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822A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822A
KR20230068822A KR1020210154991A KR20210154991A KR20230068822A KR 20230068822 A KR20230068822 A KR 20230068822A KR 1020210154991 A KR1020210154991 A KR 1020210154991A KR 20210154991 A KR20210154991 A KR 20210154991A KR 20230068822 A KR20230068822 A KR 20230068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ripping
clamp
pip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182B1 (ko
Inventor
허재원
장지이
김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주식회사 후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주식회사 후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Priority to KR102021015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어도 일단에 확관부가 형성되고, 연결관이 삽입가능한 소켓관; 상기 확관부의 내주 측에 안착되는 밀폐링; 상기 밀폐링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확관부의 내주 측에 삽입되고, 절곡부를 갖는 파지링; 상기 확관부의 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링 측으로 상기 파지링을 미는 가압부재; 그리고, 상기 확관부와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이 내주 측에 형성되고, 잠금여부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를 진퇴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링은, 상기 클램프의 잠금 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구부러져 상기 절곡부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밀폐링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 파지링을 밀폐링에 접촉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축소시킬 수 있고, 클램프의 잠금 여부에 따라 파지링이 구부러지게 되어 소켓관에 삽입되는 연결관에 걸림으로써 파지링이 연결관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링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 파지링을 밀폐링에 접촉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축소시킬 수 있고, 클램프의 잠금에 따라 파지링이 구부러지게 되어 소켓관에 삽입되는 연결관에 걸림으로써 파지링이 연결관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이나 각종 시설에서는 물, 유류, 가스 등과 같은 유체의 수송을 위해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운반이나 보관 등 취급 상의 제약에 따라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되어 발매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는 시공 환경에 따라 일정 규격 길이보다 긴 길이로의 시공이 필요할 경우, 복수의 파이프를 서로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별도의 파이프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파이프 연결구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2629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합니다.)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소켓관에 밀폐링이 내재되고 파지링과 압륜이 결합되어 연결관을 소켓관에 연결하기 위한 압륜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압륜(50)은 관체(51) 중앙에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관통공(51a)의 내부는 파지링(4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관체(51) 내주면은 하단에 걸림부(53)가 있는 경사면(52)이 형성되고 관체(51) 외주에는 조인트볼트(60)가 관통하는 볼트구멍(55)이 형성된 플랜지(54)가 형성되어 있으며, 파지링(40)은 압륜(50)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절개부(41)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압륜(50)의 경사면(52)과 결합될 수 있게 경사면(42)과 걸림부(43)가 형성되며, 소켓관(10)의 플랜지(13)부 내공간에는 밀폐링(30)이 안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파지링의 절개부가 좁혀지면서 고무재인 밀폐 링의 상면이 씹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링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별도의 보호링이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전체적인 구성이 증가하게 되어 제작단가가 높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파지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파지부분(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형상 부분)의 단부가 연결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관을 소켓관 측으로 삽입시킬 때 연결관과 파지링의 파지부분 간 상호 간섭으로 인해 연결관의 원활한 삽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연결관을 소켓관 측으로 삽입시킬 때 연결관과 파지링의 파지부분 간 상호 간섭으로 인해 연결관 혹은 파지링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파지링의 파지부분이 연결관의 외주면을 수직방향으로 움켜 쥐는 형태가 되어 연결관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연결관이 소켓관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쉽게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12629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밀폐링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 파지링을 밀폐링에 접촉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축소시킬 수 있고, 클램프의 잠금에 따라 파지링이 구부러지게 되어 소켓관에 삽입되는 연결관에 걸림으로써 파지링이 연결관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는, 적어도 일단에 확관부가 형성되고, 연결관이 삽입가능한 소켓관; 상기 확관부의 내주 측에 안착되는 밀폐링; 상기 밀폐링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확관부의 내주 측에 삽입되고, 절곡부를 갖는 파지링; 상기 확관부의 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링 측으로 상기 파지링을 미는 가압부재; 그리고, 상기 확관부와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이 내주 측에 형성되고, 잠금여부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를 진퇴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링은, 상기 클램프의 잠금 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구부러져 상기 절곡부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링은, 중공을 갖는 링부; 상기 링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편; 그리고, 상기 돌출편의 단부에서 상기 연결관의 삽입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를 이루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부는, 상기 클램프의 잠금 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압박되고, 상기 파지부의 단부는, 상기 링부를 상기 가압부재가 압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소켓관에 삽입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편은, 상기 링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형성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돌출편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관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돌출편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밀폐부; 그리고, 외측 밀폐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내측 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밀폐부의 상단은, 상기 외측 밀폐부의 상단에 대해 함몰된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링부는, 상기 내측 밀폐부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내측 밀폐부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밀폐부의 하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밀폐부와 상기 내측 밀폐부는, 별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 그리고, 상기 가동부의 하면 내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링부를 미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링부를 밀기 위한 가압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가압면의 내측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링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밀릴 경우,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부의 외주 측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 측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상기 공간의 내부 일면과 타면에는, 상기 클램프의 잠금 여부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을 안내하기 위한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밀폐링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없이 파지링을 밀폐링에 접촉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을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클램프의 잠금 시, 파지링이 가압부재에 의해 밀려 구부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절곡형성된 파지부가 회전하여 연결관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밀폐링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파이프 연결구의 전체적인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파지부가 연결관의 삽입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클램프의 잠금 전에 연결관을 소켓관으로 삽입시킬 때, 파지부와 연결관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소켓관에 연결관을 삽입시킬 때, 파지링의 파지부와 연결관 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함으로써 파지링 또는 연결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파지부가 연결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율을 가짐으로써 클램프의 잠금 전 상태에서 연결관을 소켓관으로 삽입시킬 때, 매우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클램프의 잠금 시, 파지링이 구부러지면 가압부재의 지지면이 파지링의 돌출편을 지지함으로써 파지링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지부가 연결관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클램프의 잠금 전, 파이프 연결구의 일측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클램프의 잠금 후, 파이프 연결구의 일측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밀폐링의 다른 일 실시예를 적용한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밀폐링의 다른 일 실시예를 적용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클램프의 잠금 전, 파이프 연결구의 일측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클램프의 잠금 후, 파이프 연결구의 일측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적어도 일단에 확관부(110)가 형성되고, 연결관(미도시)이 삽입가능한 소켓관(100); 확관부(110)의 내주 측에 안착되는 밀폐링(200); 밀폐링(200)에 접촉가능하도록 확관부(110)의 내주 측에 삽입되고, 절곡부를 갖는 파지링(300); 확관부(110)의 단부 측에 배치되고, 밀폐링(200) 측으로 파지링(300)을 미는 가압부재(400); 그리고, 확관부(110)와 가압부재(400)가 삽입되는 공간(501)이 내주 측에 형성되고, 잠금여부에 따라 가압부재(400)를 진퇴시키는 클램프(500);를 포함하되, 파지링(300)은, 클램프(500)의 잠금 시, 가압부재(400)에 의해 구부러져 상기 절곡부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걸릴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소켓관(10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관(100)은, 복수의 상기 연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관(100)은, 확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확관부(110)는, 소켓관(100)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적어도 소켓관(1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관부(110)는, 소켓관(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확관부(110)를 통해 연결하고자 하는 상기 연결관이 각각 삽입가능할 수 있다.
확관부(110)는, 내주 측에 경사진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고, 외주 측에 경사진 제1경사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111)은, 확관부(110)의 내면을 이룰 수 있고, 제1경사면(113)는, 확관부(110)의 외면을 이룰 수 있다.
안착면(111)과 제1경사면은, 서로 반대면일 수 있다.
소켓관(100)의 상단에 형성된 확관부(110)의 안착면(111)과 제1경사면(113)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소켓관(100)의 하단에 형성된 확관부(110)의 안착면(111)과 제1경사면(113)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켓관(10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되는 확관부(110) 중, 소켓관(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확관부(110)를 기준으로 하여 이에 결합되는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소켓관(100)에는, 걸림턱(12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20)은, 소켓관(100)의 내주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소켓관(100)의 내주면 중앙부 전둘레에 걸쳐 띠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20)은, 확관부(110)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의 단부가 걸릴 수 있다.
걸림턱(120)은, 확관부(110)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밀폐링(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링(200)은, 중공을 갖는 탄성재질의 고무링일 수 있다.
밀폐링(200)은, 후술할 파지링(30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고, 후술할 가압부재(400)에 의한 파지링(300)의 압박 시, 지지하고 있는 파지링(300)이 구부러질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가질 수 잇다.
밀폐링(200)은, 소켓관(100)과 상기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의 내부를 흐르는 기체 또는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밀폐링(200)은, 소켓관(100)으로 상기 연결관이 삽입될 경우,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관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밀폐링(200)은, 확관부(110)의 내주 측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링(200)은, 확관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면이 안착면(11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밀폐링(200)의 외주면은, 확관부(110)의 내주면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밀폐링(200)은,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밀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밀폐부(2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일자형 단면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밀폐부(210)는, 하면이 상광하협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밀폐링(200)은, 외측 밀폐부(21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내측 밀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밀폐부(220)는, 하면이 외측 밀폐부(210)의 하면과 이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밀폐부(220)는, 상단이 외측 밀폐부(210)의 상단에 대해 하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밀폐부(220)의 하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221, 2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21, 223)는, 내측 밀폐부(220)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원형링 형상의 제1돌출부(221)와, 내측 밀폐부(22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형링 형상의 제2돌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221)와 제2돌출부(223)는, 각각 두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21)는, 볼록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고, 제2돌출부(223)는 뾰족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21)는, 밀폐링(200)과 안착면(111) 간의 밀착 시, 밀폐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고, 제2돌출부(223)는, 밀폐링(200)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간의 밀착 시, 밀폐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밀폐링(200)의 외측 밀폐부(210)와 내측 밀폐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밀폐링(200)의 외측 밀폐부(210')와 내측 밀폐부(220')는, 다른 실시 예로서,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파지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링(300)은, 후술할 클램프(500)의 잠금여부에 따라 진퇴하는 가압부재(400)에 의해 회전하는 움직임이 발생하여 소켓관(100)의 확관부(110)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을 견고하게 파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파지링(300)은, 밀폐링(200)에 접촉가능하도록 확관부(110)의 내주 측에 삽입될 수 있다.
파지링(300)은, 절곡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는, 파지링(30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파지링(300)은, 밀폐링(2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링(300)은, 링부(310)와, 돌출편(320)과, 파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링부(310)는, 중공을 갖는 원형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밀폐부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부(310)는 내측 밀폐부(220)의 상면 외측부에 대향하여 올려질 수 있다.
링부(310)는, 후술할 클램프(500)의 잠금 전,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링부(310)는, 후술할 클램프(500)의 잠금 시, 후술할 가압부재(400)에 의해 밀려 도 4를 기준으로 구부러지게 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링부(310)에는, 돌출편(32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편(320)은, 링부(310)의 내주면에서 링부(31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편(320)의 반경방향 폭(돌출폭)은, 링부(310)의 반경방향 폭의 1/2 이하일 수 있다.
돌출편(320)은, 링부(310)의 중심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편(320)은, 내측 밀폐부(220)의 상면 내측부에 대향할 수 있다.
돌출편(320)은, 링부(3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편(320)은,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돌출편(320)은, 후술할 클램프(500)의 잠금 전,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고, 링부(310)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돌출편(320)은, 후술할 클램프(500)의 잠금 시, 링부(310)가 가압부재(400)에 의해 밀림에 따라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으로써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돌출편(320)은, 링부(310)의 내주면에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돌출편(320)에는, 파지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330)는, 소켓관(100)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돌출편(32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330)는, 돌출편(320)의 단부에서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330)는, 돌출편(320)에 대해 하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는 클램프(500)의 잠금 전일 수 있다.
파지부(330)가 돌출편(320)에 대해 하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클램프(500)의 잠금 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을 소켓관(100)으로 삽입시킬 때, 파지부(330)와 상기 연결관은,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관의 원활한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파지부(330)는, 내측 밀폐부(220)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밀착될 수 있다.
파지부(330)는, 복수 개의 돌출편(320)에 각각 형성될 있고, 상기 연결관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파지부(330)는, 후술할 클램프(500)의 잠금 전,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고, 소켓관(100)으로 삽입되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30)는, 후술할 클램프(500)의 잠금 시, 링부(310)가 후술할 가압부재(400)에 의해 밀림에 따라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파지부(330)는, 돌출편(320)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지부(330)는, 내측 밀폐부(220)의 내주면으로부터 파지링(3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400)는, 파지링(300)을 압박하여 구부러질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확관부(110)와 함께 클램프(500)의 내주 측에 형성되는 공간(501)에 수용되어 클램프(500)의 잠금여부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가압부재(400)는, 확관부(110)의 단부 측에 배치될 수 있고, 클램프(500)가 잠금 상태가 될 경우 밀폐링(200) 측인 하측방향으로 파지링(300)의 외측부인 링부(310)의 상면를 밀어서 파지링(300)의 내측부인 파지부(330)가 들어올려지게 할 수 있다.
가압부재(400)는, 가동부(410)와, 가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410)는, 클램프(500)의 잠금여부에 따라 클램프(500)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가압부재(400)의 상부를 이룰 수 있다.
가동부(410)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중공을 갖는 원뿔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410)의 외주 측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경사진 제2경사면(4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410)에는, 가압부(4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20)는, 가동부(410)의 이동에 따라 파지링(300)의 링부(310)를 직접적으로 미는 구성일 수 있다.
가동부(410)의 하면 내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20)는, 중공을 갖는 원형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20)의 외측 단부는, 가동부(410)의 외측 단부에 대해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단차질 수 있다.
가압부(420)는, 하면에 가압면(421)과 지지면(42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면(421)은, 가압부(420)의 하면 외측부를 이룰 수 있고, 지지면(423)은, 가압부(420)의 내측부를 이룰 수 있다.
가압면(421)은, 지지면(423)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가압면(421)과 지지면(423)은 서로 이어질 수 있다.
가압면(421)은, 링부(310)를 직접적으로 밀기 위한 면일 수 있다.
가압면(421)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파지링(300)이 가압면(421)에 의해 밀리다가 자연스럽게 가압면을 타고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지지면(423)은, 가압면(421)의 내측단에서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면(421)은, 파지링(300)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링부(310)의 상면 중앙 부근을 밀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가압면(421)은, 하단이 링부(310)에 선접촉한 상태로 링부(310)를 밀 수 있다.
지지면(423)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423)은, 링부(310)가 가압부(420)에 의해 밀릴 때, 돌출편(320)의 상면이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돌출편(320)의 움직임, 즉, 돌출편(320)이 기우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클램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500)는,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통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일 수 있거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클램프(500)는,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통해 가압부재(400)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눌러 상하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지링(300)의 구부러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클램프(500)는, 전체적으로 일측이 절개된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500)는, 절개된 부분에 의한 양단이 잠금볼트(540)와 잠금너트(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고, 잠금볼트(540)에 결합된 레버(550)를 회전시켜 죄거나 푸는 것에 따라 잠금 상태 혹은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클램프(500)는, 잠금 상태가 될 경우, 내측으로 조여질 수 있고, 잠금 해제 상태가 될 경우,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클램프(500)는, 몸체(510)와, 제1연결부(520)와, 제2연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51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결합홀(5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520)와 제2연결부(530)는, 몸체(510)보다 짧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에 결합돌기(521)가 형성되어 몸체(51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홀(511)과 끼움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500)의 절개된 부분에 의한 양단은, 제1연결부(520)와 제2연결부(53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일 수 있다.
몸체(510)와, 제1연결부(520)와, 제2연결부(530)는,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클램프(500)는, 내주 측에는 공간(50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501)은, 확관부(110)와 가압부재(40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클램프(500)의 내주를 전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500)는, 공간(501)을 통해 확관부(110)와 가압부재(400)의 외주를 감쌀 수 있다.
클램프(500)의 공간(501) 내부 일면과 타면에는, 제3경사면(503)과 제4경사면(505)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면(503)과 제4경사면(505)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3경사면(503)은, 확관부(110)의 제1경사면(113)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4경사면(505)은, 가압부재(400)의 제2경사면(411)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면(503)과 제4경사면(505)은, 클램프(500)의 잠금 시, 각각 제1경사면(113)과 제2경사면(411)을 밀어서 안내하여 확관부(110)와 가압부재(400)를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4의 화살표 참조).
즉, 클램프(500)는, 제3경사면(503)과 제4경사면(505)을 통해 클램프(500) 및 가압부재(400)의 상하방향으로의 진퇴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파지링(300)이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레버(550)를 작동시켜 클램프(500)를 잠금 상태로 만든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켓관(100)에는,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클램프(500)는, 잠금 상태가 되면 반경방향 내측(도 4에서 클램프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으로 조여지게 되고, 이로 인해 클램프(500)는, 확관부(110)와 가압부재(400)의 외주를 압박하게 된다.
클램프(500)에 의해 압박된 확관부(110)와 가압부재(400)는, 클램프(500)의 제3경사면(503)과 제4경사면(505)에 의해 제1경사면(113)과 제2경사면(411)이 밀리게 되어 상호 마주하는 방향(확관부는 상측, 가압부재는 하측, 도 4에서 확관부 및 가압부재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400)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링(300)의 상면 외측부, 즉, 링부(310)의 중앙 부근을 밀게 된다.
가압부재(400)에 의해 상면이 밀린 파지링(300)은, 하면이 밀폐링(200)에 지지된 채 가압부재(400)의 하단 형상, 즉, 가압면(421) 및 지지면(42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측방향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링부(310) 및 돌출편(320)은 각각 가압면(421) 및 지지면(423)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파지부(330)의 단부는, 소켓관(100)에 삽입된 상기 연결관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관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관은, 하측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걸리는 파지부(330)의 단부로 인해 보다 견고히 소켓관(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링(200')은, 다른 일 실시예로, 외측 밀폐부(210')와 내측 밀폐부(220')가 별도로 형성되어 분할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밀폐링(200')은, 외측 밀폐부(210')와 내측 밀폐부(220')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밀폐링(200)과 차이가 있지만, 밀폐링(2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밀폐링(200)의 전체적인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밀폐링(200')의 외측 밀폐부(210')와 내측 밀폐부(220')가 별도로 구성되는 이유는, 가압부재(400)에 의한 파지링(300)의 압박 시 파지링(300)의 외주 측 단부, 즉, 링부(310)의 외주 측 단부에 의해 외측 밀폐부(210')와 내측 밀폐부(220') 간의 경계부위가 찢어지거나 터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소켓관 110: 확관부
111: 안착면 113: 제1경사면
120: 걸림턱 200, 200': 밀폐링
210, 210': 외측 밀폐부 220, 220': 내측 밀폐부
221, 221': 제1돌출부 223, 223': 제2돌출부
300: 파지링 310: 링부
320: 돌출편 330: 파지부
400: 가압부재 410: 가동부
411: 경사면 420: 가압부
421: 가압면 423: 지지면
500: 클램프 501: 공간
503: 제3경사면 505: 제4경사면
510: 몸체 511: 결합홀
520: 제1연결부 521:결합돌기
530: 제2연결부 540: 잠금볼트
550: 레버

Claims (13)

  1. 적어도 일단에 확관부가 형성되고, 연결관이 삽입가능한 소켓관;
    상기 확관부의 내주 측에 안착되는 밀폐링;
    상기 밀폐링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확관부의 내주 측에 삽입되고, 절곡부를 갖는 파지링;
    상기 확관부의 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링 측으로 상기 파지링을 미는 가압부재; 그리고,
    상기 확관부와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이 내주 측에 형성되고, 잠금여부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를 진퇴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링은, 상기 클램프의 잠금 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구부러져 상기 절곡부가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링은,
    중공을 갖는 링부;
    상기 링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링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편; 그리고,
    상기 돌출편의 단부에서 상기 연결관의 삽입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를 이루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부는, 상기 클램프의 잠금 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압박되고,
    상기 파지부의 단부는, 상기 링부를 상기 가압부재가 압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소켓관에 삽입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링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형성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돌출편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관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돌출편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은,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밀폐부; 그리고,
    외측 밀폐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내측 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밀폐부의 상단은, 상기 외측 밀폐부의 상단에 대해 함몰된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링부는, 상기 내측 밀폐부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내측 밀폐부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밀폐부의 하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밀폐부와 상기 내측 밀폐부는, 별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 그리고,
    상기 가동부의 하면 내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링부를 미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링부를 밀기 위한 가압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가압면의 내측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링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밀릴 경우,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의 외주 측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 측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상기 공간의 내부 일면과 타면에는, 상기 클램프의 잠금 여부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을 안내하기 위한 제3경사면과 제4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210154991A 2021-11-11 2021-11-11 파이프 연결구 KR10254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91A KR102549182B1 (ko) 2021-11-11 2021-11-11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991A KR102549182B1 (ko) 2021-11-11 2021-11-11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822A true KR20230068822A (ko) 2023-05-18
KR102549182B1 KR102549182B1 (ko) 2023-06-30

Family

ID=8654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991A KR102549182B1 (ko) 2021-11-11 2021-11-11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1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629B1 (ko) 2007-12-13 2008-03-13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1420642B1 (ko) * 2013-08-19 2014-07-17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101439499B1 (ko) * 2012-01-26 2014-09-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523307B1 (ko) *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US20180112804A1 (en) * 2016-10-21 2018-04-26 Crane Limited Pipe coupling
KR101891081B1 (ko) *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629B1 (ko) 2007-12-13 2008-03-13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1439499B1 (ko) * 2012-01-26 2014-09-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420642B1 (ko) * 2013-08-19 2014-07-17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101523307B1 (ko) *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US20180112804A1 (en) * 2016-10-21 2018-04-26 Crane Limited Pipe coupling
KR101891081B1 (ko) *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182B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5380C (en) Spigot-and-socket joint
US20050052026A1 (en) Flange
JP2004347074A (ja) 管継手
FR2545148A1 (fr) Ensemble d'accouplements pour tube prolongateur
KR101873862B1 (ko) 파이프 이지 결속장치
KR102549182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883800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JP4781164B2 (ja) 継手体の接続方法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10174905A (ja) シール材
JP4907234B2 (ja) 流体管の移動防止手段
KR100519784B1 (ko) 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무링과, 어댑터를 구비한 관 및 이들을 구비한 관 연결구
KR20220123312A (ko) 빠른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 클램프 및 파이프 클램프 어셈블리
KR100512370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o링식 편수관 연결 조립체
JP2009144755A (ja) 回転防止機能付き管継手
JP3983494B2 (ja) ケーブル保護管
WO2013137241A1 (ja) 管継手構造
KR200277297Y1 (ko) 관 연결장치
KR20220159716A (ko)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JP5358099B2 (ja) 管継手移動防止具
JP2010174907A (ja) 管継手
KR101977210B1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2623297B1 (ko) 복합관 이음 커플링
JP3939100B2 (ja) 耐震継手ならびに耐震管路
JP4698237B2 (ja) 管の挿口突部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