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606A - 액세스 플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스 플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606A
KR20170135606A KR1020160067794A KR20160067794A KR20170135606A KR 20170135606 A KR20170135606 A KR 20170135606A KR 1020160067794 A KR1020160067794 A KR 1020160067794A KR 20160067794 A KR20160067794 A KR 20160067794A KR 20170135606 A KR20170135606 A KR 20170135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stringer
support
fixed
b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호
정담이
홍성걸
최경규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606A/ko
Publication of KR2017013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94Supporting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base plates or like, each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destals upstanding therefrom to receive the 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액세스 플로어 장치는: 복수개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 각각의 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 중 하나 이상씩을 연결하는 스트링거; 및 스트링거마다 하나씩 지지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세스 플로어 장치{ACCESS FLOOR APPARATUS}
본 발명은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방향의 지진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통신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이 구비된다. 정보통신 시스템은 탑재장치에 많은 배선이 연결된다. 건물은 지진을 대비하여 내진 설계가 되어 있다. 내진 설계가 되었더라도 지진 발생시 탑재장치에는 진동이 전달된다. 탑재장치에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탑재장치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8095호(2015. 06. 19 공개, 발명의 명칭: 공극 미세조정 전자석을 갖는 자기부상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방향의 지진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는: 복수개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 각각의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지주부 중 하나 이상씩을 연결하는 스트링거; 및 상기 스트링거마다 하나씩 지지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트링거의 하측에 상기 스트링거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거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거는 모서리부에서 각각의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지주부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는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거의 중심부는 상기 마운트의 중심부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트링거는 상기 마운트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의 하면에는 상기 스트링거와 마주하는 부위에 보강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에는 상기 보강부를 제외한 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한 상기 스트링거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플로어 장치는 복수개로 연결되는 상기 마운트에서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를 지지하도록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 패널부; 상기 고정 패널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보스부; 및 상기 고정 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주부가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는: 복수개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 하나의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복수의 상기 지주부를 연결하는 스트링거; 및 이웃한 복수의 상기 스트링거에 의해 지지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의 하측에서 상기 마운트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는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스트링거는 이웃한 복수의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를 지지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는 상기 스트링거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의 하면에는 상기 마운트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격되도록 보강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거에는 상기 보강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의 하면에는 상기 보강부를 제외한 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한 상기 스트링거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플로어 장치는 복수개로 연결되는 상기 마운트에서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를 지지하도록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 패널부; 상기 고정 패널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보스부; 및 상기 고정 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주부가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지주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지진 발생시 지주부가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링거마다 하나의 마운트가 지지되므로, 하나의 마운트의 하중이 하나의 스트링거를 통해 복수의 지주부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운트가 복수의 스트링거에 의해 지지되므로, 마운트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링거가 마운트의 둘레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마운트의 지지점과 중심부 사이의 거리가 단축된다. 따라서, 탑재장치의 하중이 마운트에 가해질 때에 마운트의 밴딩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마운트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여 액세스 플로어 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스트링거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에 스트링거가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의 하측과 스트링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지주부와 스트링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베이스와 지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보조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지주부와 스트링거에 작용하는 압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에 작용하는 밴딩 모멘트를 도시한 작용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와 스트링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스트링거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에 스트링거가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는 베이스(110), 복수의 지주부(120), 스트링거(130) 및 마운트(14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건물 등의 바닥면(10)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베이스(110)는 건물의 바닥면(10)에 복수의 지주부(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베이스(110)에는 바닥면(10)에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홀(111a)이 형성된다.
복수의 지주부(120)는 베이스(110)에 각각 고정되고, 베이스(110)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베이스(110)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지진 발생시 복수의 지주부(120)에 전달되는 진동이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로 분산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주부(120)에 전달되는 진동이 상측으로 갈수록 분산 및 흡수되므로, 지진 발생시 수직방향 및 횡방향 진동 등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는 아래와 같은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지주부(120)는 베이스(110)에서 일정 높이까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높이부터 상측까지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120)는 베이스(110)에서 일정 높이까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높이부터 상측까지 연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120)는 전체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복수의 지주부의 일 실시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지주부(120)는 베이스(110)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스트링거(130)는 라운드진 형태의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스트링거(130)가 라운드진 형태의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지진 발생시 진동이 라운드진 복수의 지주부(120)를 따라 전달되면서 분산 및 흡수된다. 따라서, 지주부(120)가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주부(120)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상하방향 진동과 수평방향 진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지주부(12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20)가 하측으로 갈수록 베이스(110)에 수렴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하측으로 갈수록 베이스(110)에 수렴되게 형성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20)가 하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므로, 지주부(120)의 강성이 하측으로 갈수록 증대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주부(120)가 베이스(1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20)가 하측으로 갈수록 베이스(110)에 수렴되므로, 마운트(140)의 하측에 전기배관이나 통신배관을 설치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140)의 하측에 전기배관이나 통신배관을 설치할 때에 지주부(120)가 전기배관이나 통신배관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지주부(120)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된다. 지주부(120)가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므로, 지주부(120)에 하중이 가해질 때에 지주부(120)의 원주방향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부(120)에 여러 방향의 진동이 작용되더라도 지주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지주부(120)의 단면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링거(130)는 각각의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120) 중 하나 이상씩을 연결한다. 이때, 마운트(140)마다 스트링거(130)가 하나씩 배치되고, 스트링거(130)의 하측에는 스트링거(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베이스(110)가 배치되고, 스트링거(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베이스(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주부(120)가 스트링거(130)에 연결된다. 복수의 베이스(110)에서 하나 이상씩의 지주부(120)가 스트링거(130)에 연결되므로, 스트링거(130)의 외측으로 복수의 지주부(120)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지주부(120)는 스트링거(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스트링거(130)의 외측에서 스트링거(130)를 지지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에 가해질 때에 스트링거(130)에는 압축 저항력이 발생된다.
또한, 스트링거(130)가 복수의 지주부(120)를 연결하므로, 탑재장치(미도시)의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에 가해질 때에 복수의 지주부(120)의 상측이 방사상으로 벌어지거나 오무라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주부(120)가 탑재장치의 하중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트링거(130)는 모서리부에서 지주부(120)와 연결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스트링거(130)의 모서리부에는 지주부(120)가 하나씩 연결되므로, 스트링거(130)마다 4개씩의 지주부(120)가 연결된다. 따라서, 탑재장치의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20)가 스트링거(130)를 스트링거(130)의 내측으로 가압하더라도 스트링거(13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링거(13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스트링거(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달되면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거(130)의 모서리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주부(120)는 스트링거(130)의 중심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트링거(13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거(130)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주부(120)의 높이가 동일하므로, 스트링거(130)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한 스트링거(130)는 연결부재(13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도 4 참조). 스트링거(130)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재(137)는 스트링거(130)의 모서리부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재(137)와 스트링거(130)는 격자 구조로 배치된다. 연결부재(130)가 이웃한 스트링거(130)를 서로 연결하므로, 복수의 스트링거(130)가 개별적으로 흔들리거나 위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37)의 길이는 마운트(14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마운트(140)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경우, 이웃한 스트링거(13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므로, 연결부재(137)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한다. 연결부재(137)는 체결부재나 용접 등에 의해 스트링거(1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7)는 이웃한 스트링거(130)를 연결하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140)는 각 스트링거(130)마다 하나씩 배치된다. 마운트(140)는 하나의 스트링거(13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나의 스트링거(130)에 결합된다. 마운트(140)에는 탑재장치가 탑재된다. 마운트(140)는 복수의 분할된 단위 마운트가 결합으로 일체화된 것일 수 있다. 스트링거(130)마다 하나의 마운트(140)가 지지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하나의 스트링거(130)를 통해 복수의 지주부(120)에 분산될 수 있다.
마운트(140)는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베이스(110)는 마운트(140)의 모서리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마운트(140)가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므로, 1개의 마운트(140)의 둘레부에는 4개의 마운트(140)가 접촉된다. 이때, 1개의 마운트(140)에 4개의 마운트(140)가 맞대어지게 설치되므로, 지진의 진동에 의해 이웃한 마운트(140)가 서로 벌어지거나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웃한 마운트(140)가 벌어지거나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각 스트링거(130)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주부(120)의 지지력이 서로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140)가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스트링거(130)의 중심부는 마운트(140)의 중심부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스트링거(130)는 마운트(140)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스트링거(130)의 중심부가 마운트(140)의 중심부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므로, 마운트(140)의 중심부에서 일정한 원주상에 복수의 지주부(120)의 단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지주부(120)는 마운트(140)의 중심부에서 일정한 반경상에서 마운트(140)를 지지한다. 또한, 스트링거(130)가 마운트(140)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마운트(140)의 지지점이 마운트(140)의 중심부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마운트(140)의 지지점과 중심부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마운트(140)에 가해질 때에 마운트(140)의 밴딩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마운트(140)의 밴딩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지주부(120)가 마운트(140)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비해 마운트(14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플로어 장치의 제조비용에서 마운트(140)의 제조비용이 대략 70% 정도 차지하지만, 마운트(140)의 제조비용이 감소됨에 따라 제1 실시예에서 액세스 플로어 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두께의 마운트(140)를 설치하더라도 마운트(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의 하측과 스트링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지주부와 스트링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베이스와 지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마운트(140)의 하면에는 스크링거(130)와 마주하는 부위에 보강부(14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보강부(141)는 마운트(140)의 모서리부와 동일한 방향에 보강부(141)의 모서리부가 배치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스트링거(130)는 마운트(140)를 지지하는 지지점 역할을 수행한다. 보강부(141)가 스트링거(130)와 마주하는 부위에 형성되므로, 마운트(140)의 지지력이 스트링거(130)와 보강부(141)에 의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거(130)가 마운트(140)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동된 부위에서 마운트(140)를 지지하므로, 마운트(140)의 벤딩 모우멘트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140)의 두께를 감소시킴에 따라 마운트(140)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트링거(130)에는 마운트(140)의 보강부(141)에 결합되도록 사각틀 형태의 안착부(131)가 형성된다. 마운트(140)의 보강부(141)가 스트링거(130)의 안착부(131)에 결합되므로, 마운트(140)와 보강부(141)가 지진의 진동에 의해 슬립되거나 위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운트(140)의 지지점이 마운트(140)의 중심부에 가까워지므로, 마운트(140)의 지지점과 중심부 사이의 거리가 단축된다. 이때, 탑재장치의 하중이 마운트(140)에 가해질 때에 마운트(140)의 밴딩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마운트(14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140)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마운트(140)의 하면에는 보강부(141)를 제외한 부위에 오목부(145)가 형성된다. 오목부(145)는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140)의 하면에 오목부(145)가 형성되므로, 제조비용을 많이 차지하는 마운트(140)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두께의 마운트(140)를 설치하더라도 마운트(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부(120)는 베이스(110)마다 4개씩 고정된다. 이때, 지주부(120)는 스트링거(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90° 각도마다 배치된다. 지주부(120)가 사각의 마운트(140)의 모서리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베이스(110)마다 4개씩의 지주부(120)가 고정되므로, 베이스(110)마다 하나씩의 지주부(120)가 서로 다른 마운트(140)의 스트링거(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스트링거(130)에는 4개씩의 지주부(120)가 결합된다.
베이스(110)는 각 마운트(140)의 둘레부에 4개씩 배치된다. 베이스(110)는 바닥면(10)에 설치되는 고정 패널부(111)와, 고정 패널부(111)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보스부(113)와, 고정 보스부(113)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주부(120)가 고정되는 홀더부(115)를 포함한다.
고정 패널부(11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 패널부(111)에는 고정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도록 복수의 고정홀(111a)이 형성된다. 고정 보스부(113)는 고정 패널부(1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홀더부(115)는 고정 보스부(113)에 삽입되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홀더부(115)에 고정되고, 홀더부(115)가 고정 보스부(113)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복수의 지주부(120)의 하측이 홀더부(115)에 수렴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15)와 고정 보스부(113)가 복수의 지주부(12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홀더부(115)는 지주부(12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고정 보스부(113)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고정 보스부(113)의 내측면에는 보스 나사부(113a)가 형성되고, 홀더부(115)의 외측면에는 보스 나사부(113a)에 나사 결합되도록 홀더 나사부(115a)가 형성된다. 홀더부(115)가 고정 보스부(113)에 나사 결합되므로, 홀더부(115)를 회전시켜 지주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주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마운트(140)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홀더부(115)에 4개의 지주부(120)가 고정되는 경우, 지주부(120)는 홀더부(115)에 90° 간격마다 배치된다. 이때, 4개의 지주부(120)가 이웃한 마운트(140)의 설치 위치(모서리부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홀더부(115)를 90°씩 회전시키면서 지주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보조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액세스 플로어 장치는 복수개로 연결되는 마운트(140)에서 최외곽의 마운트(140)를 지지하도록 최외곽의 마운트(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 서포터(150)를 더 포함한다. 보조 서포터(150)는 건물의 벽면 근처의 마운트(140)를 절단하여 마운트(140)의 최외곽에 지주부(120)나 스트링거(130)를 설치하기 곤란할 경우에, 마운트(140)의 최외곽을 지지하도록 설치한다.
보조 서포터(150)는 최외곽의 마운트(140)의 하측에 배치되는 서포터 패널부(151)와, 서포터 패널부(151)에 고정되는 서포터 칼럼부(153)와, 서포터 칼럼부(153)에 결합되고, 최외곽의 마운트(140)를 지지하는 서포터 브라켓(156)을 포함한다. 서포트 패널부(15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서포터 브라켓(156)에는 마운트(140)의 보강부(141)가 안착되도록 결합홈부(157)가 형성된다.
서포터 칼럼부(153)는 서포터 패널부(151)에 세워지는 제1 칼럼부(154)와, 제1 칼럼부(154)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제2 칼럼부(155)를 포함한다. 제2 칼럼부(155)가 제1 칼럼부(154)와 상대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서포터 칼럼부(15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지주부와 스트링거에 작용하는 압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에 작용하는 밴딩 모멘트를 도시한 작용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마운트(140)의 상측에 탑재장치가 탑재된다. 탑재장치의 하중은 마운트(140)를 통해 복수의 지주부(120)에 전달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설치되고, 스트링거(130)의 외측으로 복수의 지주부(120)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지주부(120)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를 통해 방사상으로 분산된다.
이때, 복수의 지주부(120)가 스트링거(130)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므로, 복수의 지주부(120)의 반력이 스트링거(130)에 가해진다. 스트링거(130)가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중심부 측으로 가압되므로, 스트링거(130)에는 압축 저항력이 발생된다.
또한, 스트링거(130)가 마운트(140)의 중심부와 동심을 이루고, 마운트(140)의 둘레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마운트(140)의 지지점이 마운트(140)의 중심부에 가까워진다. 이때, 마운트(140)의 지지점과 중심부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마운트(140)에 가해질 때에 마운트(140)의 밴딩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도 12 참조).
마운트(140)의 밴딩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지주부(120)가 마운트(140)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구조에 비해 마운트(14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많이 차지하는 마운트(140)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액세스 플로어 장치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두께의 마운트(140)를 설치하더라도 마운트(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진 발생시 건물의 진동이 지주부(120)에 전달된다. 이때, 복수의 지주부(120)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지주부(120)가 여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지주부와 스트링거의 형태 및 설치 위치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제2 실시예의 지주부와 스트링거에 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마운트(140)는 이웃한 복수의 스트링거(130)에 의해 동시에 지지된다. 즉, 스트링거(130b)는 이웃한 복수의 마운트(140)의 둘레부를 지지하도록 마운트(140)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스트링거(130b)는 복수의 마운트(140)를 동시에 지지한다. 복수의 스트링거(130b)가 마운트(140)의 둘레부를 지지하므로, 마운트(140)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트링거(130b)가 하나의 마운트(140)의 둘레부를 지지하므로, 마운트(140)가 밴딩 모멘트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140)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액세스 플로어 장치의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마운트(140)의 하측에는 마운트(140)를 둘러싸면서 복수의 베이스(110)가 배치된다. 마운트(140)는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110)는 마운트(140)의 모서리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면, 마운트(140)가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110)는 마운트(140)의 4개의 모서리부에 배치된다. 베이스(110)가 마운트(140)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므로, 복수의 스트링거(130b)가 마운트(140)의 둘레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스트링거(130b)는 하나의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부(120)에 결합된다. 스트링거(130b) 내부의 하측에는 복수의 지주부(120)가 배치되고, 스트링거(130b)의 중심부의 하측에는 베이스(110)가 설치된다. 지주부(120)는 스트링거(130b)의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베이스(110)에 4개의 지주부(120)가 고정되는 경우, 각 스트링거(130b)에는 4개씩의 지주부(120)가 연결된다.
스트링거(130b)가 하나의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부(120)에 결합되므로, 복수의 지주부(120)는 스트링거(130b)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베이스(110)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스트링거(130b)의 중심부 하측에서 상측으로 벌어지면서 스트링거(130b)를 지지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에 가해질 때에 스트링거(130b)에는 인장 저항력이 발생된다.
이때, 복수의 지주부(120)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형성되는 형태는 아래와 같은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지주부(120)는 베이스(110)에서 일정 높이까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높이부터 상측까지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120)는 베이스(110)에서 일정 높이까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높이부터 상측까지 연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120)는 전체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상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스트링거(130b)는 라운드진 형태의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스트링거(130b)가 라운드진 형태의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지진 발생시 진동이 라운드진 복수의 지주부(120)를 따라 전달되면서 분산 및 흡수된다. 따라서, 지주부(120)가 여러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주부(120)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상하방향 진동과 수평방향 진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지주부(120)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20)가 하측으로 갈수록 베이스(110)에 수렴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하측으로 갈수록 베이스(110)에 수렴되게 형성되므로, 탑재장치의 하중이 복수의 지주부(120)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지주부(120)의 강성이 하측으로 갈수록 증대되므로, 복수의 지주부(120)가 베이스(1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부(120)가 하측으로 갈수록 베이스(110)에 수렴되므로, 마운트(140)의 하측에 전기배관이나 통신배관을 설치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140)의 하측에 전기배관이나 통신배관을 설치할 때에 지주부(120)가 전기배관이나 통신배관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하나의 베이스(110)에 4개의 지주부(120)가 고정되는 경우, 스트링거(130b)는 이웃한 복수의 마운트(140)의 모서리부를 지지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스트링거(130b)의 모서리부는 90° 간격마다 배치된다. 스트링거(130b)의 모서리부에는 지주부(120)가 연결된다. 지주부(120)는 체결부재에 의해 스트링거(130b)의 모서리부에 연결된다.
복수의 지주부(120)는 스트링거(130)의 중심부에서 동일한 거리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복수의 지주부(120)가 스트링거(130)의 중심부에서 동일한 거리 및 높이로 형성되므로, 스트링거(130)에 전달되는 하중이나 무게가 복수의 지주부(120)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거(130)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플로어 장치에서 마운트와 스트링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마운트(140)의 하면에는 마운트(140)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격되도록 보강부(14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트링거(130)에는 보강부(141)가 안착되도록 안착부(131)가 형성된다. 안착부(131)는 스트링거(13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이때, 보강부(141)는 마운트(140)의 모서리부와 동일한 방향에 보강부(141)의 모서리부가 배치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스트링거(130)의 안착부(131)는 보강부(141)의 모서리부가 안착되도록 직각 형태로 형성된다. 스트링거(130)의 안착부(131)에 마운트(140)의 보강부(141)가 안착되므로, 스트링거(130)와 마운트(140)가 서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링거(130)의 위치가 마운트(140)에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운트(140)의 하면에는 보강부(141)를 제외한 부위에 오목부(145)가 형성된다. 오목부(145)는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140)의 하면에 오목부(145)가 형성되므로, 제조비용을 많이 차지하는 마운트(140)의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두께의 마운트(140)를 설치하더라도 마운트(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바닥면 110: 베이스
111: 고정 패널부 111a: 고정홀
113: 고정 보스부 113a: 보스 나사부
115: 홀더부 115a: 홀더 나사부
120: 지주부 125: 연결홀
130: 스트링거 131: 안착부
133: 스트링거홀 137: 연결부재
140: 마운트 141: 보강부
145: 오목부 150: 보조 서포터
151: 서포터 패널부 153: 서포터 칼럼부
154: 제1 칼럼부 155: 제2 칼럼부
156: 서포터 브라켓 157: 결합홈부

Claims (20)

  1. 복수개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
    각각의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기 지주부 중 하나 이상씩을 연결하는 스트링거; 및
    상기 스트링거마다 하나씩 지지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트링거의 하측에서 상기 스트링거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거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거는 모서리부에서 상기 지주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거의 중심부는 상기 마운트의 중심부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트링거는 상기 마운트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하면에는 상기 스트링거와 마주하는 부위에 보강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에는 상기 보강부를 제외한 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이웃한 상기 스트링거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복수개로 연결되는 상기 마운트에서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를 지지하도록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 패널부;
    상기 고정 패널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보스부; 및
    상기 고정 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주부가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1. 복수개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
    하나의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복수의 상기 지주부를 연결하는 스트링거; 및
    이웃한 복수의 상기 스트링거에 의해 지지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의 하측에서 상기 마운트의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사각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스트링거는 이웃한 복수의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를 지지하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모서리부는 상기 스트링거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하면에는 상기 마운트의 둘레부에서 중심부측으로 이격되도록 보강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거에는 상기 보강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하면에는 상기 보강부를 제외한 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이웃한 상기 스트링거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복수개로 연결되는 상기 마운트에서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를 지지하도록 최외곽의 상기 마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 패널부;
    상기 고정 패널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보스부; 및
    상기 고정 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주부가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플로어 장치.
KR1020160067794A 2016-05-31 2016-05-31 액세스 플로어 장치 KR20170135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794A KR20170135606A (ko) 2016-05-31 2016-05-31 액세스 플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794A KR20170135606A (ko) 2016-05-31 2016-05-31 액세스 플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606A true KR20170135606A (ko) 2017-12-08

Family

ID=6091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794A KR20170135606A (ko) 2016-05-31 2016-05-31 액세스 플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6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4318A (zh) * 2018-05-28 2018-11-27 昆明理工大学 一种提高钢框架侧移刚度的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4318A (zh) * 2018-05-28 2018-11-27 昆明理工大学 一种提高钢框架侧移刚度的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231B1 (ko) 면진 이중마루
US10047528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KR101624550B1 (ko) 계전기 제어반의 내진장치
EP3500077B1 (en) Low down seismic shock rack design
US11840284B2 (en) Modular saddle mount with isolator retained in a frame for reducing vibration in heavy equipment cabs
JP6012274B2 (ja) バスダクト支持構造
KR101782530B1 (ko) 보요소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 플로어 패널 설치장치
KR20170135606A (ko) 액세스 플로어 장치
JPH07139589A (ja) 防振架台
JP6209784B2 (ja) 減震ストッパ構造並びに当該減震ストッパ構造を備えた防振架台
KR20170131764A (ko) 액세스 플로어 장치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JP5341687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JP5279798B2 (ja) 免震床構造
KR20110023021A (ko) 랙의 내진장치
JP2016048077A (ja) 耐震機構及び防振装置
JP3326228B2 (ja) 二重床振動抑制装置
JP6342709B2 (ja) 免震床構造およびその固定支承部材
US6966535B2 (en) Snubber for pneumatically isolated platforms
CN209145227U (zh) 装配式活动地板系统
KR102591557B1 (ko) 내진용 트레이 지지장치
KR102305311B1 (ko) 방진 장치
JP2018179194A (ja) 耐震補強機構
JPH0623492B2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機器据付装置
KR101519593B1 (ko) 이중마루 시공용 저중량 고하중형 억세스플로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