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955A -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955A
KR20230068955A KR1020220031931A KR20220031931A KR20230068955A KR 20230068955 A KR20230068955 A KR 20230068955A KR 1020220031931 A KR1020220031931 A KR 1020220031931A KR 20220031931 A KR20220031931 A KR 20220031931A KR 20230068955 A KR20230068955 A KR 2023006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heavy metals
heavy metal
present application
bism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한길상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6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ionic interaction
    • B01D15/361Ion-ex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4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in which the adsorbent properties of the ion-exchanger are involved, e.g. recovery of proteins or other high-molecular compounds

Abstract

본원은 층간 구조 내에 중금속을 포함하는 점토를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REMOVING METHOD OF HEAVY METALS IN CLAY}
본원은 점토내 중금속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토 광물은 넓은 비표면적 및 층간 구조로 인해 약물 담체 및 치료용 약제, 지사제, 중금속 흡착제 등 다양한 분야로 응용되어 왔다. 특히, 층간 구조로 인한 흡착 특성은 수질 내 중금속 제거 뿐 아니라 경구용 지사제로 사용되어 설사를 치료하는 데 사용이 가능하며, 층상 구조 내 약물을 담지하여 약물 방출시간을 조절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점토는 층간 구조 내에 미량의 납이 함유되어 있어 경구용 약제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로의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층간 구조 내 존재하는 미량의 납 제거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로 점토를 사용하기 위해 점토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487호는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에서는 철(Fe) 산화물 또는 망간(Mn) 산화물로 개질된 점토 광물을 이용하여 오염 토양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중금속이 흡착된 점토 내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을 포함하는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포함하는 약제를 제공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층간 구조 내에 중금속을 포함하는 점토를 비스무스(bismuth)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금속은 상기 용액 내에서 중금속 이온으로 이온화되며, 상기 교반에 의해 상기 비스무스 이온 및 상기 중금속 이온의 이온교환 반응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금속 이온은 0.80 Å 내지 1.20 Å 범위의 이온 반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금속 이온은 납, 스트론튬, 수은, 카드뮴, 이리듐, 탈륨, 크롬, 망간, 인듐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중금속의 이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점토는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은 산성 용액에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성 용액은 질산, 황산, 염산, 아이오딘화 수소산, 브로민화 수소산, 과염소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는 Bi(NO3)3, BiCl3, Bi(OAc)3, BiC6H5O7, BiONO3H2O, BiPO4, (BiO)2CO3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점토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제 4 측면은, 본원의 제 3 측면에 따른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포함하는, 약제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중금속을 포함하는 점토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상기 점토의 층간 구조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스무스 이온은 점토의 층간 구조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과 유사한 이온 반경을 가지며, 상기 용액 내에서 중금속 이온이 비스무스 이온과 이온교환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이온교환 방법에 의해 중금속을 제거함으로써 대용량 제조 공정으로의 응용이 용이하며 효과적인 중금속 제거로 인해 약제 등 바이오 및 다양한 분야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점토의 FE-SEM 결과이다.
도 2 는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점토의 XRD 분석 결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층간 구조 내에 중금속을 포함하는 점토를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중금속을 포함하는 점토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상기 점토의 층간 구조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스무스 이온은 점토의 층간 구조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과 유사한 이온 반경을 가지며, 상기 용액 내에서 중금속 이온이 비스무스 이온과 이온교환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이온교환 방법에 의해 중금속을 제거함으로써 대용량 제조 공정으로의 응용이 용이하며 효과적인 중금속 제거로 인해 약제 등 바이오 및 다양한 분야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은 산성 용액에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산성 용액에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를 첨가하는 것으로 상기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의 수용액 내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조된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온교환 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성 용액은 질산, 황산, 염산, 아이오딘화 수소산, 브로민화 수소산, 과염소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는 Bi(NO3)3, BiCl3, Bi(OAc)3, BiC6H5O7, BiONO3H2O, BiPO4, (BiO)2CO3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스무스는 독성이 거의 없어 납의 대체로 활용되는 금속으로써 지사제, 눈 감염 치료제, 악취 방지제, 장염, 위궤양, 피부질환 치료제 등의 의약품 제조에도 요긴하게 쓰이는 물질이다.
후술하겠지만, 본원에 따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이온교환 용액으로서 점토의 층간구조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과 유사한 이온 반경을 갖는 이온이 함유된 용액을 사용해야 한다. 상기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는 점토 내 포함된 중금속과 이온 반경이 유사하고 독성이 없는 물질이기 때문에, 본원의 발명자들은 이온교환 용액으로서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였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금속은 상기 용액 내에서 중금속 이온으로 이온화되며, 상기 교반에 의해 상기 비스무스 이온 및 상기 중금속 이온의 이온교환 반응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토의 층간 구조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은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중금속 이온으로 이온화되며, 점토가 첨가된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교반함으로써 상기 비스무스 이온과 상기 중금속 이온이 이온교환 반응을 수행하여 용액 내의 비스무스 이온은 점토의 층간 구조 내로 이동하고, 점토 내의 중금속은 용액으로 이동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금속 이온은 0.80 Å 내지 1.20 Å 범위의 이온 반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상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해 중금속 이온과 이온교환 용액 내의 금속 이온이 유사한 이온 반경을 가져야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온교환 용액 내의 금속 이온의 이온 반경이 제거하고자 하는 중금속 이온의 이온 반경과 2.0 Å 이상으로 차이가 나게 되면 이온 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본원에 따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에서는 이온교환 용액 내의 금속 이온으로 점토 내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과 유사한 이온 반경을 가지는 비스무스 이온을 사용하였다. 상기 비스무스 이온은 3 가의 양이온으로 원자가가 높아 이온교환 반응시 치환력이 커 보다 효과적으로 점토 내 중금속 제거가 가능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점토는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토는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용해되지 않으며, 상기 점토 내의 층간 구조에 존재하는 중금속만 중금속 이온으로 용액 내에 이온화된다. 이에 따라, 중금속 제거가 완료된 후에도 점토의 층간 구조 및 결정 구조가 그대로 유지되어 약제 및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중금속 이온은 납, 스트론튬, 수은, 카드뮴, 이리듐, 탈륨, 크롬, 망간, 인듐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중금속의 이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점토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1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점토 내의 중금속 제거를 완료한 후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점토는 층간 구조 내에 남아있던 미량의 중금속이 완전히 제거된 것이고, 인체에 해로운 성분을 가지지 않는 비스무스 이온이 이온교환을 통해 점토의 층간 구조 내에 침투하였기 때문에 경우 경구투여용 약제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3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 3 측면에 따른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에 대하여, 본원의 제 2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2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3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4 측면은, 본원의 제 3 측면에 따른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포함하는, 약제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 4 측면에 따른 약제에 대하여, 본원의 제 3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3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4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Bi 이온교환 방법에 의해 Pb가 제거된 스멕타이트
먼저, 비스무스 나이트레이트를 0.1 M 질산 용액 50 mL에 완전히 용해시켜 1 M의 Bi 이온을 포함하는 이온교환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Bi 이온교환 용액에 Pb를 포함하는 상용 스멕타이트 3 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온교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온교환 반응 이후 침전물을 물로 세척 및 건조시켜 Pb가 제거된 스멕타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용 스멕타이트
Pb 제거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상용 스멕타이트를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질산 처리된 스멕타이트
0.1 M 질산 용액 50 mL에 상용 스멕타이트 3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4h 동안 교반한 후 물로 세척 및 건조시켜 질산 처리된 스멕타이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Na 이온교환 방법에 의해 Pb가 제거된 스멕타이트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이온교환 용액으로 염화나트륨을 증류수 50 mL에 완전히 용해시킨 1 M의 Na 이온교환 용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Ca 이온교환 방법에 의해 Pb가 제거된 스멕타이트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이온교환 용액으로 염화칼슘을 증류수 50 mL에 완전히 용해시킨 1 M의 Ca 이온교환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점토 비교
도 1 은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점토의 FE-SEM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질산 처리 및 이온 교환에 의한 Pb 제거 후에도 여전히 층상의 입자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 는 본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점토의 XRD 분석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의 XRD 분석 결과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질산 처리 및 이온교환에 의한 Pb 제거 후에도 상이 변화하지 않고 여전히 스멕타이트 결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제거 방법은 스멕타이트 결정 구조 및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지사제, 경구 약제용 등에 사용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용출시험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의 경구용 약제로 사용을 위해 위산 분위기에서 용출되는 중금속 함량을 확인하였다.
0.1 M HCl 용액 20 mL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스멕타이트 0.3 g을 투입하여 37℃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분석을 통해 용출된 중금속 농도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1 은 본원의 일 실험예 2 의 결과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 을 참조하면, 실시예 1 의 점토에서 Pb 농도가 가장 낮게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에 따라 효율적으로 점토 내의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층간 구조 내에 중금속을 포함하는 점토를 비스무스(bismuth)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은 상기 용액 내에서 중금속 이온으로 이온화되며,
    상기 교반에 의해 상기 비스무스 이온 및 상기 중금속 이온의 이온교환 반응이 수행되는 것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 이온은 0.80 Å 내지 1.20 Å 범위의 이온 반경을 가지는 것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금속 이온은 납, 스트론튬, 수은, 카드뮴, 이리듐, 탈륨, 크롬, 망간, 인듐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중금속의 이온을 포함하는 것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는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것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무스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은 산성 용액에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용액은 질산, 황산, 염산, 아이오딘화 수소산, 브로민화 수소산, 과염소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산을 포함하는 것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무스 이온 전구체는 Bi(NO3)3, BiCl3, Bi(OAc)3, BiC6H5O7, BiONO3H2O, BiPO4, (BiO)2CO3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점토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
  11. 제 10 항에 따른 중금속이 제거된 점토를 포함하는, 약제.
KR1020220031931A 2021-11-11 2022-03-15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KR202300689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548 2021-11-11
KR20210154548 2021-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955A true KR20230068955A (ko) 2023-05-18

Family

ID=8654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931A KR20230068955A (ko) 2021-11-11 2022-03-15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9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swas et al. Highly selective and straightforward recovery of gold and platinum from acidic waste effluents using cellulose-based bio-adsorbent
Lin et al. Enhanced reductive removal of bromate using acid-washed zero-valent iron in the presence of oxalic acid
US115652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Du et al. Adsorption of fluoride on clay minerals and their mechanisms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Jing et al. Insight into the co-adsorption behaviors and interface interactions mechanism of chlortetracycline and lead onto struvite loaded diatomite
Tao et al. Highly efficient removal of glyphosate from water by hierarchical-pore UiO-66: Selectivity and effects of natural water particles
Hamza et al. Functionalization of magnetic chitosan microparticles–Comparison of trione and trithione grafting for enhanced silver sorption and application to metal recovery from waste X-ray photographic films
JP5744940B2 (ja) 放射性Cs汚染水の処理方法、放射性Cs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90615B (zh) 一种高价态金属铁氧体吸附剂的制备方法与应用
JP5653408B2 (ja) 放射性Cs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68955A (ko) 점토 내 중금속 제거 방법
Phothitontimongkol et al. Functionalized hectorite clay mineral for Ag (I) ions extraction from wastewater and prepa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supported clay
Zhang et al. Efficient degradation of benzalkonium chloride by FeMn-CA300 catalyst activated persulfate process: Surface hydroxyl potentiation mechanism and degradation pathway
TW201906790A (zh) 吸附方法
WO2021052484A1 (zh) 一种回收含金废水之材料
JP2004298738A (ja) ホウ素含有水の処理方法
KR20100030250A (ko) 수용액으로부터 요오드 혼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US1142153A (en) Manufacture, isolation, and enrichment of radio-active substances by adsorption from solutions.
JP2008023401A (ja) リン吸着材
JPS62286589A (ja) リン、アンモニアの同時除去方法
KR20200092080A (ko) 키틴을 이용한 세슘 흡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2179543A (ja) 脱硝触媒の再生方法
Zubair et al. MXenes: Innovative solutions for the removal of radionuclides from water-A review
KR102204227B1 (ko) 프러시안 블루가 도입된 세슘이온 흡착용 다공성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5907792B2 (ja) オスミウム廃液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