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425A -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425A
KR20230072425A KR1020220151650A KR20220151650A KR20230072425A KR 20230072425 A KR20230072425 A KR 20230072425A KR 1020220151650 A KR1020220151650 A KR 1020220151650A KR 20220151650 A KR20220151650 A KR 20220151650A KR 20230072425 A KR20230072425 A KR 2023007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er
reel
rollers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슈베르트페거
니클라스 한센
다니엘라 네더마이어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23007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31F5/04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by exclusive use of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31B50/624Applying glue 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12Applying tabs, patches, strips or strings on blanks or webs
    • B31B50/8125Applying strips or strings, e.g. tear strips or strings
    • B31B50/8126Applying strips or strings, e.g. tear strips or string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ebs or th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 B65H23/18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web-advancing mechanism, e.g. mechanism acting on the running web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1/00Materials used for the handl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Properties thereof
    • B65H2401/10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4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unwi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3Size of webs
    • B65H2701/11332Size of webs strip, tape, narrow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2Composite material including layer with adhesi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7Fibrous or compress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microcreped paper)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장치는 릴(S)에 감긴 스트립(P), 및 스트립(P)을 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리도록 안내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R1, R2, 및 R3)를 포함하고, 릴에 감긴 스트립(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적어도 8 kN/m의 인장 강도, 적어도 4%의 신장률 및 적어도 1200 mN의 내인열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Apparatus for applying a strip comprising a microcreped paper}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microcreped paper)를 포함하는 스트립(strip)을 캐리어 재료(carrier material)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캐리어 재료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의 용도 및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수득 가능한 스트립을 포함하는 캐리어 재료에 관한 것이다. 언급된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패키징 기술의 분야, 바람직하게는 패키징의 생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특히, 예를 들어, 골판지 라인, 폴딩 박스 라인 및/또는 플레인 본딩 라인(plain bonding line) 상에서 티어 스트립(tear strip)을 제조하기 위한 패키징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사용 분야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패키징 산업 내에서, 가능한 한 환경적으로 중립적이고 재료 면에서 다시 사용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패키징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이한 재활용 및 또한 일반적으로 더 작은 CO2 배출량으로 인해, 페이퍼는 패키징 산업에서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특별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페이퍼 재가공의 경우, 가공을 방해하는 물질이 펄프로 지칭되는 것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일반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재사용 전에, 플라스틱 재료, 특히 예를 들어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는 제거되어야 하며,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하다. 따라서, 패키징의 생산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완전히 제외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용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필름 스트립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는, 특히, 패키징을 개봉하기 위한 티어 스트립의 생산을 위한, 일반적으로 자가 접착 테이프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자가 접착 티어 스트립은 패키징 자체의 생산 동안 상응하는 풀기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DE 299 17 738 U1은 적어도 한 면에 자가 접착식으로 제공된 좁은 재료의 롤을 풀기 위한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일반적으로 취급시 민감하지 않은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플라스틱 접착 테이프에 적합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작업이 현저하게 더 민감한 페이퍼의 취급을 위해, 공지된 장치 및 방법은 일반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술한 장치 및 방법의 기재된 단점을 회피하거나 매우 크게 회피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및 방법은 보다 특히 지속 가능한 패키징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캐리어 재료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캐리어 재료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상기 장치의 용도 및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수득 가능한 캐리어 재료에 의해 해결된다.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실현될 수 있는 유리한 개발은 상세한 설명 및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트립(P)은 길이 l, 폭(b) 및 두께(d)를 갖는 면적 범위(여기서, l >> b > d임)를 가지며, 상기 장치는
(I)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고 릴(S)에 권취되는 스트립(P)으로서, 릴(S)이 릴 축(A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립(P);
(II) 상기 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1, R2 및 R3로서, 롤러 R1은 릴(S)의 하류에 있고, 롤러 R2는 롤러 R1의 하류에 있고, 롤러 R3는 롤러 R2의 하류에 있으며;
(II.1) 롤러 R1은 회전 축 A1을 가지며, 회전 축 A1과 릴 축(AS) 사이의 각도 α1은 ± 5°의 허용 오차(tolerance)로 0°이고;
(II.2) 롤러 R2는 회전 축 A2를 가지며, 회전 축 A2와 릴 축(AS) 사이의 각도 α2는 ± 10°의 허용 오차로 0°이고;
(II.3) 롤러 R3는 회전 축 A3을 가지며, 회전 축 A3와 회전 축 A2 사이의 각도 α3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인, 롤러 R1, R2 및 R3;
(III) 롤러 R3의 하류에서,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용 장치(V)를 포함하고;
릴에 권취된 스트립(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하기 특성을 갖는다:
(a) ISO 1924-3: 2005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 ― Part 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FZ)(여기서, FZ ≥ 8kN/m(킬로뉴턴/미터)임);
(b) ISO 1924-3: 2005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 ― Part 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신장성(FD)(여기서, FD ≥ 4%임);
(c) ISO 1974: 2012 "Paper ― Determination of tearing resistance ― Elmendorf method"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인열 저항(FR)(여기서, FR ≥ 1200 mN(밀리뉴턴)임).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바람직하게는 8 kN/m ≤ FZ ≤ 22 k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kN/m ≤ FZ ≤ 21 k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kN/m ≤ FZ ≤ 20 kN/m, 예컨대, 이를테면, 15 kN/m ≤ FZ ≤ 20 kN/m 또는 17 kN/m ≤ FZ ≤ 20 kN/m 또는 19 kN/m ≤ FZ ≤ 20 kN /m의 인장 강도(FZ)를 갖는다.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바람직하게는 4% ≤ FD ≤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FD ≤ 15.5%,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FD ≤ 15%, 예컨대, 이를테면, 10% ≤ FD ≤ 15% 또는 12% ≤ FD ≤ 15% 또는 14% ≤ FD ≤ 15%의 신장성(FD)를 갖는다.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바람직하게는 1200 mN ≤ FR ≤ 4500 mN,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mN ≤ FR ≤ 4000 mN,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mN ≤ FR ≤ 3500 mN, 예컨대, 이를테면, 2500 mN ≤ FR ≤ 3500 mN 또는 3000 mN ≤ FR ≤ 3500 mN의 인열 저항(FR)을 갖는다.
스트립(P)에 함유된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g/m2 ≤ G ≤ 18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m2 ≤ G ≤ 160 g/m2, 예컨대, 이를테면, 120 g/m2 ≤ G ≤ 140 g/m2 또는 130 g/m2 ≤ G ≤ 150 g/m2 또는 140 g/m2 ≤ G ≤ 160 g/m2의 평량(G)을 갖는다.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기본적으로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방향(들)으로 마이크로크레이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릴에 권취된 스트립(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 하기 특성을 갖는 상기 언급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a) ISO 1924-3: 2005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 ― Part 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FZ)(여기서, 13 kN/m ≤ FZ ≤ 20 kN/m임);
(b) ISO 1924-3: 2005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 ― Part 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신장성(FD)(여기서, 8% ≤ FD ≤ 15%임);
(c) ISO 1974: 2012 "Paper ― Determination of tearing resistance ― Elmendorf method"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인열 저항(FR)(여기서, 2000 mN ≤ FR ≤ 3500 mN임);
여기서,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바람직하게는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마이크로크레이핑된다.
폭(b)과 관련하여, 원칙적으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스트립(P)은 바람직하게는 2 mm ≤ b ≤ 2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 b ≤ 1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 mm ≤ b ≤ 8 mm, 예컨대, 이를테면, 4 mm ≤ b ≤ 6 mm 또는 5 mm ≤ b ≤ 7 mm 또는 6 mm ≤ b ≤ 8 mm의 폭(b)을 갖는다.
두께(d)와 관련하여, 원칙적으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스트립(P)은 바람직하게는 100 ㎛ ≤ d ≤ 4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 d ≤ 3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 d ≤ 300 ㎛, 예컨대, 이를테면, 200 ㎛ ≤ d ≤ 250 ㎛ 또는 225 ㎛ ≤ d ≤ 275 ㎛ 또는 250 ㎛ ≤ d ≤ 300 ㎛의 두께(d)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의 스트립(P)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중량%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스트립(P)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로 구성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은 단일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내지 100 중량%의 스트립(P)이 단일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로 구성된다.
따라서,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릴에 권취된 스트립(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가 하기 특성을 갖는 상기 언급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a) ISO 1924-3: 2005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 ― Part 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FZ)(여기서, 13 kN/m ≤ FZ ≤ 20 kN/m임);
(b) ISO 1924-3: 2005 "Paper and board ― Determination of tensile properties ― Part 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신장성(FD)(여기서, 8% ≤ FD ≤ 15%임);
(c) ISO 1974: 2012 "Paper ― Determination of tearing resistance ― Elmendorf method"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인열 저항(FR)(여기서, 2000 mN ≤ FR ≤ 3500 mN임);
여기서,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바람직하게는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마이크로크레이핑되고, 99.9 내지 100 중량%의 스트립(P)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 바람직하게는 단일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로 구성된다.
원칙적으로, 스트립(P)은 적어도 하기 층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i) 상기 버전 중 하나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퍼를 포함하는 제1 층;
(ii) 페이퍼 층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본딩 층;
(iii) 제1 면의 반대쪽인 페이퍼 층의 제2 면 상에 배열된 접착 감소 층으로서, 페이퍼 층으로부터 멀어지는 접착 감소 층의 표면은 페이퍼 층으로부터 멀어지고, 접착 감소 층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본딩 층의 표면이 실질적으로 파괴 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착 감소 층.
또한, 선택적으로, 0 내지 5 중량%의 (ii)의 본딩 층이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 중량%의 (ii)의 본딩 층이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 중량%의 (ii)의 본딩 층이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로 구성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5 중량%의 (ii)의 본딩 층이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로 구성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 중량%의 (ii)의 본딩 층이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로 구성된다.
릴(S)은 바람직하게는 교차 권취 릴(cross-wound reel), 더욱 바람직하게는 십자 교차 권취 릴이다. 릴에 권취된 스트립(P)은, 예를 들어, 나선형 와인딩을 가지며, 스트립(P)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층을 형성하고 방향은 우측 및 좌측 사이에서 층에서 층으로 전환된다. 풀릴 때 스트립(P)이 릴(S)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점(T)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이 풀릴 때 릴 축(AS)에 평행한 전후 이동을 수행한다.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릴(S)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50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m ≤ D ≤ 50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mm ≤ D ≤ 4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m ≤ D ≤ 400 mm의 직경(D)을 갖는다.
릴(S)은 바람직하게는 릴 축(AS)의 방향으로 크기(L)를 가지며, 크기(L)는 최대 3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m ≤ L ≤ 3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mm ≤ L ≤ 200 mm이다. 릴(S)은, 예를 들어, 릴 축(AS) 방향으로의 크기(L)(L = 180 mm)를 갖는다.
롤러 R1, R2 및 R3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롤러이고,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쪽 면에 실질적으로 플랜지가 없는 구성을 갖는다. 롤러 R1, R2 및 R3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롤러이고,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양쪽 면에 실질적으로 플랜지가 없는 구성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는 원통형 롤러이고, 모든 롤러 R1, R2 및 R3는 적어도 한쪽 면에 실질적으로 플랜지가 없는 구성을 갖는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는 원통형 롤러이고, 모든 롤러 R1, R2 및 R3는 양쪽 면에 실질적으로 플랜지가 없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의 롤러의 플랜지가 없는 구성은, 예를 들어, 스트립(P)이 각각의 롤러 위로 안내될 때 스트립(P)의 에지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드라이브가 없는(drive-free) 롤러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는 드라이브가 없는 롤러이다.
롤러 R1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는다.
롤러 R2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는다.
롤러 R3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롤러 R1은 10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고, 롤러 R2는 25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고, 롤러 R3는 25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이의 각각의 회전 축을 따라 적어도 100 mm의 크기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2개는 이들 각각의 회전 축을 따라 적어도 100 mm의 크기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는 이들 각각의 회전 축을 따라 적어도 100 mm의 크기를 갖는다.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의 크기는 각각의 회전축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L + 10 mm이고, 여기서 L은 릴 축(AS) 방향의 릴(S)의 크기이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의 크기는 이들 각각의 회전 축을 따라 (L + 10 mm) 내지 (L + 20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L + 10 mm) 내지 (L + 15 mm)의 범위이다.
롤러 R3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의 안내시, 스트립(P)과 롤러 R3 사이의 제1 접점이 릴(S)의 단면(end face)의 면에 놓이거나, 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 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종류의 롤러 R3의 배열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릴(S)로부터 풀릴 때 스트립(P)의 전후 이동을 선형,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선형 이동으로 전환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이는 풀림시 스트립(P)의 지그재그 이동이 부드러운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롤러 R1의 회전 축 A1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의 풀림 동안 롤러 R1이 릴(S)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된다(positioned).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롤러 R1의 회전 축 A1은 스트립(P)의 풀림 동안 롤러 R1이 릴(S)과 선형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R1의 회전 축 A1은 스트립(P)의 풀림 동안 회전 축 A1이 릴 축(AS)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된다.
롤러 R2, R3는 바람직하게는 공간적으로 고정된 회전축으로서 배치된 안내 롤러이다.
릴 축(AS)은 바람직하게는 공간적으로 고정된 회전 축으로서 배열된다.
회전 축 A1 및 A2는 바람직하게는 롤러 R1와 롤러 R2 사이의 스트립(P)의 자유 길이가 150 내지 500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m의 범위가 되도록 배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자유 길이"는 스트립(P)의 롤러 R1와의 마지막 접점과 스트립(P)이 이들 롤러 위로 안내될 때 스트립(P)의 롤러 R2와의 제1 접점 사이의 스트립(P)의 길이를 나타낸다.
회전축 A2 및 A3는 바람직하게는 롤러 R2와 롤러 R3 사이의 스트립(P)의 자유 길이가 150 내지 500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m의 범위가 되도록 배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자유 길이"는 스트립(P)의 롤러 R2와의 마지막 접점과 스트립(P)이 이들 롤러 위로 안내될 때 스트립(P)의 롤러 R3와의 제1 접점 사이의 스트립(P)의 길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롤러 R3는 스트립(P)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마지막 롤러이다.
본 발명의 추가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장치는 3개의 롤러 R1, R2 및 R3에 추가하여, 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추가 롤러 R4를 포함하고, 롤러 R4는 롤러 R3의 하류에 있으며,
(II.4) 롤러 R4는 회전 축 A4을 가지며, 회전 축 A4과 회전 축 A3 사이의 각도 α4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이다.
롤러 R4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가이드 플랜지(guide flange)를 갖는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롤러 R4는 양쪽 면에 가이드 플랜지를 갖는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배치된 가이드 플랜지는 (b + 0.1 mm) 내지 (b + 0.9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b + 0.2 mm) 내지 (b + 0.8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b + 0.3 mm) 내지 (b + 0.7 mm) 범위의 서로의 거리를 갖는다.
롤러 R4는,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마지막 롤러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장치는 추가로 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5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R5는 롤러 R4의 하류에 있으며,
(II.5) 롤러 R5는 회전 축 A5를 가지며, 회전 축 A5와 회전 축 A4 사이의 각도 α5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이다.
롤러 R5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쪽 면에,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가이드 플랜지를 갖는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롤러 R5는 양쪽 면에 가이드 플랜지를 갖는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배치된 가이드 플랜지는 (b + 0.1 mm) 내지 (b + 0.9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b + 0.2 mm) 내지 (b + 0.8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b + 0.3 mm) 내지 (b + 0.7 mm) 범위의 서로의 거리를 갖는다.
롤러 R5는,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마지막 롤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R1, R2 및 R3에 추가되는 롤러의 수는 캐리어 재료(T)로부터 롤러 R3의 거리를 포함하는 인자에 의존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T로부터 R3의 거리가 적어도 300 mm인 경우에 롤러 R1, R2 및 R3에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R1, R2 및 R3에 추가되는 롤러의 수는 롤러 R3 상의 스트립(P)의 이동을 포함하는 인자에 의존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선형 이동으로부터 롤러 R3 상의 스트립(P)의 이동이 편차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적어도 2% 만큼 이러한 종류의 편차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롤러 R2 및 R3의 공간적 배치와 유사한 공간적 배치를 갖는 추가적인 롤러 R4 또는 바람직하게는 롤러 쌍 R4 및 R5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용 장치(V)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재료(T)를 향한 방향으로 스트립(P)에 적어도 하나의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적용 장치(V)는 힘이 적어도 하나의 고무 롤을 통해 가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용 장치(V)는 바람직하게는 힘이 압축 공기를 통해 가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핫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본딩 층,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핫멜트 접착제로 구성된 본딩 층을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본드 적용 장치(K)를 추가로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스트립(P)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본딩 층을 스트립(P)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스트립(P)이 본딩 층을 지지하는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본딩 층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는 것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바람직하다. 캐리어 재료에 적용된 본딩 층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의 최대 폭(b)의 폭을 갖는다.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의 길이를 분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롤러 R3 또는 롤러 R4 또는 롤러 R5와 같은 마지막 롤러의 하류에 있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및 스트립(P)을 제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릴(S)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정된다. 릴(S)의 회전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0 m/min < v ≤ 250 m/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min ≤ v ≤ 200 m/min의 릴(S)로부터 스트립(P)의 풀림 속도(v)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운동을 적용 절차 및/또는 분리 절차에 적응시키기 위해 도포 장치(V) 및/또는 분리 유닛의 상태의 함수로서 릴(S)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정된다. 구동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롤러 R3 또는 롤러 R4 또는 롤러 R5와 같은 마지막 롤러의 하류에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롤러 R2 또는 롤러 R3의 회전 운동을 가속함으로써 스트립(P)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브레이크 유닛은 릴(S)의 회전 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트립(P)을 제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구동 유닛은, 예를 들어, 롤러 R2 또는 롤러 R3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유닛은 예를 들어, 릴(S)에 배치된다.
원칙적으로 캐리어 재료(T)와 관련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재료(T)는 적어도 하나의 패키징 블랭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키징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페이퍼 및/또는 보드로 제조된 패키징 블랭크이며, 패키징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상자, 폴딩 박스 또는 래퍼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확인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는 명시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다른 순서도 가능하다. 또한, 언급된 방법 단계 중 둘 이상은 동시에 또는 시간적 중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언급된 방법 단계 중 하나 이상은 1회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언급된 단계들 이외의 추가의 방법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또는 하기 기재된 구현예 중 하나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재료(T)를 제공하는 단계;
c) 스트립(P)을 적어도 3개의 롤러 R1, R2 및 R3를 통해 릴(S)로부터 적용 장치(V)로 안내하는 단계;
d) 적용 장치(V)에 의해 캐리어 재료(T) 상에 스트립(P)을 적용하는 단계.
단계 a)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롤러 R1, R2 및 R3 사이에 스트립의 쓰레딩(threading)을 포함한다.
단계 c)는, 예를 들어, 캐리어 재료(T)의 이동을 통한 스트립(P)의 인출을 통해 릴(S) 및 롤러 R1, R2 및 R3의 구동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단계 c)는, 예를 들어,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상기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구동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에 의해 스트립(P)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c)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릴(S)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여, 스트립(P)이 0 m/min < v ≤ 250 m/min, 바람직하게는 100 m/분 ≤ v ≤ 200 m/분의 풀림 속도(v)로 릴(S)로부터 풀리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d)에서의 적용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재료(T)를 향한 방향으로 스트립(P)에 적어도 하나의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단계 d)에 선행하는 단계 e)를 추가로 포함한다:
e) 상기 장치에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바와 같은 본드 적용 장치(K)를 제공하고, 본드 적용 장치(K)에 의해 본딩 층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는 단계.
스트립(P)은 바람직하게는 단계 d)에서 캐리어 재료에 적용된 본딩 층에 적용되고, 이에 따라 본딩 층은 캐리어 재료(T)와 스트립(P)을 접합시킨다.
본 발명은 추가로 스트립(P)이 티어 스트립인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수득 가능한 스트립(P)을 포함하는 캐리어 재료(T)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응하는 종속성 및 종속성 참조로부터 발생하는 조합과 함께, 하기 구현예의 세트 및 구현예의 조합에 의해 추가로 기재된다. 특히, 다양한 구현예가 언급되는 지점에서 ― 예컨대, 이를테면 "구현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와 같은 표현과 관련하여 ―, 이 범위 내의 각각의 개별 구현예는 당업자에게 명시적으로 개시된 것으로 이해되며, 따라서 당업자는 이러한 표현이 표현 "구현예 1, 2, 3, 4 및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와 동의어로 이해하는 것으로 지적될 수 있다. 또한, 하기 구현예의 세트는 보호 범위를 결정하는 청구범위의 세트가 아니라, 본 발명의 일반적이고 바람직한 양태에 관한 설명의 적합하게 구조화된 부분을 나타낸다는 것이 명시적으로 지적될 수 있다.
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트립(P)은 길이(l), 폭(b) 및 두께(d)를 갖는 면적 범위(여기서, l >> b > d임)를 가지며, 장치가
(I)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고 릴(S)에 권취되는 스트립(P)으로서, 릴(S)이 릴 축(A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립(P);
(II) 상기 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1, R2 및 R3로서, 롤러 R1은 릴(S)의 하류에 있고, 롤러 R2는 롤러 R1의 하류에 있고, 롤러 R3는 롤러 R2의 하류에 있으며;
(II.1) 롤러 R1은 회전 축 A1을 가지며, 회전 축 A1과 릴 축(AS) 사이의 각도 α1은 ± 5°의 허용 오차(tolerance)로 0°이고;
(II.2) 롤러 R2는 회전 축 A2을 가지며, 회전 축 A2와 릴 축(AS) 사이의 각도 α2는 ± 10°의 허용 오차로 0°이고;
(II.3) 롤러 R3는 회전 축 A3을 가지며, 회전 축 A3와 회전 축 A2 사이의 각도 α3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인, 롤러 R1, R2 및 R3;
(III) 롤러 R3의 하류에서,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용 장치(V)를 포함하고;
릴에 권취된 스트립(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가 하기 특성:
(a) ISO 1924-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FZ)(여기서, FZ ≥ 8 kN/m임);
(b) ISO 1924-3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신장성(FD)(여기서, FD ≥ 4%임);
(c) ISO 1974에 따라 결정된, 스트립(P)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인열 저항(FR)(여기서, FR ≥ 1200 mN임)을 갖는, 장치.
2. 구현예 1에 있어서, 8 kN/m ≤ FZ ≤ 22 kN/m, 바람직하게는 10 kN/m ≤ FZ ≤ 21 k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kN/m ≤ FZ ≤ 20 kN/m인, 장치.
3. 구현예 1 또는 2에 있어서, 4% ≤ FD ≤ 16%, 바람직하게는 8% ≤ FD ≤ 15%인, 장치.
4. 구현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200 mN ≤ FR ≤ 4500 mN, 바람직하게는 1500 mN ≤ FR ≤ 4000 mN,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mN ≤ FR ≤ 3500 mN인, 장치.
5. 구현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퍼가 적어도 80 g/m2, 바람직하게는 80 g/m2 ≤ G ≤ 18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m2 ≤ G ≤ 160 g/m2의 평량(G)을 갖는, 장치.
6. 구현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트립(P)에 함유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가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마이크로크레이핑되는, 장치.
7.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 mm ≤ b ≤ 25 mm, 바람직하게는 3 mm ≤ b ≤ 1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 mm ≤ b ≤ 8 mm인, 장치.
8. 구현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00 ㎛ ≤ d ≤ 400 ㎛, 바람직하게는 150 ㎛ ≤ d ≤ 3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 d ≤ 300 ㎛인, 장치.
9. 구현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95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내지 100 중량%의 스트립(P)이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로 구성되는, 장치.
10. 구현예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트립(P)이 단일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스트립(P)이 단일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로 구성되는, 장치.
11. 구현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트립(P)이 적어도 하기 층을 갖는, 장치:
(i) 구현예 1 내지 8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퍼를 포함하는, 제1 층;
(ii) 페이퍼 층의 제1 면 상에 배치된 본딩 층;
(iii) 제1 면의 반대쪽인 페이퍼 층의 제2 면 상에 배열된 접착 감소 층으로서, 페이퍼 층으로부터 멀어지는 접착 감소 층의 표면은 페이퍼 층으로부터 멀어지고, 접착 감소 층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본딩 층의 표면이 실질적으로 파괴 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착 감소 층.
12. 구현예 11에 있어서, 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 중량%의 (ii)의 본딩 층이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로 구성되는, 장치.
13. 구현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릴(S)이 교차-권취 릴, 바람직하게는 십자-교차 권취 릴인, 장치.
14. 구현예 13에 있어서, 풀릴 때 스트립(P)이 릴(S)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점(T)이 스트립(P)의 풀림 동안 릴 축(AS)에 평행한 전후 이동을 수행하는, 장치.
15.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풀리지 않은 상태의 릴(S)이 최대 500 mm, 바람직하게는 100 mm ≤ D ≤ 50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mm ≤ D ≤ 45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m ≤ D ≤ 400 mm의 직경(D)을 갖는, 장치.
16. 구현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릴(S)이 최대 350 mm의 릴 축(AS)의 방향으로의 크기(L)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0 mm ≤ L ≤ 3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mm ≤ L ≤ 200 mm인, 장치.
17. 구현예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1, R2 및 R3가 원통형 롤러이고, 바람직하게는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가 실질적으로 적어도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플랜지가 없는 구성을 갖는, 장치.
18. 구현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가 드라이브가 없는 롤러인, 장치.
19.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1이 5 내지 100 mm 범위,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는, 장치.
20. 구현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구현예 19에 있어서, 롤러 R2가 5 내지 100 mm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는, 장치.
21. 구현예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구현예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현예 19 또는 20에 있어서, 롤러 R3가 5 내지 100 mm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m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mm 범위의 외경을 갖는, 장치.
22. 구현예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가 이들 각각의 회전 축을 따라 적어도 100 mm의 크기를 갖는, 장치.
23. 구현예 22가 구현예 16에 종속되는 한, 구현예 22에 있어서, 롤러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롤러 R1, R2 및 R3의 크기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들 각각의 회전 축을 따라 적어도 L + 1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L + 10 mm) 내지 (L + 20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L + 10 mm) 내지 (L + 15 mm)의 범위인, 장치.
24. 구현예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3가 스트립(P)의 안내시, 스트립(P)과 롤러 R3 사이의 제1 접점이 릴(S)의 단면의 면에 있거나, 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 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장치.
25. 구현예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1의 회전 축 A1이 스트립(P)의 풀림 동안 롤러 R1이 릴(S)과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선형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되는, 장치.
26. 구현예 25에 있어서, 롤러 R1의 회전 축 A1이 스트립(P)의 풀림 동안 릴 축(AS)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을 수행하는, 장치.
27. 구현예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2 및 R3가 공간적으로 고정된 회전 축을 갖는 안내 롤러이고, 릴 축(AS)이 공간적으로 고정된 회전 축인, 장치.
28. 구현예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회전 축 A1 및 A2가 롤러 R1와 롤러 R2 사이의 스트립(P)의 자유 길이가 150 내지 50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m의 범위가 되도록 배치되는, 장치.
29. 구현예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회전 축 A2 및 A3가 롤러 R2와 롤러 R3 사이의 스트립(P)의 자유 길이가 150 내지 30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 mm의 범위가 되도록 배치되는, 장치.
30. 구현예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롤러 R3가 스트립(P)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마지막 롤러인, 장치.
31. 구현예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II)에 따라, 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4를 추가로 포함하고, 롤러 R4는 롤러 R3의 하류에 있으며,
(II.4) 롤러 R4는 회전 축 A4을 가지며, 회전 축 A4과 회전 축 A3 사이의 각도 α4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인, 장치.
32. 구현예 31에 있어서, 롤러 R4가 적어도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가이드 플랜지를 갖는, 장치.
33. 구현예 32에 있어서, 양쪽 면에 배치된 가이드 플랜지가 (b + 0.1 mm) 내지 (b + 0.9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b + 0.2 mm) 내지 (b + 0.8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b + 0.3 mm) 내지 (b + 0.7 mm)의 범위의 서로의 거리를 갖는, 장치.
34. 구현예 32 또는 33에 있어서, 롤러 R4가 스트립(P)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마지막 롤러인, 장치.
35. 구현예 31 내지 33에 있어서, 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5를 추가로 포함하고, 롤러 R5는 롤러 R4의 하류에 있으며,
(II.5) 롤러 R5는 회전 축 A5를 가지며, 회전 축 A5와 회전 축 A4 사이의 각도 α5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인, 장치.
36. 구현예 35에 있어서, 롤러 R5가 적어도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가이드 플랜지를 갖는, 장치.
37. 구현예 36에 있어서, 양쪽 면에 배치된 가이드 플랜지가 (b + 0.1 mm) 내지 (b + 0.9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b + 0.2 mm) 내지 (b + 0.8 mm)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b + 0.3 mm) 내지 (b + 0.7 mm)의 범위의 서로의 거리를 갖는, 장치.
38. 구현예 35 내지 37에 있어서, 롤러 R5가 스트립(P)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기 전에 스트립(P)을 안내하기 위한 마지막 롤러인, 장치.
39. 구현예 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용 장치(V)가 캐리어 재료(T)를 향한 방향으로 스트립(P)에 적어도 하나의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장치.
40. 구현예 39에 있어서, 적용 장치(V)가 적어도 하나의 고무 롤을 통해 힘이 가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장치.
41. 구현예 39 또는 40에 있어서, 적용 장치(V)가 압축 공기를 통해 힘이 가해지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장치.
42. 구현예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핫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 층을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본드 적용 장치(K)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3. 구현예 42에 있어서, 본딩 층이 캐리어 재료(T)에 적용되는, 장치.
44. 구현예 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치가 스트립(P)의 길이를 분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분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구현예 30, 34 또는 38에 정의된 바와 같이 마지막 롤러의 하류에 있는, 장치.
45. 구현예 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치가 스트립(P)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및 스트립(P)을 제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6. 구현예 45에 있어서, 구동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이 릴(S)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릴(S)의 회전 운동이 바람직하게는 0 m/min < v ≤ 250 m/min, 바람직하게는 100 m/min ≤ v ≤ 200 m/min의 릴(S)로부터의 스트립(P)의 풀림 속도(v)를 갖는, 장치.
47. 구현예 45 또는 46에 있어서, 구동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이 구현예 30, 34 또는 38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이, 마지막 롤러의 하류에 있는, 장치.
48. 구현예 45 또는 46에 있어서, 구동 유닛이 롤러 R2 또는 롤러 R3의 회전 운동을 가속함으로써 스트립(P)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브레이크 유닛이 릴(S)의 회전 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트립(P)을 제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장치.
49.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이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a) 구현예 1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재료(T)를 제공하는 단계;
c) 스트립(P)을 적어도 3개의 롤러 R1, R2 및 R3를 통해 릴(S)로부터 적용 장치(V)로 안내하는 단계;
d) 적용 장치(V)에 의해 캐리어 재료(T) 상에 스트립(P)을 적용하는 단계.
50. 구현예 49에 있어서, 캐리어 재료(T)가 적어도 하나의 패키징 블랭크인, 방법.
51. 구현예 50에 있어서, 패키징 블랭크가 페이퍼 또는 판지로 구성되고, 케이스, 상자, 폴딩 박스 및 래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2. 구현예 49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계 d)에서의 적용이 캐리어 재료(T)를 향한 방향으로 스트립(P)에 적어도 하나의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3. 구현예 49 내지 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단계 d) 전에 단계 e):
e) 구현예 42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드 적용 장치(K)를 제공하고, 본드 적용 장치(K)에 의해 본딩 층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4. 구현예 53에 있어서, 스트립(P)이 바람직하게는 단계 d)에서 캐리어 재료에 적용된 본딩 층에 적용되고, 이에 따라 본딩 층이 캐리어 재료(T) 및 스트립(P)에 접해 있는, 방법.
55. 구현예 49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트립(P)이 티어 스트립인, 방법.
56. 구현예 1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트립(P)이 티어 스트립인, 장치.
57.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구현예 1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의 용도.
58.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포함하는 캐리어 재료(T)로서, 캐리어 재료(T)가 구현예 49 내지 5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수득 가능한, 캐리어 재료(T).
본 발명의 추가 세부사항 및 특징은 예시적인 구현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각각의 특징은 단독으로 실현되거나 서로 조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구현예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개별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 또는 이들의 기능 면에서 서로 상응하는 요소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은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을 캐리어 재료(T)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의 상이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측면도(도 1 및 3) 및 또한 투시도(도 2)로 도시한다.
도면은 공통으로 기술된다. 도 1 내지 3은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112)을 캐리어 재료(T)(114)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110)의 상이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측면도(도 1 및 3) 및 또한 투시도(도 2)로 도시한다. 캐리어 재료(114)는 장치(110)의 일부가 아니며, 따라서 도 1 및 도 3에 점선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트립(112)은 길이(l), 폭(b) 및 두께(d)를 갖는 면적 범위를 가지며, 여기서, l >> b > d이다.
장치(110)는 릴(S)(116)에 권취된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112)을 포함하고, 릴(116)은 릴 축(AS)(11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릴(116)은 바람직하게는 310 mm 이하의 릴 축(AS)(117)의 방향으로의 길이(L) 및 500 mm 이하의 직경(D)을 갖는다. 장치(110)는 릴(11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스트립(112)을 안내하기 위한 3개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1(118), R2(120) 및 R3(122)를 추가로 포함하며, 스트립(112)의 이동 방향은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롤러 R1(118)은 릴(116)의 하류에 있고, 롤러 R2(120)는 롤러 R1(118)의 하류에 있고, 롤러 R3(122)는 롤러 R2의 하류에 있다. 롤러 R1(118)는 회전 축 A1(124)을 가지며, 회전 축 A1과 릴 축(AS) 사이의 각도 α1은 ± 5°의 허용 오차로 0°이다. 회전 축 A1(124) 및 릴 축(AS)(117)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의 z-축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롤러 R2(120)는 회전 축 A2(126)를 가지며, 회전 축 A2와 릴 축(AS) 사이의 각도 α2는 ± 10°의 허용 오차로 0°이다. 회전 축 A2(126) 및 릴 축(AS)(117)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표시된 데카르트 좌표계의 z-축을 따라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롤러 R3(122)는 회전축 A3(128)를 가지며, 롤러 R2의 회전축 A3와 회전축 A2(126) 사이의 각도 α3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이다. 회전 축 A3(128) 및 회전 축 A2(126)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데카르트 좌표계의 x-축 및 z-축을 따라, 또는 도 2 및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x-축 및 z-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된다.
롤러 R3(122)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112)의 안내시, 예를 들어, 릴(116)로부터 스트립(112)의 풀림에 의해 유도된 스트립(112)의 전후 이동,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좌표 시스템의 z-축을 따른 지그재그 이동을 안정적인 선형 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스트립(112)과 롤러 R3(122) 사이의 제1 접점(129)이, 예를 들어, 릴(116)의 단면(131)과 동일한 면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장치(110)는 스트립(112)을 캐리어 재료(114)에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용 장치(V)(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용 장치(130)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112) 상의 캐리어 재료(114)를 향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힘을 가하도록 설정되며; 이 힘은 도 3에 화살표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릴(116) 및 또한 롤러 R1(118), R2(120) 및 R3(122)의 공간적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32)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 R1(118)은 바람직하게는 롤러 R1(118)이 스트립(112)의 풀림 동안 릴(116)과 선형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추가로, 회전 축 A1(124)은 바람직하게는 릴 축(117)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공간적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의 롤러 R1(118)의 고정은 하우징(132)에 배치된 2개의 스프링 요소(134) 및 홈(136)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에게 친숙한 다른 형태의 고정도 가능하며, 그 예는 대안적인 기계적 및/또는 유압 및 또한 전자적 위치 적응이다.
장치(110)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원통형 롤러 R4(137)를 포함하고, 롤러 R4(137)는 회전 축(13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롤러 R3(122)의 하류에 포지셔닝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110)의 롤러 R1(118), R2(120), R3(122) 및 또한 롤러 R4(137)는 스트립(112)의 인출을 통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수동의, 드라이브가 없는 롤러이다. 도 3에서, 스트립(112)의 인출은 캐리어 재료(114) 아래의 도면의 우측 여백에서 음의 y-방향의 화살표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출은, 예를 들어, 캐리어 재료(114)의 이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장치(110)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접착제(142), 바람직하게는 무용매 접착제를 캐리어 재료(114)에 적용하기 위한 본드 적용 장치(140)를 포함한다. 장치(110)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립(112)의 길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유닛(144)을 추가로 포함한다. 장치(110)는 바람직하게는 티어 스트립(146)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110 장치
112 스트립(P)
114 캐리어 재료(T)
116 릴(S)
117 릴 축(AS)
118 롤러 R1
120 롤러 R2
122 롤러 R3
124 회전축 A1
126 회전축 A2
128 회전축 A3
129 접점
130 적용 장치(V)
131 단면
132 하우징
134 스프링 요소
136 홈
137 롤러 R4
138 회전축 A4
140 본드 적용 장치(K)
142 접착제
144 분리 장치
146 티어 스트립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microcreped paper)를 포함하는 스트립(P)(112)을 캐리어 재료(T)(114)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110)로서, 상기 스트립(P)(112)이 길이(l), 폭(b) 및 두께(d)를 갖는 면적 범위(여기서, l >> b > d임)를 가지며, 상기 장치가
    (I)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고 릴(S)(116)에 권취된 스트립(P)(112)으로서, 상기 릴(S)(116)이 릴 축(AS)(1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립(P)(112);
    (II) 상기 릴(11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린 상기 스트립(P)(112)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1(118), R2(120) 및 R3(122)로서, 상기 롤러 R1(118)은 상기 릴(S)(116)의 하류에 있고, 상기 롤러 R2(120)는 상기 롤러 R1(118)의 하류에 있고, 상기 롤러 R3(122)는 상기 롤러 R2(120)의 하류에 있으며;
    (II.1) 상기 롤러 R1(118)은 회전 축 A1(124)을 갖고, 상기 회전 축 A1(124)과 상기 릴 축(AS)(117) 사이의 각도 α1은 ± 5°의 허용 오차로 0°이고;
    (II.2) 상기 롤러 R2(120)는 회전 축 A2(126)를 갖고, 상기 회전 축 A2(126)와 상기 릴 축(AS)(117) 사이의 각도 α2는 ± 10°의 허용 오차로 0°이고;
    (II.3) 상기 롤러 R3(122)는 회전 축 A3(128)를 갖고, 상기 회전 축 A3(128)와 상기 회전 축 A2(126) 사이의 각도 α3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인, 롤러 R1(118), R2(120) 및 R3(122);
    (III) 상기 스트립(P)(112)을 상기 캐리어 재료(T)(114)에 적용하기 위한, 상기 롤러 R3(122)의 하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적용 장치(V)(130)를 포함하고;
    상기 릴(116)에 권취된 상기 스트립(P)(112)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는 하기 특성:
    (a) ISO 1924-3에 따라 결정된, 상기 스트립(P)(112)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FZ)(여기서, FZ ≥ 8 kN/m임);
    (b) ISO 1924-3에 따라 결정된, 상기 스트립(P)(112)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신장성(FD)(여기서, FD ≥ 4%임);
    (c) ISO 1974에 따라 결정된, 상기 스트립(P)(112)의 면적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인열 저항(FR)(여기서, FR ≥ 1200 mN임)을 갖는, 장치(110).
  2. 제1항에 있어서, 8 kN/m ≤ FZ ≤ 22 kN/m, 바람직하게는 10 kN/m ≤ FZ ≤ 21 k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kN/m ≤ FZ ≤ 20 kN/m이고, 4% ≤ FD ≤ 16%, 바람직하게는 8% ≤ FD ≤ 15%이고, 1200 mN ≤ FR ≤ 4500 mN, 바람직하게는 1500 mN ≤ FR ≤ 4000 mN,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mN ≤ FR ≤ 3500 mN인, 장치(1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롤러 R1(118), R2(120) 및 R3(122)가 원통형 롤러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 R1(118), R2(120) 및 R3(122) 중 적어도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든 롤러 R1(118), R2(120) 및 R3(122)가 적어도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양쪽 면에 실질적으로 플랜지가 없는, 장치(1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 R3(122)가 스트립(P)(112)의 안내시, 상기 스트립(P)(112)과 상기 롤러 R3(122) 사이의 제1 접점(129)이 릴(S)(116)의 단면(end face)(131)의 면에 놓이거나 상기 릴(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 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장치(1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러 R1(118)의 회전 축 A1(124)이, 스트립(P)(112)의 풀림 동안 상기 롤러 R1(118)은 릴(S)(116)과 접촉하고, 상기 스트립(P)(112)의 풀림 동안 상기 롤러 R1(118)의 회전 축 A1(124)은 릴 축(AS)(117)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되는(positioned), 장치(1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축 A1(124) 및 A2(126)가, 롤러 R1(118)과 롤러 R2(120) 사이의 스트립(P)(112)의 자유 길이가 150 내지 50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m의 범위가 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회전 축 A2(126) 및 A3(128)가, 상기 롤러 R2(120)와 롤러 R3(122) 사이의 스트립(P)(112)의 길이가 150 내지 300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 mm의 범위가 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장치(1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I)에 따라, 스트립(P)(112)을 릴(11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풀리도록 안내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R4(137)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롤러 R4(137)는 롤러 R3(122)의 하류에 있으며,
    (II.4) 상기 롤러 R4(137)는 회전 축 A4(138)를 가지며, 상기 회전 축 A4(138)와 회전 축 A3(128) 사이의 각도 α4는 ± 1°의 허용 오차로 90°인, 장치(1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110)가 적어도 하나의 본딩 층을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본드 적용 장치(K)(14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장치(110)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112)의 길이를 분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유닛(144)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치(110)가 바람직하게는 스트립(P)(112)을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 및 스트립(P)(112)을 제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동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110).
  9.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P)(112)을 캐리어 재료(T)(114)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110)으로서, 상기 방법이
    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10)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재료(T)(114)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스트립(P)(112)을 적어도 3개의 롤러 R1(118), R2(120) 및 R3(122)를 통해 릴(S)(116)로부터 적용 장치(V)(130)로 안내하는 단계;
    d) 상기 스트립(P)(112)을 상기 적용 장치(V)(130)에 의해 상기 캐리어 재료(T)(114) 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방법이 단계 d)에 선행하는 단계 e):
    e) 제8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드 적용 장치(K)(140)를 제공하고, 본딩 층을 상기 본드 적용 장치(K)(140)에 의해 캐리어 재료(T)(114)에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151650A 2021-11-17 2022-11-14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KR20230072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30079.7A DE102021130079A1 (de) 2021-11-17 2021-11-17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ein mikrogekrepptes Papier enthaltenden Streifens
DE102021130079.7 2021-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425A true KR20230072425A (ko) 2023-05-24

Family

ID=8432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650A KR20230072425A (ko) 2021-11-17 2022-11-14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50785A1 (ko)
EP (1) EP4183728A1 (ko)
KR (1) KR20230072425A (ko)
CN (1) CN116135532A (ko)
DE (1) DE1020211300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803A (en) * 1983-03-31 1997-01-21 P. P. Payne Limited Filmic packaging material and a tear adherent thereto
PT861152E (pt) 1995-10-23 2000-05-31 Clopay Plastic Prod Co Produto aparelho e processo para a laminacao de tiras de uma pelicula de polimero numa banda nao urdida
DE29917738U1 (de) 1999-10-07 1999-12-30 Beiersdorf Ag Vorrichtung zum Abrollen von auf einer Rolle befindlichem, schmalem, zumindest einseitig selbstklebend ausgerüstetem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0785A1 (en) 2023-05-18
EP4183728A1 (de) 2023-05-24
DE102021130079A1 (de) 2023-05-17
CN116135532A (zh)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6338B1 (en) Backing film removal system and method using a passive (non powered) take up roller for fiber placement machine
EP1735155B1 (en) Transfer tape and method for cutting and spooling a paper web
US106043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n end of a strip to a tambour
US20170297849A1 (en) Splice arrangement
JP5221542B2 (ja) ラベリングシステム
EP284136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venting wrinkles in a web fed through an accumulator
EP1044153A1 (en) Method and device in a paper machine, coating machine, intermediate winder, unwind stand of a slitter-winder, or in any other device for treatment of a web
US7111438B2 (en) Packaging apparatus and packaging method
EP1798172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wickeln einer Materialbahn
FI109989B (fi) Menetelmä ja laite rullanvaihdossa
KR20230072425A (ko) 마이크로크레이핑된 페이퍼를 포함하는 스트립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JPH05213498A (ja) スペア・ロールの巻取り紙始端を形成しかつ掴む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KR101903953B1 (ko) 돌출 라이너를 지니는 접착 테이프를 생산하는 방법
EP086450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 package
US10384900B2 (en)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laminating and dispensing transfer tape in a paper web turn-up system
CN110612201B (zh) 用于垫料转换机的库存材料单元上的条带组件
US20180339875A1 (en)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laminating and dispensing transfer tape in a paper web turn-up system
US20040046080A1 (en) Method for changing a reel in a reel-up and a tape for use in the method
CN107986063B (zh) 拼接组件
US11104536B2 (en) Method for introducing a material web into a corrugating device
US20220363508A1 (en) Spindle free tape article and method
CN107521998B (zh) 将纤维幅材端部固定到卷的方法及关联的附接物分配系统
FI130278B (en) Joint and device for joining the ends of fiber webs together
WO2022144951A1 (ja) 芯なしロール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2935922B2 (ja) 丁合装置における紙つな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