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716A -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 Google Patents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716A
KR20220159716A KR1020210067679A KR20210067679A KR20220159716A KR 20220159716 A KR20220159716 A KR 20220159716A KR 1020210067679 A KR1020210067679 A KR 1020210067679A KR 20210067679 A KR20210067679 A KR 20210067679A KR 20220159716 A KR20220159716 A KR 2022015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piece
edge
base ring
gri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섭
Original Assignee
김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섭 filed Critical 김병섭
Priority to KR102021006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716A/ko
Publication of KR2022015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associated with the pack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링에 복수개의 고정편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된 그립링으로 인해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은 후방으로 파이프의 삽입은 가능하되 삽입된 파이프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그립링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링과; 꼭지점부를 기준으로 제1 변부와 제2 변부가 일정 경사각을 형성하며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강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변부와 상기 제2 변부가 상기 꼭지점부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외력에 의해 좁혀지고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복원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은 복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링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변부가 상기 베이스링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변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변부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PIPE GRIP RING WITH INDEPENDENT FIXING SPRING AND PIPE COUPL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링에 복수개의 고정편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된 그립링으로 인해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배관작업은 일정한 길이로 제조된 파이프를 설치환경에 맞추어 다수개를 절단 및 연결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작업을 통칭하며, 상기와 같은 배관작업에 있어서는 제한적인 파이프의 길이와 관로의 위치 변경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파이프 커플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 커플러로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것은 연결될 파이프와 동일한 내경을 갖되 그 외경을 연결될 파이프보다 더 크게 하여 그 내부에 파이프가 나사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상적인 배관 커플러는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삽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배관 커플러의 단점을 해결해보고자, 등록실용신안 제0381922호(등록일자: 2005.04.07)에는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에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381922호에 게재된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커플러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커플러는 연결될 파이프가 삽입되는 개구된 다수의 연결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10')에, 상기 연결부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연결부에 내삽되어 상기 패킹부재(20')에 밀착되되 그 상부에 내면이 하향축소되는 경사면을 갖는 지지링(30')과, 상기 지지링(30')의 경사면에 안치되어 밀착되되 상기 연결부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편이 형성된 그립링(40')과, 그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그립링(40')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의 그립링(40')은 원형의 베이스링을 따라 다수의 고정편이 형성된 것으로 형상 자체의 한계와 상기 베이스링과 상기 고정편이 일체로 제작된 한계로 인해 상기 고정편의 강성 및 탄성 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로 인해 고정편이 표면이 매끄럽고 상당한 강성을 갖는 파이프 등은 파고들지 못해 스테인리스 재질 등의 파이프에는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립링(40')은 상기 다수개의 고정편이 상기 베이스링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이웃하는 고정편끼리 서로 영향을 받음으로써 삽입되는 파이프가 완벽하게 원형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은 후방으로 파이프의 삽입은 가능하되 삽입된 파이프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그립링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링과; 꼭지점부를 기준으로 제1 변부와 제2 변부가 일정 경사각을 형성하며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강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변부와 상기 제2 변부가 상기 꼭지점부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외력에 의해 좁혀지고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복원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은 복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링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변부가 상기 베이스링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변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변부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꼭지점부가 수차례 감긴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링은 상기 고정편의 제1 변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고정편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편지지홈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편의 꼭지점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꼭지점부의 양측면이 맞닿아 지지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1 변부에 납작한 외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링은, 상기 제1 변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고정편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지지홈에는 상기 제1 변부의 납작한 외측면이 맞닿아 지지되는 회전방지평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2 변부의 선단이 뾰족하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는 일정 압력을 갖는 유체가 이동되는 파이프를 수밀 또는 기밀을 유지하며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러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전방으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와 연통되는 커플러본체와; 상기 커플러본체의 중공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파이프의 삽입은 가능하되 삽입된 파이프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그립링과; 상기 커플러본체의 중공에 구비되고 일정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커플러본체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플러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그립링은 내부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링과, 꼭지점부를 기준으로 제1 변부와 제2 변부가 일정 경사각을 형성하며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강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변부와 상기 제2 변부가 상기 꼭지점부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외력에 의해 좁혀지고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복원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은 복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링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변부가 상기 원통형의 베이스링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변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변부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는 베이스링에 복수개의 고정편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고정편의 강성 및 탄성 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표면이 매끄럽고 상당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의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는 복수개의 고정편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파이프가 완벽하게 원형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균일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의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는 커플러본체(10)와, 파이프 그립링(20)과, 패킹부재(30, 40)와, 스토퍼부재(50)와, 마감캡(60)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본체(10)는 연결을 위한 파이프(P)가 삽입되기 위한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11)의 전방으로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P)와 연통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본체(10)는 일자형으로 상기 중공(11)의 양측단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T자형, 십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본체(10) 중앙부에는 스토퍼부재(50)가 고정되기 위한 스토퍼고정홈(12)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마감캡(60)의 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의 마감캡걸림턱(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공(11)으로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이 모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되며 절곡고정부(1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마감캡걸림턱(13)과 상기 절곡고정부(14) 사이에 마감캡(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 그립링(20)은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공(11)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파이프(P)의 삽입은 가능하되, 삽입된 파이프(P)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P)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베이스링(21)과 고정편(22)과, 패킹보호 와셔(2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링(21)은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로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편(22)은 꼭지점부(223)를 기준으로 제1 변부(221)와 제2 변부(222)가 일정 경사각을 형성하며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강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변부(221)와 상기 제2 변부(222)가 상기 꼭지점부(223)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외력에 의해 좁혀지고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복원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22)은 복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링(21)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변부(221)가 상기 베이스링(21)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변부(222)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변부(222)의 선단(222a)이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22)이 상기 베이스링(21)과 분리되어 스프링강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고정편(22) 복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편(22)의 강성 및 탄성 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표면이 매끄럽고 상당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의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파이프(P)가 완벽하게 원형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균일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그립링(20a)을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22a)은 상기 꼭지점부(223)가 수차례 감긴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2 변부(222)의 선단(222a)이 뾰족하게 가공된다.
상기와 같이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고정편(22a)은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강성 및 탄성 복원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2 변부(222)의 선단(222a)이 상기 파이프(P)를 파고들며 상기 파이프(P)를 확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링(21a)은 상기 베이스링(21)은, 상기 고정편(22a)의 제1 변부(221)가 삽입 지지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고정편지지홈(21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2)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편지지홈(211a)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편(22)의 꼭지점부(223)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꼭지점부(223)의 양측면이 맞닿아 지지되는 회전방지홈(212a)이 형성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그립링(20b)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22)은 상기 제1 변부(221)에 납작한 외측면(221b)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2 변부(222)의 선단(222b)이 뾰족하게 가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링(21b)은 상기 제1 변부(221)가 삽입 지지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고정편지지홈(211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지지홈(211b)에는 상기 제1 변부(221)의 납작한 외측면(221b)이 맞닿아 지지되는 회전방지평면(212b)이 형성된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지지홈(211a)은 3개로 형성하였고, 도 5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지지홈(211b)은 6개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개수는 가감할 수 있다.
상기 패킹보호 와셔(23)는 상기 베이스링(21)에 상기 고정편(22)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링(21)의 전방에 놓이는 구성으로 상기 패킹보호 와셔(23)에 의해 상기 고정편(22)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편(22)의 상단이 상기 제2 패킹부재(40)를 파고 들며 상기 제2 패킹부재(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30, 40)는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공(11)에 구비되고 일정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커플러본체(10)로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플러본체(10)와 상기 파이프(P)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패킹부재(30)와, 제2 패킹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패킹부재(30)는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수밀 또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공(11)에 후단부가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킹부재(30)는 유체통과홀(31)과, 파이프접촉면(32)과, 탄성요홈(33) 이 형성된다.
상기 유체통과홀(31)은 상기 제1 패킹부재(30)의 중앙에 유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전후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접촉면(32)은 상기 커플러본체(10)로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패킹부재(3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파이프접촉면(32)에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가 맞닿으며 상기 제1 패킹부재(30)가 탄성에 의해 일정 정도 압축되며 그 사이에 수밀 또는 기밀이 유지되게 된다.
상기 탄성요홈(33)은 상기 제1 패킹부재(30)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패킹부재(30)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패킹부재(40)는 일정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패킹부재(30)의 전방에서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공(11)에 삽입되는데, 상기 커플러본체(10)의 내주면과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가 밀폐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파이프(P)와 상기 커플러본체(10) 사이는 상기 제1 패킹부재(30)에 이해 1차적으로 밀폐되는데, 설령 상기 제1 패킹부재(30)에 의한 밀폐가 완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패킹부재(40)에 의해 상기 파이프(P)와 상기 커플러본체(10) 사이에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패킹부재(40)는 상호간 접촉부가 맞닿으며 전후 적층되는 전방 패킹유닛(40a)과 후방 패킹유닛(40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파이프밀폐홀(41)과, 경사테이퍼면(42)과, 밀착주름(43)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밀폐홀(41)은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과 상기 후방 패킹유닛(40b) 각각의 중앙에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이 접촉되며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경사테이퍼면(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P)의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패킹부재(30)가 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과 상기 후방 패킹유닛(40b)이 상호 압착되는 경우 어느 하나는 확관되고 다른 하나는 축관되도록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과 상기 후방 패킹유닛(4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촉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테이퍼면(42)은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의 접촉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테이퍼면(42)의 경사는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과 상기 후방 패킹유닛(40b)이 상호 압착되는 경우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이 확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만일 상기 경사테이퍼면(42)의 경사가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이 축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P)의 삽입 시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은 상기 파이프(P)와의 마찰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축관됨으로써 상기 파이프(P)의 삽입을 방해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테이퍼면(42)의 경사는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이 확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방 패킹유닛(40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오링 형태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과 접촉되는 접촉면에 상기 경사테이퍼면(42)에 대응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할 것이다.
상기 밀착주름(43)은 상기 커플러본체(10)의 내주면에 맞닿는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 패킹유닛(40a)의 외주면과 상기 커플러본체(10)의 내주면 사이에 보다 확실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토퍼부재(60)는 중앙에 유체가 통과될 수 있는 스토퍼중앙홀(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패킹부재(30)의 후방에서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공(11)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패킹부재(3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부재(50)는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일단으로 압입되어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스토퍼고정홈(12)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마감캡(60)은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중공(11)에 구비된 구성들(20, 30, 4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플러본체(10)의 마감캡걸림턱(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플러본체(10)의 전단부 절곡고정부(14)가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커플러본체(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감캡(60)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파이프가이드(61)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P)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P 파이프
10 커플러본체
20 파이프 그립링
21 베이스링, 22 고정편
23 패킹보호 와셔
30 제1 패킹부재
40 제2 패킹부재
50 스토퍼부재
60 마감캡

Claims (5)

  1. 후방으로 파이프의 삽입은 가능하되 삽입된 파이프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그립링에 있어서,
    내부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링과;
    꼭지점부를 기준으로 제1 변부와 제2 변부가 일정 경사각을 형성하며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강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변부와 상기 제2 변부가 상기 꼭지점부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외력에 의해 좁혀지고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복원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은, 복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링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변부가 상기 베이스링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변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변부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꼭지점부가 수차례 감긴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링은, 상기 고정편의 제1 변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고정편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편지지홈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편의 꼭지점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꼭지점부의 양측면이 맞닿아 지지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고정편을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1 변부에 납작한 외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링은, 상기 제1 변부가 삽입 지지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여진 고정편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지지홈에는 상기 제1 변부의 납작한 외측면이 맞닿아 지지되는 회전방지평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2 변부의 선단이 뾰족하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5. 일정 압력을 갖는 유체가 이동되는 파이프를 수밀 또는 기밀을 유지하며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러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전방으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며 상기 파이프와 연통되는 커플러본체와;
    상기 커플러본체의 중공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파이프의 삽입은 가능하되 삽입된 파이프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그립링과;
    상기 커플러본체의 중공에 구비되고 일정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커플러본체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플러본체와 상기 파이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그립링은, 내부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베이스링과, 꼭지점부를 기준으로 제1 변부와 제2 변부가 일정 경사각을 형성하며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강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변부와 상기 제2 변부가 상기 꼭지점부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외력에 의해 좁혀지고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며 복원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편은 복수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링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변부가 상기 원통형의 베이스링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변부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변부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을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
KR1020210067679A 2021-05-26 2021-05-26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KR20220159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79A KR20220159716A (ko) 2021-05-26 2021-05-26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679A KR20220159716A (ko) 2021-05-26 2021-05-26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716A true KR20220159716A (ko) 2022-12-05

Family

ID=8439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679A KR20220159716A (ko) 2021-05-26 2021-05-26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7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5930A (zh) * 2023-02-20 2023-06-06 湖南科伦制药有限公司 一种注射器灌装加塞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5930A (zh) * 2023-02-20 2023-06-06 湖南科伦制药有限公司 一种注射器灌装加塞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190B1 (ko) 관 조인트
ES2689491T3 (es) Sistema para sujetar de manera sellada cables que se extienden a través de una abertura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JPH05280681A (ja) プラスチックス製押し込み式の管継手
KR20220159716A (ko) 독립형 고정편이 구비된 파이프 그립링
KR101869319B1 (ko) 파이프 커버 기능을 갖는 배관 커플러
KR200443803Y1 (ko) 파이프 접속용 그립링
EP1748242B1 (en) Clamping ring for a high tensile strength coupling
CZ294529B6 (cs) Potrubní spojka
FR2583497A1 (fr) Dispositif pour maintenir une canalisation a la traversee d'une paroi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JP4781164B2 (ja) 継手体の接続方法
US4238132A (en) Connector
JP4727078B2 (ja) 差込式管継手
US10487972B1 (en) Hose mending device and method
JP7400288B2 (ja) 管継手および管の取り外し方法
KR102392302B1 (ko) 관 이음 장치
KR102408894B1 (ko) 더블 패킹부재가 구비된 파이프 커플러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JP4727077B2 (ja) 差込式管継手
JPH06294490A (ja) クランプ用スプリングカラー
JPH01275991A (ja) 管継手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JP5184756B2 (ja) シール部材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