 재생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 사이에서 분야별 각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들 중에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증가분(Tn 또는 Tn+1)을 분자로 하면서, 상기 분모(Tn+Tn+1)와 분자(Tn 또는 Tn+1)의 연산식에 상기 (b)단계에서 책정한 총 광고비(Qm)를 곱셈 연산한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이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일예로,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가 하나의 카테고리(C1)내에서 제 1의 콘텐츠 제공자가 업로드한 정보 제공 콘텐츠(A1)는 광고 등록 시점의 조회수가 10만이고, 제 2의 콘텐츠 제공자가 업로드한 정보 제공 콘텐츠(A2)는 광고 등록 시점의 조회수가 7만인 경우, 상기와 같은 조회수(A1=10만, A2=7만)에 비례하여 광고를 분배 제공하는 한편 그 분배 제공되는 광고의 광고비(Qm)가 100만원으로 책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우선 광고가 분배 제공되는 시점인 상기 10만(A1)과 상기 7만(A2)의 조회수 시점을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광고 재생 시점(P1)으로 설정하고, 광고가 종료되는 시점(P2)에서의 정보 제공 콘텐츠(A1, A2)에 대한 조회수를 각각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카운트에 따라 광고가 종료되는 시점(P2)에서의 정보 제공 콘텐츠(A1, A2)를 각각 15만, 10만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광고의 재생 시점(P1)과 종료 시점(P2) 사이에서 정보 제공 콘텐츠(A1, A2)의 조회수 증가분은 각각 10만→15만으로 +5만(Tn) 증가하고, 7만→10만으로 +3만(Tn+1) 증가된 것이므로 그 증가된 합(Tn+Tn+1)은 +8만이며 이를 분모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광고의 재생 시점(P1)과 종료되는 시점(P2) 사이의 정보 제공 콘텐츠(A1, A2)들 중에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A1 또는 A2)의 조회수 증가분(+5만(Tn) 또는 +3만(Tn+1))을 분자로 설정한 후, 상기 분모(5만(Tn)+3만(Tn+1))와 분자(5만(Tn) 또는 3만(Tn+1))의 연산식에 상기 (b)단계에서 책정한 총 광고비(Qm)인 100만원을 곱셈 연산하면, 제 1의 콘텐츠 제공자(A1) 또는 제 2의 콘텐츠 제공자(A2)에게 지불할 개별 광고비(Qn)가 각각 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 1의 콘텐츠 제공자는 "5만(Tn)/(5만(Tn)+3만(Tn+1))×100만원(Qm) = 625,000원" 이 개별 광고비(Qn)로 지불되는 것이고, 제 2의 콘텐츠 제공자는 "3만(Tn+1)/(5만(Tn)+3만(Tn+1))×100만원(Qm) = 375,000원" 이 개별 광고비(Qn)로 지불되는 것이며, 이는 카테고리내에서의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에 비례하여 분배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각각 개별 광고비(Qn)가 분배 지불된 상태에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불량 게시물로 이의 신청이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에 접수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불량 게시물인지를 확인하는 투표를 일정기간동안 진행할 수 있으며, 그 투표 진행에 따라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불량 게시물로 투표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는 불량 게시물을 업로드한 특정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한 개별 광고비(Qn)를 환수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에 양질의 정보 제공 콘텐츠를 업로드시에는 그 업로드에 따른 확실한 보상이 주어지고, 불량적인 정보 제공 콘텐츠를 업로드할 경우에는 이에따른 확실한 벌칙을 부여함으로써, 불량 게시물 등록으로 인한 이용자들의 2차적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100)에서 진행하는 투표는 콘텐츠 제공자는 물론 이용자들이 모두 참여하는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정보 제공 콘텐츠에 이 불량 게시물인지를 어느 정도 구분 가능한 전문 콘텐츠 제공자들만 참여하여 투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 불량 게시물을 업로드한 특정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된 개별 광고비(Qn)가 환수 처리될 ‹š, 그 환수 처리된 개별 광고비(Qn)는 불량 게시물에 대한 이의 신청 접수자 또는 불량 게시물을 걸러내는데 기여한 참여자에게 인센티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불량 게시물인지를 어느 정도 구분 가능한 전문 콘텐츠 제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면서 불량 게시물 등록으로 인한 이용자들의 2차적인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면서, 건전한 정보 제공 콘텐츠 유통을 유도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
200; 콘텐츠 제공자 단말
300; 콘텐츠 이용자 단말
400; 광고서버

Claims (6)

  1. (a)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 운영서버내의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콘텐츠 제공자가 정보 제공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로부터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업로드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가 이용자들에 의해 조회될 때, 그 조회수에 따라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광고비(Qm)가 책정된 광고를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로부터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광고비(Qm)가 책정된 광고가 등록시, 그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각 분야별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로부터 카운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조회수에 비례하여 상기 (b)단계로부터 책정된 광고비(Qm)에서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할 개별 광고비(Qn)를 각각 산출하고 이를 콘텐츠 제공자에게 각각 분배 지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분야별 카테고리에 각각 등록되는 광고의 광고비(Qm)는 각 분야별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들의 전체 조회수에 비례하여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카운트는, 분야별 카테고리에 관련한 광고가 분배 제공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광고 재생 시점과 광고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제공 콘텐츠들의 조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개별 광고비(Qn) 산출은,
    각 분야별 카테고리에 관련한 광고가 분배 제공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광고 재생 시점과 광고 종료 시점 사이에서 분야별 각 카테고리내 각 정보 제공 콘텐츠 들의 조회수 증가분에 대한 합을 분모로 설정하고, 광고의 재생 시점과 종료되는 시점 사이에서 분야별 각 카테고리내 정보 제공 콘텐츠들 중에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의 조회수 증가분을 분자로 설정하면서, 상기 분모와 분자의 연산식에 상기 총 광고비(Qm)를 곱셈 연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는,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개별 광고비(Qn)가 분배 지불된 상태에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불량 게시물로 이의 신청 접수시,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불량 게시물인지를 확인하는 투표를 일정기간동안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투표 결과 특정 정보 제공 콘텐츠가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불량 게시물로 투표되면, 불량 게시물을 업로드한 특정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된 개별 광고비(Qn)를 환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는, 불량 게시물을 업로드한 특정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된 개별 광고비(Qn)가 환수 처리시, 그 환수 처리된 개별 광고비(Qn)는 불량 게시물에 대한 이의 신청 접수자 또는 불량 게시물을 걸러내는데 기여한 참여자에게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소 수익 분배 방법.
KR1020180172557A 2018-12-28 2018-12-28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KR20200082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57A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18-12-28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57A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18-12-28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00A true KR20200082200A (ko) 2020-07-08

Family

ID=7160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57A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18-12-28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2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720A (ko) 2021-04-22 2022-10-31 박석동 크라우드 펀딩에 기반한 디지털 콘텐츠 프로모션 장치 및 방법
KR102488807B1 (ko) * 2022-08-03 2023-01-13 권순철 사용자 이용 분석에 따른 교육 콘텐츠에 대한 보상 산정 방법
KR20230072605A (ko) 2021-11-18 2023-05-25 정행섭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140B1 (ko) 2013-07-26 2015-07-14 주현선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20150135693A (ko) 2014-05-23 2015-12-03 주식회사 모브릭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78045A (ko)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마일스톤스토리 본 발명은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업로드 시스템 및 구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140B1 (ko) 2013-07-26 2015-07-14 주현선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20150135693A (ko) 2014-05-23 2015-12-03 주식회사 모브릭 게시자에 의해 온라인 광고와 함께 게시된 온라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78045A (ko)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마일스톤스토리 본 발명은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업로드 시스템 및 구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720A (ko) 2021-04-22 2022-10-31 박석동 크라우드 펀딩에 기반한 디지털 콘텐츠 프로모션 장치 및 방법
KR20230072605A (ko) 2021-11-18 2023-05-25 정행섭 콘텐츠 이익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8807B1 (ko) * 2022-08-03 2023-01-13 권순철 사용자 이용 분석에 따른 교육 콘텐츠에 대한 보상 산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6016A1 (en) Participating in Television Programs
US69479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luencing dynamic community shared elements of audio, video, and text programming via a polling system
CN113316800A (zh) 多线程智能路由媒体的互操作数字社交记录器及加密资产合规和支付系统和方法
KR102122115B1 (ko) 온라인 이벤트 기반 타깃광고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147258B2 (en) System for crowdfunding and crowdsourcing competition
KR20200082200A (ko)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Zhao et al. Direct and indirect spillovers from content providers’ switching: Evidence from online livestreaming
KR101981612B1 (ko) 인플루언서 마케팅 실행 결과의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48524A (ko) 크라우딩 펀딩 시스템
US201701404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and distributing messages
US201402225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marketing with consumer participation
KR20000063733A (ko)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시청시 적립금 지급 방법 및시스템
KR102095549B1 (ko) 지인을 이용한 릴레이 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62741A1 (en) Entertainment Fantasy League
KR102198253B1 (ko) 크리에이터-광고주-후원자 상생 플랫폼 시스템
KR102267710B1 (ko) 이용자의 광고 기여 이익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수익 배분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1716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crowdfunding platform
Maher et al. Digital disruption and innovation in distribution: Opportunities for research-based filmmaking in the new global screen ecology
Chen Willingness to Pay for Online Sport Broadcasting Platforms in China: Monopoly and Shared Content
US20190122240A1 (en) Media deploy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Imranovic Factors Influencing on User Choice of Video Streaming Services
KR101709439B1 (ko) 뉴스와 sns가 조화된 인터뷰 뉴스 플랫폼 제공장치
KR20200138099A (ko) 크라우딩 펀딩 시스템
KR100939202B1 (ko) 동영상을 이용한 포인트 관리시스템
TW202203135A (zh) 先行投資型表演者支援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