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140B1 -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140B1
KR101536140B1 KR1020130088837A KR20130088837A KR101536140B1 KR 101536140 B1 KR101536140 B1 KR 101536140B1 KR 1020130088837 A KR1020130088837 A KR 1020130088837A KR 20130088837 A KR20130088837 A KR 20130088837A KR 101536140 B1 KR101536140 B1 KR 10153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tent
user
application program
provid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382A (ko
Inventor
주현선
Original Assignee
주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선 filed Critical 주현선
Priority to KR102013008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140B1/ko
Priority to US14/907,816 priority patent/US10397630B2/en
Priority to CN201480050335.2A priority patent/CN105531737B/zh
Priority to PCT/KR2014/006679 priority patent/WO2015012581A2/ko
Publication of KR2015001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동영상을 편집 및 제작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들이 스마트기기를 통해 자신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구매하여 재생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플랫폼을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하여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콘텐츠의 특징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징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최적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의 구매 및 활용이 용이하도록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AN APPARATUS FOR A PLATFORM TO PROVIDE VIDEO CONTENTS AND THE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직접 제작 및 편집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판매하거나 구매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문화생활에 대한 인식이 넓어지면서 건강관리 및 취미생활의 한 일환으로 크게 성장했었던 방송댄스 학원, 요가 학원 등의 안무 학원 시장이 최근 경기 침체와 사회 불안정으로 인해 급격히 좁아지고 있다. 더불어 최근 각종 매체들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요가동작이나 운동동작, 댄스동작 등의 안무 동작들을 동영상의 형태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한 스마트 기기에서 재생해 보며 배울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오프라인으로 안무가에게 직접 안무를 배우던 흐름이 현재는 동영상으로 개인 휴대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재생하며 배울 수 있는 흐름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최근 유명가수가 타가수의 특정 안무에 대한 저작권을 구매하여 큰 이슈가 되었듯이, 안무는 음악의 부수적 요소가 아니라 독립된 창조물로서 음악과 독립되어 있어도 충분히 상품성이 있다는 인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넓게 퍼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실정으로 인하여 안무를 동영상의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자들이 개인 휴대기기를 통해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종래에는 춤, 요가동작 등과 같은 안무를 창작할 때 주로 기억에 의존하여야 했고 창작한 안무동작을 타인에게 전수할 때에도 안무가가 직접 오프라인으로 시범을 보이면서 전수하여야 했다. 한편 안무가가 안무를 창작하거나 타인에게 전수할 때 신체의 모든 동작을 기술할 수 있는 Labanotation 무용기보법을 사용하여 안무동작들을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일반 사람들이 보고 이해하려면 따로 Labanotation 무용기보법의 표기법에 대해 학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 표현력에 있어서 동영상보다는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사용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동영상녹화기를 사용하여 안무를 녹화해가면서 창작하고 완성된 안무도 이와 같이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타인에게 전수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따로 안무동작 녹화를 위한 동영상녹화기를 구비해야 하고, 또한 안무가가 안무 동영상을 제작하여 유통하기까지 수많은 중간과정과 비용이 소모되고, 안무가와 사용자(소비자)간의 관계가 단방향적이라서 안무가는 자신의 창작한 안무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알기 힘들고, 더불어 사용자 또한 자신이 원하는 안무 동영상을 쉽게 검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문 안무가 수준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안무를 창작하고 이를 타사용자들과 공유하며 그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고 싶을 때도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를 통해 자신의 안무 영상을 올리는 것이 고작일 뿐, 체계적인 시스템 안에서 효율적으로 이러한 동영상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실정으로 인해, 안무를 창작하고 소비하는데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해지고 있는 바, 본 발명은 안무가들이 규격화된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도록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안무가가 자신이 창작한 안무 동영상 콘텐츠를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여러 사용자에게 즉각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그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전문 안무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안무동작을 창작하여 유통할 수 있는 양방향적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사용자들이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통해 직접 동영상을 편집 및 제작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들이 스마트기기를 통해 자신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구매하여 재생해 볼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랫폼을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하여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SaaS(Software as a Service) 측면에서도 구현하여 사용자들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한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콘텐츠의 특징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징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최적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의 구매 및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영상 제공 플랫폼 장치는, 동영상 콘텐트의 편집, 재생, 유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버;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와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편집, 재생, 유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에게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 및 재생을 통한 창작 또는 재창작이 가능한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동영상을 유통하거나 배포하는 것이 가능한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증/관리부, 과금 정보 제공/처리부, 서비스 제어부, 저장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앱 제공/관리/지원부; 및 통계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되어,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안무 창작 유틸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규격에 맞는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고, 안무 보관함을 통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팔로우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들 간에 동영상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신규 안무, 신인 안무가 소개 및 이벤트와 워크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핫 이슈 정보 및 인기 동영상 콘텐츠 차트 또는 인기 콘텐츠 제작자 차트를 제공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 처리부는, 동영상 콘텐츠의 댓글, 좋아요, 별점 및 추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의견 정보를 토대로 통계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특정 테마의 동영상 콘텐츠 순위 차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은,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서버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가입처리를 지원하고 사용자 등록 및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홈 페이지 또는 앱 스토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 및 재생을 통한 창작 또는 재창작이 가능한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동영상을 유통하거나 배포하는 것이 가능한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및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동영상 콘텐츠의 창작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창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동영상 콘텐츠의 배포를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되어,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는,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안무 창작 유틸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규격에 맞는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고, 안무 보관함을 통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팔로우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들 간에 동영상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신규 안무, 신인 안무가 소개 및 이벤트와 워크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핫 이슈 정보 및 인기 동영상 콘텐츠 차트 또는 인기 콘텐츠 제작자 차트를 제공하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동영상 콘텐츠의 댓글, 좋아요, 별점 및 추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의견 정보를 토대로 통계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특정 테마의 동영상 콘텐츠 순위 차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동영상을 편집 및 제작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들이 스마트기기를 통해 자신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구매하여 재생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플랫폼을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하여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계속적으로 진화하고 콘텐츠의 특징에 따라 조금씩 다른 특징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최적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의 구매 및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마이 홈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콘텐츠를 공유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른 사용자 목록에서 지원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차트 및 코레오그래퍼스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서비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안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변화와 그에 따른 안무 콘텐츠 개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사용자가 개인 스마트기기로 다운받을 수 있게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구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I/F)(100)와 서비스 처리부(200)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버(10) 및 데이터베이스(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400)가 본 발명의 플랫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사용자(400)가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본 발명의 플랫폼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처리부(200)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통합적인 처리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인증/관리부(210), 과금정보 제공/처리부(220), 서비스 제어부(230), 및 저장 관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관리부(21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 유료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본 발명의 플랫폼을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투명한 사용자 관리가 필요한 바, 사용자(400)들이 플랫폼 서버(10)에 가입할 때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이러한 절차를 거쳐 가입한 사용자들에 대한 개인정보 및 사용자 리스트를 관리하는 곳이다. 또한 과금정보 제공/처리부(220)는 사용자들이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유료 콘텐츠를 구입 및 판매할 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결제를 처리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230)는 사용자(400)에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들과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버전, 콘텐츠 리스트, 가격, 장르, 및 사용자 의견 정보의 통계 데이터를 등을 제공하는 곳으로서, 앱 제공/관리/지원부(231)와 통계데이터 처리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더불어 상기 사용자 인증/관리부(210), 과금정보 제공/처리부(220), 및 저장 관리부(240)와 연계하여 관련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제어부(230)의 앱 제공/관리/지원부(231)는 사용자에게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해주고,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관련 기능을 지원해주며, 정기적으로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최적의 환경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230)의 통계 데이터 처리부(232)는 사용자들에게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인기 동영상 콘텐츠나 인기 안무가에 관한 순위 리스트와 같은 특정 테마의 순위 리스트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플랫폼에서 유통되고 있는 각각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댓글, 별점, 좋아요, 추천 등과 같은 사용자 의견을 수집하여 통계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결되어 사용자들로부터 본 발명의 플랫폼에 등록되는 동영상 콘텐츠 및 사용자 정보, 통계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본 발명의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로컬 저장부로서 통상적으로 내장형 메모리 또는 외장형 메모리를 의미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백업을 위하여 네트워크에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의 가상화된 저장장치(간략하게 클라우드 저장장치라고 부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클라우드 저장장치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전용 클라우드 저장장치, 또는 포털 사이트(예 : 네이버, 다음 등)에서 제공하는 무료 클라우드 저장장치(또는 네트워크 HD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전기 혹은 광학 케이블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함한 네트워크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플랫폼 서버(1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 뿐만이 아니라 상기 플랫폼 서버(10)를 포함한 본 발명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되어,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앱)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예: SaaS(Software as a Service))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의 구매 및 활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에서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수단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 것일 뿐이며, 실질적으로는 어느 하나의 구성수단에서 모든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고, 더 다양한 구성수단으로 세분화하거나, 그 구성수단들을 조합하여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SNS 서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수단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 아니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서로 독립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능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는 사용자가 본 서비스의 규격에 맞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500)을 제공한다.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500)은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 가입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앱 스토어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500) 프로그램은 안무 창작 유틸(510)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녹화할 수 있고, 동영상 콘텐츠의 종류와 특징 및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사용자층에 따라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무 창작 유틸(510)이 지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편집하는 기능은 큐포인트를 삽입하여 동영상 내용에 따라 구간별로 그룹핑할 수도 있고, 상기 그룹핑한 구간별로 재생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동영상 콘텐츠를 따라할 수 있도록 재생 딜레이시간을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난이도가 있는 특정 동작에 대해 반복 재생이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하여 안무 보관함(520)에 저장하고 이를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600)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무 제작자는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을 통해 자신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이 무료로 공유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가격을 매겨 유료 콘텐츠로서 유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본 인터페이스는 홈(Home), 차트(Chart), 액티비티(Activity), 프로필(Profile) 버튼 및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버튼(StepBox 버튼)을 지원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의 버튼부(605)는 화면 드래그를 통해 숨기거나 불러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버튼은,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안에 포함되어 있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연결되는 것일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따로 존재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지라도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인터렉션하여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도 있다.
상기 홈 버튼은 상기 마이 홈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사용자는 상기 마이 홈 인터페이스에 텍스트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및 동영상 콘텐츠 등을 포스팅할 수 있으며, 포스팅 부가정보(포스트 제목, 포스트 작성자 프로필, 포스트 작성일, 댓글을 포함한 사용자 의견 갯수, 안무가 및 출연자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고, 타 SNS(트위터, 페이스북 등)와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이 홈 페이지는 자신 혹은 다른 사용자가 올린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뷰어(Viewer) 인터페이스 제공한다. 상기 뷰어 인터페이스에는 콘텐츠 부가정보 뿐만 아니라 댓글, 좋아요, 별점, 및 추천 등과 같은 사용자 의견에 대한 통계정보를 재생구간에 따라 실시간 그래프 형식(Seekbar)으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상기 실시간 그래프의 특정 구간을 선택하여 그곳에 자신의 사용자 의견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뷰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커버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 동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은, 먼저 동영상을 선택한 후 녹화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자신이 따라할 동영상 구간의 시작과 끝을 설정한다. 그 후 녹화를 시작하고 상기 선택한 구간을 모두 촬영하게 되면 녹화 모드는 자동으로 종료되고 커버 동영상을 포스팅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정보를 작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자동으로 전환되게 된다. 이때 커버 동영상의 부가정보에는 원본 동영상의 안무가 정보가 자동으로 포함되게 되는데, 이것은 변경할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차트 버튼은 상기 SNS에서 지원하는 차트(Chart), 이머징(Emerging), 코레오그래퍼스(Choreograpers)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상기 차트 인터페이스는 특정 기준의 동영상 콘텐츠 순위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이머징 인터페이스는 신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코레오그래퍼스 인터페이스는 안무가(동영상 콘텐츠 제작자) 순위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티비티 버튼은 자신을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 정보 및 자신의 콘텐츠에 달린 새로운 댓글과 좋아요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프로필 버튼은 사용자 프로필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며, 여기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이 팔로우한 사용자들의 목록과 자신을 팔로우한 사용자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서치(Search)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찾는 특정 포스트나 동영상 콘텐츠 및 다른 사용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마이 홈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들은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을 이용하여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글, 글+사진, 안무 동영상, 일반 동영상 등)를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팔로우(Follow) 기능을 통해 나의 프로필(611)을 다른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612)을 확인할 수도 있고, 이러한 프로필 정보는 마이 홈(My Home) 인터페이스(I/F)(610)의 메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마이 홈 인터페이스는 나의 콘텐츠 메뉴,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메뉴, 핫 이슈 메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의 콘텐츠 메뉴는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 사용자가 추천하는 다른 유저의 콘텐츠, 및 사용자가 다시 보기 위해 담아 놓은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메뉴는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와 다른 사용자의 추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마이 홈 인터페이스(610)를 통하여 나의 콘텐츠와 자신이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콘텐츠 중 담은 콘텐츠는 단지 다시 보기 위해 담아 놓은 콘텐츠일 뿐,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려는 콘텐츠는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그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 홈 인터페이스에는 핫 이슈(Hot Issue)(613)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상기 핫 이슈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로서, 신규 안무, 신인 안무가 소개, 및 다양한 이벤트와 워크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그때그때 갱신해가면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콘텐츠를 공유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팔로우 기능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의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마이 홈 인터페이스(610)의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메뉴(614)에 들어가면 자신이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들의 콘텐츠 목록(615)이 뜨게 된다. 상기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목록(615)의 내용으로는 글 콘텐츠, 글+사진 콘텐츠, 댄스 동영상 콘텐츠, 일반 동영상 콘텐츠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는 팔로우 수에 따라 얼마든지 많은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고, 또한 SNS 구조의 특징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를 공개설정하게 되면 자신을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들은 자신을 징검다리 삼아 또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새로운 팔로우를 맺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는 팔로우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얼마든지 확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팔로우 방법은 상대가 수락하는 과정 없이 한쪽의 사용자가 다른 한쪽의 사용자를 일방향적으로 팔로우할 수 도 있고, 상대에게 팔로우 신청을 하면 상대가 팔로우를 수락할지 안한지를 판단하여 수락을 해야 팔로우를 맺을 수 있는 양방향적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방향적인 방법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나 보안을 위하여 팔로우 기능 잠금 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팔로우를 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양방향적인 방법은 상대의 팔로우 신청을 수락하면 친구맺기와 같은 형식으로 서로가 팔로우 될수도 있고 설정을 통해 단지 자신은 팔로우를 하지 않고 상대의 팔로우 신청만 받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른 사용자 목록에서 지원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사용자 콘텐츠 목록에는 글 콘텐츠, 사진+글 콘텐츠, 안무 동영상 콘텐츠, 일반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콘텐츠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상기 다양한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 사용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댄스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배우기 기능을 통해 재생속도, 재생 딜레이 시간, 구간반복 등을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하면서 상기 댄스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또한 따라 추기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실습하는 모습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동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있어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또한 본 발명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는 콘텐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된 버전의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차트 및 코레오그래퍼스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트(Chart) 인터페이스(620) 및 코레오그래퍼스(Choreographers) 인터페이스(630)를 제공하고 있는데, 상기 차트 인터페이스(620)는 각 동영상 콘텐츠의 SNS 통계(판매량, 댓글수, 좋아요, 별점, 및 추천과 같은 사용자 의견)와 유튜브(YouTube) 통계(댓글수, 좋아요, 별점, 및 추천과 같은 사용자 의견)를 기반으로 순위를 정하여 인기 동영상 콘텐츠 차트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인기 동영상 콘텐츠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창작된 동영상은 유튜브로 공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유튜브 동영상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창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창작된 동영상 콘텐츠의 통계는 유튜브 통계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인기 동영상 콘텐츠 차트 이외에도 다양한 기준에 대한 통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테마의 콘텐츠 차트를 구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코레오그래퍼스 인터페이스(630)는 사용자들에게 안무가 등과 같은 콘텐츠 제작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해주는 인터페이스로서, 최근 SNS 활동순, 활동량 및 콘텐츠 판매수 등과 같은 수치를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자의 순서를 매겨 표시해 준다. 이 또한 상기 차트 인터페이스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기준에 대한 수치를 기반으로 얼마든지 다양한 콘텐츠 제작자 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트 인터페이스(620) 및 코레오그래퍼스 인터페이스(630)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파워 사용자층(예 : 안무가, 콘텐츠 제작자 등)에게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여러 콘텐츠를 더욱 잘 만들기 위한 동기와 SNS 활동을 열심히 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일반 사용자층에게는 양질의 콘텐츠를 찾는 쉽고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며 선망의 대상 또는 자신이 이루어야할 목표를 제시해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서비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콘텐츠 창작 및 유통 서비스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00)과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을 상호 연계하여 실시되는데, 본 서비스에서 유통되는 동영상 콘텐츠는 모두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500)의 안무 창작 유틸을 통해 창작 및 편집되어 본 서비스의 규격에 맞게 제작된 콘텐츠로서, 이렇게 제작된 콘텐츠는 안무 보관함에 저장해놓고 있다가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500)을 사용하여 제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제공받는 서비스 루트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하나는 도 7의 A 루트로서, SNS 상에서 유통되는 모든 동영상 콘텐츠에 따른 댓글, 좋아요, 별점, 및 추천 등의 사용자 의견을 기반으로 통계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통계데이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차트(예 : 특정 기준 순위의 동영상 콘텐츠 목록, 특정 기준 순위의 안무가 목록)를 통해 사용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루트 이고, 또 다른 하나는 도 7의 B 루트로서, SNS 상에서 다른 사용자와 팔로우를 맺고, 이러한 팔로우 시스템을 통해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또는 다른 사용자의 추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루트이다. 이러한 서비스 구조에서 A, B 루트를 통해 사용자들이 제공받는 동영상 콘텐츠는 유료 콘텐츠 일수도 있고 무료 콘텐츠일 수도 있고, 각 콘텐츠의 유, 무료에 관한 표시는 콘텐츠 아이콘의 색상의 차이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고 또는 유, 무료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따로 만들어 놓을 수도 있으며, 또한 유료 콘텐츠는 해당 동영상의 핵심 부분을 제외한 일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유료 동영상 콘텐츠를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텐츠의 유, 무료에 관한 설정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수 있고, 서비스를 실시하는 중에도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 가입하고 사용자 등록 및 인증 절차를 마친 후(S101), 홈 페이지 또는 앱 스토어를 통하여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다운로드 받는다(S102). 상기 안무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사용자는 안무 창작 유틸을 사용하여 안무 창작을 수행하고(S103), 자신이 창작한 안무 동영상을 재생해보면서 창작결과를 검토한다(S104). 상기 검토결과가 만족 스럽지 않으면 다시 안무 창작 유틸을 사용하여 재 창작 및 편집 과정을 수행하면서 만족스러운 창작결과를 얻어낼 수 있고(S105), 검토결과가 만족스럽다면 창작된 안무 동영상 콘텐츠를 안무 저장함에 저장한 후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도록 한다(S106).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서 제공하는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의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에 가입하고 사용자 등록 및 인증 절차를 마친 후(S201), 홈 페이지 또는 앱 스토어를 통하여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S202). 이후 사용자는 SNS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팔로우 기능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팔로우를 맺고(S203), 사용자는 팔로우를 맺은 다른 사용자들에게 자신이 등록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사용자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S204). 사용자는 이렇게 유로 콘텐츠로 등록된 동영상 콘텐츠 또는 팔로우를 맺은 다른 사용자를 통해 공유한 동영상 콘텐츠를 보고 댓글을 남기거나, 좋아요, 별점, 및 추천 등의 사용자 의견을 작성할 수 있고(S205), 이렇게 작성된 사용자 의견은 특정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통계를 내어 동영상 콘텐츠와 안무 제작자에 대한 특정 테마 순위(예 : 인기 순, 평가 순, 최근 이슈 순 등)를 매겨 SN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게 되고(S206),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안무 제작자에게는 콘텐츠를 더욱 잘 만들기 위한 동기와 SNS 활동을 열심히 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일반 사용자층에게는 양질의 콘텐츠를 찾는 쉽고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며, 선망의 대상 또는 자신이 이루어야할 목표를 제시해줄 수 있다.
도 11은 안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변화와 그에 따른 안무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근 요가동작, 운동동작, 댄스동작을 포함한 안무는 더 이상 음악과 같은 상품의 부가 요소가 아닌 상품의 주요소로써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 문제가 없는 음악을 사용하여 안무를 만든다면 충분히 독립적인 상품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무가들이 안무를 체계적으로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땅히 존재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안무 상품을 창출할 수 있도록 기존의 안무 제작 방법에서 탈피하여 안무 제작을 디지털화하여 동영상 콘텐츠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하고, SNS를 통해 효과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시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플랫폼 서버 1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00 : 서비스 처리부 210 : 사용자 인증/관리부
220 : 과금 정보 제공/처리부 230 : 서비스 제어부
231 : 앱 제공/관리/지원부 232 : 통계데이터 처리부
240 : 저장 관리부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사용자 500 : 안무 창작 앱
510 : 안무 창작 유틸 520 : 안무 보관함
600 : SNS 앱 610 : 마이 홈 인터페이스(I/F)
611 : 나의 프로필 I/F 612 : 다른 사용자 프로필 I/F
613 : 핫 이슈 메뉴 614 :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메뉴
615 :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목록
620 : 차트 I/F 630 : 코레오그래퍼스 I/F

Claims (18)

  1. 사용자에게 동영상 콘텐츠의 편집 및 재생을 통한 창작, 유통 및 배포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간에 동영상 콘텐츠를 상호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플랫폼 서버; 및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정보와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편집 및 재생을 통한 창작, 유통 및 배포를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녹화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편집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 또는 재창작하는 것이 가능한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창작 또는 재창작한 동영상을 유통하거나 배포하는 것이 가능한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상기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요가동작, 운동동작, 댄스동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안무 동작을 포함하는 안무 창작 유틸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규격에 맞는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고, 안무 보관함을 통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증/관리부, 과금 정보 제공/처리부, 서비스 제어부, 저장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앱 제공/관리/지원부; 및
    통계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되어,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을 유통하거나 배포하는 것으로, 팔로우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들 간에 동영상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신규 안무, 신인 안무가 소개 및 이벤트와 워크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핫 이슈 정보 및 인기 동영상 콘텐츠 차트 또는 인기 콘텐츠 제작자 차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계데이터 처리부는,
    동영상 콘텐츠의 댓글, 좋아요, 별점 및 추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의견 정보를 토대로 통계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특정 테마의 동영상 콘텐츠 순위 차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10.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서버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가입처리를 지원하고 사용자 등록 및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홈 페이지 또는 앱 스토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자신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녹화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편집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 또는 재창작하는 것이 가능한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상기 동영상을 유통하거나 배포하는 것이 가능한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및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의 창작, 유통 및 배포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간에 동영상 콘텐츠를 상호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요가동작, 운동동작, 댄스동작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안무 동작을 포함하는 안무 창작 유틸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의 규격에 맞는 동영상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고, 안무 보관함을 통해 창작한 동영상 콘텐츠를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상기 창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환경에서 구현되어, 별도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자가 하드웨어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일종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는, HTML5 기반으로 모바일 상의 웹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앱 환경을 제공하여, OS와 단말기기에 독립적이며, ActiveX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결제가 가능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을 유통하거나 배포하는 것으로, 팔로우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들 간에 동영상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배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신규 안무, 신인 안무가 소개 및 이벤트와 워크샵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핫 이슈 정보 및 인기 동영상 콘텐츠 차트 또는 인기 콘텐츠 제작자 차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버가 동영상 콘텐츠의 댓글, 좋아요, 별점 및 추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의견 정보를 토대로 통계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특정 테마의 동영상 콘텐츠 순위 차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30088837A 2013-07-26 2013-07-26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10153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837A KR101536140B1 (ko) 2013-07-26 2013-07-26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US14/907,816 US10397630B2 (en) 2013-07-26 2014-07-23 Apparatus for providing, editing and playing video contents and the method thereof
CN201480050335.2A CN105531737B (zh) 2013-07-26 2014-07-23 用于提供、编辑并播放视频内容的设备及其方法
PCT/KR2014/006679 WO2015012581A2 (ko) 2013-07-26 2014-07-23 동영상 콘텐츠 제공,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837A KR101536140B1 (ko) 2013-07-26 2013-07-26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382A KR20150013382A (ko) 2015-02-05
KR101536140B1 true KR101536140B1 (ko) 2015-07-14

Family

ID=5257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837A KR101536140B1 (ko) 2013-07-26 2013-07-26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1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20-07-08 황재윤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KR20200141203A (ko) 2019-06-10 2020-12-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91074B1 (ko) 2021-08-26 2022-04-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실감형 포맷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용 플랫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54B1 (ko) * 2015-07-02 2016-12-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 및 이의 이벤트 처리 방법
WO2018062795A1 (ko) * 2016-09-28 2018-04-05 (주) 프람트 타임라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721155B1 (ko) * 2016-10-24 2017-04-10 주식회사 인디비쥬얼 동영상 클립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89532B1 (ko) * 2021-01-28 2022-04-25 주식회사 이미지블 동영상의 공동 편집을 지원하는 동영상 편집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176A (ko) * 2003-08-18 2005-03-03 이원덕 인터넷을 이용한 안무 영상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176A (ko) * 2003-08-18 2005-03-03 이원덕 인터넷을 이용한 안무 영상 제공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200A (ko) 2018-12-28 2020-07-08 황재윤 정보 제공 콘텐츠 플랫폼의 광고 수익 분배 방법
KR20200141203A (ko) 2019-06-10 2020-12-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91074B1 (ko) 2021-08-26 2022-04-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실감형 포맷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용 플랫폼
KR102426934B1 (ko) 2021-08-26 2022-08-0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영상 콘텐츠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용 플랫폼
KR102426932B1 (ko) 2021-08-26 2022-08-0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학습 콘텐츠의 가상 화면과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융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용 플랫폼
KR102426933B1 (ko) 2021-08-26 2022-08-02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단말을 통해 클라우드 웹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용 플랫폼
KR102485591B1 (ko) 2021-08-26 2023-01-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Vr, ar, mr, xr, 360도 영상의 실감형 포맷으로 제작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육용 플랫폼
KR102485592B1 (ko) 2021-08-26 2023-01-10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실감형 포맷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382A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140B1 (ko)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JP6937395B2 (ja)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データ管理システム
Rayna et al. 360° Business Model Innovation: Toward an Integrated View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An integrated, value-based view of a business model can provide insight into potential areas for business model innovation.
CN105531737B (zh) 用于提供、编辑并播放视频内容的设备及其方法
KR102643551B1 (ko) 맞춤형 데이터 관리 시스템
US202002945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combining, and sharing time-constrained videos
AU2011296351B2 (en) Networked system with supporting media access and social networking
RU253022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услуг контента в сети на основании истори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онтента
WO2017051793A1 (ja) 映像コンテンツ自動生成システム
CN103097987A (zh) 提供视频剪辑的系统和方法及其创建
TW200948077A (en) Media content programming, delivery, and consumption
JP6157711B1 (ja) コンテンツ提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70966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US10257301B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 drive interface for content delivery
Obrist et al. Connecting TV & PC: an in-situ field evaluation of an unified electronic program guide concept
DeCesare The mass market and consumer tools
Arthur et al. Being Earnest with Collections--Finding Solutions for Streaming Video at Cornell University Library
KR20230145846A (ko) 사용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문화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 제공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JP6941973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20210070879A (ko) 영상촬영 스튜디오 매점의 운영 시스템
Haefele The Case for Home-Grown, Sustainable, Next Generation Library Services
JP2017199387A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2017212706A (ja) 情報管理方法
Kim A mobile video service trial: TOEST
JP2013254281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