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508A - 현수구 - Google Patents

현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508A
KR20230070508A KR1020237013784A KR20237013784A KR20230070508A KR 20230070508 A KR20230070508 A KR 20230070508A KR 1020237013784 A KR1020237013784 A KR 1020237013784A KR 20237013784 A KR20237013784 A KR 20237013784A KR 20230070508 A KR20230070508 A KR 20230070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ing
guide
extending
racewa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토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7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8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sideward adjustment, i.e. left-right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과제] 천장으로부터 매다는 피(被)현수물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인다.
[해결 수단] 현수구(hanging tool)는, 건물에 구비하는 천장에 형성된 격자형상의 홈을 통해 피현수물을 매달기 위한 현수구이다. 현수구는, 홈에 있어서의 복수 군데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현수구는, 고정부에 접속되며, 피현수물을 매다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고정부와 본체부 중 어느 한쪽에는, 고정부와 본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제1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고정부에 대한 본체부의 접속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체부에는, 피현수물을 매달기 위한,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현수구는, 제2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본체부에 대한 피현수물의 현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구
[0001] 본 발명은, 현수구(hanging tool)에 관한 것이다.
[0002] 건물(建屋)로부터 현가(懸架)되어 설치된 천장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 이와 같은 천장은, 예컨대 복수의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부재가 매트릭스상(狀)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격자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을 통해 현수구가 부착되고, 이 현수구를 통해 피(被)현수물이 지지(保持)된다.
[0003]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126924호
[0004] 상기의 천장은, 복수의 프레임이 홈의 교점에 있어서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 부재가 건물에 매달리기 때문에, 이 교점 부분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홈의 일부에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가 이미 매달려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홈의 교점 부근 및 설비 부근에 현수구를 부착할 수 없기 때문에, 특수한 현수구가 필요해지는 등, 피현수물을 매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0005] 본 발명은, 천장으로부터 매다는 피현수물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현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6]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의 현수구는, 건물에 구비하는 천장에 형성된 격자형상의 홈을 통해 피현수물을 매달기 위한 현수구로서, 홈에 있어서의 복수 군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접속되며, 피현수물을 매다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고정부와 본체부 중 어느 한쪽에는, 고정부와 본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제1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고정부에 대한 본체부의 접속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본체부에는, 피현수물을 매달기 위한,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제2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본체부에 대한 피현수물의 현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0007] 상기 양태의 현수구는, 제1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 및 제2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피현수물의 위치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어, 피현수물을 매다는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08] 제1 방향은, 격자형상의 홈 중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평행하고, 제2 방향은, 격자형상의 홈 중 소정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평행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고정부에 대한 피현수물의 위치를 격자형상의 홈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0009] 고정부는, 홈에 고정되는 복수의 행잉부와, 복수의 행잉부의 하단(下端)에 부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판상체(板狀體)를 구비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행잉부와 판상체를 현수 하중 등의 용도에 따른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피현수물을 안정적으로 매달 수 있다.
[0010] 복수의 행잉부는, 홈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 고정되는 제1 행잉부와, 홈에 있어서의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고정되는 제2 행잉부와, 홈에 있어서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와 상이한 제3 위치에 고정되는 제3 행잉부를 구비하고, 판상체는, 제1 행잉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2 행잉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과, 제3 행잉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각각 접속되는 제3 부분을 구비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는, 각각 제1 가이드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판상체를 복수의 행잉부에 의해 지지하므로, 판상체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빈 부분에 의해, 홈에 이미 설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설비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0011] 본체부는, 제1 부분의 제1 가이드부에 접속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이스웨이와, 제1 레이스웨이와는 이격(離間)되어 제2 부분의 제1 가이드부에 접속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이스웨이를 구비하고, 제1 레이스웨이 및 제2 레이스웨이는, 각각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2개의 레이스웨이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레이스웨이로부터 매달리는 피현수물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12] 본체부는, 제1 레이스웨이의 하단과 제2 레이스웨이의 하단에 접속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재를 구비하고, 직선 부재에는,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제1 레이스웨이와 제2 레이스웨이 사이의 하방에, 직선 부재를 통해 피현수물을 매달 수 있다.
[0013] 본체부는, 제1 부분의 제1 가이드부, 및 제2 부분의 제1 가이드부에 각각 접속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고, 본체부에는,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판상체에 있어서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빈 부분의 하방에, 본체부를 통해 피현수물을 매달 수 있다.
[0014] 복수의 행잉부는, 홈에 있어서의 제4 위치에 고정되는 제4 행잉부와, 홈에 있어서의 제4 위치와 상이한 제5 위치에 고정되는 제5 행잉부를 구비하고, 판상체는, 제4 행잉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과, 제5 행잉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 부분에 접속되는 제5 부분을 구비하고, 제4 부분에는, 제1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본체부는, 제4 부분의 제1 가이드부에 접속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레이스웨이를 구비하고, 제3 레이스웨이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제3 레이스웨이가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가이드됨으로써, 제3 레이스웨이의 제2 가이드부로부터 매달리는 피현수물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15] 고정부는, 홈에 있어서의 제6 위치에 고정되는 제6 행잉부와, 홈에 있어서의 제6 위치와 상이한 제7 위치에 고정되는 제7 행잉부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제6 행잉부 및 제7 행잉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판상(板狀)의 부재이며, 제6 행잉부에 대응하는 제1 가이드부로서의 원호형상의 제1 원호 가이드부와, 제7 행잉부에 대응하는 제1 가이드부로서의 원호형상의 제2 원호 가이드부와, 직선형상(直線狀)의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제1 원호 가이드부와 제2 원호 가이드부는, 공통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이며, 공통의 점을 사이에 두고 대치(對峙)하여 설치되고, 제2 가이드부는, 평면 뷰(平面視)에 있어서 제1 원호 가이드부와 제2 원호 가이드부 사이에 연장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이 양태의 현수구는, 본체부를, 공통의 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2 가이드부로부터 매달리는 피현수물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16] 또한, 상기의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 모두를 열거한 것은 아니다. 또, 이들 특징군(群)의 서브 콤비네이션도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0017] 도 1은,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방향에서 본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천장의 단면(斷面)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방향에서 본 현수구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현수구(2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현수구(200)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현수구(3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현수구(4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현수구(400)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0018] 이하에서는,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겠지만,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0019]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방향 D1에서 본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 제1 방향 D1로서의 X방향과 제2 방향 D2로서의 Y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Z방향은,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은, 이른바 오른손좌표계(右手系)를 이룬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상(上) 및 상방(上方)이란, +Z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하(下) 및 하방(下方)이란, -Z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X방향은, 「소정의 방향」의 일례이다. 또한, Y방향은, 「소정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일례이다.
[0020] 현수구(100)는, 건물(B)에 구비하는 천장(C)에 형성된 격자형상의 홈(V)을 통해 피현수물(Q)을 매달기 위한 부재이다. 건물(B)은, 예컨대 반도체 공장의 건물 등을 포함한다. 천장(C)은, 예컨대 건물(B)의 천장부로부터 행잉 금구(金具)(H)에 의해 매달려 있다. 천장(C)은, 예컨대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부재(F)와, 프레임 부재(F)끼리 연결하는 연결 부재(J)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J)는, 행잉 금구(H)에 연결되고, 복수의 프레임 부재(F) 중 4개의 프레임 부재(F)의 모서리부(角部)가 모이는 곳마다 배치된다. 연결 부재(J)는, 4개의 프레임 부재(F)의 모서리부끼리 연결한다. 연결 부재(J)는, 평면 뷰에 있어서 십자형상이다. 천장(C)에 있어서, 복수의 프레임 부재(F)들 사이에는, 격자형상의 홈(V)이 형성된다. 제1 방향 D1은, 격자형상의 홈(V) 중 X방향으로 연장되는 홈(V)과 평행하다. 제2 방향 D2는, 격자형상의 홈(V) 중 Y방향으로 연장되는 홈(V)과 평행하다.
[0021] 현수구(100)는, 고정부(110) 및 본체부(120)를 구비한다. 고정부(110)는, 홈(V)에 있어서의 복수 군데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고정부(110)는, 제1 행잉부(111A), 제2 행잉부(111B), 제3 행잉부(111C) 및 판상체(112)를 구비한다. 제1 행잉부(111A), 제2 행잉부(111B) 및 제3 행잉부(111C)는, 홈(V)에 고정된다.
[0022] 제1 행잉부(111A)는, 홈(V)에 있어서의 제1 위치 P1에 고정된다. 제2 행잉부(111B)는, 홈(V)에 있어서의 제2 위치 P2에 고정된다. 제2 위치 P2는, 제1 위치 P1과 상이한 위치이다. 제3 행잉부(111C)는, 홈(V)에 있어서의 제3 위치 P3에 고정된다. 제3 위치 P3은,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와 상이한 위치이다. 제1 행잉부(111A), 제2 행잉부(111B) 및 제3 행잉부(111C)는, 각각의 하단의 높이 위치가 균일한 상태로 배치된다.
[0023] 판상체(112)는, 복수의 행잉부(11)의 하단에 부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부재이다. 판상체(112)는, 제1 부분(112A), 제2 부분(112B) 및 제3 부분(112C)을 구비한다. 제1 부분(112A)은, 제1 행잉부(111A)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1 방향 D1로 연장된다. 제2 부분(112B)은, 제2 행잉부(111B)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1 방향 D1로 연장된다. 제3 부분(112C)은, 제3 행잉부(111C)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2 방향 D2로 연장된다. 제3 부분(112C)은, 제1 부분(112A) 및 제2 부분(112B)에 각각 접속된다. 판상체(112)는, 예컨대 평면 뷰에 있어서 ㄷ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이 되도록 제1 부분(112A), 제2 부분(112B) 및 제3 부분(112C)이 배치된다.
[0024] 제1 부분(112A) 및 제2 부분(112B)에는, 각각 제1 가이드부(G1)가 설치된다. 제1 가이드부(G1)는, 고정부(110)와 본체부(120)를 접속한다. 제1 가이드부(G1)는, 판상체(11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제1 가이드부(G1)는, 제1 방향 D1로 연장되어 있고, 예컨대, 제1 가이드부(G1)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고정부(110)에 대한 본체부(120)의 접속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0025] 본체부(120)는, 고정부(110)에 접속되며, 피현수물(Q)을 매다는 부재이다. 본체부(120)는, 제1 레이스웨이(121), 제2 레이스웨이(122) 및 직선 부재(123)를 구비한다. 제1 레이스웨이(121)는, 제1 부분(112A)의 제1 가이드부(G1)에 접속된다. 제1 레이스웨이(121)는, 제2 방향 D2로 연장된다. 제2 레이스웨이(122)는, 제1 레이스웨이(121)와는 이격되어 제2 부분(112B)의 제1 가이드부(G1)에 접속된다. 제2 레이스웨이(122)는, 제2 방향 D2로 연장된다. 제1 레이스웨이(121)와 제2 레이스웨이(122)는, 제2 방향 D2로 나란한 상태로 배치된다.
[0026] 직선 부재(123)는, 예컨대 판상이며, 제2 방향 D2로 연장된다. 직선 부재(123)는, 볼트 등의 접속 부재에 의해 제1 레이스웨이(121)의 하단과 제2 레이스웨이(122)의 하단에 접속된다. 직선 부재(12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방향 D1의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L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하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성이 확보된다.
[0027] 제1 레이스웨이(121), 제2 레이스웨이(122) 및 직선 부재(123)는, 각각 제2 가이드부(G2)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부(G2)는, 제1 레이스웨이(121) 및 제2 레이스웨이(122)의 바닥부(底部), 그리고 직선 부재(12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제2 가이드부(G2)는, 제2 방향 D2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G2)에는, 피현수물(Q)의 행잉 금구(Q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행잉 금구(Q1)의 하단에는, 너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행거(Q2)가 고정된다. 제2 가이드부(G2)는, 행잉 금구(Q1)의 제2 방향 D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행잉 금구(Q1)의 위치를 제2 방향 D2에 대해 변경함으로써, 본체부(12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제2 방향 D2의 접속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직선 부재(123)의 제2 가이드부(G2)는, 제2 방향 D2에 대해 제1 레이스웨이(121)와 제2 레이스웨이(122) 사이에 걸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직선 부재(123)를 통해, 제1 레이스웨이(121)와 제2 레이스웨이(122) 사이의 하방에 피현수물(Q)을 매달 수 있다. 또한, 직선 부재(123)가 판상체(112)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레이스웨이(121)와 제2 레이스웨이(122)를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부재(123)와 천장(C) 간의 거리가 크게 확보된다. 이 때문에, 천장(C)의 홈(V)에 화재 경보기,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가 배치되는 경우라도, 해당 설비를 우회하여 피현수물(Q)을 매달 수 있다.
[0028] 도 5는, 천장(C)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행잉부(111A), 제2 행잉부(111B) 및 제3 행잉부(111C)는, 고정구(113)를 통해 홈(V)에 고정된다. 고정구(113)는, 상측 플랜지(113A), 하측 플랜지(113B) 및 연결 부재(113C)를 구비한다. 상측 플랜지(113A)는,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 부재(F)의 상면 사이에 걸쳐 배치된다. 하측 플랜지(113B)는,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 부재(F)의 하면 사이에 걸쳐 배치된다. 연결 부재(113C)는, 상측 플랜지(113A)와 하측 플랜지(113B)를 연결한다.
[0029] 상측 플랜지(113A)는, 예컨대, 평면 뷰에 있어서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판상 부재이며, 짧은 쪽(短手) 방향의 길이가 홈(V)의 폭보다 짧은 형상의 부재이다. 이 상측 플랜지(113A)를 구비하는 고정구(113)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는, 홈(V)에 대해 상측 플랜지(113A)의 긴 쪽(長手) 방향을 따르도록, 홈(V)의 하방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구(113)를 배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고정구(113)의 상측 플랜지(113A)를 홈(V)에 삽입하고, 고정구(113)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홈(V)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구(113)를 고정할 수 있다.
[0030] 상측 플랜지(113A)는, 예컨대, 평면 뷰에 있어서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2개의 판상 부재가 힌지에 접합되고, 미도시된 조작 부재에 의해 2개의 판상 부재를 개폐할 수 있는 부재여도 된다. 이 상측 플랜지(113A)를 구비하는 고정구(113)를 사용할 경우, 작업자는, 힌지에 접합된 2개의 판상 부재가 닫힌 상태로, 홈(V)의 하방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구(113)를 배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고정구(113)의 상측 플랜지(113A)를 홈(V)에 삽입하고,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2개의 판상 부재를 엶으로써, 홈(V)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구(113)를 고정할 수 있다.
[0031] 도 6은, 제2 방향 D2에서 본 현수구(100)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피현수물(Q)은, 제1 레이스웨이(121) 및 제2 레이스웨이(122)로부터 현수구(100)를 통해 매달리는 행잉 금구(Q1)와, 다른 레이스웨이(124)로부터 매달리는 행잉 금구(Q1)에 의해 지지된다. 현수구(100)는, 고정부(11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위치를, 제1 가이드부(G1)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1 방향 D1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서로 이웃하는 홈(V)의 간격과 피현수물(Q)의 사이즈가 맞지 않더라도 피현수물(Q)을 매달 수 있어,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32] 제1 실시형태의 현수구(100)는, 제1 가이드부(G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정부(11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위치를, 제1 가이드부(G1)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1 방향 D1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현수구(100)는, 제2 가이드부(G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정부(11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위치를, 제2 가이드부(G2)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2 방향 D2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장(C)으로부터의 피현수물(Q)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33]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현수구(2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현수구(200)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현수구(200)는, 고정부(110) 및 본체부(220)를 구비한다.
[0034] 고정부(110)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정부(1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고정부(110)는, 천장(C)의 홈(V)에 배치되는 화재 경보기,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S)를 우회하도록 배치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220)에 제1 레이스웨이(121) 및 제2 레이스웨이(122)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이다.
[0035] 본체부(220)는, 고정부(110)에 접속되며, 피현수물(Q)을 매다는 부재이다. 본체부(220)는, 예컨대 판상이며, 제2 방향 D2로 연장된다. 본체부(220)는, 볼트 등의 접속 부재에 의해, 고정부(110)에 있어서의 제1 부분(112A)의 제1 가이드부(G1)와, 제2 부분(112B)의 제1 가이드부(G1)에 각각 접속된다.
[0036] 본체부(220)는, 제2 가이드부(G2)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부(G2)는, 본체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제2 가이드부(G2)는, 제2 방향 D2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G2)에는, 피현수물(Q)의 행잉 금구(Q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행잉 금구(Q1)의 하단에는, 너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행거(Q2)가 고정된다. 제2 가이드부(G2)는, 행잉 금구(Q1)의 제2 방향 D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행잉 금구(Q1)의 위치를 제2 방향 D2에 대해 변경함으로써, 본체부(22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제2 방향 D2의 접속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0037] 제2 실시형태의 현수구(200)는, 고정부(11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위치를, 제1 가이드부(G1)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1 방향 D1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현수구(200)는, 고정부(11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위치를, 제2 가이드부(G2)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2 방향 D2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0)의 판상체(112)에 있어서의 제1 부분(112A)과 제2 부분(112B) 사이의 빈 부분의 하방에, 본체부(220)를 통해 피현수물(Q)을 매달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천장(C)에 설비(S)가 배치되는 경우라도, 설비(S)의 하방에 피현수물(Q)을 매달 수 있다. 또한, 본체부(220)가 설비(S)에 간섭하지 않는 높이에 배치되도록, 제1 행잉부(111A), 제2 행잉부(111B) 및 제3 행잉부(111C)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천장(C)으로부터의 피현수물(Q)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38]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현수구(3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현수구(300)는, 고정부(310) 및 본체부(320)를 구비한다.
[0039] 고정부(310)는, 홈(V)에 있어서의 복수 군데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고정부(310)는, 제4 행잉부(311D), 제5 행잉부(311E) 및 판상체(312)를 구비한다.
[0040] 제4 행잉부(311D)는, 홈(V)에 있어서의 제4 위치 P4에 고정된다. 제5 행잉부(311E)는, 홈(V)에 있어서의 제5 위치 P5에 고정된다. 제5 위치 P5는, 제4 위치 P4와 상이한 위치이다. 제4 행잉부(311D) 및 제5 행잉부(311E)는, 각각의 하단의 높이 위치가 균일한 상태로 배치된다.
[0041] 판상체(312)는, 복수의 행잉부(211)의 하단에 고정된다. 판상체(312)는, 제4 부분(312D) 및 제5 부분(312E)을 구비한다. 제4 부분(312D)은, 제4 행잉부(311D)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1 방향 D1로 연장된다. 제5 부분(312E)은, 제5 행잉부(311E)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2 방향 D2로 연장된다. 제5 부분(312E)은, 제4 부분(312D)에 접속된다. 판상체(312)는, 예컨대 평면 뷰에 있어서 L자 형상이 되도록 제4 부분(312D) 및 제5 부분(312E)이 배치된다.
[0042] 제4 부분(312D)에는, 제1 가이드부(G1)가 설치된다. 제1 가이드부(G1)는, 고정부(310)와 본체부(320)를 접속한다. 제1 가이드부(G1)는, 판상체(31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제1 가이드부(G1)는, 제1 방향 D1로 연장되어 있고, 예컨대, 제1 가이드부(G1)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고정부(310)에 대한 본체부(320)의 접속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0043] 본체부(320)는, 고정부(310)에 접속되며, 피현수물(Q)을 매다는 부재이다. 본체부(320)는, 제3 레이스웨이(321)를 구비한다. 제3 레이스웨이(321)는, 제4 부분(312D)의 제1 가이드부(G1)에 접속된다. 제3 레이스웨이(321)는, 제2 방향 D2로 연장된다.
[0044] 제3 레이스웨이(321)는, 제2 가이드부(G2)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부(G2)는, 제3 레이스웨이(321)의 바닥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제2 가이드부(G2)는, 제2 방향 D2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G2)에는, 피현수물(Q)의 행잉 금구(Q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행잉 금구(Q1)의 하단에는, 너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행거(Q2)가 고정된다. 제2 가이드부(G2)는, 행잉 금구(Q1)의 제2 방향 D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행잉 금구(Q1)의 위치를 제2 방향 D2에 대해 변경함으로써, 본체부(32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제2 방향 D2의 접속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0045] 제3 실시형태의 현수구(300)는, 고정부(31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위치를, 제1 가이드부(G1)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1 방향 D1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현수구(300)는, 고정부(31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위치를, 제2 가이드부(G2)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제2 방향 D2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3 레이스웨이(321)가 제1 가이드부(G1)에 의해 제1 방향 D1로 가이드됨으로써, 제3 레이스웨이(321)의 제2 가이드부(G2)에 피현수물(Q)을 매다는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46] 도 11은, 제4 실시형태의 현수구(40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현수구(400)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현수구(400)는, 고정부(410) 및 본체부(420)를 구비한다.
[0047] 고정부(410)는, 홈(V)에 있어서의 복수 군데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고정부(410)는, 제6 행잉부(411F) 및 제7 행잉부(411G)를 구비한다.
[0048] 제6 행잉부(411F)는, 홈(V)에 있어서의 제6 위치 P6에 고정된다. 제7 행잉부(411G)는, 홈(V)에 있어서의 제7 위치 P7에 고정된다. 제7 위치 P7는, 제6 위치 P6과 상이한 위치이다. 제6 행잉부(411F) 및 제7 행잉부(411G)는, 각각의 하단의 높이 위치가 균일한 상태로 배치된다.
[0049] 본체부(420)는, 고정부(410)에 접속되며, 피현수물(Q)을 매다는 부재이다. 본체부(420)는, 복수의 행잉부(311)의 하단에 고정되며,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본체부(420)는, 예컨대 평면 뷰에 있어서 원형이다. 본체부(420)의 평면 뷰에 있어서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이어도 되고, 타원형상이어도 된다.
[0050] 본체부(420)는, 제1 원호 가이드부(G3), 제2 원호 가이드부(G4) 및 제2 가이드부(G2)를 구비한다. 제1 원호 가이드부(G3) 및 제2 원호 가이드부(G4)는, 「제1 가이드부」의 일례이다. 제1 원호 가이드부(G3) 및 제2 원호 가이드부(G4)는, 공통의 점(O)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이며, 평면 뷰에 있어서 점(O)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여 배치된다. 예컨대, 평면 뷰에서 원형상인 본체부(420)의 중심에 점(O)이 배치되어도 된다. 제1 원호 가이드부(G3) 및 제2 원호 가이드부(G4)는, 예컨대 점(O)을 중심으로 하여 90°의 범위로 설치되지만, 이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90°보다 작은 각도 또는 90°보다 큰 각도의 범위로 설치되어도 된다. 제1 원호 가이드부(G3) 및 제2 원호 가이드부(G4)는, 본체부(4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제1 원호 가이드부(G3) 및 제2 원호 가이드부(G4)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고정부(410)에 대한 본체부(420)의 접속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0051] 제2 가이드부(G2)는, 예컨대 직선형상이며, 제1 원호 가이드부(G3)와 제2 원호 가이드부(G4)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G2)는, 점(O)을 포함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제2 가이드부(G2)는, 본체부(4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제2 가이드부(G2)에는, 피현수물(Q)의 행잉 금구(Q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행잉 금구(Q1)의 하단에는, 너트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행거(Q2)가 고정된다. 제2 가이드부(G2)는, 행잉 금구(Q1)의 제2 방향 D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행잉 금구(Q1)의 위치를 제2 방향 D2에 대해 변경함으로써, 본체부(420)에 대한 피현수물(Q)의 제2 방향 D2의 접속 위치가 변경 가능하다.
[0052] 제4 실시형태의 현수구(400)는, 판상 본체(320)부를, 공통의 점(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2 가이드부(G2)로부터 매달리는 피현수물(Q)의 현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0053] 이상,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 사항을,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법령으로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일본 특허출원인 특허출원 제2020-179085호, 및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인용한 모든 문헌의 개시를 원용하여 본문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0054] 100: 현수구
110: 고정부
111A: 제1 행잉부
111B: 제2 행잉부
111C: 제3 행잉부
112: 판상체
112A: 제1 부분
112B: 제2 부분
112C: 제3 부분
113: 고정구
113A: 상측 플랜지
113B: 하측 플랜지
113C: 연결 부재
120: 본체부
121: 제1 레이스웨이
122: 제2 레이스웨이
123: 직선 부재
124: 레이스웨이
200: 현수구
220: 본체부
300: 현수구
310: 고정부
311D: 제4 행잉부
311E: 제5 행잉부
312: 판상체
312D: 제4 부분
312E: 제5 부분
320: 본체부
321: 제3 레이스웨이
400: 현수구
410: 고정부
411F: 제6 행잉부
411G: 제7 행잉부
420: 본체부
B: 건물
C: 천장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F: 프레임 부재
G1: 제1 가이드부
G2: 제2 가이드부
G3: 제1 원호 가이드부
G4: 제2 원호 가이드부
H: 행잉 금구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P3: 제3 위치
P4: 제4 위치
P5: 제5 위치
P6: 제6 위치
P7: 제7 위치
Q: 피현수물
Q1: 행잉 금구
Q2: 행거
S: 설비
V: 홈

Claims (9)

  1. 건물에 구비하는 천장에 형성된 격자형상의 홈을 통해 피(被)현수물을 매달기 위한 현수구(hanging tool)로서,
    상기 홈에 있어서의 복수 군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접속되며, 상기 피현수물을 매다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 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접속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피현수물을 매달기 위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길이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피현수물의 현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현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격자형상의 홈 중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격자형상의 홈 중 상기 소정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과 평행한, 현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에 고정되는 복수의 행잉부와, 상기 복수의 행잉부의 하단(下端)에 부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판상체(板狀體)를 구비하는, 현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행잉부는,
    상기 홈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 고정되는 제1 행잉부와,
    상기 홈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고정되는 제2 행잉부와,
    상기 홈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와 상이한 제3 위치에 고정되는 제3 행잉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체는,
    상기 제1 행잉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2 행잉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3 행잉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각각 접속되는 제3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는,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현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와는 이격(離間)되어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이스웨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 및 상기 제2 레이스웨이는, 각각 상기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현수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레이스웨이의 하단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의 하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 부재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현수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1 가이드부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현수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행잉부는,
    상기 홈에 있어서의 제4 위치에 고정되는 제4 행잉부와,
    상기 홈에 있어서의 상기 제4 위치와 상이한 제5 위치에 고정되는 제5 행잉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상체는,
    상기 제4 행잉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부분과,
    상기 제5 행잉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4 부분에 접속되는 제5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4 부분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4 부분의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접속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레이스웨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레이스웨이는, 상기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현수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에 있어서의 제6 위치에 고정되는 제6 행잉부와,
    상기 홈에 있어서의 상기 제6 위치와 상이한 제7 위치에 고정되는 제7 행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6 행잉부 및 상기 제7 행잉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는 판상(板狀)의 부재이며,
    상기 제6 행잉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가이드부로서의 원호형상의 제1 원호 가이드부와,
    상기 제7 행잉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가이드부로서의 원호형상의 제2 원호 가이드부와,
    직선형상(直線狀)의 상기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호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원호 가이드부는, 공통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이며, 상기 공통의 점을 사이에 두고 대치(對峙)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평면 뷰(平面視)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호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원호 가이드부 사이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현수구.
KR1020237013784A 2020-10-26 2021-09-14 현수구 KR20230070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9085 2020-10-26
JP2020179085 2020-10-26
PCT/JP2021/033703 WO2022091612A1 (ja) 2020-10-26 2021-09-14 吊り下げ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508A true KR20230070508A (ko) 2023-05-23

Family

ID=8138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784A KR20230070508A (ko) 2020-10-26 2021-09-14 현수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392374A1 (ko)
EP (1) EP4234439A1 (ko)
JP (1) JP7494936B2 (ko)
KR (1) KR20230070508A (ko)
CN (1) CN116348395A (ko)
IL (1) IL302290A (ko)
TW (1) TW202231554A (ko)
WO (1) WO20220916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924A (ja) 2005-11-07 2007-05-24 Takenaka Komuten Co Ltd クリーンルーム天井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6369A (zh) 2014-10-15 2015-02-0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步进式加热炉支撑梁更换装置及方法
JP7190159B2 (ja) 2018-10-02 2022-12-15 エヌパット株式会社 支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US11673741B2 (en) 2019-01-25 2023-06-13 Murata Machinery, Ltd. Storage system
CN110250811B (zh) 2019-04-24 2020-09-08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水晶储存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924A (ja) 2005-11-07 2007-05-24 Takenaka Komuten Co Ltd クリーンルーム天井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48395A (zh) 2023-06-27
JPWO2022091612A1 (ko) 2022-05-05
IL302290A (en) 2023-06-01
JP7494936B2 (ja) 2024-06-04
TW202231554A (zh) 2022-08-16
US20230392374A1 (en) 2023-12-07
EP4234439A1 (en) 2023-08-30
WO2022091612A1 (ja)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789B2 (ja) 天井ブレース取付金具
US7882936B2 (en) Sheave support apparatus for elevator
JP5957228B2 (ja) 天井下地構造
EP2937485A1 (en) Suspended ceiling comprising a system for supporting a load
CN111051626A (zh) 金属挡板
JP2014109142A (ja) 天井下地用吊り金具
KR20230070508A (ko) 현수구
JP2013181342A (ja) 天井下地構造
JP6893679B2 (ja) ブレース上端接続金具、ブレース下端接続金具、及び天井下地構造
KR102267935B1 (ko) 타워크레인 장치
JP6489613B2 (ja) 吊天井の落下防止構造
JP6488097B2 (ja) 天井構造
JP2014199124A (ja) 天井吊下げ機器用免震装置
KR20150000644U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KR20210132466A (ko) 클린룸용 시스템 실링
KR20210030664A (ko)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JP2895128B2 (ja) 免震床構造
JP6302434B2 (ja) 長尺物の支持設備、支持方法、およ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保持部材
JP6016517B2 (ja) 空調換気ダクトの取付構造。
CN218040548U (zh) 用于线缆托架的交叉系统及包括其的线缆托架系统
JP5997935B2 (ja) 角形鋼用吊り金具
JP6830033B2 (ja) 天井構造及び施工方法
KR101971500B1 (ko) 면진 대상물의 공중 부양을 방지하는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면진 시스템
KR20170135606A (ko) 액세스 플로어 장치
JP6545220B2 (ja) 天井下地構造及び天井下地構造の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