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550A -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550A
KR20230069550A KR1020210155678A KR20210155678A KR20230069550A KR 20230069550 A KR20230069550 A KR 20230069550A KR 1020210155678 A KR1020210155678 A KR 1020210155678A KR 20210155678 A KR20210155678 A KR 20210155678A KR 20230069550 A KR20230069550 A KR 2023006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spension
inner space
chamber
air
incr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은우
박재형
이우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550A/ko
Publication of KR2023006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60G2202/422Linear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별개로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유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에어 서스펜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AIR SUSPENS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 서스펜션 중에서도 서로 분리되어 있는 내부 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가 탑재되는 멀티 챔버 에어 서스펜션은 전자 기계식 서스펜션(electro-mechanical suspension)과 비교하여 작은 진동의 흡수 및 승차감의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챔버 에어 서스펜션은 운전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의해 차고를 제어하거나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에어 서스펜션의 경우 불연속적인 강성 변화만을 구현할 수 있어 구현이 가능한 강성의 경우의 수가 제한적이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차량의 최적화된 튜닝이 구현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속적인 강성 변화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적화된 튜닝이 구현될 수 있는 에어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별개로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유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에어 서스펜션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챔버의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과 함께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리니어 모터; 및 일 측이 상기 리니어 모터에 고정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경계 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축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축 부재를 상기 축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의 일 측에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3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리저버;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제3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2 유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밸브;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증대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승차감 향상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감 향상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증대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상기 제3 내부 공간의 압력을 승압하는 것; 상기 제2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승차감 향상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감 향상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 상기 제3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을 승압하는 것; 상기 제2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은, 상기 차량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에어 서스펜션; 상기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에어 서스펜션; 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에어 서스펜션 및 상기 후방 에어 서스펜션은,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별개로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유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이 제공된다.
상기 전방 에어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는 상기 후방 에어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적인 강성 변화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적화된 튜닝이 구현될 수 있는 에어 서스펜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을 설명한다.
에어 서스펜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은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S1)이 형성되는 제1 챔버(100), 제1 챔버(100)와 별개로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S2)이 형성되는 제2 챔버(200) 및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을 연통하는 제1 유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챔버(200)는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에 구비되는 제1 챔버(100)는 후술할 차량에 구비되는 차체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차고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강성 또는 승차감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챔버(100)와 연통되는 제2 챔버(200)의 내부 공간(S2)의 부피가 변할 수 있으므로, 에어 서스펜션(10)의 전체 내부 공간, 즉, 제1 내부 공간(S1)의 부피와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의 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승차감 또는 강성에 맞게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연속적인 강성 변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적화된 튜닝이 구현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2 챔버(200)의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들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챔버(200)는 제2 챔버(2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210), 몸체부(210)의 내측면과 함께 제2 내부 공간(S2)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경계 부재(220)는 몸체부(2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가 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일 예로서, 경계 부재(2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일 예로서, 경계 부재(220)가 소정의 판 형상을 갖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테면, 몸체부(210)는 주사기의 몸체에 대응될 수 있고, 경계 부재(220)는 주사기 내부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거나 외부의 유체를 내부로 흡입하는 주사기의 피스톤 부재에 대응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은 몸체부(210)의 일 측에 구비되는 리니어 모터(500) 및 일 측이 리니어 모터(500)에 고정 결합되고 타 측이 경계 부재(220)에 고정 결합되는 축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축 부재(6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스크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리니어 모터(500)는 축 부재(600)를 축 부재(60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모터(500)의 구동에 의해 축 부재(600)와 연결되는 경계 부재(220)가 이동함으로써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가 변할 수 있다. 한편, 리니어 모터(500)의 구동은 제어부(10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서스펜션(10)은 제2 챔버(200)의 일 측에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3 내부 공간(S3)이 형성되는 리저버(700) 및 제2 내부 공간(S2)과 제3 내부 공간(S3)을 연통하는 제2 유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에 별도의 리저버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챔버(100)에 구비되는 제1 내부 공간(S1)의 압력과 제2 챔버(200)에 구비되는 제2 내부 공간(S2)의 압력이 큰 상태에서 제1 유로부(300)에 의해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이 서로 연통되는 경우 제1 내부 공간(S1)의 급격한 압력 변화에 따라 에어 서스펜션(10)에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로부(300)에 의해 제1 챔버(100)의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챔버(200)의 제2 내부 공간(S2)이 연통되기 전에 리저버(700)의 제3 내부 공간(S3)과 제2 챔버(200)의 제2 내부 공간(S2)을 연통시킴으로써 제1 내부 공간(S1)의 압력과 제2 내부 공간(S2)의 압력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 서스펜션(10)에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저버(700)를 이용한 에어 서스펜션(1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은 제1 유로부(30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밸브(8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유로부(40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밸브(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밸브(800)와 제2 밸브(90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의 제어 방법은 에어 서스펜션(1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 단계 또는 승차강 향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서스펜션(10)의 강성과 승차감은 서로 반대되는 성질일 수 있다. 즉, 에어 서스펜션(10)의 강성이 클수록 외부의 충격에 대해 에어 서스펜션(10)이 구비되는 차체의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외부의 충격 발생 시 차량의 탑승자에게 큰 충격을 가하므로 승차감은 낮아진다. 반면, 에어 서스펜션(10)의 승차감이 높을수록 외부의 충격에 대해 에어 서스펜션(10)이 구비되는 차체의 변위가 증가하므로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외부의 충격 발생 시 차체의 변위가 증가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강성 증대 단계는 i) 경계 부재(220)를 이동하여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및 ii) 제1 밸브(800)를 조절하여 제1 유로부(300)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열적으로 상기 i)은 전술한 ii)보다 먼저 일어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승차감 향상 단계는 i) 경계 부재(220)를 이동하여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 및 ii) 제1 밸브(800)를 조절하여 제1 유로부(300)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열적으로 상기 i)은 전술한 ii)보다 먼저 일어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에어 서스펜션(10)의 강성 또는 승차감에 따라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를 조절한 후 제1 유로부(300)를 개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이 연통되어 제1 내부 공간(S1)이 소정의 압력을 형성할 수 있고, 결?珝탔막? 사용자가 원하는 에어 서스펜션(10)의 강성 또는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서스펜션(10)이 전술한 리저버(700), 제2 유로부(400) 및 제2 밸브(900)를 포함하는 경우, 강성 증대 단계는 i) 경계 부재(220)를 이동하여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ii) 제3 내부 공간(S3)의 압력을 승압하는 것, iii) 제2 유로부(400)를 개방하는 것 및 iv) 제1 유로부(300)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열적으로 상기 i), 상기 ii), 상기 iii) 및 상기 iv) 순서대로 일어날 수 있으나, 그 순서는 전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서스펜션(10)이 전술한 리저버(700), 제2 유로부(400) 및 제2 밸브(900)를 포함하는 경우, 승차감 향상 단계는 i)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 ii) 제3 내부 공간(S3)의 내부 압력을 승압하는 것, iii) 제2 유로부(400)를 개방하는 것 및 iv) 제1 유로부(300)를 개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열적으로 상기 i), 상기 ii), 상기 iii) 및 상기 iv) 순서대로 일어날 수 있으나, 그 순서는 전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서스펜션(10)이 리저버(700), 제2 유로부(400) 및 제2 밸브(90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을 연통하기 전에 리저버(700)의 제3 내부 공간(S3)과 제2 챔버(200)의 제2 내부 공간(S2)을 먼저 연통시킴으로써 제1 내부 공간(S1)과 연통되기 전 제2 내부 공간(S2)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의 압력 차이가 큰 경우 리저버(700)를 통해 제2 내부 공간(S2)의 압력을 승압한 후에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이 연통되도록 하여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의 압력 차이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10)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에어 서스펜션(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에어 서스펜션(10)은 차량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에어 서스펜션 및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방 에어 서스펜션 및 후방 에어 서스펜션은 각각,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S1)이 형성되는 제1 챔버(100), 제1 챔버(100)와 별개로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S2)이 형성되는 제2 챔버(200) 및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을 연통하는 제1 유로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챔버(200)는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전방 에어 서스펜션 및 후방 에어 서스펜션은 서로 호환 가능할 정도의 동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전방 에어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제2 챔버(200)의 제2 내부 공간(S2)의 부피는 후방 에어 서스펜션의 부피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전방 에어 서스펜션의 승차감은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후방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크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 출렁거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방 에어 서스펜션, 후방 에어 서스펜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에어 서스펜션
100 : 제1 챔버
200 : 제2 챔버
210 : 몸체부
220 : 경계 부재
300 : 제1 유로부
400 : 제2 유로부
500 : 리니어 모터
600 : 축 부재
700 : 리저버
800 : 제1 밸브
900 : 제2 밸브
1000 : 제어부
S1 : 제1 내부 공간
S2 : 제2 내부 공간
S3 : 제3 내부 공간

Claims (11)

  1.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별개로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유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에어 서스펜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챔버의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과 함께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어 서스펜션.
  3. 청구항 2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리니어 모터; 및
    일 측이 상기 리니어 모터에 고정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경계 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축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축 부재를 상기 축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서스펜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2 챔버의 일 측에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3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리저버;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과 상기 제3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2 유로부; 를 더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
  6. 청구항 1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증대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승차감 향상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감 향상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4에 따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증대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상기 제3 내부 공간의 압력을 승압하는 것;
    상기 제2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승차감 향상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차감 향상 단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
    상기 제3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을 승압하는 것;
    상기 제2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및
    상기 제1 유로부를 개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10.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에어 서스펜션은,
    상기 차량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에어 서스펜션;
    상기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 에어 서스펜션; 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에어 서스펜션 및 상기 후방 에어 서스펜션은,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와 별개로 구비되고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유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가 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전방 에어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는 상기 후방 에어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챔버의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부피보다 크게 제어되는 차량.
KR1020210155678A 2021-11-12 2021-11-12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KR2023006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78A KR20230069550A (ko) 2021-11-12 2021-11-12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78A KR20230069550A (ko) 2021-11-12 2021-11-12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550A true KR20230069550A (ko) 2023-05-19

Family

ID=8654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678A KR20230069550A (ko) 2021-11-12 2021-11-12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5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79811B (zh) 具有控制阀的阻尼器
US20020121416A1 (en) Hydraulic cylinder apparatus
JP5830379B2 (ja) 陸上車用多点油圧懸架システム
JPH0382616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20230028794A (ko) 차량용 능동형 서스펜션(active suspension for a vehicle)
KR20230069550A (ko) 에어 서스펜션, 그 에어 서스펜션의 제어 방법 및 그 에어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차량
JP6361414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80054803A (ko) 진동 댐퍼, 진동 댐퍼의 작동 방법, 제어 장치, 및 자동차
JP4442556B2 (ja) 車高調整装置および液圧源制御装置
JP2008168861A (ja) 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3692649B2 (ja) 車高調整装置
JP3692650B2 (ja) 車高調整装置
JP2013116641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3334547B2 (ja)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518008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7085502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23151914A (ja) 車高調整システム
JPH119133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24017495A (ja) 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S5918671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KR102383220B1 (ko) 유압식 쇽업소버
JP200717625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7062527A (ja) 車高調整装置
JP2596134B2 (ja) 可変剛性ステアリングマウントブッシュ
JPH1096440A (ja) 積載量感応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