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619A -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619A
KR20230071619A KR1020210158013A KR20210158013A KR20230071619A KR 20230071619 A KR20230071619 A KR 20230071619A KR 1020210158013 A KR1020210158013 A KR 1020210158013A KR 20210158013 A KR20210158013 A KR 20210158013A KR 20230071619 A KR20230071619 A KR 2023007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handle
loading box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790B1 (ko
Inventor
임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리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리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리에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15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업용 또는 개별 운송업을 위해 운행되는 밀폐형 화물칸을 보유한 차량의 잠금장치 측면에 추가 설치되는 모듈을 통해 잠금장치가 올바르게 잠겨 있는 여부를 원격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Vehicle loading box opening and theft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상업용 또는 개별 운송업을 위해 운행되는 밀폐형 화물칸을 보유한 차량(이하 탑차)의 잠금장치(키 리테이너) 측면에 추가 설치되는 모듈을 통해 잠금장치가 올바르게 잠겨 있는 여부를 원격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탑차로 대표되는 운송차량의 적재수단으로는 통상 일면에 상·하차를 위한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태의 컨테이너 또는 적재함이 사용되며, 이때 도어에는 로킹바(locking bar)를 구비한 잠금장치를 통하여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며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기본적으로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보안을 위해 잠금장치를 고정하는 추가 고정수단이 구비되나, 택배 배송 차량 등 탑차의 대부분은 신속한 배송을 위해 운전자가 짧은 시간 동안 적재함을 수차례 오르내려야 하므로 도어를 닫은 후 잠금장치를 대강 조작해 두고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탑차의 운행 또는 주·정차상태에서 도어의 열림으로 인해 인근 차량 또는 구조물이나 보행자에 충격을 가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며, 운전자가 적재물 상·하차 이후 문을 닫은 상태에서 잠긴 것으로 오인하거나, 근거리 이동시 의도적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한 채 이동 중 문이 열리는 상황 발생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탑차가 주·정차 중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장치가 온전히 고정수단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송 등의 사유로 잠시 택배기사가 자리를 비우는 것을 틈타 도난이 발생하는 절도사건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리미트 스위치나 마그네틱 스위치를 도어에 설치하여 적재함의 개폐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닫힘 여부만 확인할 뿐 잠금 상태의 확인은 불가능하며 적재물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있고 특정 시공업체를 통하지 않고는 직접설치가 어렵다는 문제로 큰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9463호(2017.09.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형 화물칸을 보유한 탑차의 적재함 도어 핸들의 위치를 통해 잠김 여부를 판단하고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경고신호를 출력하되 원격의 운전자가 쉽게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의도치 않은 문 열림이나 적재물 도난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핸들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로킹바의 회전을 통해 적재함 도어를 잠그는 차량의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외측 로킹바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핸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며 내측에 정 위치로 안착된 핸들을 감지하는 핸들감지부가 설치된 삽입부가 형성된 감지모듈; 전원부와, 근거리 무선통신 및 상용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핸들감지부의 감지결과를 알려주되 잠금 해제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1통신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2통신부와, 상기 경보신호를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앱연동부와,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와 동작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지모듈은, 적재함과의 접촉부분에 설치되며 외부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진구와, 정 위치로 안착된 핸들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핸들감지부의 위치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접촉되는 적재함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와, 상기 탄성돌기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눌림감지부와, 상기 탄성돌기가 눌린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돌기의 돌출이 감지됨에 따라 파손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 및 앱연동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파손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의 운행 및 주정차상태 및 시동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연동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차량의 운행과 주정차 중 시동 여부에 따라 경보신호를 구분하여 생성시키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별도로 설치되는 배터리 및 차량 상시전원 중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전원공급 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핸들감지부의 동작 주기를 변경하는 전원조정부와,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도어의 개방으로부터 다음 잠금시까지 경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동작보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핸들 인식센서를 통해 도어 핸들이 잠금장치에 정확히 결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 탑차의 적재함 문의 개폐 여부는 물론 잠김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함과 문의 형태, 위치가 다른 상황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후방뿐 아니라 측면에 있는 적재함 문의 개폐 상황까지 확인할 수 있어, 차량운행 및 주정차 중 개방된 문이나 적재물 낙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외부인에 의한 적재물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밀폐형 화물칸, 즉 적재함을 보유한 탑차에 적용된다. 탑차는 기본적으로 후방으로 여닫는 도어(102)가 설치되며 이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킹바(103)를 통해 잠금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로킹바(103)는 도어(102)를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도어(102)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와 상기 로킹바(103)의 상하단에는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잠금 수단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로킹바(103)에는 핸들(104)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운전자가 이를 잡고 로킹바(10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측면으로 로킹바(103)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104)의 위치를 고정하여 적재함 도어(102)의 열림을 방지하는 잠금장치(105)가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적재함의 측면에도 추가적인 도어가 설치된 경우, 핸들을 통해 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조에서는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탑차의 도어 및 잠금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104)의 위치를 감지함으로 잠금장치(105)가 올바르게 잠겨 있는 여부를 판단하고 원격의 운전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 및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요 구성으로 감지모듈(110)과 제어모듈(120) 및 단말기(130)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모듈(110)은 상기 적재함(101) 외측 로킹바(103)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104)을 감지함으로 로킹바(103)를 통한 도어(102)의 잠금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상기 감지모듈(110)은 적재함(101) 외측에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04)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로킹바(103)에 힌지 결합함에 따라 상측으로 개방된 삽입부(111)가 형성되어 로킹바(103)가 회전하여 잠긴 상태에서 핸들(104)이 상기 삽입부(111)로 드나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11)의 내측에는 도어(102)가 잠긴 상태에서 정 위치, 즉 상기 잠금장치(105)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의 핸들(104)을 감지하는 핸들감지부(11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감지부(112)는 삽입부(111) 내에서 정 위치 상태의 핸들(104)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로 감압센서나, 상기 핸들이 전도체로 구성될 경우 전도도 센서 또는 비접촉 센서로서 발광부 및 수광부를 통해 핸들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감지부(112)는 정확한 위치에서의 핸들(104)을 감지함으로 도어의 잠금 해제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흔들림과 진동을 수반하는 차량의 운행 특성상 느슨하게 핸들(104)이 잠금장치(105)에 걸린 상태에서 자칫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풀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잠금 상태에서의 핸들위치 감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모듈(110)은 적재함 도어(102)의 외측벽에 설치됨에 있어 적재함(101)과의 접촉부분에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진구(113)가 삽입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방진구(113)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고무를 비롯하여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운행시 적재함(101)으로부터 감지모듈(110)로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105)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부(111)에 정 위치로 안착된 핸들(104)의 위치에 대응하여 정확한 핸들(104)의 위치 및 정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감지부(112)의 위치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1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감지부(112)가 접촉센서로 이루어짐에 따라 감지모듈(110)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거나 핸들(104)의 헐거워짐 발생, 정비 후 위치의 틀어짐 등의 사유가 생기더라도 핸들감지부(112)가 정확한 위치에서의 핸들(104)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핸들감지부(112)의 위치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조정부(114)를 마련하게 된다.
첨부된 도 5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삽입부(111) 내측에서 상기 핸들감지부(112)가 상하측으로 움직이며 상측으로 접촉하는 핸들(104)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되, 하측으로 암사나부를 형성하고 감지모듈(110) 외측에서 드라이버나 렌치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나사형태의 구조체로서 이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시켜 핸들감지부(112)의 높낮이를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부(114)를 구성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감지모듈과 연동함으로 감지결과를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세부구성으로 전원부(121)와, 제1통신부(122)와, 출력부(123)와, 차량연동부(124)와, 판단부(125)와, 전원조정부(126)와, 동작보류부(127)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부(121)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운용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차량의 시동 여부와 관계없이 상시 운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에 따라 별도로 설치되는 배터리 및 차량 상시전원, 즉 차량에 탑재된 축전지 중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별도로 설치되는 배터리 또한 차량의 상시전원과 연동되는 충방전 가능한 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전원조정부(126)와 연계하여 상황에 따라 전원공급수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 효율적인 전원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22)는 근거리 무선통신 및 상용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후술되는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를 사용하고, 이동통신망은 LTE, 5G 등 상용의 이동통신망에 접속가능한 통신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부(123)는 상기 핸들감지부(112)의 감지결과를 운전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되 잠금 해제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운전자가 위치하는 운전석 측에 설치되는 경광등으로 구성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중이나 운전자가 운전석에 위치한 상태에서 적재함(101) 도어(102)의 잠금이 풀린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량연동부(124)는 차량의 상태를 반영한 시스템 운용을 위한 구성으로 즉, 차량의 운행 및 주정차상태 및 시동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영상이나 가속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인지할 수도 있으나 상태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OBD 단자를 통해 출력되므로 상기 내부통신부를 차량의 OBD 단자와 통신하도록 구성함으로 정확한 차량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125)는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차량의 운행과 주정차 중 시동 여부에 따라 경보신호를 구분하여 생성하는 구성이다.
운행 중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과 주정차 중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은 그 원인을 비롯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도에서 큰 차이가 있다. 즉 운행중 도어의 열림은 운행중인 다른 차량과 도어의 충돌뿐 아니라 적재된 화물이 도로로 쏟아져 2차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급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동이 켜진 상태의 정차 중인 상태, 곧 운행이 시작되는 상태에서도 동일한 위험이 존재하며,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의 도어 잠금 해제는 도난 상황으로 인지될 수 있어 음향 등을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 효과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부(123)는 경광등의 색이나 작동패턴, 음향신호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경보신호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조정부(126)는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전원공급 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핸들감지부(112)의 동작 주기를 변경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별도로 구비된 배터리 내지는 차량의 배터리를 중심으로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발전기가 동작하는 차량의 운행시간이 지속되지 않는 한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장시간 주차된 상태 및 적재함이 비워진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작이 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며, 기타 사고발생 가능성이나 잠금 풀림 가능성이 작은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로 핸들감지부(112)의 동작 주기를 늘리거나, 잠금 풀림 가능성이 큰 상태에서는 핸들감지부(112)의 동작 주기를 줄이도록 조치할 수 있다.
상기 동작보류부(127)는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도어의 개방으로부터 다음 잠금시까지 경보신호의 출력을 보류시키는 구성이다. 즉 후술되는 단말기(130)를 통해 운전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나 패턴, 생체정보 등과 연동하여 인증을 진행 후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신호의 출력을 보류시키게 되며, 상하차 작업 택배화물 분류작업 도난의 위험이나 도어 열림으로 인한 사고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작은 상태에서는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30)는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이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개인용 휴대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세부구성으로 제2통신부(131)와, 앱연동부(132)와, 제어부(133) 및 인증부(134)를 구비한다.
상기 제2통신부(131)는 상기 제1통신부와 동일한 통신회로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과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되며, 운전자가 운전석에 위치하여 상기 단말기(130)와 제어모듈이 가까운 상태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이 이루어지고, 블루투스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앱연동부(132)는 상기 경보신호를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33)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와 동작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출력부(123)를 통해 즉각적인 잠금 해제상황을 파악할 수 없을 때는 단말기(13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팝업 알림이나 메시지를 통해 경보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전원부(121)의 상태를 비롯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의 유지 및 해제, 잠금 및 해제 시간 등의 동작상태의 확인과 제어모듈(120)의 경보 끄기, 전원변환 등의 동작 제어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110)은 의도치 않은 사고나 파손, 범죄로 인한 탈거 등의 사유로 설치된 감지모듈이 정상적인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구성으로, 파손감지부(118)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손감지부(118)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접촉되는 적재함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115)와, 상기 탄성돌기(115)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눌림감지부(117)를 구비하게 된다.
즉 스프링(116)을 통해 감지모듈(110)의 외측. 설치면 측으로 탄성돌기(115)가 돌출되도록 하되 도어(102) 외측에 부착설치와 동시에 탄성돌기(115)가 눌린 상태를 유지하며 접촉센서로 이루어진 눌림감지부(117)가 이를 상시 인지하게 된다.
즉 상기 눌림감지부(117)는 상기 탄성돌기(115)가 눌린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감지모듈(110)이 설치면으로부터 이탈되어 탄성돌기(115)의 돌출이 감지됨에 따라 파손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123) 및 앱연동부(132)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설치된 감지모듈(110)의 의도치 않은 분리 및 파손이나 고의적인 탈거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1: 적재함 102: 도어
103: 로킹바 104: 핸들
105: 잠금장치 110: 감지모듈
111: 삽입부 112: 핸들감지부
113: 방진구 114: 조정부
115: 탄성돌기 116: 스프링
117: 눌림감지부 118: 파손감지부
120: 제어모듈 121: 전원부
122: 제1통신부 123: 출력부
124: 차량연동부 125: 판단부
126: 전원조정부 127: 동작보류부
130: 단말기 131: 제2통신부
132: 앱연동부 133: 제어부
134: 인증부

Claims (5)

  1. 핸들(104)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로킹바(103)의 회전을 통해 적재함 도어(102)를 잠그는 차량의 적재함(101)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1) 외측 로킹바(103)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핸들(104)이 드나들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며 내측에 정위치로 안착된 핸들을 감지하는 핸들감지부(112)가 설치된 삽입부(111)가 형성된 감지모듈(110);
    전원부(121)와, 근거리 무선통신 및 상용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122)와, 상기 핸들감지부(112)의 감지결과를 알려주되 잠금 해제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23)를 구비하는 제어모듈(120);
    상기 제1통신부(122)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2통신부(131)와, 상기 경보신호를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는 앱연동부(132)와,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120)의 제어와 동작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33)를 구비하는 단말기(1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110)은,
    적재함(101)과의 접촉부분에 설치되며 외부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진구(113)와, 정위치로 안착된 핸들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핸들감지부(112)의 위치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부(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110)은,
    접촉되는 적재함(101)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115)와, 상기 탄성돌기(115)의 눌림 상태를 감지하는 눌림감지부(117)와, 상기 탄성돌기(115)가 눌린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돌기(115)의 돌출이 감지됨에 따라 파손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 및 앱연동부(132)를 통해 출력시키는 파손감지부(1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차량의 운행 및 주정차상태 및 시동 여부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연동부(124)와,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차량의 운행과 주정차 중 시동 여부에 따라 경보신호를 구분하여 생성시키는 판단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21)는 별도로 설치되는 배터리 및 차량 상시전원 중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상태정보를 반영하여 전원공급 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핸들감지부(112)의 동작 주기를 변경하는 전원조정부(126)와,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도어(102)의 개방으로부터 다음 잠금시까지 경보신호의 출력을 보류하는 동작보류부(1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KR1020210158013A 2021-11-16 2021-11-16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KR10265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013A KR102658790B1 (ko) 2021-11-16 2021-11-16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013A KR102658790B1 (ko) 2021-11-16 2021-11-16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619A true KR20230071619A (ko) 2023-05-23
KR102658790B1 KR102658790B1 (ko) 2024-04-19

Family

ID=8654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013A KR102658790B1 (ko) 2021-11-16 2021-11-16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7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3655A1 (en) * 2011-05-19 2012-11-22 Stanton Concepts, L.L.C. Vertical Rod Engaging Latch Lock
US20170158110A1 (en) * 2015-12-03 2017-06-08 Hyon IL JO Locking apparatus of container for trailer
KR20170099463A (ko)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자랩 적재함 도어 개폐 통보 시스템
JP2019078071A (ja) * 2017-10-24 2019-05-23 株式会社東洋ボデー トラック荷台用扉の錠システム及びトラック荷台
KR102252551B1 (ko) * 2020-05-12 2021-05-17 노아소리 주식회사 배송차량 도어 열림 앱 연동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3655A1 (en) * 2011-05-19 2012-11-22 Stanton Concepts, L.L.C. Vertical Rod Engaging Latch Lock
US20170158110A1 (en) * 2015-12-03 2017-06-08 Hyon IL JO Locking apparatus of container for trailer
KR20170099463A (ko)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자랩 적재함 도어 개폐 통보 시스템
JP2019078071A (ja) * 2017-10-24 2019-05-23 株式会社東洋ボデー トラック荷台用扉の錠システム及びトラック荷台
KR102252551B1 (ko) * 2020-05-12 2021-05-17 노아소리 주식회사 배송차량 도어 열림 앱 연동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790B1 (ko)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402B2 (en) Charging cable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cable
KR100766188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JP3899505B2 (ja) 無線装置
CN102232228A (zh) 用于自动解锁机动车辆的可打开面板的设备
US20160171859A1 (en) Safety System for an Enclosed Area
JP5200105B2 (ja) ユーザ識別装置
US20100250052A1 (en) In-vehicle monitor for monitoring vehicle status
KR100622231B1 (ko) 타이어 공기압 경고 시스템
CN110539724A (zh) 无线钥匙应急锁车系统和无线钥匙应急锁车方法
WO2003038940A1 (en) On-vehicle battery
TW201326525A (zh) 貨櫃之門鎖裝置
US20180361992A1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20080072551A (ko) 차량용 도난방지 장치
US7916004B2 (en) Security system with passive locking bypass
KR101973130B1 (ko) 적재함 도어 개폐 통보 시스템
KR20230071619A (ko) 차량 적재함 개폐 및 도난 알림 시스템
CN105083212A (zh) 使用入侵传感器检测车门微启
US104728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lock system
US10354502B2 (en) Container door electronic seal system
JP4539285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CN112313387B (zh) 专用车的门开闭装置
JP2009209578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102252551B1 (ko) 배송차량 도어 열림 앱 연동 경보장치
JP2002227478A (ja) 車両用施解錠装置
JP3606833B2 (ja) 車両用盗難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